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359B1 -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 Google Patents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359B1
KR100799359B1 KR1020070078218A KR20070078218A KR100799359B1 KR 100799359 B1 KR100799359 B1 KR 100799359B1 KR 1020070078218 A KR1020070078218 A KR 1020070078218A KR 20070078218 A KR20070078218 A KR 20070078218A KR 100799359 B1 KR100799359 B1 KR 100799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water
rubber tube
bottom water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7007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저층수를 공압식 가동보로부터 먼 곳에 방출하여 공압식 가동보의 저부에 퇴적사가 쌓이지 않도록 하며, 시각적인 거부감을 없애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는, 내부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기립하는 고무튜브(120)와, 상기 고무튜브의 기립시 함께 기립하며 통공(131)이 형성된 방출유도판(130)과, 상기 방출유도판에 형성되어 상류측 저층수의 방출을유도하는 저층수 방출관(140)을 포함하며, 상기 저층수 방출관은, 하단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방출유도판의 통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방출유도판의 상류측면에 형성되는 제1방출부(141), 상기 방출유도판의 하류측면에서 하단부가 상기 방출유도판의 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방출구가 형성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방출부를 통해 물오름된 저층수가 하류로 방출되도록 하는 제2방출부(142), 상기 제2방출부의 상기 방출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방출부를 따라 흐르는 저층수가 상기 방출구의 직하방으로부터 먼 곳으로 방출 안내하는 방출유도부(143)로 이루어진다.
공압식 가동보, 저층수, 방출, 밸브

Description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PMEUMATIC TYPE MOVABLE WEIR}
본 발명은 홍수시 재해를 막고 가뭄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압식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수의 바닥측에 잠긴 저층수를 방출하여 담수의 오염을 방지하며, 저층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공압식 가동보의 저부에 쌓이지 않도록 한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저수지 또는 농업/공업용 취수보, 소수력 발전용 상단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둑으로서, 절첩식 및 유체 팽창식 등의 많은 고무댐들 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는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 물 등의 유체의 공급 조절로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울타리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은 그 고무튜브의 팽창 및 이완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고무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 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그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관 설비 및 송풍기, 수위조절을 위한 플로트 밸브,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갖는 것들로서, 특히 기립과 도복을 위한 종래의 기복식(起伏式) 고무댐의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립과 도복을 위한 고무댐이 하상 콘크리트 상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댐(10)의 기립과 도복을 위해 댐 경사부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24)의 바닥에 매설되는 공기관(12)은 제방의 조작실 내에 설치되는 송풍기,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체크밸브, 모터밸브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전자밸브, 수동밸브(도면에 미 도시) 등이 구비된 공기공급장치(16)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24)에 하천 폭방향을 따라 매설되어 있는 공기관(12)에는 공기 입, 배출구(13)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하상 콘크리트(24)의 바닥 면에 설치되는 고무댐(10)의 고무튜브(11) 내로 연통되어 있다.
고무튜브(11)와 공기 입, 배출구(13)의 결합에 있어서는 고무튜브(11)를 사이에 두고 공기 입, 배출구(13)에 두 개의 고무판 브라킷트(14)(15)를 각각 억지끼운 후 고무튜브(11)에 접착제로 접착시켜 줌으로써, 그 고무튜브(11)와 공기 입, 배출구(13)가 결합이 이루어져 고무튜브(11)내의 공기의 기밀이 유지된다.
고무댐(10)의 고무튜브(11)는 탄성고무로 제조되고 내부에 보강용 나이론 코드를 넣어서 충분한 인장을 갖도록 일반적인 고무판체로 제작되어 진다.
이와 같이 고무튜브(11)가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23)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계획수위로 물을 저장하고자 할 경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공급장치(16)를 이용, 공기관(12) 및 이에 연통되어진 공기 입, 배출구(13)를 통해서 고무튜브(11) 내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가상선과 같이 도복되어 있던 고무튜브(11)가 실선과 같이 계획수위 만큼 기립되어 저수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고무튜브(11)가 계획수위 만큼 기립되었을 경우 공기공급장치(16)의 압력계가 공기압을 체크하여 송풍기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공기 공급은 중단된다.
그리고, 담수된 물을 배출하고자 할 경우, 공기공급장치(16)의 전자밸브를 열어줌으로써, 고무댐(10) 내의 공기가 공기관(12)의 공기입, 배출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것에 의해 고무댐(10)이 완전하게 도복되어짐으로써, 담수된 물이 하류쪽으로 방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무댐(10)은 고무튜브(11)를 이용, 보(Weir)를 설치함으로써, 홍수위에서는 도복되어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와 수평을 이루어 통수(通水) 단면적에 지장을 주지 않으나, 수위조절에 한계가 있어 하천의 담수기능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는데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고무튜브(11)가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산간지역 등에서의 낙석 또는 강한 수압에 의해 하상으로 구르는 날카로운 유석 또는 유목 등의 유화물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고무튜브(11)가 찢어지거나 구멍이나 제방용 둑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고무튜브 및 고강도의 콘크리트 패널을 이 용, 보를 형성한 다음 이를 공압으로 하여, 고무튜브를 기복 또는 도복시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눕히고 일으켜 세움으로써 하천의 수위가 용이하게 조절되고, 또한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따른 고무튜브의 소손을 콘크리트 패널이 미리 차단시켜 보호해 주는 공압식 가동보가 많이 안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공압식 가동보로 예컨대 실용신안등록 제316356호로 제안된 공압식 가동보의 물흐름 유도장치가 있다.
상기한 종래 공압식 가동보의 물흐름 유도장치는, 도 3에서처럼, 에어백(20)과 함께 기립하는 패널(30) 상에 형성된 하층수 방출관(40)에 의해 하층수를 방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에어백(20)에 대한 패널(30)의 지지상태에 의해 하층수 방출관(40)에서 방출되는 하층수가 에어백(20)을 향해 직하방으로 낙하하여 에어백 저부에서 와류가 발생됨에 따라 에어백(20)의 저부에 퇴적사(S)가 퇴적된다. 따라서, 에어백(20)이 도복하더라도 퇴적사(S)에 의해 에어백(20)이 바닥부에서 돌출되기 때문에 하층수와 퇴적사의 일부가 상류에 잔류하게 되므로 여전히 하천수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패널(30)의 길이를 길게 한다면 하층수를 상기 에어백(20)으로부터 먼 곳으로 방출할 수 있지만, 패널(30)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면 에어백(20)이 기립된 상태에서 패널(30)의 높이가 에어백(20)에 대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불안정함과 아울러 미관이 좋지 않다.
그리고, 하층수 방출관(40)이 패널(30)의 상류측 면에 전체적으로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평평한 판상의 패널(30) 상에 돌출된 하층수 방출관(40)이 보이게 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류에 담수된 저층수를 효과적으로 방출함과 아울러, 저층수 방출관의 길이를 무리하게 길게 하지 않더라도 저층수가 고무튜브의 저부에서 와류에 의한 퇴적사의 퇴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층수 방출관에 의한 시각적인 거부감을 없애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는, 하단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방출유도판의 통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방출유도판의 상류측면에 형성되는 제1방출부, 상기 방출유도판의 하류측면에서 하단부가 상기 방출유도판의 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방출구가 형성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방출부를 통해 물오름된 저층수가 하류로 방출되도록 하는 제2방출부, 상기 제2방출부의 상기 방출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방출부를 따라 흐르는 저층수가 상기 방출구의 직하방으로부터 먼 곳으로 방출 안내하는 방출유도부로 이루어진 저층수 방출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에 의하면, 저층수 방출관의 방출구측에 형성된 방출유도부에 의해 저층수가 고무튜브의 직하방으로부터 먼 곳으로 방출되어 고무튜브의 저부에서 와류가 발생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고무와류에 의한 퇴적사가 퇴적되지 않으므로 고무튜브가 퇴적사에 의한 간섭없이 기초부의 바닥에 밀착됨으로써 고무튜브의 완전 도복시 저층수와 퇴적사를 깨끗하게 방출할 수 있으므로 하천수의 수질 오염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저층수 방출관의 일부분이 패널의 상류측에 바닥부에서부터 형성되어 평상시 담수에 잠겨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시각적인 거부감을 없앨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100)는, 크게 하천의 폭방향으로 구축되는 기초부(110)와, 기초부(110) 상에 하천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고무튜브(120)와, 고무튜브(120) 내부에 공기를 공 급하거나 빼내 고무튜브(120)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공기공급수단(미도시)과, 고무튜브(120) 상류측의 저층수를 방출하기 위한 저층수 방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초부(110), 고무튜브(120) 및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규성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저층수 방출수단은, 고무튜브(120)의 상류측에 결합되며 고무튜브(120)와 함께 기복하여 하천수를 담수 및 저층수의 방출을 유도하는 방출유도판(130) 및 방출유도판(130)에 상기 하천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고무튜브(120)가 기립된 상태에서 저층수가 방출되도록 안내하는 저층수 방출관(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출유도판(130)은 평평한 판상으로서 고무튜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고무튜브(120)의 단부에 연결된다. 방출유도판(130)은 고무튜브(120)의 일측(판재의 양측이 접합된 경우 접합부)에 고정되어 고무튜브(120)가 팽창되면 고무튜브(120)의 지지를 받아 고무튜브(120)에 고정된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세워지게 된다. 방출유도판(130)의 상측 단부(고무튜브(120)의 팽창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곳에 통공(131)이 형성된다. 이 통공(131)은 저층수 방출관(140)과 연통하여 저층수의 방출을 안내하는 구멍이다.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통공(131)은 제1방출부(141)와 제2방출부(142)의 경계로서, 제1방출부(141)가 담수에 잠겨 보이지 않도록 통 공(131)은 방출유도판(130)을 3등분 하였을 때 하측에서부터 2/3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저층수 방출관(140)은 제1방출부(141), 제2방출부(142) 및 방출유도부(143)로 이루어진다.
도 4와 도 5a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방출부(141)는 하단부에 유입구(141a)가 형성되며 상단부가 방출유도판(130)의 통공(131)에 연통되도록 방출유도판(130)의 상류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도 4와 도 5b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2방출부(142)는 방출유도판(130)의 하류측면에서 하단부가 방출유도판(130)의 통공(13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단부에 방출구(142b)가 형성되도록 방출유도판(130)의 하류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1방출부(141)를 통해 물오름된 저층수가 하류로 방출되도록 한다.
제1방출부(141)와 제2방출부(142)는 각각 방출유도판(130)을 향해 개방되도록 철판이 절곡된 구조로서 방출유도판(130)에 각각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제1,2방출부(141,142)는 방출유도판(130)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저층수의 흐름에 대해 설명할 때 제2방출부(142)가 제1방출부(141)보다 전방에 위치하므로 저층수의 방향이 꺽인 후 물오름되는 구조이며, 이처럼, 저층수가 제1방출부(141)에서 제2방출부(142)로 방향 전환할 때 그 흐름이 원활하도록 제1,2방출부(141,142)의 이어지는 부분에는 각각 선회부(141a,142a)가 형성된다.
방출유도부(143)는 제2방출부(142)의 방출구(142b) 저부에 형성되어 제2방출 부(142)를 따라 흐르는 저층수가 방출구(142b)의 직하방으로부터 먼 곳으로 방출되도록 안내한다.
고무튜브(120)가 팽창되면 방출유도판(130)이 경사지게 세워지고, 방출유도부(143)는 기초부(110)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기 때문에 제2방출부(142)에서 돌출되며, 이에 따라 고무튜브(120)가 수축되어 기초부(110) 위에 도복할 때 방출유도부(143)의 균열 및 파손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a와 도 6b과 같이 방출유도부(143)는 힌지(144)를 통해 제2방출부(1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방출유도판(130)이 도복하면 방출유도부(143)가 펼쳐져 제2방출부(142)에서 돌출되지 않으며, 반대로 방출유도판(130)이 기립하면 방출유도부(143)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원거리 방출을 유도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방출유도부(143)가 일정 각도 이상은 회전하지 않도록 제2방출부(142)에는 스토퍼(145)가 형성된다.
방출유도부(143)는 저층수의 유속을 가속하고 원거리 방출을 위하여 표면이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층수 방출관(140)은 고무튜브(120)가 팽창되어 상류에 하천수가 저장되는 중에만 저층수를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유입구(141b)에는 밸브(150)가 적용된다.
밸브(150)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바람직하게 제1방출부(141)가 기립된 상태에서 상측에 힌지 결합되며, 제1방출부(141)의 기립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제1방출부(141) 내부를 개방하고 제1방출부(141)의 도복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제1방출부(141) 내부를 폐쇄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1과 152는 각각 밸브(150)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이며, 160은 방출유도판(130)의 하류측에 배치되면서 상하 양단부가 각각 방출유도판(130)과 기초부(110)에 설치되어 방출유도판(130)의 뒤집힘을 방지하는 지지대이다. 지지대(160)는 유연성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하천수를 저장할 경우 공기공급수단을 통해 고무튜브(12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면 고무튜브(120)가 서서히 팽창되면서 기립하며, 고무튜브(120)의 기립에 의해 방출유도판(130)이 경사지게 세워진다. 고무튜브(120)와 방출유도판(130)의 기립은 기존 공압식 가동보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방출유도판(130)이 세워짐에 따라 밸브(150)가 회전하여 저층수 방출관(140)의 유입구(141b)를 서서히 개방하게 된다. 고무튜브(120)가 완전 팽창되면 밸브(150)가 제1스토퍼(151)에 접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고무튜브(120)와 방출유도판(130)이 원하는 높이로 팽창 및 세워지면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여 수위를 조절한다.
방출유도판(130)이 고무튜브(120)의 팽창에 의해 하천을 막고 있고, 또한 밸브(150)가 유입구(141b)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류로부터 지속적으로 흘러 내려오는 유입수량에 의해 담수량이 점점 증가하여 위험수위, 즉 방출유도판(130)의 상부에 형성된 방출구(142b)의 위까지 도달하게 되면, 그 담수된 저층의 물이 수압에 의해 저층수 방출관(140)의 유입구(141b)를 통해 물오름하여 하류로 방출된다. 저층수의 방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저층수는 제1방출부(141)를 따라 물오름한 후 선회부(141a,142a)를 통해 하류측으로 선회한 후 제2방출부(142)를 통해 2차 물오름한다. 제2방출부(142)를 따라 흐르는 저층수는 방출유도부(143)를 따라 다시 기초부(110)와 평행하게 선회하여 방출되며, 이때, 방출유도부(143)가 기초부(110)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기 때문에 제2방출부(142)를 따라 경사지게 물오름된 저층수는 방출유도부(143)에 의해 직진의 방향성을 부여받기 때문에 직하방으로 방출되지 않고 곡선을 그리면서 방출된다. 즉, 방출유도판(130)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더라도 저층수를 고무튜브(120)로부터 먼 곳으로 방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하천에 담수된 물을 방류하고자 할 경우 고무튜브(120) 내의 공기를 배출하면 고무튜브(120)가 서서히 도복되고, 고무튜브(120)의 도복에 의해 방출유도판(130)이 경사지면서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놓여진다. 이와 같은 작동시 밸브(150)는 자중에 의해 전술한 것과 반대로 회전하여 유입구(141b)를 막게 된다.
방출유도판(130)이 지면에 대해 수평 상태가 되면 상류의 담수된 물이 방출유도판(130)들을 거쳐 하류로 방류되며, 이때 방류되는 물과 함께 토사, 자갈 등과 같은 침전물이 함께 방출된다.
한편, 방출유도부(143)가 힌지(144)에 의한 회동식인 경우 방출유도판(130)이 기립할 때 방출유도부(143)는 자중에 의해 회전(도 6a 기준 시계방향)하면서 기초부(110)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어 방출을 도우며, 반대로 방출유도판(130)이 도복하면 방출유도부(143)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b와 같이 펼쳐진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고무댐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압식 가동보의 물흐름 유동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의 구성도.
도 5a와 도 5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에 적용된 제1,2방출부의 확대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에 적용된 방출유도부의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기초부, 120 : 공압식 가동보
130 : 방출유도판, 140 : 저층수 방출관
141,142 : 방출부, 143 : 방출유도부
150 : 밸브,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하천의 바닥에 상기 하천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기초부(110)와; 상기 기초부 상에 상기 하천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하여 기립 또는 도복하면서 상기 하천을 가로막아 담수하거나 방출시키는 고무튜브(120)와; 상기 고무튜브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시켜 상기 고무튜브의 팽창 또는 수축을 유도하는 공기공급수단과; 상기 고무튜브의 상류측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고무튜브와 함께 기립 또는 도복하여 상기 하천을 가로막아 담수하거나 방출을 유도하는 방출유도판(130)과; 하단의 유입구는 상기 하천 상류의 바닥측과 연통되며 상단의 방출구는 하류측과 연통하도록 상기 방출유도판에 형성되어 상류측 저층수의 방출을 유도하는 저층수 방출관(140)과; 상기 저층수 방출관의 하측 유입구(141b)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저층수 방출관의 기립과 도복에 의해 자유 회전하여 상기 저층수 방출관을 개폐하는 밸브(150)와; 상기 방출유도판의 하류측에 배치되면서 상하 양단부가 각각 상기 방출유도판과 기초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출유도판의 뒤집힘을 방지하는 지지대(160)로 이루어진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에 있어서,
    상기 저층수 방출관은,
    하단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단부가 상기 방출유도판의 상단부에서 일정 거리 하측으로 이격된 곳에 형성된 통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방출유도판의 상류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천의 저층수의 물오름을 안내하는 제1방출부(141),
    상기 방출유도판의 하류측면에서 하단부가 상기 방출유도판의 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방출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방출유도판의 하류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방출부를 통해 물오름된 저층수가 하류로 방출되도록 하는 제2방출부(142),
    상기 제2방출부의 상기 방출구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방출부를 따라 흐르는 저층수가 상기 방출구의 직하방으로부터 먼 곳으로 방출 안내하는 방출유도부(143)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출유도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2방출부의 하단부에 힌지(144)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방출부의 저부에는 상기 공압식 가동보가 기립할 때 상기 방출유도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145)가 형성되어 상기 방출유도부가 상기 공압식 가동보의 기복시 절첩되고,
    상기 제1방출부와 제2방출부는 각각 상기 방출유도판을 향해 개방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방출유도판에 결합되는 판재이면서 상기 방출유도판의 통공과 대응되는 단부에는 각각 선회부(141a,14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1020070078218A 2007-08-03 2007-08-03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10079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218A KR100799359B1 (ko) 2007-08-03 2007-08-03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218A KR100799359B1 (ko) 2007-08-03 2007-08-03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359B1 true KR100799359B1 (ko) 2008-01-30

Family

ID=3921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218A KR100799359B1 (ko) 2007-08-03 2007-08-03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35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040B1 (ko) 2017-03-29 2017-09-29 대한민국 수중 부양 로프
KR101858726B1 (ko) * 2018-03-12 2018-05-17 이한욱 가동보
KR20180066596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고정보용 하층수 방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80066595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하층수 방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930002B1 (ko) * 2017-09-29 2018-12-18 명보 주식회사 저류수 배출 성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2073933B1 (ko) * 2019-03-06 2020-02-05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KR20200145192A (ko) 2019-06-21 2020-12-30 정금재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KR102254124B1 (ko) 2020-12-03 2021-05-20 일성보산업(주) V-변형 방지와 저층수 토출식 고무보
KR102328241B1 (ko) 2021-07-20 2021-11-19 (주)엠닉스 전도식 가동보
KR20220051645A (ko)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KR102401121B1 (ko) * 2022-02-10 2022-05-23 (주)대도엔텍 저층수 배출 기능 및 에어백 손상 방지가 가능한 가동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58656B1 (ko) * 2022-07-27 2022-10-25 주식회사 우승산업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전도식 수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356Y1 (ko) 2003-03-06 2003-06-18 박관영 공압식 가동보의 물흐름 유도장치
KR100599557B1 (ko) 2004-10-15 2006-07-13 남 숙 허 유압식 전도게이트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356Y1 (ko) 2003-03-06 2003-06-18 박관영 공압식 가동보의 물흐름 유도장치
KR100599557B1 (ko) 2004-10-15 2006-07-13 남 숙 허 유압식 전도게이트 개폐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596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고정보용 하층수 방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80066595A (ko) 2016-12-09 2018-06-19 조용성 하층수 방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783040B1 (ko) 2017-03-29 2017-09-29 대한민국 수중 부양 로프
KR101930002B1 (ko) * 2017-09-29 2018-12-18 명보 주식회사 저류수 배출 성능이 향상된 수위 조절 장치
KR101858726B1 (ko) * 2018-03-12 2018-05-17 이한욱 가동보
KR102073933B1 (ko) * 2019-03-06 2020-02-05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KR20200145192A (ko) 2019-06-21 2020-12-30 정금재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KR20220051645A (ko)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KR102465035B1 (ko) * 2020-10-19 2022-11-10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KR102254124B1 (ko) 2020-12-03 2021-05-20 일성보산업(주) V-변형 방지와 저층수 토출식 고무보
KR102328241B1 (ko) 2021-07-20 2021-11-19 (주)엠닉스 전도식 가동보
KR102401121B1 (ko) * 2022-02-10 2022-05-23 (주)대도엔텍 저층수 배출 기능 및 에어백 손상 방지가 가능한 가동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58656B1 (ko) * 2022-07-27 2022-10-25 주식회사 우승산업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전도식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359B1 (ko)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CA2592359C (en) Adjustable weir for hydroelectric dam installations
US3173269A (en) Collapsible dam
US5460462A (en) Liquid and flood water barrier wall forming-apparatus
CN107780423A (zh) 可调式水围堰
KR100711052B1 (ko) 에어백을 구비하는 루버댐
KR100769693B1 (ko) 어도를 갖는 가동보
KR101900943B1 (ko) 저층수 배출이 용이한 가동보의 개량형 패널 구조
RU2441113C2 (ru) Под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ее сооружение на грунтонаполняемом флютбете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US3509724A (en) Gate valve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over a weir,dam wall or the like
KR100781134B1 (ko) 고무보
CN111962547B (zh) 一种气趸闸坝
KR200316356Y1 (ko) 공압식 가동보의 물흐름 유도장치
KR100865872B1 (ko) 여울형 가동보 장치
KR101158320B1 (ko) 접이식 가동보
KR100994552B1 (ko) 역전도방지용 공압식 가동보
KR102103488B1 (ko)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CN113622379A (zh) 一种水体支撑减摩擦的橡胶坝
KR200325071Y1 (ko) 수압식 고무댐
KR101064749B1 (ko) 부양식 분수대
KR200340987Y1 (ko) 어도가 형성되고 심층수 배출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KR20200001380U (ko) 다기능판을 구비하는 공압식 가동보 장치
JP2640493B2 (ja) 自動起伏堰
JPS627691Y2 (ko)
KR200333084Y1 (ko) 공압식 가동보의 스틸패널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