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726B1 - 가동보 - Google Patents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726B1
KR101858726B1 KR1020180028471A KR20180028471A KR101858726B1 KR 101858726 B1 KR101858726 B1 KR 101858726B1 KR 1020180028471 A KR1020180028471 A KR 1020180028471A KR 20180028471 A KR20180028471 A KR 20180028471A KR 101858726 B1 KR101858726 B1 KR 101858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ter level
level adjusting
wate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욱
Original Assignee
이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욱 filed Critical 이한욱
Priority to KR1020180028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고기가 수로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어도를 형성할 수 있고 에어백 주변의 진흙, 이끼 등 이물질에 의한 미관의 저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구조의 가동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는, 수로 바닥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수로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이고 에어백의 전면에 설치되어 에어백의 팽창시 기립하고 수축시 도복함으로써 수로의 저수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패널과, 상단과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상단이 접철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기립한 수위조절패널과 함께 산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후방에서 경사면을 형성하는 슬라이드패널과, 상기 슬라이드패널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수로 바닥에서 구름운동하는 구름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동보{MOVABLE WEIR}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등에서 패널의 높이를 변화시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동보(可動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주입과 배출에 따른 에어백의 기립에 따라 수위의 조절이 가능하고, 수위조절패널의 후방에 슬라이드패널이 함께 설치됨으로써 어도의 형성과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또는 공업용 취수보를 형성하거나, 상수도용 취수보의 형성을 위해 수로의 물을 막는 패널이 에어백에 의해 기립 및 도복할 수 있는 구조의 공압식 가동보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10-0669151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그와 같은 가동보의 일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하천(1)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기초판체(3)와, 경도가 강한 고무판체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가 겹쳐져 기초판체(3)의 하부부근에서 수밀이 유지되게 결합되어 공기압에 의해서 기립 및 도복할 수 있는 에어백(2)과, 저부의 콘크리트를 통해 에어백(2) 내로 공기를 주입 및 배출시키는 공기배관(5)이 설치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공기배관(5)을 통해 에어백(2)으로 공급되고, 그 에어백(2)이 공기압에 의해 서서히 팽창·기립하면서 기초판체(3)를 상류쪽, 즉 물흐름 반대방향으로 서서히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하천(1)의 물이 기초판체(3)에 의해 막혀 하천(1)의 수위가 상승할 수 있으며, 필요한 수위가 형성된 후 기초판체(3)의 전방에 계속 유입되는 물은 기초판체(3)를 넘어 하류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가동보의 경우, 기초판체(3)가 하천(1)을 차단하고 있으므로 하류의 물고기가 상류로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천(1)의 수량이 풍부한 경우에는 상기 기초판체(3)를 넘어 낙하하는 수류가 형성될 수 있으나, 폭포와 같이 기초판체(3)의 상단에서부터 낙하하는 수류를 타고 물고기가 진행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가동보의 구조에서는 기초판체(3)의 후방에 위치하는 에어백(2)의 주위로 진흙, 자갈, 이끼 등이 침전, 축적됨으로써 주변 미관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주기적인 청소 등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고기가 수로를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어도를 형성할 수 있고 에어백 주변의 진흙, 이끼 등 이물질에 의한 미관의 저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구조의 가동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는, 수로의 저부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수로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이고 상기 에어백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의 팽창시 기립하고 수축시 도복함으로써 상기 수로의 저수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패널과, 상단과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상단이 접철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기립한 상기 수위조절패널과 함께 산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후방에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도복시 상기 수위조절패널과 함께 펼쳐지는 슬라이드패널과, 상기 슬라이드패널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 바닥에서 구름운동하는 구름롤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기립시 상기 수위조절패널에서 넘쳐 흘러 상기 슬라이드패널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어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보는, 상기 슬라이드패널의 하단에 설치되어 수로의 폭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에 자유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설치되어 수로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푸쉬면이 후방을 향하는 푸쉬바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도복시에 상기 슬라이드패널이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푸쉬바가 수로 바닥의 이물질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보는, 상기 슬라이드패널이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진입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패널이 수축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하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내부에서 상기 상판부의 상단과 상기 하판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구속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축은 상기 하판부의 하단에 설치된 것이며, 상기 수위조절패널이 기립시에 상기 푸쉬바로부터 소정거리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로의 바닥에 고정설치된 스토퍼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도복시, 상기 푸쉬바가 상기 스토퍼에 부딪혀 상기 슬라이드패널이 수축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보는,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상부의 전면에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상면에 축적되는 이물질을 불어내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보는, 상기 수위조절패널에는 출입창과, 상기 출입창을 덮고 전방으로만 자유롭게 열리는 여닫이 구조를 가진 체크커버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도복과정에서 상기 수위조절패널과 상기 슬라이드패널 사이의 물이 상기 체크커버를 밀어 열고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는 수위조절패널의 후측에서 접철수단에 의해 수위조절패널과 결합되는 슬라이드패널이 설치되어 기립한 수위조절패널과 함께 산형을 이룸으로써, 물고기가 타고 넘을 수 있는 어도를 형성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수위조절패널의 기립시 슬라이드패널이 완만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고, 수위조절패널에서 넘쳐 흘러 슬라이드패널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어도를 형성함으로써, 물고기가 슬라이드패널 상에서 흐르는 물을 타고 가동보를 넘을 수 있다.
또한, 수위조절패널의 후방에서 에어백이 위치하는 공간을 슬라이드패널이 커버함으로써, 수위조절패널의 후방에 진흙, 자갈 등이 쌓여 수위조절패널 및 에어백의 동작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에어백 주변의 진흙, 이끼 등을 슬라이드패널이 커버함으로써,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보에는 수위조절패널의 상부에 경사하방을 향해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이 설치됨으로써, 수위조절패널의 전면에 쌓이는 진흙, 자갈 등을 불어내어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위조절패널이 받는 부하를 줄여 에어백에 의한 기립 및 도복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보에는 수위조절패널에 관통형성되는 출입창과, 상기 출입창을 덮어 전방으로만 자유롭게 열리는 여닫이 구조를 가진 체크커버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도복과정에서 수위조절패널과 슬라이패널 사이의 물이 체크커버를 밀어 열고 수위조절패널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위조절패널이 기립상태에서 후방으로 도복동작이 발생할 때, 수위조절패널 후방의 물이 체크커버를 밀어내면서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수위조절패널의 신속한 도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가동보의 설치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의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의 측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에서 슬라이드패널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에 의해 어도가 형성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가 도복된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에서 수위조절패널의 상부에 공기분사노즐이 설치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에서 수위조절패널의 상부에 공기분사노즐이 설치된 구성을 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에서 수위조절패널에 체크커버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에서 체크커버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는, 수로(10)의 저부에 설치되는 에어백(20)과, 수로(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이고 에어백(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에어백(20)의 팽창시 기립하고 수축시 도복함으로써 수로(10)의 저수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패널(30)과, 상단과 수위조절패널(30)의 상단이 접철수단(46)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기립한 수위조절패널(30)과 함께 산형을 이룸으로써 수위조절패널(30)의 후방에서 경사면을 형성하고 수위조절패널(30)의 도복시 수위조절패널(30)과 함께 펼쳐지는 슬라이드패널(40)과,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수로(10)의 바닥(15)에서 구름운동하는 구름롤러(5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20)은 통상의 가동보에 사용되는 에어백(20)과 같이, 플렉시블한 고무판체가 반으로 접혀지고 그 양단부가 겹쳐져 콘크리트기초 또는 베이스플레이트 등의 수로(10)의 바닥(15)에 수밀이 유지되게 밀착·결합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20)의 기립을 위해 수로(10)의 바닥(15)의 저부에 공기급기 및 배출관(17)이 설치되고, 공기급기 및 배출관(17)을 통해 공기를 에어백(20)에 주입 또는 배출시킨다. 공기급기 및 배출관(17)의 타단은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컴프레서와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에어백(20)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은 고강도의 얇은 철판으로 이루어져 에어백(20)의 전면에 지지되며, 그 에어백(20)의 기립과 도복에 대응하여 지면에 대해 눕혀짐(도복)과 세워짐(기립) 동작으로 하천의 물을 방류 및 저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은 수로(10)을 횡단하도록 수로(10)의 폭방향(A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하단이 설치되는 에어백(20)의 일단은 고정금구(36)에 의해 수로(10)의 바닥(15)에 결합된다.
도면부호 32는 수위조절패널(30)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리브이다.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은 그 상단이 수위조절패널(30)의 상단과 접철수단(46)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기립한 수위조절패널(30)과 함께 슬라이드패널(40)이 산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후방에서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도복시에는 슬라이드패널(40)이 수위조절패널(30)과 함께 펼쳐짐으로써 수위조절패널(30)과 함께 수로(10)의 바닥(15)에 도복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은 기립한 수위조절패널(30)과 함께 산형을 이룸으로써 물고기가 타고 넘을 수 있는 어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5와 같이 수위조절패널(30)의 기립시 슬라이드패널(40)이 완만한 경사를 형성할 수 있고, 수위조절패널(30)에서 넘쳐 흘러 슬라이드패널(40)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어도를 형성함으로써, 물고기가 슬라이드패널(40) 상에서 흐르는 물을 타고 본 발명의 가동보를 타고 넘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위조절패널(30)의 후방에서 에어백(20)이 위치하는 공간을 슬라이드패널(40)이 커버함으로써, 수위조절패널(30)의 후방에 진흙, 자갈 등이 쌓여 수위조절패널(30) 및 에어백(20)의 동작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구조이기도 하다.
또한, 수위조절패널(30) 후면 및 에어백(20)의 진흙, 이끼 등을 슬라이드패널(40)이 커버함으로써,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은 상판부(41)와, 상기 상판부(41)의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진입함으로써 슬라이드패널(40)이 수축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하판부(42)를 포함한다.
상판부(41)는 그 상단에 접철수단(46)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접철수단(46)은 수로(10)의 폭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는 힌지구조로서, 경첩에 의한 연결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접철수단(46)은 수위조절패널(30)의 상단과, 슬라이드패널(40)의 상판부(41)의 상단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설치되어 수위조절패널(30)과 슬라이드패널(40)이 서로 접히고 펼쳐지는 접철구조를 형성하게 한다.
하판부(42)는 상판부(41)의 하측에서 상판부(4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판부(41)의 내외부로 이동함으로써 신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하판부(42)의 양측부에는 슬라이딩롤러(42a)가 설치되어 상판부(41)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판부(42)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판부(41)의 내부에는 하판부(42)가 중력에 의해 상판부(41)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고 슬라이드패널(40)의 신장되는 길이를 한정하기 위해 하판부(42)를 지지하는 구속케이블(43)이 설치된다.
상기 구속케이블(43)은 상판부(41)의 내부에서 상판부(41)의 상단과 하판부(42)의 상단을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케이블로서, 하판부(42)는 구속케이블(43)의 팽팽하게 긴장되는 길이만큼만 상판부(41)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고 그 상태에서 구속케이블(43)이 하판부(42)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상기 구속케이블(43)은 하판부(42)가 상판부(41)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판부(4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판부(41) 내부의 걸림턱과 같은 구속수단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판부(42)가 상판부(41)로부터 빠지지 않고 슬라이드패널(40)이 신장될 수 있는 전체적인 길이도 설정길이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패널(40)이 하판부(42)와 상판부(41)에 의해 신축가능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슬라이드패널(40)이 도복시 후술하는 스토퍼(67)에 의해 슬라이드패널(40)이 수축될 수 있어, 슬라이드패널(40)이 작동하는 과도한 작동영역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본 발명의 가동보의 설치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름롤러(50)는 슬라이드패널(4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수로(10)의 바닥(15)에서 구름운동함으로써, 슬라이드패널(40)이 펼쳐지는 이동을 보조하고 있다.
상기 구름롤러(50)는 슬라이드패널(40) 중 하판부(42)의 하단에 수로(10)의 폭방향을 향하는 롤러축(52)이 형성되고, 그 롤러축(52)에 축결합되어 수로(10)의 바닥(15)과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패널(40)의 하단 즉 하판부(42)의 하단에는 또한 수로(10)의 폭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는 결합축(본 실시예에서는 롤러축 52을 결합축으로 이용)과, 상기 결합축에 자유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연결대(62a,62b)와, 상기 연결대(62a,62b)에 설치되어 수로(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푸쉬면(65)이 후방(본 명세서에서 후방은 수로의 하류를 향하는 방향임)을 향하는 푸쉬바(6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수위조절패널(30)의 도복시에 슬라이드패널(40)이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푸쉬바(60)가 바닥(15)의 이물질을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동보의 후방에 쌓이는 진흙, 자갈 등의 이물질(91)은 슬라이드패널(40)의 도복작동을 방해하게 되므로, 수위조절패널(30)의 도복작동시마다 푸쉬바(60)가 이물질(91)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향후 과다하게 쌓인 이물질(91)이 슬라이드패널(40)의 동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축은 푸쉬바(60)를 연결대(62a,62b)에 의해 슬라이드패널(40)의 하단에 결합시키는 부분으로서, 연결대(62a,62b)가 결합축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슬라이드패널(40)이 도복하기 위해 후방으로 진행시에 푸쉬면(65)이 계속적으로 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수로(10)의 바닥(15)을 따라 밀려나갈 수 있다.
상기 결합축은 슬라이드패널(40)의 하단, 즉 하판부(42)의 하단에 별도의 축부재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나 이미 롤러축(5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2와 같이, 상기 롤러축(52)의 양측에 연결대(62a,62b)를 결합시켜 롤러축(52)을 결합축으로 사용하는 것이 구성을 보다 효율화할 수 있다.
상기 수로(10)의 바닥(15)에는 후방으로 진행하는 푸쉬바(60)가 부딪히도록 고정설치된 스토퍼(67)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67)는 수위조절패널(30)이 기립시에 푸쉬바(60)로부터 소정거리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수위조절패널(30)의 도복시에는 후방으로 진행하는 푸쉬바(60)가 부딪혀 정지될 수 있다.
푸쉬바(60)가 상기 스토퍼(67)에 부딪힌 상태에서 슬라이드패널(40)의 도복운동이 계속되면, 하판부(42)가 상판부(41)의 내부로 진입하므로 도 6과 같이 도복동작의 완료시까지 슬라이드패널(40)의 수축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67)에 막혀 하판부(42)가 상판부(41)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수위조절패널(30)이 다시 에어백(20)에 의해 기립하면, 슬라이드패널(40)이 수위조절패널(30)에 끌려오고 구속케이블(43)에 의해 하판부(42)가 상판부(41)로부터 빠지지 않는 상태로 도 3과 같이 슬라이드패널(40)도 기립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에서는,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상부의 전면에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7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분사노즐(71)은 하방경사를 향해 분사함으로써 경사지게 기립해 있는 수위조절패널(30)의 상면에서 이물질(92)을 제거한다. 수위조절패널(30)의 전면에 쌓이는 진흙, 자갈 등을 불어내어 제거함으로써, 수위조절패널(30)이 받는 부하를 줄여 에어백(20)에 의한 기립 및 도복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즉, 수위조절패널(30)이 기립한 상태가 지속되면 수위조절패널(30)의 상면 특히 상면의 하부측에 이물질(92)이 축적됨으로써 수위조절패널(30)의 동작을 방해할 정도로 축적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이 축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시로 이물질(92)을 고압공기로 불어내 줌으로써 수위조절패널(3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수위조절패널(30)로부터 물이 넘치는 상황에서는 수위조절패널(30)로부터 공기분사노즐(71)이 불어낸 이물질(92)(진흙 등)이 물의 유동과 함께 수위조절패널(30)을 넘어 하류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노즐(71)은 공기공급호스(74)를 통해 수로(10)의 바닥(15)의 하부에서부터 공급된 고압공기가 수위조절패널(30)의 전면에 설치된 일측유동로(75) 및 상부수평유동로(72)를 통해 공급된다.
공기분사노즐(71)은 상부수평유동로(72)에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하방경사를 향하도록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분사노즐(71) 및 상수수평유동로를 보호하도록 보호커버(73)가 공기분사노즐(71) 및 상부수평유동로(72)를 덮도록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분사노즐(71)은 상부수평유동로(72)에 하방으로 형성된 개방공(73a)을 통해 고압공기를 하방경사로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위조절패널(30)의 상부에 힌지(82)에 의해 전방으로 열리는 체크커버(81)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커버(81)는 수위조절패널(3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하나,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시는 열림으로써 자유로운 물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체크커버(81)의 설치를 위해 수위조절패널(30)에 관통형성되는 출입창(84)이 형성되고, 상기 출입창(84)을 덮어 전방으로만 자유롭게 열리는 여닫이 구조를 가진 체크커버(81)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도복과정에서 수위조절패널(30)과 슬라이드패널(40) 사이의 물이 체크커버(81)를 밀어 열고 수위조절패널(3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여닫이 구조는 체크커버(81)의 상단이 힌지(82)에 의해 출입창(84)의 상단에 결합되어 체크커버(81)를 후방에서 물이 밀게 되면 수위조절패널(30)의 전방으로 자유롭게 열릴 수 있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체크커버(81)는 출입창(84)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어 덮고 있으므로 체크커버(81)가 출입창(84)의 전방으로 자유롭게 열릴 수 있으나 후방으로는 열릴 수 없으며, 외력이 없는 경우 중력 및 수압에 의해 체크커버(81)가 항상 출입창(84)을 덮고 있는 상태가 된다.
만일, 체크커버(81)의 힌지(82)가 상단이 아니라 일측모서리에 설치되어 여닫는 구조인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출입창(84)을 덮는 것이 아니라 수압에 의해 출입창(84)을 덮고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체크커버(81)의 구성에 의해 수위조절패널(30)이 기립상태에서 후방으로 도복동작이 발생할 때, 수위조절패널(30) 후방의 물이 신속한 동작을 방해하므로, 수위조절패널(30) 후방의 물이 체크커버(81)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수위조절패널(30)의 신속한 도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같이 수위조절패널(30)과 슬라이드패널(40)이 산형을 이루도록 함께 설치된 경우, 수위조절패널(30)과 슬라이드패널(40)이 펼쳐지면서 수위조절패널(30)이 도복하는 과정에서 에어백(20)이 위치하는 공간, 즉 수위조절패널(30)과 슬라이드패널(40) 사이의 공간의 물이 빨리 배출되지 못하고 수위조절패널(30)이 도복하는 것을 방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20)이 충분히 수축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위조절패널(30)이 도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체크커버(81)의 설치로 인해, 수위조절패널(30)과 슬라이드패널(40) 사이의 공간의 물을 도복하려는 수위조절패널(30)이 가압하면서 물이 체크커버(81)를 밀어내고 수위조절패널(3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위조절패널(30)의 신속한 도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크커버(81)는 수로(10)의 폭방향으로 수위조절패널(30)의 전면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커버(81)가 수위조절패널(30)의 전면에 설치되고 평시에는 닫혀 있는 상태에서 도복시에만 열리도록 구성됨으로써, 진흙 등 이물질이 수위조절패널(30)과 슬라이드패널(4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로 15; 바닥
17; 공기급기 및 배출관 20; 에어백
30; 수위조절패널 36; 고정금구
40; 슬라이드패널 41; 상판부
42; 하판부 42a; 슬라이딩롤러
43; 구속케이블 46; 접철수단
50; 구름롤러 52; 롤러축
60; 푸쉬바 62a,62b; 연결대
65; 푸쉬면 67; 스토퍼
71; 공기분사노즐 72; 상부수평유동로
73a; 개방공 74; 공기공급호스
75; 일측유동로 81; 체크커버
82; 힌지 84; 출입창
91,92; 이물질

Claims (5)

  1. 수로(10)의 저부에 설치되는 에어백(20)과,
    수로(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이고 상기 에어백(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20)의 팽창시 기립하고 수축시 도복함으로써 상기 수로(10)의 저수된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패널(30)과,
    상단과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상단이 접철수단(46)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기립한 상기 수위조절패널(30)과 함께 산형을 이룸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후방에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도복시 상기 수위조절패널(30)과 함께 펼쳐지는 슬라이드패널(40)과,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10)의 바닥(15)에서 구름운동하는 구름롤러(5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기립시 상기 수위조절패널(30)에서 넘쳐 흘러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어도를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수위조절패널(30)에는 출입창(84)과,
    상기 출입창(84)을 덮고 전방으로만 자유롭게 열리는 여닫이 구조를 가진 체크커버(81)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도복과정에서 상기 수위조절패널(30)과 상기 슬라이드패널(40) 사이의 물이 상기 체크커버(81)를 밀어 열고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의 하단에 설치되어 수로(10)의 폭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에 자유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연결대(62a,62b)와,
    상기 연결대(62a,62b)에 설치되어 수로(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푸쉬면(65)이 후방을 향하는 푸쉬바(6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도복시에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푸쉬바(60)가 수로(10)의 바닥(15)의 이물질(91)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은
    상판부(41)와, 상기 상판부(41)의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진입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수축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하판부(42)와, 상기 상판부(41)의 내부에서 상기 상판부(41)의 상단과 상기 하판부(42)의 상단을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구속케이블(43)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축은 상기 하판부(42)의 하단에 설치된 것이며,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이 기립시에 상기 푸쉬바(60)로부터 소정거리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로(10)의 바닥(15)에 고정설치된 스토퍼(67)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도복시, 상기 푸쉬바(60)가 상기 스토퍼(67)에 부딪혀 상기 슬라이드패널(40)이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상부의 전면에는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노즐(71)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30)의 상면에 축적되는 이물질(92)을 불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5. 삭제
KR1020180028471A 2018-03-12 2018-03-12 가동보 KR101858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71A KR101858726B1 (ko) 2018-03-12 2018-03-12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471A KR101858726B1 (ko) 2018-03-12 2018-03-12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726B1 true KR101858726B1 (ko) 2018-05-17

Family

ID=6248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471A KR101858726B1 (ko) 2018-03-12 2018-03-12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7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488B1 (ko) 2019-12-26 2020-04-23 주식회사 유일기연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KR20200001380U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청수환경 다기능판을 구비하는 공압식 가동보 장치
CN115419025A (zh) * 2022-10-13 2022-12-02 江西煜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水坝坝顶溢流导流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558A (ja) * 2001-04-12 2002-10-23 Mitsubishi Heavy Ind Ltd 転倒ゲート
KR20030022827A (ko) * 2003-01-14 2003-03-17 한상관 수문에 구성되는 물 분사장치의 역할에 의해 수문의상단이나 측면 또는 수문과 문틀사이에 끼이는 이물질을제거 시킬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양기식 수문과 수중보용수문의 구성방법
KR100799359B1 (ko) * 2007-08-03 2008-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100943639B1 (ko) * 2008-12-30 2010-02-24 이지현 수문 작동 간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삼각구조의 자동수문
KR20110042141A (ko) * 2009-10-17 2011-04-25 이지현 광고패널겸용 양측보호커버를 구비하는 고무보
CN205062771U (zh) * 2015-09-23 2016-03-02 宗泽群 缆绳牵引人字拦水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558A (ja) * 2001-04-12 2002-10-23 Mitsubishi Heavy Ind Ltd 転倒ゲート
KR20030022827A (ko) * 2003-01-14 2003-03-17 한상관 수문에 구성되는 물 분사장치의 역할에 의해 수문의상단이나 측면 또는 수문과 문틀사이에 끼이는 이물질을제거 시킬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양기식 수문과 수중보용수문의 구성방법
KR100799359B1 (ko) * 2007-08-03 2008-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저층수 방출이 가능한 공압식 가동보
KR100943639B1 (ko) * 2008-12-30 2010-02-24 이지현 수문 작동 간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삼각구조의 자동수문
KR20110042141A (ko) * 2009-10-17 2011-04-25 이지현 광고패널겸용 양측보호커버를 구비하는 고무보
CN205062771U (zh) * 2015-09-23 2016-03-02 宗泽群 缆绳牵引人字拦水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380U (ko)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청수환경 다기능판을 구비하는 공압식 가동보 장치
KR102103488B1 (ko) 2019-12-26 2020-04-23 주식회사 유일기연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CN115419025A (zh) * 2022-10-13 2022-12-02 江西煜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水坝坝顶溢流导流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726B1 (ko) 가동보
AU2004242521B2 (en) Water runoff deflector for a vehicle at a loading dock
KR101947316B1 (ko)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KR200424060Y1 (ko) 수문의 안전장치
US9228300B2 (en) Slipforming assembly
KR20200070520A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이동식 서핑장
KR100943639B1 (ko) 수문 작동 간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삼각구조의 자동수문
GB2446864A (en) Awning with drain
KR101900943B1 (ko) 저층수 배출이 용이한 가동보의 개량형 패널 구조
CN113833194B (zh) 一种房建装配式屋顶悬梁结构
KR102213741B1 (ko) 에어 휀스
KR101605023B1 (ko) 다단식 홍수 방어벽
KR102116337B1 (ko) 차량용 제설제 살포기를 활용한 다목적 청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0749B1 (ko) 해상 사석 투하용 슬라이딩가이더
KR20200145192A (ko) 저층수 배출용 수문 개폐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장치
KR200316356Y1 (ko) 공압식 가동보의 물흐름 유도장치
KR20060078727A (ko) 유압식 가동보의 패널 개폐장치
US11224831B1 (en) Retractable shaker dam assembly and method
KR102176616B1 (ko) 수밀 힌지연결구조를 구비하는 가동보 장치
JP2012144909A (ja) 二段式駐車装置
JPH09228349A (ja) 水門扉
KR101693762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재해 방지용 스윙교
KR102103488B1 (ko) 이물질 유입방지판이 부착된 공압식 가동보 장치
KR102176620B1 (ko) 어도를 구비한 가동보 장치
KR101934407B1 (ko) 저수층 배출 구조의 전도식 가동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