KR102176605B1 -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605B1
KR102176605B1 KR1020200079438A KR20200079438A KR102176605B1 KR 102176605 B1 KR102176605 B1 KR 102176605B1 KR 1020200079438 A KR1020200079438 A KR 1020200079438A KR 20200079438 A KR20200079438 A KR 20200079438A KR 102176605 B1 KR102176605 B1 KR 102176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ath
sluice
inlet
bottom water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혁
이선정
김상현
명남재
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기연
(주)신명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기연, (주)신명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to KR102020007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동보와 별도 구성된 저층수 배출로를 통해 저층수의 방류가 이루어져 하천의 부패 및 생태계 파괴가 방지되고, 저층수 배출로의 유입구측과 배수구측의 동시에 개폐에 의해 저층수 배출로내로의 이물질 유입 및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저층수 배출로의 막힘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양방향 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동보를 중심으로 하천의 상류측(A)에 유입구측 배출로가 연결되고, 하천의 하류측에 배수구측 배출로가 연결되도록 가동보가 설치된 기초콘크리트에 구비된 저층수 배출로; 하천의 상류측(A)에 구비된 저층수 배출로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저층수 배출로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여과부; 저층수 배수로내에 설치되어 유입구측 배출로와 배수구측 배출로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양방향 수문부;를 포함하되, 상기 양방향 수문부는, 기초콘크리트에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측 배출로를 개폐시키는 제1수문과, 제1수문의 상단부와 링크축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배수구측 배출로에 타측이 구름접촉되며 이동되어 배수구측 배출로를 개폐시키는 제2수문과, 링크축에 연결설치되어 제1수문과 제2수문을 동시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A apparatus of double open and shut type for draining bottom water}
본 발명은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동보를 중심으로 상류측과 하류측이 연결되도록 가동보 하측에 저층수 배출로가 설치되고, 저층수 배출로의 유입구측 배출로와 배수구측 배출로가 동시에 이중 개폐되도록 하여, 저층수의 방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저층수 배출로의 막힘현상이 방지되는 양방향 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weir)는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는 일종의 물막이용 울타리를 말하며, 이러한 보는 농업, 공업 및 생활 용수의 확보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댐이 설치될 수 없는 하천에 보를 여러 개 설치하면 수량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 대형 댐의 대체 구조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보의 종류는 크게 나누어 고정보와 가동보가 있으며, 고정보는 수문이 개폐되지 않고 고정된 방식으로 구성되고, 가동보는 수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물의 흐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동보는 일반적 경우 수문을 폐쇄시켜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에 물을 가두어 이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홍수 시에는 수문을 개방시켜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흘러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하류의 물이 불어난 경우에는 물의 흐름이 상류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아울러 수행한다.
이와 같이 물의 흐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동보에 장착되는 가동보 수문은 일반적으로 하단부의 메인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동패널과, 가동패널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유압 실린더 방식 또는 공압식이 주로 이용되는데, 유압실린더 및 공압식 고무댐에 의해 가동패널을 수직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회전시켜 폐쇄(방류차단)되도록 하거나, 가동패널을 수평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회전시켜 개방(방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가동보는 목적수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류로부터 지속적으로 흘러 내려오는 유입수량에 의해 담수량이 점점 증가하게 될 경우, 목적수위를 벗어난 물은 가동패눌의 상부로 월류하여 하류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가동패널의 하단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상에는 각종의 침전물이 누적되며, 이것에 의해 가동보의 가동패널 하부쪽의 저층수가 순환 및 방류되지 못하고 고여있는 상태에서 퇴적오니(슬러지)발생되며, 이로 인해 하천수질이 부패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동패널에 저층수 배출관을 설치하고, 담수량의 수위에 따른 차이를 이용하여 저층수를 가동패널 후부 즉, 하류방향으로 배출하는 방안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저층수 배출구조는 담수수위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일정량의 담수량이 유지되어야 하거나, 가동패널 전체를 구동하여 가동패널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담수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해야 하므로, 목적으로 하는 담수수위를 달성할 수 없게 되어 실질적으로 저층수의 배출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동보 하측에 별도의 배수관을 설치하고, 상류측에 위치한 배수관의 유입구측에 수문을 설치하여, 수문의 개폐를 통해 저층수가 하류측으로 방수되도록 구성된 것도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수문이 설치되지 않은 하류측의 배수구를 통해 하류측으로부터 퇴적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배수관이 막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081378(2017.07.1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05096(2014.06.0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05099(2014.06.0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80723(2010.09.01)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보와 별도 구성된 저층수 배출로를 통해 저층수의 방류가 이루어져 하천의 부패 및 생태계 파괴가 방지되고, 저층수 배출로의 유입구측과 배수구측의 동시에 개폐에 의해 저층수 배출로내로의 이물질 유입 및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저층수 배출로의 막힘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양방향 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 수문부의 제1수문과 제2수문에 의해 저층수 배출로의 유입구측 배출로와 배수구측 배출로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여, 저층수의 방류 및 차단에 대한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동보를 중심으로 하천의 상류측(A)에 유입구측 배출로가 연결되고, 하천의 하류측에 배수구측 배출로가 연결되도록 가동보가 설치된 기초콘크리트에 구비된 저층수 배출로; 하천의 상류측(A)에 구비된 저층수 배출로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저층수 배출로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여과부; 저층수 배수로내에 설치되어 유입구측 배출로와 배수구측 배출로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양방향 수문부;를 포함하되, 상기 양방향 수문부는, 기초콘크리트에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측 배출로를 개폐시키는 제1수문과, 제1수문의 상단부와 링크축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배수구측 배출로에 타측이 구름접촉되며 이동되어 배수구측 배출로를 개폐시키는 제2수문과, 링크축에 연결설치되어 제1수문과 제2수문을 동시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양방향 수문부의 제1수문에 의해 유입구측 배출로가 개폐되고, 제2수문에 의해 배수구측 배출로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어, 저층수 배출로가 제1,2수문에 의한 이중개폐구조를 구비하게 되어, 저층수의 배출 및 차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저층수의 배출 및 차단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 가동보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층수 배출로의 유입구측 배출로에는 여과부가 설치되고, 배수구측 배출로에 제2수문이 설치되어 있어, 저층수 배출로내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며, 이를 통해 저층수 배출로의 막힘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상류측의 저층수가 하류측으로 원활하게 방류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양방향 수문부의 제2수문이 배수구측 배출로의 배수구에 근접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있어, 하류측으로부터 배수구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작업자에 의해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동보의 기립/도복 작동에 관계없이, 상류측의 저층수를 하류측으로 이송배출시킬 수 있어, 가동보에 의한 수위 변화없이 상류측에 대한 수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수문부에 의해 구동부가 설치된 구동실내로 이물질, 퇴적물 및 하천수의 침입이 차단되므로, 구동부에 의한 양방향 수문부의 작동성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양방향 수문부에 대한 점검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로 폐쇄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로 개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도 3 에 따른 부분상세도
도 5 는 본 발명이 설치된 하천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로 폐쇄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로 개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도 3 에 따른 부분상세도를, 도 5 는 본 발명이 설치된 하천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가동보(300)를 중심으로 하천의 상류측(A)에 유입구측 배출로(11)가 연결되고, 하천의 하류측에 배수구측 배출로(12)가 연결되도록 가동보(300)가 설치된 기초콘크리트(200)에 구비된 저층수 배출로(10); 하천의 상류측(A)에 구비된 저층수 배출로(10)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저층수 배출로(10)내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여과부(20); 저층수 배수로(10)내에 설치되어 유입구측 배출로(11)와 배수구측 배출로(12)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양방향 수문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양방향 수문부(30)는, 기초콘크리트(200)에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측 배출로(11)를 개폐시키는 제1수문(40)과, 제1수문의 상단부(41)와 링크축(70)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배수구측 배출의 내면에 타측이 구름접촉되며 이동되어 배수구측 배출로(12)를 개폐시키는 제2수문(50)과, 링크축(70)에 연결설치되어 제1수문(40)과 제2수문(50)을 동시 구동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저층수 배출로(10)는 하천 상류측의 저층수를 가동보 하류측으로 방류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콘크리트(200)내에 일체로 설치 또는 형성되어 있으며, 하천의 상류측(A)과 연결되는 유입구측 배출로(11)와, 하천의 하류측(B)에 연결되는 배수구측 배출로(12)와, 유입구측 배출로(11)와 배수구측 배출로(12) 사이에 형성되어 양방향 수문부(30)가 설치되는 구동실(13)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측 배출로(11)는 유입구(11a)에서 하류측 방향(B)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유입배출로(14)와, 유입배출로(14)와 연통되어 저층수를 배수구측 배출로(12)로 이송시키는 이송배출로(15)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구측 배출로(12)는 유입구측 배출로의 이송배출로(11c)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구(12a)에서 상류측(A)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11a)는 하천 상류측(A)과 유입배출로(14)가 연통되어져 여과부가 설치되는 구멍을 의미하고, 상기 배수구(12a)는 하천 하류측(B)과 배수구측 배출로가 연통되어지는 구멍을 의미한다 즉, 상기 유입구(11a)와 배수구(12a)는 기초콘크리트 표면(210)에 노출되어지는 구멍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측 배출로(12)는 기초콘크리트 표면(210)에서 1m 이하의 깊이(D), 바람직하게는 약 0.5m 이내의 깊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양방향 수문부(30)에 의해 저층수 배출로(10)의 폐쇄된 상태가 장시간 유지될 시, 작업자에 의해 배수구측 배출로(12)로 유입된 이물질에 대한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깊이(D)는 양방향 수문부의 제2수문(50)에 의해 배수구측 배출로(12)가 폐쇄된 상태를 기준으로, 배수구(12a)가 형성된 기초콘크리트 표면(210)에서 제2수문(50)까지의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저층수 배출로(10)는 가동보(300)를 기준으로, 하천의 상류측(A)과 하류측(B)에 연결되어지도록 하천의 폭방향(W)으로 하나 이상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저층수 배출로(10)는 유입배출로(14)와 이송배출로(15)로 이루어진 유입구측 배출로(11) 및, 배수구측 배출로(12)에 의해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가동보(300)가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200)에 대한 단차없이도 설치되어 저층수의 방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실(13)은 양방향 수문부(30)의 구동 및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유입구측 배출로(11)와 배수구측 배출로(12) 사이에 위치되어지도록 또한, 유입구측 배출로(11)와 배수구측 배출로(12)와 연통되어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구동실(13)은 바닥면(13a)이 유입구측 배출로의 이송배출로 내면(15a)과 단차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양방향 수문부(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6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실의 바닥면(13a)은 제1수문(4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바닥면(13b)과, 제1바닥면(13b)과 단차를 구비하며 형성되고 구동부(60)가 연결설치되는 제2바닥면(13c)을 구비한 이중단차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바닥면(13b)은, 유입구측 배출로(11)가 개방되도록 제1수문(40)이 도복작동 될 시, 제1수문(40)의 두께로 인하여 유입구측 배출로의 이송배출로 내면(15a)과 도복작동된 제1수문의 일측면(40a)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바닥면(13b)은 도복작동된 제1수문의 타측면(40b)이 접촉지지되어, 제1수문(40)의 위치를 지지하는 스토퍼 기능도 함께 구비한다 .
상기 제2바닥면(13c)은 구동부(60)의 작동에 의해 링크축(70)을 중심으로 제1,2수문(40,50)이 링크작동되어 유입구측 배출로(11)와 배수구측 배출로(12)가 동시 개방 및 폐쇄되어질 수 있도록 이송배출로 내면(15a)과 소정의 단차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2수문의 기립/도복작동을 위한 구동부(60)의 배치 및 작동범위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이송배출로 내면(15a)과 소정의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실의 바닥면(13a) 또는 바닥면의 제2바닥면(13c)에는 구동실(30)내로 하천수 또는 슬러지가 유입/침투될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16)이 더 연결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실(13)에는 양방향 수문부(30)의 유지보수를 위해 외부와 연결되는 별도의 출입구(도시없음)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출입구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실(13)은 유입구측 배출로(11)와 배출구측 배출로(12)에 연통되어지도록 맨홀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20)는 저층수 배출로(10)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저층수 배출로의 유입구(11a)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부(20)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 충분하므로, 그 구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직경 1㎝ 이상 또는, 가로/세로 1㎝ 이상의 이물질에 대한 유입이 차단되도록 창살구조 또는 격자구조 또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여과부(20)는 소정의 강성을 구비하는 재질 일예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이물질과의 충돌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하천수로 인한 부식이 발생되지 않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방향 수문부(30)는 구동부(60)에 의해 링크축(70)을 중심으로 제1수문(40)과 제2수문(50)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동시 회동되어, 제1수문(40)에 의해 유입구측 배출로(11)가 즉, 이송배출로(15)가 개폐되고, 제2수문(50)에 의해 배출구측 배수로(12)가 개폐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문(40)은 수밀부(43)에 의해 하단부(41)가 이송배수로의 내면(15a) 또는, 구동실의 바닥면 일측 즉, 제1바닥면(13b)에 수밀을 구비하면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링크축(70)에 의해 상단부(41)가 제2수문(5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밀부(43)는 공지의 수밀구조 일 예로, 통상적인 가동보의 가동패널에 대한 수밀구조가 이용되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수문(40)은 하단부(41)가 바닥면에 회전구동하게 연결되고 수밀부(43)가 힌지와 별도로 설치되어 수밀이 유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문(40)은 테두리를 따라 제1수밀패드(44)가 더 설치되어, 저층수 배출로(10)의 폐쇄시, 이송배수로(15)에 제1수문(40)이 더욱 밀착접촉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수밀패드(44)는 가동보의 에어백과 같이 유연성, 수밀성, 신축성 및 소정의 탄력성을 구비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수밀성, 신축성 및 탄력성을 구비하는 고무(천연/인조고무), 실리콘, 고분자 합성수지패드 등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밀패드(44)는 수밀부(4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되어 별도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문(50)은 제1수문(40)과 링크축(70)에 의해 일측부(51)가 연결되고 타측부(52)에 설치된 이동롤러(53)가 배출구측 배수로의 타측내면(12c)에 구름접촉되어지도록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수문(50)은 배출구측 배수로(12)의 개폐여부 관계없이 일측부(51)가 링크축(70)에 의해 제1수문(40)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부(52)에 설치된 이동롤러(53)가 배출구측 배수로의 타측내면(12c)에 항시 구름접촉되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수문(50)은 테두리를 따라 제2수밀패드(54)가 더 설치되어, 저층수 배출로(10)의 폐쇄시, 제2수문(40)에 의해 배출구측 배출로(12)의 폐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제2수문(50)과 배수구측 배출로(12) 사이틈새로 이물질 또는 퇴적물 등의 침입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수밀패드(54)는 제1수밀패드(54)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축(70)은 제1수문의 상단부(41)와 제2수문의 일측부(51)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구동부(60)의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수문(40)과 제2수문(50)은 링크축(70)에 의해 링크구조 또는 양방향 경첩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60)는 링크축(70)을 승하강시켜 제1,2수문(40,5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모터 등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동부(60)를 유압실린더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유압실린더(구동부)는 구동실(13)에 실린더몸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가 제1,2수문을 연결하는 링크축(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팽창(신축)/수축에 의해 링크축(70)을 승하강시켜, 제1,2수문(40,50)이 링크축(70)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양방향 수문부(30)는 제1수문의 상단부(41)와 제2수문의 일측부(51)에 연결되어지도록 완충수밀패드(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수밀패드(80)는 제1수문의 일측면(40a)에 일측이 고정되고, 제2수문의 상부면(50a)에 타측이 고정되어, 링크축(70)을 중심으로 하는 제1,2수문(40,50)의 회동시, 신축 또는 수축되어 제1,2수문(40,50)의 연결부위로 이물질 또는 퇴적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수밀패드(80)는 유입구측 배출로(11)와 배수구측 배출로(12)가 폐쇄되도록 제1,2수문(40,50)이 작동될 경우, 배수구측 배출로의 일측내면(12b)에 가압밀착되어 유입구측 배출로(11)와 배수구측 배출로(12)에 대한 폐쇄효율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완충수밀패드(80)는 수밀성, 신축성 및 탄력성을 구비하는 고무(천연/인조고무), 실리콘, 고분자 합성수지패드 등등의 재질 또는 가동보장치의 에어백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수밀패드(80)는 제1,2수밀패드(44,54)와 일체로 연결되어지도록 설치되거나, 제1,2수밀패드(44,54)와 별도로 분리구성되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완충수밀패드(80)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1,2수밀패드(44,54)의 설치가 생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층수 배출로 폐쇄
유압실린더가 팽창(신축)작동되면, 제1수문은 수밀부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어 배수구측 배출로의 일측내면에 상단부가 접촉지지되도록 기립작동되고, 제2수문은 제1수문과 연결된 링크축을 중심으로 제1수문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도복작동된다. 이때, 상기 제2수문은 링크축이 연결된 일측부가 이동롤러를 중심으로 상향회동되고, 제2수문의 도복이 이루어지도록 이동롤러는 배수구측 배출로의 타측내면에 구름접촉되면서 구동실 방향으로 하강된다.
이와 같이 기립작동되는 제1수문에 의해 유입구측 배출로가 폐쇄되고, 도복작동되는 제2수문에 의해 배수구측 배출로가 폐쇄되어, 저층수배출로를 통한 저층수의 이송이 차단된다.
저층수 배출로 개방
제1,2수문에 의해 저층수 배출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가 수축작동되면, 제1수문은 수밀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링크축이 연결된 상단부가 하향회동되어 도복작동되고, 제2수문은 제1수문과 연결된 링크축을 중심으로 제1수문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제2수문은 이동롤러를 중심으로 링크축이 연결된 일측부가 하향회동되고, 이동롤러는 배수구측 배출로의 타측내면에 구름접촉되면서 승하강되므로, 제2수문은 배수구측 배출로의 타측내면에서 연장되어지도록 하향 기립작동된다.
이와 같이, 제1수문의 도복작동, 제2수문의 하향 기립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유입구측 배출로와 배수구측 배출로가 개방되어, 저층수 배출로를 통한 저층수의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저층수 배출로 (11) : 유입구측 배출로
(11a) : 유입구 (12) : 배수구측 배출로
(12b) : 배수구측 배출로 일측내면 (12c) : 배수구측 배출로 타측내면
(13) : 구동실 (13a) : 바닥면
(13b) : 제1바닥면 (13c) : 제2바닥면
(14) : 유입배출로 (15) : 이송배출로
(15a): 이송배출로 내면 (16) : 배출관
(20) : 여과부 (30) : 양방향 수문부
(40) : 제1수문 (40a) : 일측면
(41) : 상단부 (42) : 하단부
(43) : 수밀부 (44) : 제1수밀패드
(50) : 제2수문 (51) : 일측부
(52) : 타측부 (53) : 이동롤러
(54) : 제2수밀패드 (60) : 구동부
(70) : 링크축 (80) : 완충수밀패드
(100) : 저층수 배출장치 (200) : 기초콘크리트
(210) : 기초콘크리트 표면 (300) : 가동보

Claims (8)

  1. 가동보(300)를 중심으로 하천의 상류측(A)에 유입구측 배출로(11)가 연결되고, 하천의 하류측에 배수구측 배출로(12)가 연결되도록 가동보(300)가 설치된 기초콘크리트(200)에 구비된 저층수 배출로(10);
    하천의 상류측(A)에 구비된 저층수 배출로(10)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저층수 배출로(10)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여과부(20);
    저층수 배수로(10)내에 설치되어 유입구측 배출로(11)와 배수구측 배출로(12)를 동시에 개폐시키는 양방향 수문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양방향 수문부(30)는, 기초콘크리트(200)에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측 배출로(11)를 개폐시키는 제1수문(40)과, 제1수문의 상단부(41)와 링크축(70)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고 배수구측 배출의 내면에 타측이 구름접촉되며 이동되어 배수구측 배출로(12)를 개폐시키는 제2수문(50)과, 링크축(70)에 연결설치되어 제1수문(40)과 제2수문(50)을 동시 구동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저층수 배출로(10)는, 하천의 상류측(A)과 유입구(11a)가 연결되는 유입구측 배출로(11)와, 하천의 하류측(B)에 배수구(12a)가 연결되는 배수구측 배출로(12)와, 유입구측 배출로(11)와 배수구측 배출로(12) 사이에 형성되어 양방향 수문부(30)가 설치되는 구동실(13)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구측 배출로(11)는, 유입구(11a)에서 하류측 방향(B)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유입배출로(14)와, 유입배출로(14)와 연통되어 저층수를 배수구측 배출로(12)로 이송시키는 이송배출로(15)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측 배출로(12)는, 배수구(12a)에서 상류측(A)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유입구측 배출로의 이송배출로(11c)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배수구측 배출로(12)는 기초콘크리트 표면(210)에서 1m 이하의 깊이(D)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양방향 수문부(30)에 의해 저층수 배출로(10)가 폐쇄될 시, 배수구측 배출로(12)로 유입된 이물질에 대한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4. 청구항 2 에 있어서;
    구동실(13)은 바닥면(13a)이 제1수문(4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바닥면(13b)과, 제1바닥면(13b)과 단차를 구비하며 형성되고 구동부(60)가 연결설치되는 제2바닥면(13c)을 구비한 이중단차면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바닥면(13b)은 도복작동된 제1수문의 타측면(40b)이 접촉지지되어, 제1수문(40)의 위치를 지지하는 스토퍼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에 있어서;
    구동실(13)에는 하천수 또는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16)이 더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1수문(40)은 테두리를 따라 제1수밀패드(44)가 더 설치되고, 제2수문(50)은 테두리를 따라 제2수밀패드(54)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2수문(50)은 타측부(52)에 배출구측 배수로에 구름접촉되는 이동롤러(5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양방향 수문부(30)는 제1수문의 상단부(41)와 제2수문의 일측부(51)에 연결되어지도록 완충수밀패드(80)가 더 설치되되,
    상기 완충수밀패드(80)는, 제1수문의 일측면(40a)에 일측이 고정되고, 제2수문의 상부면(50a)에 타측이 고정되어, 링크축(70)을 중심으로 하는 제1,2수문(40,50)의 회동시, 신축 또는 수축되어 제1,2수문(40,50)의 링크축 연결부위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KR1020200079438A 2020-06-29 2020-06-29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KR102176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438A KR102176605B1 (ko) 2020-06-29 2020-06-29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438A KR102176605B1 (ko) 2020-06-29 2020-06-29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605B1 true KR102176605B1 (ko) 2020-11-09

Family

ID=7342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438A KR102176605B1 (ko) 2020-06-29 2020-06-29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6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11B1 (ko) 2020-12-22 2021-05-17 주식회사 신정기공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장치
CN115233625A (zh) * 2022-08-02 2022-10-25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竖向山坡快速排水型急流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723B1 (ko) 2010-02-12 2010-09-0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무언체 전도 수문
KR101405096B1 (ko)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101405099B1 (ko)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20170081378A (ko) 2016-01-04 2017-07-12 신지호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723B1 (ko) 2010-02-12 2010-09-0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무언체 전도 수문
KR101405096B1 (ko)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101405099B1 (ko)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20170081378A (ko) 2016-01-04 2017-07-12 신지호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11B1 (ko) 2020-12-22 2021-05-17 주식회사 신정기공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장치
CN115233625A (zh) * 2022-08-02 2022-10-25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竖向山坡快速排水型急流槽
CN115233625B (zh) * 2022-08-02 2023-11-21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竖向山坡快速排水型急流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605B1 (ko)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US6467998B1 (en) Self-regulating weirs and fishways
KR101557744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CN105756179A (zh) 一种污水流量可控及拦渣防倒灌截流井
CN102089483A (zh) 用于从管道分流流动的液体的方法和装置
KR101591340B1 (ko) 복합여재를 이용한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고속처리장치
KR101405096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102153821B1 (ko) 웨어식 우수토실장치
KR102073933B1 (ko)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JP3976605B2 (ja) 合流式下水道における流量制御方法
JP3427324B2 (ja) チェーンゲート装置
JP3979868B2 (ja) 合流式下水道の特殊人孔の構造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JP2008308894A (ja) トリプル湖ダム構造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KR20120005217A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20190038517A (ko) 친환경 관로형 생태보
KR20200038773A (ko) 천변저류시설 및 배수펌프장 가동을 위한 교육용 장치
KR100295971B1 (ko) 하수시설(역사이펀)의 퇴적물 방지장치
KR20010109058A (ko) 전면부 개폐식 자동수문의 구성방법
KR20040108445A (ko) 부력식 가동보
KR102458656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전도식 수문
KR102474115B1 (ko)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재난방재시설용 펌프일체형 수문
KR101184967B1 (ko) 이물질 제거 장치
KR20090057783A (ko) 보조수문을 구비한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