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071Y1 - 수압식 고무댐 - Google Patents

수압식 고무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071Y1
KR200325071Y1 KR20-2003-0016733U KR20030016733U KR200325071Y1 KR 200325071 Y1 KR200325071 Y1 KR 200325071Y1 KR 20030016733 U KR20030016733 U KR 20030016733U KR 200325071 Y1 KR200325071 Y1 KR 200325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eam body
rubber
rubber beam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이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to KR20-2003-0016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보에 대해 물을 보다 원활하게 급수 및 배출하여 일정한 폭을 갖는 그 고무보가 동일하게 기복 및 도복되도록 하는 수압식 고무댐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수압식 고무댐은 하상 콘크리트에 움푹하게 파여져 물을 집수·저장하는 집수정과, 일단부가 고무보 본체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급수배관과 배수배관으로 분로되어 고무보 본체 및 집수정에 대해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급배수배관과,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집수정의 물을 고무보 본체 내로 가압·공급하는 급수펌프와, 배수배관에 설치되어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와,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이 집수정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유로를 단속하는 역지변과, 배수배관에 설치되어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 및 차단하는 전동밸브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고무보 본체가 일정한 수압에 의해 균일하게 기립 및 도복되어짐으로써, 수위조절이 보다 용이하고, 또 고무보 본체의 유동과 진동이 물의 중량에 의해서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공압식 고무댐과 같은 조건에서 안전성이 보장되면서도 보다 많은 량의 물을 저장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압식 고무댐{Water Pressure Type Rubber Dam}
본 고안은 강이나 하천 등에 설치되어 목적하는 저수량에 따른 물의 급수와 배수로 고무보의 높이를 변화시켜 저수량을 확보하는 고무댐(Rubber Dam)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보에 대해 물을 보다 원활하게 급수 및 배출하여 일정한 폭을 갖는 고무보가 동일하게 기복 및 도복되도록 하고, 또 과도한 압력 투여로 인하여 발생되는 고무보의 파손 방지와 수위조절의 용이성 및 저장된 물의 파동에 따른 고무보의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수압식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저수지 또는 농업/공업용 , 상수도용 , 위락용 등의 및 등의 많은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산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대부분은 그 기복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콘크리트와 제방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발생하는 공기공급장치로서의 모터 및 송풍기와, 상기 발생된 공기를 내로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와,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를 갖는 것들로서, 특히 기복하기 위한 ()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107602호(명칭: 무인 작동장치)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107602호에 기재된 그와 같은 고무댐의무인 작동장치의 하나를 표시한 것으로서, 본체(10)의 (11)의 모터(60)로 구동되는 송풍기(61)를 연관 설치한 것에 있어서, (11)의 복수개의 배기관(42)을 형성하여 각 배기관에 수동전자밸브(40), (41), 모터밸브(43)를 각각 설치하고, 그 압력계(50)를 설치하여 각 도선을 전기적으로 (30)에 연결하고, 저수지의 일 측에는 초음파 수위감지기(20)를 설치하여, 송출된 수위감지 데이터에 의하여 (30)에서 송풍기(61)와 각 밸브(40)(43)를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인 작동장치는 스위치를 자동으로 하여 두었을 경우, 배기관(42)의 모든 밸브(40)(41)(43)를 닫고 모터(60)로 구동되는 송풍기(61)에 의하여 본체(10)에 공기를 주입하면 그 본체(10)가 기립되어 댐이 높게 된다.
이때의 공기압력은 압력계(50)에 의하여 파악되며 압력계의 데이터는 곧 본체(10)의 높이를 지시한다. 따라서 압력계의 지시에 의하여 (30)에서는 댐이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면 모터(6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초음파 수위감지기(20)에 의하여 댐의 수위가 감지되고, 그 감지된 데이터는 (30) 보내진다. (30)에서는 입력된 수위감지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및 기준 값과 대비하여 기준 이상으로 수위가 높게 되면 본체(10) 위로 물이 넘쳐흘러 댐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30)가 전자밸브(40)를 개방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 본체(10)에 충전된 공기입력이 (11) 및 개방된 전자밸브(40)를 통하여 배기관(42)으로 본체(10)의 높이가 낮아져 물이 다량 배수되어 위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위험 수위에서 정상 수위로 조절되었을 때 (30)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전자밸브(40)가 닫히게 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공기압력이 차단되어 그 본체(10)가 정상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또, 초음파 수위감지기(20)에서 기준 감지한 데이터를 (30)에 입력하면 기준 수위로 필요가 있으므로 모든 닫힌 상태에서 (30)가 모터(60)에 전원을 공급하여 송풍기(61)를 가동시킨다. 송풍기의 가동으로 (11) 통하여 공기를 본체(10)에 충전하면 공기압력의 증가에 따라 본체(10)가 높게되며, 이때 압력계(5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가지고 본체(10)의 높이를 감지하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할 경우, 모터(6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일시적으로 다량의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본체(10)에 충전된 공기를 신속하게 할 경우 모터 밸브(43)가 사용되며, 또 점검이나 비상시에는 수동밸브(41)가 사용된다.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무인 작동장치는 초음파 수위감지기, 제방의 , 송풍모터 및 전자밸브 등을 설치하여,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공기의 압력으로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저수량을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기의 주입과 배출로 본체를 기복 및 할 때 공기 압력이 본체의 전체에 대해 원활하게 유통되지 않고 한쪽으로 집중되어 주입 및 배출되는 것에 의해 본체가 균일하게 기립 또는 않고 한쪽이 집중되어 기립 및 도복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체가 따라 기립 또는 경우, 상기 물이 본체의 거쳐 일정량씩 못하고 상기 도복되는 부분에 집중되어 넘쳐흐르게되므로 수위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강풍 또는 상류쪽의 물의 파동에 의해서 공압식 고무보 본체가 하상 콘크리트의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심하게 유동 및 진동하거나 또 고무보 본체의 상부로 월류하는 물의 압력에 따라 공압식 고무보 본체가 이완 및 팽창되면서 그 고무보 본체가 심하게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무보 본체가 진동을 하게 되면 고무보 본체의 양단부를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하고 있는 상기 고정수단의 내구성이 떨어져 고무보 본체와 하상 콘크리트와의 고정력이 현격하게 저하됨은 물론 고무보 본체 내의 공기가 압력에 의해서 외부로 배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압식 고무보 본체를 통해 많은 량의 물을 담수할 경우, 고무의 특성상 위험하므로 많은 량의 물을 저장할 수가 없는 문제점등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무보 본체를 일정한 수압으로 균일하게 기립 및 도복시켜 수위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압식 고무댐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수압식 고무댐은 고무보 본체를 기준하여 상류쪽에 집수정을, 그리고 제방의 조작실에 급수펌프와 배수펌프를 구비하여, 목적하는 저수량에 따라 집수정의 물을 적정 압력으로 자동 펌핑하여 고무보 본체에 주입해 주고 그로부터 물을 자동 배출해 주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강풍, 물의 파동 및 물의 월류에 관계없이 고무보 본체의 유동 및 진동을 최소화시켜 하상 콘크리트에 고무보 본체의 양단을 고정해 주는 고정수단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는 수압식 고무댐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수압식 고무댐은 고무보 본체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중량으로 좌, 우 유동또는 진동을 잡아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공압식 고무댐과 같은 조건하에서 보다 많은 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압식 고무댐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수압식 고무댐은 고무보 본체의 자체 중량 또는 담수된 상류쪽의 수위와 고무보 본체 내에 채워진 물의 비중을 같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압식 고무댐을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 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압식 고무댐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구성도로서,
도 2는 상기 수압식 고무댐의 전체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이고,
도 3은 상기 수압식 고무댐의 일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2의 조작실 내의 펌프들과 밸브들 및 압력계 등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집수정 110 : 급배수배관
112 : 급수배관 114 : 배수배관
120 : 급수펌프 130 : 배수펌프
140 : 역지변 150 : 전동밸브
160 : 수동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들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수압식 고무댐에 의하면, 수위감지센서와 압력계에서 검출한 수위 및 압력에 따라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에 양단부가 겹쳐져 고정된 고무보 본체를 기립 및 도복시켜 저수량을 확보하는 고무댐에 있어서: (1) 상기 하상 콘크리트에 움푹하게 파여져 물을 집수·저장하는 상부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 망이 덮어진 집수정; (2) 일단부가 상기 고무보 본체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급수배관과 배수배관으로 분로(分路)되어 상기 고무보 본체 및 집수정에 대해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급배수배관; (3)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정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고무보 본체 내로 가압·공급하는 급수펌프; (4) 상기 배수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5)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이 상기 집수정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일방향으로 유로를 단속하는 역지변; 및 (6) 상기 배수배관에 설치되어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 및 차단하는 전동밸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집수정은 상기 고무보 본체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하상 콘크리트의 상류쪽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급배수배관에 분로된 상기 배수관의 타단부를 상기 고무보 본체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상류쪽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급배수배관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고무보 본체의 물을 배출·차단하여 주는 수동밸브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목적하는 저수량에 따라서 상류에 위치한 집수정의 물이 급수펌프를 통해 적정 압력으로 자동 펌핑되어서 고무보 본체에 주입되고, 또 배수펌프에 의해서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이 상류쪽으로 신속하게 배출되어 고무보 본체의 높이가 조절되어짐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고무보 본체를 일정한 수압으로 균일하게 기립 및 도복시켜 줌으로써 수위조절이 용이하고, 또 강풍이나 물의 파동 및 물의 월류 때 발생되는 고무보 본체의 유동과 진동이 물의 중량에 의해서 최소화되어 고무보 본체의 양단을 고정해 주고 있는 고정수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또 담수된 상류쪽의 수위와 고무보 본체 내에 채워진 물의 비중이 동일함으로써, 공압식 고무댐과 같은 조건에서 보다 많은 량의 물이 저장되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압식 고무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압식 고무댐의 전체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이고,
도 3은 상기 수압식 고무댐의 일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2의 조작실 내의 펌프들과 밸브들 및 압력계 등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압식 고무댐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12) 바닥에 양단부가 겹쳐져 하상구조체, 고정금구 및 앵커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밀착·고정되며 일정한 압력으로 물의 주입과 배출에 의해 기립과 도복을 하여 하천의 물을 적정 수위로 저장하는 가요성 고무재질로 된 고무보 본체(10)와, 고무보 본체(1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상류쪽의 하상 콘크리트(12) 바닥에 움푹하게 파여져 물을 집수·저장하며 상부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 망(100a)이 덮어져 있는 집수정(100)과, 고무보 본체(10)의 기립과 도복을 위해 일단부가 제방의 경사부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12)의 바닥에 매설되어 고무보 본체(10) 내로 연통·결합되며 타단부가 제방의 조작실에 위치하여 고무보 본체(10) 및 집수정(100)에 대해 물의 유로(流路)를 형성하는 급배수배관(110)과, 일단부가 제방의 조작실에 위치한 급배수배관(110)에 연접되고 타단부가집수정(100)에 연통되어 고무보 본체(10)에 물을 공급 안내하는 급수배관(112)과, 일단부가 제방의 조작실에 위치한 급배수배관(110)에 연접되고 타단부가 고무보 본체(1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상류쪽의 하상 콘크리트(12) 바닥에 놓여져 고무보 본체(10) 내의 물을 배출 안내하는 배수배관(114)과, 급수배관(112)에 설치되며 조작실 내의 제어부(30)에 의해 집수정(100)의 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펌핑하여 급배수배관(110)을 통해 고무보 본체(10) 내로 가압·공급하는 급수펌프(120)와, 배수배관(114)에 설치되며 조작실 내의 제어부(30)에 의해 고무보 본체(10) 내의 물을 펌핑하여 배수배관(114)을 통해 상류쪽으로 배출하는 배수펌프(130)와, 고무보 본체(10)에 대해 급수배관(112)의 선단에 설치되어 고무보 본체(10) 내의 물이 급배수배관(110)과 급수배관(112)을 통해 집수정(100)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유로를 일방향으로 단속하는 역지변(140)과, 고무보 본체(10)에 대해 배수배관(114)의 선단에 설치되며 조작실 내의 제어부(30)에 의해 개폐되어 고무보 본체(10) 내의 물이 외부로 배출 및 차단될 수 있도록 유로를 단속하는 전동밸브(150)와, 제방의 조작실에 위치한 급배수배관(110)에 설치되며 수동조작에 의해서 개폐되어 고무보 본체(10)의 물을 배수배관(114)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 또는 차단하여 주는 수동밸브(160)와, 제방의 조작실에 위치한 급배수배관(110)에 설치되어 고무보 본체(10)의 수압을 측정하여 지시하고 그 측정된 값을 제어부(30)에 제공해 주는 압력계(50)(52)와, 상류쪽의 담수된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반(30)에 제공하는 초음파 수위감지기(20)와, 상기 제어부(30)에 각종 기능 데이터를 입력하는 조작패널(30a)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수압식 고무댐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상콘크리트(12)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무보 본체(10) 내에 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기립시키기 위해서 급배수배관(110)에 설치된 수동밸브(160)를 열어준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방에 위치한 조작실 내의 조작패널(30a)을 조작하면 제어부(30)가 배수배관(114)에 설치된 전동밸브(150)를 닫고 급수배관(112)에 설치된 급수펌프(120)를 구동시키게 된다. 급수펌프(120)는 급수배관(112)을 통해 상부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스크린 망(100a)이 덮어진 집수정(100) 내의 물을 펌핑하여 역류 방지용 역지변(140) 및 급배수배관(110)을 통해서 고무보 본체(10)에 일정한 압력으로 주입하게 되고, 가요성 고무재질로 된 고무보 본체(10)는 주입된 물의 압력에 의해서 원하는 높이로 서서히 팽창 및 기립되며, 이때 급배수배관(110)에 설치된 두 개의 압력계(50)(52)는 고무보 본체(10) 내의 수압을 전기신호로 감지하여 표시하고 이를 제어부(102)에 제공하게 된다.
제어부(102)는 두 개의 압력계(50)(5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가지고 고무보 본체(10) 내의 수압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한 수압과 일치할 경우에 급수펌프(120)의 구동을 정지시켜 고무보 본체(10)에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물을 중단시키게 됨으로써, 고무보 본체(10)가 원하는 높이로 기립되어 고무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급배수배관(110)에 두 개의 압력계(50)(52)를 설치하는 이유는, 고무보 본체(10) 내에 원하는 압력으로 물이 주입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압력계가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압력계가 고무보 본체(10) 내의 수압을 감지하여 제어부(30)를 통해 급수펌프(120)의 구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급수펌프(120)의 지속적인 구동에 따른 과도한 수압상승으로 고무보 본체(10)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고무보 본체(10)가 설정치의 높이만큼 기립하여 고무댐의 역할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담수된 수위가 변화하게 되면 고무보 본체(10)의 높이도 변화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초음파 수위감지기(20)가 고무보 본체(10)에 의해 담수된 저수량의 수위를 감지하며, 그 감지한 수위 데이터를 조작실의 제어부(30)에 제공한다.
제어부(30)에서는 초음파 수위감지기에서 감지한 수위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하수위 및 기준 상수위 값과 대비하여 기준 상수위 이상으로 수위가 높게되면 고무보 본체(10) 위로 물이 넘쳐 흘러서 댐이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배수배관(114)에 설치된 전동밸브(150)를 열어줌과 아울러 배수펌프(130)를 구동시켜 고무보 본체(10)에 충전된 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펌핑함으로써, 그 고무보 본체(10) 내의 물이 급배수배관(110) 및 배수배관(114)을 통해 상류쪽으로 신속하게 배출되어지며, 이것에 의해 고무보 본체(10)가 도복되어진다. 여기서 배수배관(114)을 통해서 물을 배출하여 고무보 본체(10)를 완전히 도복시키고자 할 때, 그 배수배관(114)의 배수구가 하류쪽에 위치할 경우 그 배출되는 물에 의해서 고무보 본체(10)가 완전히 도복되지 않음으로써, 가능한 배수배관(114)의 배수구를 물이유입되는 상류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그리고 고무보 본체(10)가 도복되어지면 담수된 물이 그 고무보 본체(10)의 상부면을 통해서 하류쪽으로 배수되며, 이것에 의해 담수된 수위가 위험수위에서 정상수위로 조절되었을 때 전동밸브(150)를 닫아줌과 아울러 배수펌프(130)의 구동을 정지시켜 고무보 본체(10)의 도복상태를 중지시키게 된다.
또한, 전술한 초음파 수위감지기(20)에서 감지한 수위가 설정된 기준 하수위에 도달하면 제어부(30)는 댐의 수위를 기준 수위로 높일 필요가 있으므로 급수펌프(120)를 구동시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고무보 본체(10) 내에 집수정(100)의 물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공급하게 됨으로써, 그 고무보 본체(10)가 서서히 기립되어진다. 이때 두 개의 압력계(50)(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보 본체(10) 내의 수압을 검출하여 제어부(30)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30)가 압력계(50)(52)에서 검출한 수압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고무보 본체(10)의 기복되는 높이를 감지하여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급수펌프(1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며, 또한 점검이나 비상 시에는 항시 열려져 있는 수동밸브(160)를 닫아서 조치를 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급수펌프(120)와 배수펌프(130)의 구동에 의해서 고무보 본체(10)가 일정한 수압으로 균일하게 기립 또는 도복되어짐으로써, 수위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무보 본체(10)에 채워진 물의 중량에 의해서 강풍, 물의 파동 및 물의 월류 때 고무보 본체(10)가 좌, 우 유동 또는 진동을 하지 않게 되며, 또 상류쪽의 수위와 고무보 본체(10)에 채워진 물의 비중이 같음으로써, 공압식 고무댐과 같은 조건에서도 보다 많은 량의 물을 저장할 수가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초음파수위 감지기, 제어부에서 송풍모터 및 전자밸브 등으로 구성하여,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공기압으로 고무보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상류에 위치한 집수정의 물을 급수펌프를 통해 적정 압력으로 자동 펌핑하여 고무보 본체에 주입하고, 배수펌프를 통해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고무보 본체 내의 수압을 조절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고무보 본체가 일정한 수압에 의해 균일하게 기립 및 도복되어짐으로써 수위조절이 보다 용이하고, 또 고무보 본체의 유동과 진동이 물의 중량에 의해서 최소화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에 대해 고무보 본체의 양단을 고정해 주는 고정수단의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공압식 고무댐과 같은 조건에서 안전성이 보장되면서도 보다 많은 량의 물을 저장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수압식 고무댐에 의하면, 급수펌프와 배수펌프를 가동시켜 고무보 본체를 일정한 수압으로 균일하게 기립 및 도복시킴으로써, 수위조절이 용이하고, 또 강풍이나 물의 파동 및 물의 월류 때 발생되는 고무보 본체의 유동과 진동이 물의 중량에 의해서 최소화되어 고무보 본체의 양단을 고정해 주는 고정수단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담수된 상류쪽의 수위와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의 비중이 동일함으로써, 공압식 고무댐과 같은 조건에서 안전성이 보장되면서도 보다 많은 량의 물을 저장할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초음파 수위감지기와 압력계에서 검출한 수위 및 압력에 따라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된 고무보 본체를 기립 및 도복시켜 저수량을 확보하는 고무댐에 있어서;
    (1) 상기 하상 콘크리트에 움푹하게 파여져 물을 집수·저장하는 상부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 망이 덮어진 집수정;
    (2) 일단부가 상기 고무보 본체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급수배관과 배수배관으로 분로(分路)되어 상기 고무보 본체 및 집수정에 대해 물의 유로를 형성하는 급배수배관;
    (3)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정의 물을 펌핑하여 상기 고무보 본체 내로 가압·공급하는 급수펌프;
    (4) 상기 배수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5) 상기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이 상기 집수정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유로를 단속하는 역지변; 및
    (6) 상기 배수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보 본체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 및 차단하는 전동밸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고무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상기 고무보 본체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물이 유입되는 상기 하상 콘크리트의 상류쪽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고무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배관의 배수구는 상기 고무보 본체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물이 유입되는 상류쪽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고무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배수배관에 설치되어 유지관리 때 수동조작에 의해 물의 유로를 단속하는 수동밸브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식 고무댐.
KR20-2003-0016733U 2003-05-29 2003-05-29 수압식 고무댐 KR200325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33U KR200325071Y1 (ko) 2003-05-29 2003-05-29 수압식 고무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733U KR200325071Y1 (ko) 2003-05-29 2003-05-29 수압식 고무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071Y1 true KR200325071Y1 (ko) 2003-08-29

Family

ID=4941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733U KR200325071Y1 (ko) 2003-05-29 2003-05-29 수압식 고무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0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655B1 (ko) * 2009-02-03 2011-08-08 주식회사 일청엔지니어링 수위조절이 용이한 고무댐의 가동방법
KR102100838B1 (ko) * 2019-12-26 2020-05-15 주식회사 유일기연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CN116447429A (zh) * 2023-06-20 2023-07-18 菏泽嘉泽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燃气管道抢修用引流装置及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655B1 (ko) * 2009-02-03 2011-08-08 주식회사 일청엔지니어링 수위조절이 용이한 고무댐의 가동방법
KR102100838B1 (ko) * 2019-12-26 2020-05-15 주식회사 유일기연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CN116447429A (zh) * 2023-06-20 2023-07-18 菏泽嘉泽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燃气管道抢修用引流装置及使用方法
CN116447429B (zh) * 2023-06-20 2023-08-25 菏泽嘉泽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燃气管道抢修用引流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1836B2 (en) Automatic relief valve system with water level sensing for a fiberglass swimming pool body
KR100799359B1 (ko)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JP2006257829A (ja) 陸閘の自動防潮扉設備
JP4987750B2 (ja) フラップゲート
KR200325071Y1 (ko) 수압식 고무댐
KR101973393B1 (ko) 저수용 펌프일체형수문
KR900006382B1 (ko) 공기팽창식 가요성 막으로된 기복 가능한 둑
KR100686188B1 (ko) 하천 또는 저수지용 제방의 가변 차단벽
KR102015501B1 (ko) 해양 구조체 지지장치
JP3913729B2 (ja) サイホン式自動倒伏装置
JP6617998B1 (ja) 貯水池排水システム
US10648137B1 (en) Land drainage vacuum lift system and method
KR200377427Y1 (ko) 유체팽창식 고무댐
KR200206348Y1 (ko) 고무댐의 공기압 자동 조절장치
KR101626912B1 (ko) 고무댐
CN111636802A (zh) 一种地下车库前端充气防水装置
KR102356458B1 (ko) 부력형 분수대의 잠수장치
KR200413223Y1 (ko) 유수풀의 파도생성장치
KR20190109218A (ko) 파고 조절 장치
KR200338308Y1 (ko) 고무댐 자동 제어장치
KR102431530B1 (ko) 저수지용 사전 방류장치
JP6894609B2 (ja) 浮沈式フェンスおよび浮沈式フェンスシステム
JPS6220493Y2 (ko)
JP4675089B2 (ja) 空気圧を利用するゲートの水位上昇の自動検出装置
KR100502111B1 (ko) 수위 조절용 게이트를 구비한 지하댐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