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933B1 -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933B1
KR102073933B1 KR1020190025924A KR20190025924A KR102073933B1 KR 102073933 B1 KR102073933 B1 KR 102073933B1 KR 1020190025924 A KR1020190025924 A KR 1020190025924A KR 20190025924 A KR20190025924 A KR 20190025924A KR 102073933 B1 KR102073933 B1 KR 10207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pening
tube member
pipe channe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주식회사 이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Priority to KR102019002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내부에 튜브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기립할 수 있는 스크린 보를 형성하여 평상 시 또는 강우 초기와 같이 고농도의 하수가 관로로 유입되는 경우 스크린 보의 기립을 통해 하천 등의 공공수역으로 고농도의 하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중기 이후 우수의 경우에도 스크린보를 통하여 하수를 유출시킴으로서 쓰레기 등을 포함한 협잡물 유출을 방지하고 바다 등 외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해수 등의 역류를 방지하며 많은 양의 우수가 관로로 유입되는 경우 스크린보를 전도시켜 통수단면적을 늘려 줌으로서 수리적 영향에 의한 침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압축 공기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는 튜브부재; 일단부가 관로의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며 일면이 상기 튜브부재에 접하면서 지지되어 튜브부재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기울기가 조정되는 제 1스크린; 상기 제 1스크린의 타면에 이격되게 결합되어 제 1스크린과의 사이에서 유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 2스크린; 및 상기 튜브부재의 수축 또는 팽창에 연동하여 상기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 간에 형성된 유입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Pipe channel control system using movable beam with screen}
본 발명은 관로 내부에 튜브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기립할 수 있는 스크린 보를 형성하여 평상 시 또는 강우 초기와 같이 고농도의 하수가 관로로 유입되는 경우 스크린 보의 기립을 통해 하천 등의 공공수역으로 고농도의 하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중기 이후 우수의 경우에도 스크린보를 통하여 하수를 유출시킴으로서 쓰레기 등을 포함한 협잡물 유출을 방지하고 바다 등 외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해수 등의 역류를 방지하며 많은 양의 우수가 관로로 유입되는 경우 스크린보를 전도시켜 통수단면적을 늘려 줌으로서 수리적 영향에 의한 침수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우기(雨期)와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건기(乾期)가 뚜렷이 구분되는 기후 조건이 있어 댐 건설만으로는 수자원 관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우기에 빗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건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댐을 대규모로 건설해야 하고, 그에 따라 댐 건설 비용의 과다한 상승과 수몰면적의 확대에 의한 환경 파괴의 문제점이 있는바, 빗물의 효율적인 저장과 활용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으로 국지성 폭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지역에서는 지표면을 통한 빗물의 침투가 어려운 아스팔트,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덮여 불투수층이 2012년 48.2% 까지 증가한 실정이다.
따라서 강우시 빗물의 대부분은 지표면 아래의 토양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우수관이나 하수관을 통하여 하천으로 또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에 폭우, 집중 호우로 인하여 배수시설을 통해 처리할 빗물의 양이 초과할 경우에는 빗물의 역류, 표면 침하 등은 물론 빗물이 일시에 하천으로 유입되면 하천의 범람 등과 같은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빗물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수시설을 확충하거나 하천을 개량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어 곤란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류관거 등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류하면서도 협잡물을 처리할 수 있고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4705호(2015.04.2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 내부에 튜브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기립할 수 있는 스크린보를 형성하여 평상 시 또는 강우 초기와 같이 일시적으로 많은량의 우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 관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하고 협잡물의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하천수 또는 해수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는 튜브부재; 일단부가 관로의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며 일면이 상기 튜브부재에 접하면서 지지되어 튜브부재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기울기가 조정되는 제 1스크린; 상기 제 1스크린의 타면에 이격되게 결합되어 제 1스크린과의 사이에서 유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 2스크린; 및 상기 튜브부재의 수축 또는 팽창에 연동하여 상기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 간에 형성된 유입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스크린은, 상기 튜브부재의 최대 팽창 시 상기 관로에서 기울기가 90°를 초과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튜브부재와 접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제 2스크린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 1개폐판 및 상기 제 2스크린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 간에 형성된 유입공간의 일측 개구부를 덮는 제 2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1개폐판은, 그 끝단을 따라 패킹부재가 장착된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 2개폐판은, 상기 제 1스크린을 향하는 끝단이 연장되면서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단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는 튜브를 이용하여 관로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기립할 수 있는 스크린보를 형성하여 평상 시 또는 강우 초기와 같이 일시적으로 많은량의 우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 관로를 통과하는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고농도의 초기우수와 다소 낮은 농도의 하수 중에 포함된 부유성 협잡물이 방류수역으로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크린보를 구성하는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 사이에 U자형 유체 흐름을 유도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고, 하천수 또는 해수 등의 역류 시 유입공간의 개구부에 대한 차단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차집량 증가에 의한 처리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상 시 관로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우 시 관로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우 초기시 관로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수 또는 해수 등 역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상 시 관로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칭함)는 튜브부재(100)와 제 1스크린(200)과 제 2스크린(300) 및 개폐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튜브부재(100)는 관로(10)에 바닥면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 또는 회수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형이 팽창 또는 수축하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튜브부재(100)는 압축 공기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함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스크린(200)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며, 관로(10)에 있어 차집유입관(20)의 후단에 위치하여 관로(10)로 유입되는 우수 등의 흐름이 제어되도록 한다.
튜브부재(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거나 압축공기가 회수되도록 하는 압축공기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축공기라인으로 압축공기를 공급 또는 회수하는 압축공기 펌프와, 튜브부재(100)의 압력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을 수신 및 분석하여 튜브부재(100)의 수축 또는 팽창 상태를 추정 및 모니터링하고, 외부의 입력신호 또는 관리자의 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스크린(200)은 판 형상으로 일단부가 관로(10)의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어 관로(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스크린(200)의 높이는 사전 조사로 파악되는 해당 관로(10)의 평상 시 내지 강우 시 유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스크린(200)은 일면이 상기 튜브부재(100)에 접하여 직립 상태가 지지되며, 상기 튜브부재(100)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로(10)는 그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와 사용 용도에 따라 그 단면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스크린(200)의 형상은 관로(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 1스크린(200)은 관로(10)의 바닥면에 직접 힌지 결합될 수도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로(10)가 원형 단면을 가질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0)의 하부 골 영역을 밀폐하기 위한 마감블럭(210)을 구비하고, 상기 마감블럭(2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스크린(200)은 상기 튜브부재(100)의 팽창 또는 수축 작동에 연동하여 기울기가 조정되는 바, 튜브부재(100)의 최대 팽창 시 상기 관로(10)에서 기울기가 90°를 초과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튜브부재(100)와 접하도록 하여 제 1스크린(200)이 뒤집어 지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스크린(200)은 튜브부재(100)의 최대 팽창 시 기울기의 각도가 45° 내지 80°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튜브부재(100)에 지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 2스크린(300)은 제 1스크린(200)의 타면에 이격되게 결합되어 제 1스크린(200)과의 사이에서 유입공간(310)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 2스크린(300)의 형상 역시 제 1스크린(200)과 마찬가지로 관로(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지지대(400)를 통해 제 1스크린(200)과 연결 및 고정되어 제 1스크린(200)과의 일정한 유입공간(310)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 2스크린(300)은 제 1스크린(200)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수단(500)은 상기 튜브부재(100)의 수축 또는 팽창에 연동하여 상기 제 1스크린(200)과 제 2스크린(300) 간에 형성된 유입공간(3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개폐수단(500)은 상기 제 2스크린(300)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 1개폐판(510) 및 상기 제 2스크린(300)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1스크린(200)과 제 2스크린(300) 간에 형성된 유입공간(310)의 일측 개구부를 덮는 제 2개폐판(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는, 튜브부재(100)의 수축 또는 팽창 작동을 통해 제 1스크린(200) 및 제 2스크린(300)의 기울기와 그 직립 상태를 조정하여 관로(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튜브부재(100)는 압축공기의 공급에 의해 점차 팽창됨으로써 이에 지지되는 제 1스크린(200)은 물론 제 2스크린(300)과 유입공간(310)의 기울기가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제 1스크린(200) 등의 경사도는 관로(10) 내에서 유체 이동을 저지하는 차벽으로 작용하게 되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수위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100)의 최대 팽창시에는 제 2스크린(200)에 일단과 타단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제 1개폐판(510)과 제 2개폐판(520)이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 제 1개폐판(510)은 제 1스크린(200)과 이격되어 유입공간(310)의 타측 개구부를 개방시키게 되고, 제 2개폐판(520)은 유입공간(310)의 일측 개구부를 덮도록 하여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수위에 도달하지 못하면 유체 이동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우 시 관로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하수는 관로(10) 내에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면서 하천 등의 방류수역으로 유출되는데, 이 경우 튜브부재(100)에 공급된 압축공기를 회수하여 튜브부재(100)가 수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 등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다.
즉 튜브부재(100)의 수축을 통해 제 1스크린(200) 및 제 2스크린(300)이 관로(10)의 바닥면을 향하여 완전히 접혀지도록 회전함으로써 하수 등의 흐름에 장애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 1개폐판(510)은 제 2스크린(300)과 연동하여 제 1스크린(200)에 밀착되도록 회전하게 되는 바, 제 1개폐판(510)의 끝단을 따라 패킹부재(511)가 장착되어 제 1스크린(200) 및 제 2스크린(300)이 완전히 접어진 상태에서는 유입공간(310)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서는 협잡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우 초기시 관로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천수 또는 해수 등 역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스크린(200) 등의 경사도를 조정함으로써 관로(10) 내에서 유체 이동을 저지하는 차벽으로 작용하게 되며,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수위를 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강우 초기에는 일시에 많은량의 우수 등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벽의 경사도를 최대로 크게 조정하여 관로(10)를 통과하는 우수 등의 유량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스크린(200) 등의 경사도를 최대로 조정하여 차벽을 형성함으로써 관로(10)로 유입되는 하수 등이 차벽에 의해 일정 시간 저류되도록 하면서 제 1스크린(200)과 제 2스크린(300)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간(310)으로 저류중인 하수 등을 통과시키도록 하면서, 부유성 협잡물은 상기 제 2스크린(300)에 걸리게 되어 협잡물 등의 고형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개폐수단(500)에 있어 제 1개폐판(510)은 자중에 의해 제 1스크린(200)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입공간(310)의 타측 개구부를 개방하여 저류중인 하수 중 일부 하수가 유입공간(3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저류중인 하수 등의 수위가 제 1스크린(200)의 차벽 높이보다 커지게 되는 경우 유입공간(310)으로 유입된 하수 등의 수압에 의해 제 2개폐판(520)는 개방되고, 유입공간(310)을 통과하여 하천 등을 포함한 공공수역으로 방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장치는 강우 초기시와 같이 일시적으로 많은량의 하수 등이 유입되는 경우 관로(10) 내를 이동하는 하수 등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오염도가 높은 하수의 공공수역에의 유입을 방지하며 더 나아가 오염도가 다소 낮은 하수도 부유성 협잡물의 유출을 방지하며, 하천 등 외수위가 높은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역류 발생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장치는, 방류수역 등으로부터 하천수나 해수 등이 역류하게 되는 경우에도 제 1스크린(200) 등은 차벽으로 작용하여 우수나 해수 등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0) 내에서 역류하는 하천수나 해수 등은 제 2스크린(300)의 직립에 의한 차벽보다 높은 수위가 아니라면, 제 1스크린(200)을 덮도록 구성된 제 2개폐판(520)이 유입공간(310)의 일측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하천수나 해수 등이 1스크린(200)의 차벽을 월류하거나 유입공간(310)으로 유입되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 2개폐판(520)은 상기 제 1스크린(200)을 향하는 끝단이 연장되면서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단(521)이 구비되어 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역류에 의한 개방 작동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장치는 튜브부재(100)를 이용하여 제 1스크린(200) 등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평상 시 내지 강우 초기 시 우수 등의 유량을 제어하여 고농도의 초기 우수가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스크린(200) 이상의 하수가 유입되는 경우 제 2스크린(300)에 의해 부유성 협잡물의 유출을 방지하여 공공수역의 수질 개선에 도움을 주며, 특히 제 1스크린(200)과 제 2스크린(300) 사이의 유입공간(310)을 밀폐하면서 하천수 또는 해수 등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저농도 하수의 과차집으로 인한 차집관거 및 하수처리장의 유량부하와 하수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관로 20 : 차집유입관
100 : 튜브부재 200 : 제 1스크린
300 : 제 2스크린 400 : 지지대
500 : 개폐수단 510 : 제 1개폐판
511 : 패킹부재 520 : 제 2개폐판
521 : 절곡단 600 : 제어부

Claims (5)

  1. 압축 공기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는 튜브부재;
    일단부가 관로의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며 일면이 상기 튜브부재에 접하면서 지지되어 튜브부재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기울기가 조정되는 제 1스크린;
    상기 제 1스크린의 타면에 이격되게 결합되어 제 1스크린과의 사이에서 유입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 2스크린; 및
    상기 튜브부재의 수축 또는 팽창에 연동하여 상기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 간에 형성된 유입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스크린은 튜브부재의 최대 팽창 시 상기 관로에서 기울기가 45° 내지 85°범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 2스크린은 제 1스크린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제 1스크린과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제 2스크린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 1개폐판 및 상기 제 2스크린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 간에 형성된 유입공간의 일측 개구부를 덮는 제 2개폐판을 포함하여, 평상시 튜브부재의 최대로 팽창하여 제 2스크린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제 1개폐판과 제 2개폐판이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 1개폐판은 제 1스크린과 이격되어 유입공간의 타측 개구부를 개방시키고, 제 2개폐판은 유입공간의 일측 개구부를 덮도록 하여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수위에 도달하지 못하면 유체 이동을 차단하며서 역류를 방지하고,
    강우 시의 경우, 튜브부재에 공급된 압축공기를 회수하여 튜브부재가 수축되어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이 관로의 바닥면을 향하여 완전히 접혀지도록 회전함으로써 제 1개폐판이 제 1스크린에 밀착되면서 유입공간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하여 하수의 흐름에 장애요소를 최소화하고,
    강우 초기시의 경우, 제 1스크린의 경사도가 최대로 조정하여 차벽을 형성함으로써 관로로 유입되는 하수가 차벽에 의해 일정 시간 저류되도록 하면서, 제 1스크린과 제 2스크린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간으로 저류중인 하수를 통과시키도록 하면서 부유성 협잡물은 상기 제 2스크린에 걸리게 되어 협잡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저류중인 하수의 수위가 제 1스크린의 차벽 높이보다 커지게 되는 경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하수의 수압에 의해 제 2개폐판은 개방되고, 유입공간을 통과하여 하천을 포함한 공공수역으로 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개폐판은,
    그 끝단을 따라 패킹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개폐판은,
    상기 제 1스크린을 향하는 끝단이 연장되면서 하향으로 절곡된 절곡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KR1020190025924A 2019-03-06 2019-03-06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KR10207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24A KR102073933B1 (ko) 2019-03-06 2019-03-06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24A KR102073933B1 (ko) 2019-03-06 2019-03-06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933B1 true KR102073933B1 (ko) 2020-02-05

Family

ID=6951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924A KR102073933B1 (ko) 2019-03-06 2019-03-06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9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139A (zh) * 2021-07-23 2021-09-17 黄山拓达科技有限公司 一种大排口真空污水截留器
CN114789136A (zh) * 2022-05-13 2022-07-26 湖南淼泉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hpv的海藻多糖胶囊成分筛选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59B1 (ko) * 2007-08-03 2008-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100902260B1 (ko) * 2008-11-07 2009-06-11 김은희 수문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수질을 개선하는 집수조를 구비하는 전도식수문
KR100961152B1 (ko) * 2009-11-23 2010-06-08 덕산건설 주식회사 악취방지 빗물받이
KR20150044705A (ko) 2013-10-17 2015-04-27 서울특별시 물 유출 지연 장치
KR101947316B1 (ko) * 2018-05-28 2019-02-13 이한욱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359B1 (ko) * 2007-08-03 2008-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100902260B1 (ko) * 2008-11-07 2009-06-11 김은희 수문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수질을 개선하는 집수조를 구비하는 전도식수문
KR100961152B1 (ko) * 2009-11-23 2010-06-08 덕산건설 주식회사 악취방지 빗물받이
KR20150044705A (ko) 2013-10-17 2015-04-27 서울특별시 물 유출 지연 장치
KR101947316B1 (ko) * 2018-05-28 2019-02-13 이한욱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139A (zh) * 2021-07-23 2021-09-17 黄山拓达科技有限公司 一种大排口真空污水截留器
CN114789136A (zh) * 2022-05-13 2022-07-26 湖南淼泉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hpv的海藻多糖胶囊成分筛选设备
CN114789136B (zh) * 2022-05-13 2024-02-06 湖南淼泉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hpv的海藻多糖胶囊成分筛选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1114B1 (en) Storm drain system and method
JPH06510097A (ja) 堰止め能力を有する屋根および平面から降水或いは雨水を遅延して排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408162B2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KR102073933B1 (ko)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GB23570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mwater retention and release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WO2020044355A1 (en) Integration of multipurpose box tunnels with empty lakes and mini dam for effective flood control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JP2000319857A (ja) 防潮装置
KR101418040B1 (ko) 가변형 빗물 저장 탱크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WO200407032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id flow control
KR100898839B1 (ko)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JP2021098944A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CN105064274A (zh) 蓄排一体化箱式驳岸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200466978Y1 (ko) 굴착공을 이용한 우수 저장 장치
EP3976895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JP2017179824A (ja) トイレシステム
KR20000006808A (ko) 자동수문
KR200218253Y1 (ko) 우수토실 개폐장치
JP7283353B2 (ja)
KR102344238B1 (ko) 비점오염배수관을 우수관으로 전용할 수 있는 일체형 배수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