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501Y1 -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501Y1
KR200380501Y1 KR20-2004-0037653U KR20040037653U KR200380501Y1 KR 200380501 Y1 KR200380501 Y1 KR 200380501Y1 KR 20040037653 U KR20040037653 U KR 20040037653U KR 200380501 Y1 KR200380501 Y1 KR 200380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ydraulic cylinder
fixed
panels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유탁
Original Assignee
윤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유탁 filed Critical 윤유탁
Priority to KR20-2004-0037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린더로드의 수평운동에 의해 지면에 대해서 세워짐과 눕혀짐의 회동작용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패널의 후면에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패널의 후방에 일정한 깊이로 길이방향으로 파여져 유압실린더가 수평되게 수용되는 수장부; 수장부의 후단에 제2 앵커볼트로 고정되고 유압실린더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해 그 일단부와 힌지로 결합된 토출방지판; 수장부의 전방과 패널 사이의 하상 콘크리트의 표면에 수평·고정되어 실린더 로드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레일; 및 일단부에 롤러가 결합된 제1 관절을 가지고 가이드레일에 피봇되며 타단부에 제2 관절이 구비되어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피봇 된 후 실린더 로드의 수평운동 때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고정레일을 따라 회동운동 하면서 패널을 회동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간략한 구조의 링크부재와 관절들을 이용하여 패널을 지지 및 회동시킴으로써, 가동보의 설치 및 해체작업 때 작업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또 패널이 세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패널의 극심한 요동이 링크부재와 관절들에 의해 흡수되어짐으로써, 유압실린더의 내구연한이 연장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A PANEL OF OIL PRESSURE TYPE MOVABLE}
본 고안은 강이나 하천 등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보(可動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로드의 수평운동에 의해 지면에 대해서 세워짐과 눕혀짐의 회동작용으로 높이가 변화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패널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고 또 패널이 세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패널의 극심한 요동을 흡수시켜 유압실린더의 수명단축을 방지하면서도 구조의 간략화에 따른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둑으로서 절첩식 또는 기복식 등의 많은 고무댐(RUBBER DAM)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둑으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들의 대부분은 그 고무튜브(에어백)의 팽창·기복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에어백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및 송풍기, 수위조절을 위한 플로트(float) 밸브 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무댐은 고무튜브를 이용, 보(Weir)를 설치함으로써, 홍수위에서는 도복되어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와 수평을 이루어 통수(通水) 단면적에 지장을 주지 않으나, 수위조절에 한계가 있어 하천의 담수기능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는데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고무튜브가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산간지역 등에서의 낙석 또는 강한 수압에 의해 하상으로 구르는 날카로운 유석 또는 유목 등의 유화물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고무튜브가 찢어지거나 구멍이나 제방용 둑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고무튜브 및 고강도의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 보를 형성한 다음 이를 공압으로 하여, 고무튜브를 기복 또는 도복시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을 눕히고 일으켜 세움으로써 하천의 수위가 용이하게 조절되고, 또한 상류에서 내려오는 유화물에 따른 고무튜브의 소손을 콘크리트 패널이 미리 차단시켜 보호해 주는 공압식 가동보가 많이 안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공압식 가동보의 한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67227호(명칭: 공압식 가동보)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367227호에 의한 공압식 가동보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하천 바닥에 타설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축 지지대가 설치되는 복수의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설치된 상기 축 지지대와 회전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강도 보강을 위해 배면에 보강패널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패널의 양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축 지지대와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턱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를 실링하도록 제1 실링부재가 하단부에 설치되며, 양측면을 실링하는 제2 실링부재가 양면에 설치되고, 물의 맥동을 차단하는 볼텍스 스포일러가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패널로 이루어진 패널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작은 팽창력으로도 상기 패널을 개폐시키도록 수심의 1/5 내지 3/5지점인 상기 각 패널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며, 공기 압축수단에 의해 수축 팽창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패널을 회동시키는 복수의 에어백; 상기 패널부의 전방에는 부유물을 상기 패널측으로 유도하도록 전면부가 라운딩된 라운딩부; 상기 패널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라운딩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스토퍼를 구비하는 보호기둥을 포함하는 공압식 가동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허등록 제367227호에 의한 공압식 가동보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되어 보강패널을 밀어주게 되면 고강도의 콘크리트 패널부 전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물의 흐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거의 수직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목적하는 수위로 물이 저장되고, 반대로 에어백의 공기를 배출시켜 도복시키면 그 에어백에 의해 지지되던 상기 패널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물의 흐름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수평상태로 놓이게 됨으로써, 상류의 물이 하류로 방류되어 수위가 조절되는 것이다. 즉 에어백의 팽창과 수축에 의해 고강도의 콘크리트 패널이 기복 및 도복되어 물이 저장 및 방류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등록 제367227호에 의한 공압식 가동보에 의하면, 고강도 콘크리트 패널부와 이를 지지하여 주는 받침대, 그리고 상기 고강도 콘크리트 패널부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등이 각각 분리되어 하천 바닥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수작업공수의 증가에 비하여 작업효율이 극히 저하되고, 또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동보의 유지 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강폭방향으로 고가의 에어백들을 사용함으로써 설치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패널부가 세워지는 과정에서 그 패널부에 가해지는 수압과 이를 제어하려는 에어백의 공압이 충돌하게 됨과 아울러 매우 유동적인 수압의 작용에 의해 패널부 및 에어백이 극심하게 요동할 뿐만 아니라 잘못하여 에어백이 터지거나 콘크리트 패널부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시설비용 면에서는 보다 저렴한 유압식 가동보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패널과 유압실린더를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시공과 유지보수가 편리한 유압식 가동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에 대해 세워짐과 눕혀짐의 회동작용을 하는 패널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면서 패널이 세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패널의 극심한 요동을 흡수시켜 가동보의 안정성을 보장해 주도록 하는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ㄱ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패널 개폐장치는 하상 콘크리트의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패널과 하상 콘크리트의 수장부에 수평·고정되어 있는 유압실린더를 링크부재와 요동 흡수를 위한 관절들로 결합하여, 실린더로드의 수평운동으로 복수의 패널을 회동시켜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강 또는 하천의 폭만큼 연이어 설치되는 패널과 패널 사이 또는 패널과 하상 콘크리트 사이의 수밀을 보다 견고하게 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패널 개폐장치는 패널과 패널 사이의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패널의 양 측벽에 폭방향을 따라 요철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패널들이 상기 요철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배열 설치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에 의하면, 하천을 가로질러 하상 콘크리트에 다수의 제1 앵커볼트로 나란히 배열 고정된 복수의 지지체에 복수의 패널을 회동운동 가능케 설치하고 복수의 유압실린더의 로드로 상기 패널들을 회동시켜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보에 있어서;
(1) 상기 패널의 후면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2) 상기 패널의 후방 하상 콘크리트에 일정한 깊이로 길이방향으로 파여져 상기 유압실린더가 수평되게 수용되는 선단이 개방된 수장부;
(3) 상기 수장부의 후단에 제2 앵커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해 그 일단부와 힌지로 결합된 토출방지판;
(4) 상기 수장부의 전방과 상기 패널 사이의 하상 콘크리트의 표면에 수평·고정되어 상기 로드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레일;
(5) 일단부에 롤러가 결합된 제1 관절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피봇되며 타단부에 제2 관절이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피봇(pivot) 된 후 상기 로드의 수평운동 때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고정레일을 따라 회동운동 하면서 상기 패널을 회동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상 콘크리트의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패널과 하상 콘크리트의 수장부에 수평·고정되어 있는 유압실린더를 링크부재와 요동 흡수를 위한 관절들로 결합하여, 실린더로드의 수평운동으로 복수의 패널을 회동시켜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하천 또는 강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패널이 간략한 구조로 이루어진 링크부재와 관절들로 결합되어짐으로써, 가동보의 설치 및 해체작업 때 작업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또 패널이 세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패널의 극심한 요동이 흡수되어 유압실린더의 내구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가동보가 하상 콘크리트에 설치되어 하천을 막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를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고, 도 5은 도 4의 이웃하는 패널들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패널 개폐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량, 내부식성, 고강도, 고내구성 특성을 보유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며 하상 콘크리트(60)에 강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다수의 제1 앵커볼트(28)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체(20)와, 단위면적을 가지는 상부판(11)과 하부판(12)이 좌, 우 양측벽(13)(14)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단일체로 형성된 직사각 단면 형상의 튜브로,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의 일측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구형 단면 형상의 볼조인트(10a)가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일측을 폐쇄한 상태로 지지체(20)에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 복수의 패널(10)과, 패널(10)의 하부판(12)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31)과, 패널(10)의 후방 하상 콘크리트(60)에 일정한 깊이로 길이방향으로 파여져 로드(50a)를 가지는 유압실린더(50)가 수평되게 수용되는 선단이 개방된 수장부(30)와, 수장부(30)의 후단에 제2 앵커볼트(33a)로 고정되고 유압실린더(50)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해 그 일단부와 힌지(50b)로 결합된 토출방지판(33)과, 수장부(30)의 전방과 패널(10) 사이의 하상 콘크리트(60)의 표면에 수평·고정되어 로드(50a)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레일(35)과, 일단부에 롤러(34)가 결합된 제1 관절(32a)을 가지고 가이드레일(31)에 피봇됨과 아울러 타단부에 제2 관절(32b)이 구비되어 유압실린더(50)의 로드(50a)에 피봇 된 후 로드(50a)의 수평운동 때 양단부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31)과 고정레일(35)을 따라 회동운동 하면서 패널(10)을 회동시키는 링크부재(32)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지지체(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형 판체의 일측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구형 단면 형상의 제1 요홈(22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제1 요홈(22a)이 위로 향하도록 하상 콘크리트(60)의 표면과 수평되게 매설되는 제1 캡쳐부재(22)와, 평판형 판체의 일측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구형의 1/2인 단면 형상의 제2 요홈(24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1 캡쳐부재(22)의 제1 요홈(22a)과 동일선상으로 형합된 후 제1 앵커볼트(28)와 너트(28a)의 조임에 의해 패널(10)들의 볼조인트(10a)를 회동 가능하게 잡아주는 제2 캡쳐부재(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복수의 패널(10)은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벽(13)(14)의 사이에 개재되어 동일한 폭을 가지는 정사각 단면 형상의 제1, 제2 튜브(16)(17)를 형성하는 보강용 격벽(15)과, 좌우 양측벽(13)(14)의 외측 상부쪽 및 하부쪽에 상호 비대칭 방향으로 연속 돌출·형성되어 이웃하는 패널들의 체결편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 제2 장축홈(13a)(14a)과, 상부판(11)과 하부판(12)의 일측 연부에 제1, 제2 튜브(16)(17)의 폭만큼 상호 비대칭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들의 단부가 직각 절곡된 제1, 제2 체결편(18a)(19a)을 가지고 상기 이웃하는 패널들의 제1, 제2 장축홈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상,하부 연장판(18)(19)과, 상기 제1, 제2 튜브(16)(17)의 타측에 억지 끼워져 물이 월류할 때 복수의 패널(10) 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물의 맥동을 방지하여 주는 "ㄱ"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고무패킹(4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d에서와 같이 복수의 패널(10)이 하천의 바닥에 눕혀져 있는 상태에서 물을 저장하기 위해 복수의 패널(10)을 세우고자 할 경우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조작실에서 수장부(50)에 수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50)의 유압을 유출시켜 그의 로드(50a)를 실린더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로드(50a)가 고정레일(35)을 따라 유압실린더(50)쪽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제2 관절(32b)로 연결된 링크부재(32)를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유압실린더(50)는 토출방지판(33)에 힌지(50b)로 결합되어 있음으로, 링크부재(32)에서 끌어당기는 힘에 비례하는 반작용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수장부(30)로부터 토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유압실린더(50)의 로드(50a)가 후진운동을 할수록 링크부재(32)는 제2 관절(32b)을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로드(50a)에 대해 전방쪽으로 펴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제1 관절(32a)에 의해 링크부재(32)의 선단에 결합된 롤러(34)가 복수의 패널(10)의 하부판(12)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수직하향 운동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복수의 패널(10)을 상류쪽 즉, 물흐름 반대방향으로 서서히 밀어주게 된다.
이때, 강화섬유 복합소재, 즉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로부터 선택되는 강화섬유와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폐놀 또는 에폭시로부터 선택되는 수지로 이루어진 복수의 패널(10)들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의 일 측의 하단에 구형 단면 형상의 볼조인트(10a)가 각각 형성되어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지지체(20)의 제1 캡쳐부재(22)와 제2 캡쳐부재(24)가 이루는 제1, 제2 요홈(22a)(24a)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므로 제1 링크부재(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제2 캡쳐부재(22)(24)의 제1, 제2 요홈(22a)(24a)을 축으로 서서히 물흐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세워지게 된다.
즉 다시 말해서, 전술한 패널(10)들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벽(13)(14)의 외측 상부쪽 및 하부쪽에 각각 제1, 제2 장축홈(13a)(14a)이 비대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의 일측 연부에는 각각 제1, 제2 체결편(18a)(19a)을 가지는 상, 하부 연장판(18)(19)이 상호 비대칭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음으로, 이웃하는 패널들과 결합할 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10)의 제1, 제2 장축홈(13a)(14a)과 제1, 제2 체결편(18a)(19a)에 이웃하는 패널들의 제1, 제2 체결편과 제1, 제2 장축홈을 일치시킨 다음 수직하향으로 밀어주는 것에 의해 도 4와 같이 복수의 패널(10)들이 틈새 없이 일렬로 결합되어지게 되므로 상기 패널과 패널의 사이로 발생되는 누수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진 복수의 패널(10)들은 지지체(20)의 제1 캡쳐부재(22)에 그 하중이 지지되고, 또 지지체(20)의 제1, 제2 캡쳐부재(22)(24)는 앵커볼트(28)에 의해 하상 콘크리트(60)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결과적으로 로드(50a)의 후진운동에 의한 링크부재(32)의 반시계 방향 회동에 따라 복수의 패널(10)들이 동시에 상류쪽으로 밀리면서 제1, 제2 캡쳐부재(22)(24)의 제1, 제2 요홈(22a)(24a)을 축으로 반시계 방향, 즉 물흐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스토퍼 역할을 하는 제2 캡쳐부재(24)들의 선단에 패널(10)들의 하단부가 접촉될 때 그 복수의 패널(10)의 회동이 정지되고, 아울러 링크부재(32) 역시 유압실린더(50)의 로드(50a)와 완만한 각을 이루면서 회동동작을 멈추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술한 패널(10)들은 도 3 및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부재(32)에 지지된 상태로 지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세워져 상류에서 하류로 흐르는 물을 차단하여 수위를 조절해 주게 된다. 여기서 제1 캡쳐부재(22)의 제1 요홈(22a)의 쪽호와 상기 제2 캡쳐부재(22)의 제2 요홈(24a)의 쪽호가 이루는 각은 원호의 중심축에 대하여 13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의 패널(10)들이 물의 흐름방향에 대해 135°의 회동범위 내에서 지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세워지거나 수평하게 눕혀져 수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패널(10)이 세워지는 과정에서 그 패널(10)에 가해지는 수압과 이를 제어하려는 유압실린더(50)의 유압이 충돌하게 됨과 아울러 매우 유동적인 수압의 작용에 의해 극심한 요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 하로 회동이 자유로운 제1, 제2 관절(32a)(32b)에 의해 모두 흡수되기 때문에 관절부가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링크부재(32)가 모든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패널(10)들이 세워진 상태에서 하류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수압을 링크부재(32)가 모두 감당하여 유압실린더(50)에는 그 힘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유압실린더(50)의 압을 유지하기 위한 힘이 필요 없으며, 그에 따른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언급한 복수의 패널(10)이 지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세워져 목적하는 수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류로부터 지속적으로 흘러 내려오는 유입수량에 의해 담수 량이 점점 증가하여 목적수위를 벗어나 패널(10)들의 상부로 월류(越流) 경우, 복수의 패널(10)의 제1, 제2 튜브(16)(17) 내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나, 이때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패널(10)의 상부, 즉 제1, 제2 튜브(16)(17)들의 상부에 고무패킹(40)들이 억지 끼워져 수밀을 유지하고 있음으로 물이 패널(10)들 내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패널(10)들의 상부를 통해 월류된 물이 낙하될 때 복수의 고무패킹(40)에 의해 패널(10)들의 후방에 공기가 공급되어 패널(10)들의 후방이 진공 상태로 되지 않아 물의 맥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시이트(26)의 일단부가 지지체(20)의 제1, 제2 캡쳐부재(22)(2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 캡쳐부재(24)를 덮은 상태로 복수 패널(10)의 상부판(11)의 면에 밀착 고정되어 수밀을 유지하고 있음으로 물이 제1, 제2 캡쳐부재(22)(24)와 패널(10)들의 볼조인트(10a) 사이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7a와 같은 상태에서 강 또는 하천에 담수된 물을 방류하고자 할 경우에는 유압을 통해 유압실린더(50)를 작동시켜 로드(50a)를 배출시키면 그 로드(50a)가 고정레일(35)을 따라 서서히 전진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50)의 로드(50a)가 전진운동을 할수록 링크부재(32)는 제2 관절(32b)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로드(50a)에 대해 후방쪽으로 접혀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제1 관절(32a)에 의해 링크부재(32)의 선단에 결합된 롤러(34)가 복수의 패널(10)의 하부판(12)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수직상향 운동 및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복수의 패널(10)을 하류쪽 즉, 물흐름 방향으로 서서히 잡아당겨 주게 된다.
그리고, 링크부재(32)가 유압실린더(50)의 로드(50a)에 접혀지게 되면 복수의 패널(10)들 역시 지지체(20)의 제1, 제2 요홈(22a)(24a)을 축으로 시계방향, 즉 물흐름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7d와 같이,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놓이거나 비스듬하게 놓이게 된다. 복수의 패널(10)이 지면에 대해 수평 또는 비스듬한 상태가 되면 상류의 담수된 물이 복수의 패널(10)들을 거쳐 하류로 방류되어 수위가 조절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에어백과 고강도 콘크리트 패널부를 분리시켜 하천의 콘크리트에 각각 설치해야 주어야 하고, 또 패널부가 세워지는 과정에서 그 패널부에 가해지는 수압과 이를 제어하려는 에어백의 공압이 충돌하여 가동보가 심하게 요동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패널과 하상 콘크리트의 수장부에 수평·고정되어 있는 유압실린더를 간략한 구조의 링크부재와 요동 흡수를 위한 관절들로 결합하여 수위를 조절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간략한 구조로 이루어진 링크부재와 관절들을 이용하여 패널들과 결합해 줌으로써, 가동보의 설치 및 해체작업 때 작업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패널이 세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패널의 극심한 요동이 흡수되어짐으로써, 유압실린더의 내구연한이 연장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유압식 가동보에 의하면, 하천 또는 강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패널이 간략한 구조로 이루어진 링크부재와 관절들로 결합되어져 있기 때문에 가동보의 설치 및 해체작업 때 작업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패널이 세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패널의 극심한 요동이 흡수되기 때문에 유압실린더의 내구연한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유압식 가동보가 하상 콘크리트에 설치되어 하천을 막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를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고,
도 5은 도 4의 이웃하는 패널들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패널 개폐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도 2의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패널 10a : 볼조인트
11 : 상부판 12 : 하부판
15 : 격벽 16, 17 : 제1, 제2 튜브
20 : 지지체 22, 24 : 제1, 제2 캡쳐부재
30 : 수장부 31 : 가이드레일
32 : 링크부재 32a : 관절
35 : 고정레일 50 : 유압실린더

Claims (2)

  1. 하천을 가로질러 하상 콘크리트에 다수의 제1 앵커볼트로 나란히 배열 고정된 복수의 지지체에 복수의 패널을 회동운동 가능케 설치하고 복수의 유압실린더의 로드로 상기 패널들을 회동시켜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보에 있어서;
    (1) 상기 패널의 후면에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
    (2) 상기 패널의 후방 하상 콘크리트에 일정한 깊이로 길이방향으로 파여져 상기 유압실린더가 수평되게 수용되는 선단이 개방된 수장부;
    (3) 상기 수장부의 후단에 제2 앵커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토출을 방지하기 위해 그 일단부와 힌지로 결합된 토출방지판;
    (4) 상기 수장부의 전방과 상기 패널 사이의 하상 콘크리트의 표면에 수평·고정되어 상기 로드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레일; 및
    (5) 일단부에 롤러가 결합된 제1 관절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피봇(pivot)되며 타단부에 제2 관절이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피봇 된 후 상기 로드의 수평운동 때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고정레일을 따라 회동운동 하면서 상기 패널을 회동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캡쳐부재와 상기 복수의 패널은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KR20-2004-0037653U 2004-12-31 2004-12-31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KR200380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53U KR200380501Y1 (ko) 2004-12-31 2004-12-31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653U KR200380501Y1 (ko) 2004-12-31 2004-12-31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8041A Division KR20060078727A (ko) 2004-12-31 2004-12-31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501Y1 true KR200380501Y1 (ko) 2005-03-30

Family

ID=4368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653U KR200380501Y1 (ko) 2004-12-31 2004-12-31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5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86B1 (ko) 2007-10-05 2008-07-28 김상현 무언체 전도 수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86B1 (ko) 2007-10-05 2008-07-28 김상현 무언체 전도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9056A (ko)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엑츄에이터
KR100668505B1 (ko) 유압식 가동보
RU2005120241A (ru) Опорные конструкции для гидротурбин (включая турбины, работающие от энергии прилива)
US20080240861A1 (en) Prefabricated levee apparatus and system
KR20060078727A (ko)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DE60218526T2 (de) Flexible wasserbarriere
KR100669151B1 (ko) 공압식 가동보
CN109629522B (zh) 一种双向隐藏式气盾坝
KR200380501Y1 (ko)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CN105133622B (zh) 一种异形截面支护桩封闭式围护体系及其施工方法
KR200380500Y1 (ko) 유압식 가동보
KR100994552B1 (ko) 역전도방지용 공압식 가동보
KR200333084Y1 (ko) 공압식 가동보의 스틸패널 체결장치
KR200316343Y1 (ko) 수위조절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KR200333085Y1 (ko) 공압식 가동보의 저류수 배출장치
KR200384303Y1 (ko) 공압식 가동보
KR200316356Y1 (ko) 공압식 가동보의 물흐름 유도장치
KR100457648B1 (ko) 공압식 가동보의 접합구조
US4599854A (en) Adjustable draft tube
JP3546383B2 (ja) 起伏ゲート
CN110080165B (zh) 一种可快速构筑的拱形薄壁结构挡水坝及其应用方法
JP3546380B2 (ja) 起伏ゲート
KR200333086Y1 (ko) 공압식 가동보의 본체 보호장치
KR20010075833A (ko) 공압식 가동보
KR20200001380U (ko) 다기능판을 구비하는 공압식 가동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