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488B1 -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488B1
KR102103488B1 KR1020190175177A KR20190175177A KR102103488B1 KR 102103488 B1 KR102103488 B1 KR 102103488B1 KR 1020190175177 A KR1020190175177 A KR 1020190175177A KR 20190175177 A KR20190175177 A KR 20190175177A KR 102103488 B1 KR102103488 B1 KR 102103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ort
movable panel
movable
preven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정
이재혁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to KR102019017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단지지패널과 간격유지관에 의해 이물질 유입방지판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복수의 스틸패널로 이루어진 가동패널의 강성이 보강되고, 가동패널이 처짐현상없이 일정각도로 작동되어질 수 있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복수의 스틸패널로 이루어진 가동패널; 가동패널과 기초콘크리트에 동시 접촉되도록 기초콘크리트에 고정설치되어 압축공기의 공급/배출에 의해 팽창수축되어 가동패널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에어백; 가동패널의 후면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가동패널의 상단에 걸림설치되는 간격유지관; 간격유지관의 일측에 접촉지지되고 가동패널에 볼트체결되어 고정설치되는 상단지지패널; 가동패널의 하류방향에 위치되도록 기초콘크리트에 형성된 설치홈내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지패널; 에어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단지지패널에 의해 상단이 접촉지지되고, 하단지지패널에 의해 하단이 접촉지지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을 포함하여, 에어백의 팽창수축시 가동패널이 처짐현상없이 기립 또는 도복되고, 가동패널과 에어백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Pneumatic movable weir with panel}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의 수축팽창에 의해 기립 또는 도복되는 가동패널의 후면에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설치되어, 가동패널과 에어백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둑으로서 절첩식 또는 기복식 등의 많은 고무댐(RUBBER DAM)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둑으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들의 대부분은 그 고무튜브(에어백)의 팽창·기복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에어백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및 송풍기, 수위조절을 위한 플로트(float) 밸브 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무댐은 고무튜브를 이용, 보(Weir)를 설치함으로써, 홍수위에서는 도복되어 하천의 하상콘크리트와 수평을 이루어 통수(通水) 단면적에 지장을 주지 않으나, 수위조절에 한계가 있어 하천의 담수기능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는데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고무튜브가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산간지역 등에서의 낙석 또는 강한 수압에 의해 하상으로 구르는 날카로운 유석 또는 유목 등의 유화물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고무튜브가 찢어지거나 구멍이나 제방용 둑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에어백에 의해 고강도 스틸패널로 이루어진 가동패널이 기립 또는 전도되는 공압식 가동보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상기 공압식 가동보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되어 가동패널을 밀어주게 되면 가동패널이 물의 흐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거의 수직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목적하는 수위로 물이 저장되고, 반대로 에어백의 공기를 배출시키면 에어백에 의해 지지되던 가동패널이 물의 흐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수평상태로 놓이게 됨으로써, 상류의 물이 하류로 방류되어 수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압식 가동보는, 에어백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가동패널과 에어백 사이공간 즉, 에어백 위로 가동보 장치의 운용 과정에서 가동보의 배면으로 유목 또는 모래 또는 돌멩이 등의 각종 부유물이 유입되어 적층될 수밖에 없으며, 이와 같이 유입된 부유물로 인해 에어백의 작동성이 저하되어, 가동보의 전도 및 기립작동에 오류가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에어백과 가동패널 사이로 각종 부유물 및 이물질이 유입/적층된 상태에서 에어백이 팽창작동될 경우, 팽창되어지는 에어백에 부유물 및 이물질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지므로, 에어백에 긁힘, 타공, 찢어짐, 균열 등의 외부손상이 발생되고, 가동패널에 부착된 각도계의 파손 및 오동작이 발생되며, 담수 후 월류 시 낙수로 인한 소음으로 도심하천의 주민들로 부터 민원이 제기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58726(2018.05.10)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69952(2014.12.0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94552(2010.11.09)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가동패널과 기초콘크리트에 연결설치되어, 가동패널과 에어백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지지패널과 간격유지관에 의해 이물질 유입방지판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복수의 스틸패널로 이루어진 가동패널의 강성이 보강되고, 가동패널이 처짐현상없이 일정각도로 작동되어질 수 있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복수의 스틸패널로 이루어진 가동패널; 가동패널과 기초콘크리트에 동시 접촉되도록 기초콘크리트에 고정설치되어 압축공기의 공급/배출에 의해 팽창수축되어 가동패널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에어백; 가동패널의 후면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가동패널의 상단에 걸림설치되는 간격유지관; 간격유지관의 일측에 접촉지지되고 가동패널에 볼트체결되어 고정설치되는 상단지지패널; 가동패널의 하류방향에 위치되도록 기초콘크리트에 형성된 설치홈내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지패널; 에어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단지지패널에 의해 상단이 접촉지지되고, 하단지지패널에 의해 하단이 접촉지지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을 포함하여, 에어백의 팽창수축시 가동패널이 처짐현상없이 기립 또는 도복되고, 가동패널과 에어백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동패널과 기초콘크리트 사이에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어, 가동패널의 기립/도복 작동시 이물질 유입방지판에 의해 에어백의 외부노출이 방지되어, 가동패널과 에어백 사이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동패널의 하류측에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어, 가동패널을 통해 하류방향으로 월류되는 상층수의 낙수에 의한 기초콘크리트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에어백이 노출되지 않도록 가동패널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설치되어 있어, 가동패널의 작동시, 가동패널과 이물질 유입방지판 및 기초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가동패널의 후면공간에 진공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가동패널의 작동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동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간격유지관에 의해 복수의 가동패널이 일체로 연결되어지도록 되어 있어, 가동패널에 의해 저장된 물의 압력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위에 따라 개개의 에어백에 의해 작동되어지는 복수의 가동패널에 대한 회전각도가 균일하게 제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동패널에 간격유지관이 끼움결합되어지고, 간격유지관에 의해 이물질 유입방지판의 상단이 걸림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기 설치되어 있는 가동패널에 구조적 변화없이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단지지패널에 의해 간격유지관이 가동패널에 밀착설치되어지도록 되어 있어, 간격유지관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없이도 간격유지관이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단지지패널에 의해 간격유지관이 가동패널의 상단에 밀착접촉되어 고정될 경우, 가동패널 상단, 간격유지관의 지지관 상면, 상단지지패널의 상단패널에 의해 가동패널의 상부가 가동패널의 후면으로부터 소정의 폭을 구비하도록 돌출되어지므로, 월류된 물이 가동패널의 후면을 따라 흐르지 않게 되어, 가동패널의 후방에 진공상태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물의 맥동이 발생되지 않아 가동패널의 진동현상이 발생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방지판의 상/하단이 상단지지패널과 하단지지패널에 접촉지지되어 고정되므로, 가동패널의 기립/도복작동시에도 이물질 유입방지판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장치의 배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패널의 기립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패널의 도복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패널, 간격유지관 및 상단지지패널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장치의 배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패널의 기립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패널의 도복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패널, 간격유지관 및 상단지지패널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1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복수의 스틸패널(11)로 이루어진 가동패널(10);
가동패널과 기초콘크리트에 동시 접촉되도록 기초콘크리트에 고정설치되어 압축공기의 공급/배출에 의해 팽창수축되어 가동패널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에어백(20);
가동패널의 후면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가동패널의 상단에 걸림설치되는 간격유지관(30);
간격유지관의 일측에 접촉지지되고 가동패널에 볼트체결되어 고정설치되는 상단지지패널(40);
가동패널의 하류방향에 위치되도록 기초콘크리트에 형성된 설치홈(110)내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지패널(50);
에어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단지지패널에 의해 상단이 접촉지지되고, 하단지지패널에 의해 하단이 접촉지지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을 포함하여,
에어백(20)의 팽창수축에 의한 가동패널(10)의 기립 또는 도복시, 이물질 유입방지판(60)에 의해 가동패널(10)과 에어백(20)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패널(1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틸패널(11)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하류측(A)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에어백(20)에 의해, 기립 또는 도복되어 저수된 수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동패널(10)은 기초콘크리트(100)에 수밀을 유지하며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동패널의 설치구조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상기 에어백(20)은 압축공기의 공급 및 배출에 의해 팽창/수축되어, 가동패널(10)을 기립/도복시키는 것으로,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가이, 에어콤프레셔 등의 압축공기 발생장치(도시없음)에 의해 압축공기가 에어공급배관(21)을 통해 에어백(20)내로 공급되어 팽창되고, 에어백과 연결된 에어배출배관(도시없음)을 통해 에어백(20)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수축작동된다.
상기 에어백(20)은, 가동패널(10)을 구성하는 각각의 스틸패널(11) 갯수에 대응하여 설치되거나, 2∼3개의 스틸패널(11)이 하나의 에어백에 의해 작동되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틸패널과 에어백이 1 : 1 로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간격유지관(30)은 도 1,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패널(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관(31)과, 지지관(31)에 일측단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타측단이 가동패널(10)의 상단에 걸림설치되어 지지관(31)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대(3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관(31)은 복수의 스틸패널(11)에 연결되어지도록 가동패널(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스틸패널(11) 및 상단지지패널(40)이 접촉지지되도록 바 또는 봉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관(31)은 일측면이 가동패널의 후면에 면접촉지지되고 타측면이 상단지지패널에 면접촉지지되는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지지관(31)이 사각단면 구조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관(31)은 복수의 스틸패널(11)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가동패널이 균일한 각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기능, 가동패널의 상단 강성을 보강하여 부유물 등으로부터 가동패널을 보호하는 기능 및, 이물질 방지판이 접촉지지도록 하기 위한 공간확보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대(32)는 지지관(31)을 가동패널의 상단(12)에 걸림설치하는 것으로, 하향으로 개방된 걸림구(35)를 구비하고 일측단이 가동패널의 전면(10b)에 접촉지지되도록 지지관의 상면(31a)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개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걸림대(32)는 지지관의 상면(31a)에 고정설치되는 걸림고정판(33)과, 걸림고정판(33)의 끝단에 직교되도록 절곡형성되어 가동패널의 전면(10b)에 면접촉되어지는 걸림접촉판(34)을 포함하여, 지지관(31)과의 사이에 하향개방된 걸림구(35)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대(32)는 걸림고정판(33)과 걸림접촉판(34)이 일체로 형성된 'ㄱ' 단면구조를 구비하고, 걸림고정판(33)의 일측이 지지관의 상면(31a)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간격유지관(30)은, 가동패널의 후면 상단에 지지관(31)이 가동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지도록, 복수의 걸림대(32)에 의해 가동패널의 상단에 걸림설치된다. 즉, 걸림대(32)와 지지관(31)에 의해 형성되어진 하향개방된 걸림구(35)에 가동패널의 상단(12)이 삽입결합되어 간격유지관(30)이 지지되게 된다.
상기 상단지지패널(40)은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패널(10)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고, 지지관(31)에 상단이 접촉지지되는 지지패널(41)과, 지지관의 상면(31a)에 접촉지지되도록 지지패널(41)의 상단에서 일체로 절곡형성된 상단패널(42)과, 가동패널의 후면(10c)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지도록 지지패널(41)의 하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의 상단을 접촉지지하는 걸림패널(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패널(41)에는 스터드 볼트(44)가 일체로 용접설치되어 가동패널에 너트체결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패널(40)은 가동패널(10)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시, 지지패널(41)의 일측이 간격유지관의 지지관 후면(31b)에 면접촉되어 지지관(31)을 가동패널의 후면(10c)에 가압밀착(F1)시키고, 상단패널(42)이 지지관의 상면(31a)에 면접촉되어 지지관(31)을 가동패널의 하측방향으로 가압하여 가동패널의 상면(10a)에 걸림대(32)를 가압밀착(F2)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상단지지패널(40)에 의해 지지관(31)이 설치될 경우, 가동패널의 후면(10c)에 간격유지관의 지지관(31)이 견고하게 밀착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단지지패널(40)은 가동패널(10)에 고정될 시, 지지패널(41)과 지지관(31)의 접촉지지에 의해, 지지패널(41)과 가동패널 후면(10c)사이에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의 상단이 삽입되어지는 상단지지공간(S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하단지지패널(50)은 기초콘크리트에 구비된 설치홈(110)내에 설치되어,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의 하단을 접촉지지하는 것으로, 설치홈의 바닥면(111)과의 사이에 하단지지공간(S2)이 구비되도록 기초콘크리트(100)에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하단지지패널(50)은, 하단패널(51)과, 하단패널(51)의 일측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이물질 유입방지판(60)에 접촉지지되는 걸림턱(52)과, 하단패널(51)의 일측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하단패널(51)이 설치홈 바닥면(111)에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턱(53)과, 지지턱(53)에 의해 설치홈의 바닥면(111)과 하단패널(51) 사이에 형성되어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의 하단이 삽입설치되는 하단지지공간(S2)을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은 가동보의 작동 즉, 가동패널의 기립 또는 도복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 및 탄력성을 구비하는 후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이 상단지지패널(40)에 의해 가동패널의 후면(10c)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밀착접촉되어 지지되고, 하측이 하단지지패널(50)에 의해 기초콘크리트의 설치홈(110)내에 수밀이 유지되도록 밀착접촉되어 지지된다.
즉,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에 스토퍼(63)가 일체로 형성된 상/하단지지부(61,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지지부(61)가 가동패널(10)과 상단지지패널(40) 사이에 형성된 상단지지공간(S1)내로 삽입되고, 하단지지부(62)가 설치홈 바닥면(111)과 하단지지패널(60) 사이에 형성된 하단지지공간(S2)내로 삽입되며, 상단지지패널의 걸림패널(43)과 하단지지패널의 걸림턱(52)에 의해 상/하측이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은, 가동패널의 후면(10c)에서 기초콘크리트(100)에 연결되어지도록 설치되되, 에어백이 외부로 노출되어지지 않도록 소정길이(L)를 구비하며 가동패널(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패널의 후면 전체에 걸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 이물질 유입방지판과 이에 이웃하는 또다른 이물질 유입방지판은 2∼20㎜의 사이틈새(G)를 구비하며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이틈새(G)를 구비하며 복수개로 분할설치된 이물질 유입방지판은, 가동패널의 도복작동시, 가동패널에 연계되어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 아니라, 기립작동시, 가동패널에 연계되어 에어백 방향으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지는 효과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은 고무 또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접힘 및 펼침이 이루어지도록 에어백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된다. 미설명부호 70 은 전도방지밴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에어백에 의해 가동패널이 기립작동될 시, 기립작동되는 가동패널에 의해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가동패널과 기초콘크리트 사이에서 펼쳐지게 되어, 가동패널을 타고 물과 함께 넘어오는 이물질 및, 하류측에서 발생되어진 와류에 의해 에어백 방향으로 유입되어지는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패널이 하류방향으로 도복 작동될 시,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접힘되어지므로, 가동패널의 도복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도복된 상태에서도 에어백과 가동패널 사이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가동패널 (10a) : 상면
(10b) : 전면 (10c) : 후면
(11) : 스틸패널 (12) : 가동패널 상단
(20) : 에어백 (30) : 간격유지관
(31) : 지지관 (31a) : 상면
(31b) : 후면 (32) : 걸림대
(33) : 걸림고정판 (34) : 걸림접촉판
(35) : 걸림구 (40) : 상단지지패널
(41) : 지지패널 (42) : 상단패널
(43) : 걸림패널 (50) : 하단지지패널
(51) : 하단패널 (52) : 걸림턱
(53) : 지지턱 (60) : 이물질 유입방지판
(61) : 상단지지부 (62) : 하단지지부
(63) : 스토퍼 (100) : 기초콘크리트
(110) : 설치홈 (111) : 바닥면

Claims (8)

  1. 기초콘크리트(1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복수의 스틸패널(11)로 이루어진 가동패널(10);
    가동패널과 기초콘크리트에 동시 접촉되도록 기초콘크리트에 고정설치되어 압축공기의 공급/배출에 의해 팽창수축되어 가동패널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에어백(20);
    가동패널의 후면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가동패널의 상단에 걸림설치되는 간격유지관(30);
    간격유지관의 일측에 접촉지지되고 가동패널에 볼트체결되어 고정설치되는 상단지지패널(40);
    가동패널의 하류방향에 위치되도록 기초콘크리트에 형성된 설치홈(110)내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지패널(50);
    에어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단지지패널에 의해 상단이 접촉지지되고, 하단지지패널에 의해 하단이 접촉지지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을 포함하되,
    상기 상단지지패널(40)은, 가동패널(10)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고, 간격유지관의 지지관(31)에 상단이 접촉지지되는 지지패널(41)과, 지지관의 상면(31a)에 접촉지지되도록 지지패널(41)의 상단에서 일체로 절곡형성된 상단패널(42)과, 가동패널의 후면(10c)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지도록 지지패널(41)의 하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의 상단을 접촉지지하는 걸림패널(43)을 포함하며,
    에어백의 팽창수축시 가동패널이 처짐현상없이 기립 또는 도복되고, 가동패널과 에어백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간격유지관(30)은, 가동패널(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관(31)과, 지지관(31)에 일측단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타측단이 가동패널(10)의 상단에 걸림설치되어 지지관(31)을 지지하는 복수의 걸림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지지관(31)은, 일측면이 가동패널의 후면에 면접촉지지되고 타측면이 상단지지패널에 면접촉지지되는 중공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4. 청구항 2 에 있어서;
    걸림대(32)는, 지지관의 상면(31a)에 고정설치되는 걸림고정판(33)과, 걸림고정판(33)의 끝단에 직교되도록 절곡형성되어 가동패널의 전면(10b)에 면접촉되어지는 걸림접촉판(34)을 포함하여, 지지관(31)과의 사이에 하향개방된 걸림구(35)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단지지패널(40)은, 가동패널(10)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시, 지지패널(41)의 일측이 간격유지관의 지지관 후면(31b)에 면접촉되어 지지관(31)을 가동패널의 후면(10c)에 가압밀착(F1)시키고, 상단패널(42)이 지지관의 상면(31a)에 면접촉되어 지지관(31)을 가동패널의 하측방향으로 가압하여 가동패널의 상단(12)에 걸림대(32)를 가압밀착(F2)시켜, 가동패널의 후면(10c)에 간격유지관의 지지관(31)이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하단지지패널(50)은, 하단패널(51)과, 하단패널(51)의 일측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이물질 유입방지판(60)에 접촉지지되는 걸림턱(52)과, 하단패널(51)의 일측단에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하단패널(51)이 설치홈 바닥면(111)에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턱(53)과, 지지턱(53)에 의해 설치홈의 바닥면(111)과 하단패널(51) 사이에 형성되어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의 하단이 삽입설치되는 하단지지공간(S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이물질 유입방지판(60)은, 가동패널의 후면 전체에 걸쳐 위치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되고, 일측 이물질 유입방지판과 이에 이웃하는 또다른 이물질 유입방지판은 2∼20㎜의 사이틈새(G2)를 구비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KR1020190175177A 2019-12-26 2019-12-26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KR102103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177A KR102103488B1 (ko) 2019-12-26 2019-12-26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177A KR102103488B1 (ko) 2019-12-26 2019-12-26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488B1 true KR102103488B1 (ko) 2020-04-23

Family

ID=70472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177A KR102103488B1 (ko) 2019-12-26 2019-12-26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4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128A (ja) * 1999-02-02 2000-08-08 Marsima Aqua System Corp 土砂排除機能付き起伏ゲート
KR100711052B1 (ko) * 2006-05-29 2007-04-27 모태원 에어백을 구비하는 루버댐
KR100994552B1 (ko) 2008-04-28 2010-11-16 주식회사 청수환경 역전도방지용 공압식 가동보
KR101469952B1 (ko) 2013-11-14 2014-12-08 (주)대도엔텍 전도 및 퇴적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장치
KR20170044085A (ko) * 2014-07-18 2017-04-24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물 조절 게이트 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858726B1 (ko) 2018-03-12 2018-05-17 이한욱 가동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128A (ja) * 1999-02-02 2000-08-08 Marsima Aqua System Corp 土砂排除機能付き起伏ゲート
KR100711052B1 (ko) * 2006-05-29 2007-04-27 모태원 에어백을 구비하는 루버댐
KR100994552B1 (ko) 2008-04-28 2010-11-16 주식회사 청수환경 역전도방지용 공압식 가동보
KR101469952B1 (ko) 2013-11-14 2014-12-08 (주)대도엔텍 전도 및 퇴적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장치
KR20170044085A (ko) * 2014-07-18 2017-04-24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물 조절 게이트 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858726B1 (ko) 2018-03-12 2018-05-17 이한욱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359B1 (ko)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JP2001525025A (ja) 液体せき止め保護堤防を形成するためのせき止め装置
KR102103488B1 (ko)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KR100668505B1 (ko) 유압식 가동보
KR20060078727A (ko)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JP2005076277A (ja) 起伏ゲート
KR100669151B1 (ko) 공압식 가동보
RU2246580C2 (ru) Заграждение для защиты от паводка (варианты)
KR200316356Y1 (ko) 공압식 가동보의 물흐름 유도장치
KR100781134B1 (ko) 고무보
KR100994552B1 (ko) 역전도방지용 공압식 가동보
KR200333086Y1 (ko) 공압식 가동보의 본체 보호장치
KR200316343Y1 (ko) 수위조절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KR100865872B1 (ko) 여울형 가동보 장치
KR200333085Y1 (ko) 공압식 가동보의 저류수 배출장치
JP4000513B2 (ja) 高潮防止用水門
KR200340987Y1 (ko) 어도가 형성되고 심층수 배출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JP3546383B2 (ja) 起伏ゲート
RU2374385C2 (ru) Защитное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е сооружение
JPH1060866A (ja) 砂防ダム
KR200380501Y1 (ko)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KR20030077521A (ko) 가동형 어도
JP2016211337A (ja) 河床に設置される魚道
KR102088481B1 (ko) 직립식 가동보
DE202007018230U1 (de) Hochwasserschutzw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