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838B1 -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 Google Patents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0838B1 KR102100838B1 KR1020190175176A KR20190175176A KR102100838B1 KR 102100838 B1 KR102100838 B1 KR 102100838B1 KR 1020190175176 A KR1020190175176 A KR 1020190175176A KR 20190175176 A KR20190175176 A KR 20190175176A KR 102100838 B1 KR102100838 B1 KR 102100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pipe
- water
- supply pipe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6/200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 G05D16/2013—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 G05D16/202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with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공보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공급배관내 생성되는 응축수를 압축공기에 의해 흡입제거하여 에어공급배관을 통해 에어백내로의 압축공기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공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콤프레셔에 의해 발생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감압밸브에 의해 감압되고, 감압밸브에 의해 일정압력으로 감압유지된 압축공기가 에어공급배관을 통해 복수의 에어백내로 공급되며, 압축공기에 의한 에어백의 수축팽창에 의해 가동패널의 각도가 조절되는 공압식 가동보에 있어서;
에어백과 감압밸브 사이에 설치된 에어공급배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에어공급배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배수배관; 배수배관의 타측단이 연결설치되어 배수배관내의 물이 자연낙하되어 집수되는 집수정; 에어콤프레셔와 감압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공급배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집수정에 연결설치되는 고압에어배관;을 포함하여, 고압에어배관내의 고압 압축공기(A)에 의해 집수정내 집수된 물(응축수)가 집수정 외부로 이송배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에어콤프레셔에 의해 발생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감압밸브에 의해 감압되고, 감압밸브에 의해 일정압력으로 감압유지된 압축공기가 에어공급배관을 통해 복수의 에어백내로 공급되며, 압축공기에 의한 에어백의 수축팽창에 의해 가동패널의 각도가 조절되는 공압식 가동보에 있어서;
에어백과 감압밸브 사이에 설치된 에어공급배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에어공급배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배수배관; 배수배관의 타측단이 연결설치되어 배수배관내의 물이 자연낙하되어 집수되는 집수정; 에어콤프레셔와 감압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공급배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집수정에 연결설치되는 고압에어배관;을 포함하여, 고압에어배관내의 고압 압축공기(A)에 의해 집수정내 집수된 물(응축수)가 집수정 외부로 이송배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공보에 관한 것으로, 공압식 가동보의 에어공급배관내 응축수가 발생될 경우, 이를 집수정으로 자동집수하고, 에어컴프레셔에 의해 생성된 고압 압축공기에 의해 자동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공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둑으로서 절첩식 또는 기복식 등의 많은 고무댐(RUBBER DAM)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많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둑으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들의 대부분은 그 고무튜브(에어백)의 팽창·기복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에어백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및 송풍기, 수위조절을 위한 플로트(float) 밸브 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무댐은 고무튜브를 이용, 보(Weir)를 설치함으로써, 홍수위에서는 도복되어 하천의 하상콘크리트와 수평을 이루어 통수(通水) 단면적에 지장을 주지 않으나, 수위조절에 한계가 있어 하천의 담수기능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는데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고무튜브가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산간지역 등에서의 낙석 또는 강한 수압에 의해 하상으로 구르는 날카로운 유석 또는 유목 등의 유화물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고무튜브가 찢어지거나 구멍이나 제방용 둑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고무튜브 대신에 지면에 대하여 세워짐과 눕혀짐의 회동동작을 하는 스틸패널(steel panel)을 강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한 후에 상기 스틸패널을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지면에 대해 세워짐과 눕혀짐의 회동동작을 수행시켜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진 유압식 가동보가 실시되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 유압식 가동보에 있어서는 스틸패널을 회전시켜 주기 위해 다수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해야 함으로써 설치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틸패널의 회전축이 하단에 있고, 스틸패널의 상단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유압실린더에 많은 부하가 걸려 기계적인 무리가 발생되며, 특히 스틸패널과 이를 하상 콘크리트에 회동가능케 결합해 주는 구조체가 별도로 구성되어져 설치됨으로써, 시공성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고무튜브 및 고강도의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 보를 형성한 다음 이를 공압으로 하여, 고무튜브를 기복 또는 도복시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눕히고 일으켜 세움으로써 하천의 수위가 용이하게 조절되고, 또한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따른 고무튜브의 소손을 콘크리트 패널이 미리 차단시켜 보호해 주는 공압식 가동보가 많이 안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공압식 가동보는 에어컴프레셔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가 에어공급배관을 통해 에어백내로 공급되어 복수의 에어백이 팽창되고,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가동패널이 물 흐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과 거의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기립됨으로써, 목적하는 수위로 물의 저장이 이루어진다.
또한, 공압식 가동보는 에어백내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에어백에 의해 지지되던 가동패널이 물의 흐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수평상태(도복)로 놓이게 됨으로써, 상류의 물이 하류로 방류되어 수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압식 가동보는 에어컴프레셔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가 에어백으로 에어공급배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나, 에어공급배관내 온도 및 압력의 변화에 의해 압축공기 내부에 포함되었던 수분이 응축되면서 에어공급배관내에 응축수가 생성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에어공급배관내에 응축수가 생성 및 축적되어지게 되면, 에어콤프레셔에서 에어백내로 공급되어지는 압축공기의 원활한 압송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에어백 내부의 압력이 감소되어, 가동패널이 일정각도로 제어되지 못하는 현상 즉, 가동보가 일정 각도로 균일제어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응축수로 인해 에어백내로 압축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되어, 에어공급배관내의 압력이 상승되어지며, 이와 같은 압력상승에 의해 에어공급배관 자체에 이상이 발생될 뿐 아니라, 일부 에어백내로 압축공기가 과잉공급되어지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공급배관내 생성되는 응축수를 압축공기에 의해 흡입제거하여 에어공급배관을 통해 에어백내로의 압축공기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공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공급배관내 응축수의 제거에 의해 에어콤프레셔에서 에어백내로의 압축공기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이를 통해 가동보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공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콤프레셔에 의해 발생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감압밸브에 의해 감압되고, 감압밸브에 의해 일정압력으로 감압유지된 압축공기가 에어공급배관을 통해 복수의 에어백내로 공급되며, 압축공기에 의한 에어백의 수축팽창에 의해 가동패널의 각도가 조절되는 공압식 가동보에 있어서;
에어백과 감압밸브 사이에 설치된 에어공급배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에어공급배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배수배관; 배수배관의 타측단이 연결설치되어 배수배관내의 물이 자연낙하되어 집수되는 집수정; 에어콤프레셔와 감압밸브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공급배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집수정에 연결설치되는 고압에어배관;을 포함하여, 고압에어배관내의 고압 압축공기(A)에 의해 집수정내 집수된 물(응축수)가 집수정 외부로 이송배출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공급배관내에 발생된 응축수가 집수정에 자연집수되고, 집수정내 응축수가 에어컴프레셔에 의해 생성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배출부로 자동이송배출되도록 되어 있어, 에어공급배관내 응축수로 인한 에어백의 작동불량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집수정내 집수된 응축수가 공압식 가동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에어콤프레셔에 의해 생성된 고압의 압축공기(약 6∼8㎏/㎠ 정도)에 의해 외부배출부로 이송배출되어지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설비없이 기존 설비에 연결설치되므로, 설치비용이 저감될 뿐 아니라, 기 설치된 공압식 가동보에도 손쉽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에어컴프레셔의 압축공기를 에어백으로 공급하는 에어공급배관내 응축수가 효율적으로 제거되도록 되어 있어, 복수의 에어백에 대한 정확한 컨트롤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복수의 가동패널이 균일하게 기립 또는 도복되어 하천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흐름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집수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집수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식 집수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식 집수정의 배출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집수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집수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식 집수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식 집수정의 배출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공압식 가동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에어백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각각의 에어공급배관내에 압축공기로 인한 응축수가 생성될 경우,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정으로 자동 집수되고, 집수정내 집수된 응축수(D)는 에어백을 가동시키기 위한 고압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로 자동배출되어, 공압식 가동보의 작동효율이 향상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두된 도면에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흐름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식 집수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식 집수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식 집수정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식 집수정의 배출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에어콤프레셔(70)에 의해 발생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감압밸브(50)에 의해 감압되고, 감압밸브(50)에 의해 일정압력으로 감압유지된 압축공기가 에어공급배관(60)을 통해 복수의 에어백(40)내로 공급되며, 압축공기에 의한 에어백(40)의 수축팽창에 의해 가동패널(80)의 각도가 조절되는 공압식 가동보(100)에 있어서;
에어백(40)과 감압밸브(50) 사이에 설치된 에어공급배관(6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에어공급배관(6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배수배관(10);
배수배관의 타측단이 연결설치되어 배수배관(10)내의 물이 자연낙하되어 집수되는 집수정(20);
에어콤프레셔(70)와 감압밸브(50)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공급배관(6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집수정(20)에 연결설치되는 고압에어배관(30);을 포함하여,
고압에어배관내의 고압 압축공기(A)에 의해 집수정내 집수된 물(응축수)가 집수정 외부로 이송배출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압식 가동보(100)는, 에어콤프레셔(70)에서 생성된 고압(약 6∼8㎏/㎠ 정도)의 압축공기(A)가 에어공급배관(60)을 통해 감압밸브(50)로 공급되고, 상기 감압밸브(50)에 의해 에어백(40)내로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일정압력(약 2㎏/㎠ 이하)로 감압되며, 감압된 압축공기(B)는 또다른 에어공급배관(60)을 통해, 복수의 에어백내로 공급되어진다.
이와 같은 압축공기의 압력과 감압 및 에어백내로의 압축공기 공급은 공압식 가동보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압밸브(50)는 에어콤프레셔(70)에서 에어백(40)에 연결설치되는 에어공급배관(60)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 예로 레귤레이터(비례형)이 설치되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배관(60)은 에어콤프레셔(70)에서 감압밸브(50)까지의 제1공급배관(61)과, 감압밸브(50)에서 각각의 에어백(40)으로 연결되어지는 복수의 제2공급배관(6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공급배관(61)은 에어콤프레셔(70)에서 생성된 고압 압축공기(약 6∼8㎏/㎠ 정도)가 이송되고, 제2공급배관(62)은 감압밸브(50)에 의해 감압되어 일정압력을 유지하는 압축공기(약 2 ㎏/㎠ 이하)가 이송되며, 상기 고압 압축공기(약 6∼8㎏/㎠ 정도)가 이송되어지는 제1공급배관(61)에 고압에어배관(30)이 연결설치된다.
또한, 개개의 제2공급배관(62)이 연결되어지는 에어백(40)은, 제2공급배관(62)을 통해 공급되어지는 압축공기에 의해 동시에 수축팽창이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에어백 즉, 에어백 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배관(60)에는 압축공기의 공급제어 및 역방향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밸브(볼밸브, 체크밸브 등등) 및 게이지, 압력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배관(10)은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공급배관(60) 즉, 제2공급배관(62)내에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밸브(50)와 에어백(40) 사이에 연결설치된 에어공급배관의 제2공급배관(62)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집수정(20)내에 위치하도록 집수정(20)에 연결설치되며, 제2공급배관(62)내에 고여있는 응축수가 자연낙하되어 집수정(20)내로 이송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배관(10)은 개개의 에어백에 연결되어 있는 제2공급배관 마다 하나 이상이 연결설치된다.
상기 집수정(20)은 제2공급배관(62)내에 생성된 응축수가 배수배관(10)에 의해 이송되어 집수되어지는 것으로, 응축수의 집수가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내부공간(21)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 집수된 응축수(D)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감지기(22)는 집수정내 집수된 물(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집수정(20)은 내부에 집수된 응축수(D)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집수정(20)은 고압에어배관(30)에 의해 공급된 고압 압축공기가 집수된 응축수(D)에 직접적으로 가압되어 배출관(24)을 통해 응축수(D)가 외부로 이송배출되어지는 가압식 집수정(20a) 또는, 고압에어배관(30)에 의해 공급된 고압 압축공기가 부력판(27)에 전달되고, 부력판(27)에 의해 집수된 응축수(D)가 가압되어 배출관(24)을 통해 외부로 이송배출되어지는 부력가압식 집수정(20b) 또는, 고압에어배관(30)이 배출관(24)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지고, 배출관(24)에서 분기된 분기배출관(25)이 응축수(D)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고압에어배관(30)에서 배출관(24) 방향으로 빠르게 흐르는 고압 압축공기에 의해 집수정내의 응축수(D)가 분기배출관(25)을 타고 배출관(24)으로 흡입이송되어 배출되어지는 분기식 집수정(20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식 집수정(20a)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에어배관(30)과 배수배관(10)이 내부공간(21)의 상측으로 연결되고, 내부공간(21)의 하측으로 배출관(24)이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배수배관(10)에 의한 집수정 내부공간(21)내로의 응축수(D) 이동집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집수된 응축수(D)가 고압에어배관(30)을 통해 유입되는 고압 압축공기에 의해 배출관(24)을 통해 쉽게 배출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식 집수정(20a)은 고압에어배관(30)에 의해 집수정내로 고압 압축공기(A)가 공급되어 내부공간(21)내의 압력이 상승되고, 이와 같은 압력상승에 의해 내부공간내 응축수(D)가 배출관(24)을 통해 외부로 이송배출되어지게 된다.
상기 부력식 집수정(20b)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부력판(27)이 설치되고, 상기 부력판(27)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봉(28)이 설치되며, 부력판(27)의 상승최대위치 및 하강최저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2)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력식 집수정(20b)은 집수정내 수위변화에 의해 수직가이드봉(28)을 따라 부력판(27)이 승하강되고, 감지센서(22)에 의한 부력판(27)의 위치가 감지되어 부력판(27)이 상승최대위치(응축수 만수위)에 도달될 경우, 고압에어배관(30)을 통해 내부공간(21)내로 고압 압축공기가 공급되어지며, 공급된 고압 압축공기에 의해 부력판(27)이 집수된 응축수(D)를 가압하게 되고, 부력판의 가압에 의해 응축수(D)가 집수정(20b) 하측에 연결설치된 배출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부력판(27)은 내부공간(21)내에 꽉차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집수정의 내벽과 소정거리 이격되어지도록 설치되어, 배수배관(10)을 통한 응축수(D)의 유입 및 수직가이드봉(28)을 따라 부력판(27)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식 집수정(20a) 및 부력식 집수정(20b)의 내부공간내로 공급된 고압 압축공기는 배출관(24)을 통한 응축수의 배출시, 응축수(D)와 함께 배출관(24)을 통해 외부로 이송배출되어지게 된다.
상기 분기식 집수정(20c)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에어배관(30)이 배출관(24)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지고, 배출관(24)에서 분기된 분기배출관(25)이 집수정내에 집수된 물(응축수)내에 잠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압에어배관(30)과 배출관(24)은 집수정을 일직선으로 관통되도록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상기 분기배출관(25)은 내부공간(21)내에서 배출관(24)으로부터 분기되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기배출관(25)은 배출관(24)에 대하여 직각 또는 예각을 구비하도록 즉, 기압차에 의해 집수정내 물(응축수)이 고압 압축공기의 흐름방향(C)으로 흡입되어 이송되어지도록 직교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기배출관(25)은 배출관(24)과 내경이 동일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배출관의 내경(d1)이 분기배출관의 내경(d2)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기배출관의 내경(d2)이 2/3(d1)∼1/4(d1)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24)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d1)이, 고압에어배관(30)의 내경(d3)보다 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기식 집수정(20c)은 고압에어배관(30)을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A, 약 6∼8㎏/㎠ 정도)가 배출관(24)으로 빠르게 이송되어 배출관(24)과 분기배출관(25)의 연결부위(분기부위,E)에 대한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이와 같은 낮은 압력으로 인해 집수정(20)내에 집수된 물(응축수)이 분기배출관(25)을 따라 흡입 상승되어, 고압에어배관에서 배출관으로 흐르는 고압의 압축공기(A, 약 6∼8㎏/㎠ 정도)와 함께 배출관(24)을 통해 외부로 이송 배출되어진다. 즉, 상기 분기식 집수정(20c)은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집수정(20)내의 물(응축수)가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자동이송 및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집수정(20)은 하천수가 유입되어지지 않도록 공압식 가동보의 기초콘크리트 일측에 설치되거나, 하천 옆 둔턱 또는 하천 바닥면내에 설치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정(20)은 유지보수 및 고압에어배관(30)에 의한 물(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덮개(23)에 의해 내부공간(21)이 폐쇄되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에어배관(30)은 에어콤프레셔(70)에서 생성된 고압 압축공기(약 6∼8㎏/㎠ 정도)를 집수정(20)내 내부공간(21)으로 공급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단이 에어공급배관의 제1공급배관(61)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집수정(20)내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압에어배관(30)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압축공기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는 볼밸트 또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진 제어밸브(33)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밸브(33)의 개폐작동에 의해 에어콤프레셔(70)에서 생성된 고압 압축공기(A)가 고압에어배관(30)내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밸브(33)는 제1공급배관(61)과 집수정(20)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압에어배관(30) 상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에어백(40), 에어공급배관의 제2공급배관(62), 집수정(20), 에어공급배관의 제1공급배관(61)에 연결되는 공압에어배관(30)이 하나의 세트(set)로 이루어져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에어컴프레셔(70)가 작동되면, 에어공급배관의 제1공급배관(61)을 통해 감압밸브(50)방향으로 고압 압축공기(약 6∼8㎏/㎠ 정도)가 공급되고, 감압밸브(50)에 의해 일정압력의 압축공기(약 2㎏/㎠ 이하)로 감압되며, 감압된 압축공기(약 2㎏/㎠ 이하)는 에어공급배관의 제2공급배관(62)을 통해 복수의 에어백(40)내로 공급되어 에어백(40)을 팽창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에어백의 팽창에 의해 가동패널(80)은 세워지는 방향(기립)으로 회전작동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백(40)내의 압축공기가 에어배출배관(4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되면, 에어백(40)의 수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이 에어백이 수축작동될 경우, 가동패널(80)은 눕혀지는 방향(도복)으로 회전작동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에 의한 에어백(40)의 반복적인 수축팽창에 의해 에어백(40)내 및 제2공급배관(62)내에 응축수가 생성될 경우, 생성된 응축수는 자연법칙에 의해 배수배관(10)을 통해 집수정(20)내로 자연낙하되어 집수되고, 집수정(20)내에 집수되어진 물(응축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설정수위에 도달될 경우, 수위감지기(22)에 의해 수위가 감지된다.
상기 수위감지기(22)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200)가 제어밸브(33) 및 배출관의 배출밸브(26)를 오픈작동(개방)시킴과 동시에 에어컴프레셔(70)를 작동시키게 되면, 고압에어배관(30)을 통해 집수정의 내부공간(21)으로 고압의 압축공기(약 7㎏/㎠ 이상)가 공급되어지며, 공급되어지는 고압의 압축공기(A)에 의해 집수정내 집수된 응축수(D)가 가압 또는 흡입되어 배출관(24)을 통해 외부로 이송배출되게 된다.
또한, 집수정(20)내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수위감지기(22)의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200)가 제어밸브(33)를 오프작동(폐쇄)시킴과 동시에 에어콤프레셔(70)의 구동을 정지시켜, 집수정내로 공급되어진 고압 압축공기가 응축수와 함께 배출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도록 한 후, 배출밸브(25)를 오프작동(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공압식 가동보(10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 즉 에어콤프레셔의 구동 및 밸브 작동을 컨트롤 하는 공압식 가동부의 공지된 제어부(제어패널 또는 제어컨트롤러 또는 제어컴퓨터 등등)가 사용되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배수배관 (20) : 집수정
(21) : 내부공간 (22) : 수위감지기
(23) : 덮개 (24) : 배출관
(25) : 분기배출관 (26) : 배출밸브
(27) : 부력판 (28) : 수직가이드봉
(30) : 고압에어배관
(33) : 제어밸브 (40) : 에어백
(41) : 에어배출배관 (50) : 감압밸브
(60) : 에어공급배관 (61) : 제1공급배관
(62) : 제2공급배관 (70) : 에어콤프레셔
(80) : 가동패널 (90) : 외부배출부
(100) : 공압식 가동보 (200) : 제어부
(C) : 고압 압축공기의 흐름방향
(21) : 내부공간 (22) : 수위감지기
(23) : 덮개 (24) : 배출관
(25) : 분기배출관 (26) : 배출밸브
(27) : 부력판 (28) : 수직가이드봉
(30) : 고압에어배관
(33) : 제어밸브 (40) : 에어백
(41) : 에어배출배관 (50) : 감압밸브
(60) : 에어공급배관 (61) : 제1공급배관
(62) : 제2공급배관 (70) : 에어콤프레셔
(80) : 가동패널 (90) : 외부배출부
(100) : 공압식 가동보 (200) : 제어부
(C) : 고압 압축공기의 흐름방향
Claims (8)
- 에어콤프레셔(70)에 의해 발생된 고압의 압축공기가 감압밸브(50)에 의해 감압되고, 감압밸브(50)에 의해 일정압력으로 감압유지된 압축공기가 에어공급배관(60)을 통해 복수의 에어백(40)내로 공급되며, 압축공기에 의한 에어백(40)의 수축팽창에 의해 가동패널(80)의 각도가 조절되는 공압식 가동보(100)에 있어서;
에어백(40)과 감압밸브(50) 사이에 설치된 에어공급배관(6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에어공급배관(60)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배수배관(10);
배수배관의 타측단이 연결설치되어 배수배관(10)내의 물이 자연낙하되어 집수되는 집수정(20);
에어콤프레셔(70)와 감압밸브(50)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공급배관(6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집수정(20)에 연결설치되는 고압에어배관(30);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정(20)은, 가압식 집수정(20a) 또는, 부력가압식 집수정(20b) 또는, 분기식 집수정(20c)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식 집수정(20a)은, 고압에어배관(30)과 배수배관(10)이 내부공간(21)의 상측으로 연결되고, 내부공간(21)의 하측으로 배출관(24)이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고압에어배관(30)에 의해 공급된 고압 압축공기(A)가 집수된 응축수(D)에 직접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배출관(24)을 통해 응축수(D)가 외부로 이송배출되고,
상기 부력가압식 집수정(20b)은, 내부에 부력판(27)이 설치되고, 상기 부력판(27)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봉(28)이 설치되며, 부력판(27)의 상승최대위치 및 하강최저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2)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고압에어배관(30)에 의해 공급된 고압 압축공기(A)가 부력판(27)에 전달되고, 부력판(27)에 의해 집수된 응축수(D)가 가압되어 배출관(24)을 통해 외부로 이송배출되며,
상기 분기식 집수정(20c)은 고압에어배관(30)이 배출관(24)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지고, 배출관(24)에서 분기된 분기배출관(25)이 집수정내에 집수된 물(응축수)내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고압에어배관(30)에서 배출관(24) 방향으로 빠르게 흐르는 고압 압축공기(A)에 의해 집수정내의 응축수(D)가 분기배출관(25)을 타고 배출관(24)으로 흡입이송되어 배출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 청구항 1 에 있어서;
공압식 가동보(100)는, 에어콤프레셔(70)에서 생성된 6∼8㎏/㎠ 고압 압축공기(A)가 에어공급배관(60)을 통해 감압밸브(50)로 공급되고, 상기 감압밸브(50)에 의해 에어백(40)내로 공급되어질 수 있도록 2㎏/㎠ 이하의 일정압력으로 감압되며, 감압된 압축공기(B)는 또다른 에어공급배관(60)을 통해, 복수의 에어백내로 공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 청구항 1 에 있어서;
배수배관(10)은, 감압밸브(50)와 에어백(40) 사이에 연결설치된 에어공급배관의 제2공급배관(62)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집수정(20)내에 위치하도록 집수정(20)에 연결설치되며, 제2공급배관(62)내에 고여있는 응축수가 자연낙하되어 집수정(20)내로 이송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 에 있어서;
분기배출관(25)과 배출관(24)은 내경이 동일하도록 형성되거나,
배출관의 내경(D1)이 분기배출관의 내경(D2)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 청구항 1 에 있어서;
배출관(24)은 내경(D1)이, 고압에어배관(30)의 내경(D3)보다 더 작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5176A KR102100838B1 (ko) | 2019-12-26 | 2019-12-26 |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5176A KR102100838B1 (ko) | 2019-12-26 | 2019-12-26 |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0838B1 true KR102100838B1 (ko) | 2020-05-15 |
Family
ID=7067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5176A KR102100838B1 (ko) | 2019-12-26 | 2019-12-26 |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0838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324A (ja) * | 1991-07-25 | 1993-02-09 | Nitto Kasen Kogyo Kk | ゴムゲートの操作装置 |
KR20010075833A (ko) | 2000-01-19 | 2001-08-11 | 모태원 | 공압식 가동보 |
KR200325071Y1 (ko) * | 2003-05-29 | 2003-08-29 | 주식회사 유일기연 | 수압식 고무댐 |
JP2004190393A (ja) * | 2002-12-12 | 2004-07-08 | Daiwa Kikai Setsubi Kk | 可撓膜製膨張堰のドレン排出装置 |
KR20060078725A (ko) | 2004-12-31 | 2006-07-05 | 윤유탁 | 공압식 가동보 |
KR100620761B1 (ko) * | 2006-02-20 | 2006-09-06 |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 공압식 가동보의 작동시스템 |
KR100941317B1 (ko) | 2009-08-27 | 2010-02-05 | 이종문 | 원격 제어식 전도식 가동보 |
KR101259977B1 (ko) | 2012-12-04 | 2013-05-02 | 주식회사 청수환경 | 공압식 가동보와 그 제어방법 |
-
2019
- 2019-12-26 KR KR1020190175176A patent/KR1021008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324A (ja) * | 1991-07-25 | 1993-02-09 | Nitto Kasen Kogyo Kk | ゴムゲートの操作装置 |
KR20010075833A (ko) | 2000-01-19 | 2001-08-11 | 모태원 | 공압식 가동보 |
JP2004190393A (ja) * | 2002-12-12 | 2004-07-08 | Daiwa Kikai Setsubi Kk | 可撓膜製膨張堰のドレン排出装置 |
KR200325071Y1 (ko) * | 2003-05-29 | 2003-08-29 | 주식회사 유일기연 | 수압식 고무댐 |
KR20060078725A (ko) | 2004-12-31 | 2006-07-05 | 윤유탁 | 공압식 가동보 |
KR100620761B1 (ko) * | 2006-02-20 | 2006-09-06 |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 공압식 가동보의 작동시스템 |
KR100941317B1 (ko) | 2009-08-27 | 2010-02-05 | 이종문 | 원격 제어식 전도식 가동보 |
KR101259977B1 (ko) | 2012-12-04 | 2013-05-02 | 주식회사 청수환경 | 공압식 가동보와 그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38594B1 (en) | Movable barrier wall | |
CN104196047B (zh) | 一种免动力逆向压水的自恢复边坡高扬程虹吸排水系统及排水方法 | |
US20100209192A1 (en) | Adjustable weir for hydroelectric dam installations | |
JP2006257829A (ja) | 陸閘の自動防潮扉設備 | |
CN104532796A (zh) | 一种自控式带抗磨钢板的橡胶坝 | |
KR101259977B1 (ko) | 공압식 가동보와 그 제어방법 | |
CN207110015U (zh) | 一种带有自动粉碎功能的一体化预制泵站 | |
Zhang et al. |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rubber dams | |
KR102100838B1 (ko) | 에어공급배관내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 공압식 가동보 | |
CN106498962B (zh) | 浅层地下集水排水系统及施工方法 | |
US9278808B1 (en) | System and method of using differential elevation induced energy for the purpose of storing water underground | |
JP5695495B2 (ja) | 伏越し構造 | |
RU2621267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запасов стока атмосферных осадков | |
KR20170062658A (ko) |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 |
JP6101574B2 (ja) | 地下排水機場およびその運転方法 | |
CN109723134A (zh) | 新型截流泵站 | |
JP3913729B2 (ja) | サイホン式自動倒伏装置 | |
KR100620761B1 (ko) | 공압식 가동보의 작동시스템 | |
KR100957070B1 (ko) |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 |
JP4000513B2 (ja) | 高潮防止用水門 | |
CN107956893A (zh) | 一种隧道锚后锚室排水阀、利用该排水阀的排水系统及排水方法 | |
JP2007100451A (ja) | 飛跳防止型マンホール二重蓋装置 | |
KR100781134B1 (ko) | 고무보 | |
Kumar et al. | Inflation and deflation of rubber dam | |
KR100865872B1 (ko) | 여울형 가동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