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316B1 -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 Google Patents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316B1
KR101947316B1 KR1020180060189A KR20180060189A KR101947316B1 KR 101947316 B1 KR101947316 B1 KR 101947316B1 KR 1020180060189 A KR1020180060189 A KR 1020180060189A KR 20180060189 A KR20180060189 A KR 20180060189A KR 101947316 B1 KR101947316 B1 KR 101947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w
level
discharge passage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욱
Original Assignee
이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욱 filed Critical 이한욱
Priority to KR102018006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보의 기립시에 저층수배출로를 개방하고, 도복시에 저층수배출로를 차단할 수 있는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저층수배출로를 통과하는 수류에 의해 위와 같은 개방 및 차단작용이 방해받지 않는 구조의 가동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위조절패널의 높이방향으로 수위조절패널에 설치되고 입구가 수위조절패널의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출구가 수위조절패널의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개방된 저층수배출로와,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입구에 설치되어 수위조절패널의 기립시 저층수배출로의 물의 유동을 허용하고, 도복시 저층수배출로의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는 저층수배출로의 입구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으로부터 저층수배출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MOVABLE WEIR HAVING OUTLET FOR DISCHARGING BOTTOM WATER}
본 발명은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수로 등에 설치하여 물을 저수하는 가동보에 있어서 저층수배출로가 설치되어 저수되는 물의 저층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진흙, 슬러지 등의 퇴적을 방지하고 퇴적물의 부패를 방지하는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가동보는 하천이나, 수로를 막아 농업용, 공업용 또는 상수도용의 취수보를 형성하기 위해 흔히 설치된다.
그러한 가동보 중 수로의 물을 막는 패널이 에어백에 의해 기립 및 도복할 수 있는 구조의 공압식 가동보가 일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0-0799359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그와 같은 가동보의 일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물을 막는 패널(1)과, 그 패널(1)을 기립 및 도복시키는 에어백(2)과, 패널(1)에 설치되어 저수된 물의 저층수를 배출시키는 저층수배출로(3)가 설치된다.
저층수배출로(3)를 통해 유입되는 저층수는 내부에서 상승유동하여 하류로 방출될 수 있으므로, 패널(1)의 전방에서 저부에 진흙 등의 퇴적을 경감 또는 방지하고, 슬러지 등이 퇴적되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와 같은 저층수배출로(3)는 도 2와 같이 패널(1)이 도복한 경우, 내부로 진흙 등 이물질이 유입되어 축적되면 내부의 유동로가 막혀, 패널(1)의 기립시에 원활한 작용을 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저층수배출로(3)는 에어백(2)이 팽창되어 상류에 하천수가 저장되는 중에만 저층수를 방출하기 위해 저층수배출로(3)에 밸브(4)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4)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측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패널(1)의 기립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도 1의 실선과 같이 저층수배출로(3)의 내부를 개방하고 패널(1)의 도복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저층수배출로(3)의 내부를 폐쇄한다. 도면부호 5 및 6은 스토퍼이다.
위와 같은 밸브(4)가 설치됨에 의해 저층수배출로(3)는 에어백(2)이 팽창되어 상류에 물이 저장되는 중에만 저층수를 방출하도록 하고, 패널(1)이 도복하여 상류의 하천수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저층수배출로(3)의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저층수배출로(3)의 내부로 진흙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의 저층수배출로(3)에서 밸브(4)는 저층수배출로(3)의 내부로 물이 빠른 속도로 유입되어 흐르는 경우, 입구(3a)에서 밀려 올라가는 물의 유동력에 의해 유동방향을 따라 선회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즉, 도 1과 같이 패널(1)이 기립하여, 자중에 의해 밸브(4)가 저층수배출로(3)의 내부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물이 저층수배출로(3)를 빠른 속도로 입구(3a)에서부터 상승유동하면, 밸브(4)가 물의 유동력에 의해 밀려나가면서 중력을 이기고 힌지축(4a)을 중심으로 도 1의 점선과 같이 선회하여 저층수배출로(3)의 유로를 닫아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가동보가 기립시에 저층수배출로(3)가 저수된 물의 저층수를 원활히 방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보의 기립시에 저층수배출로를 개방하고, 도복시에 저층수배출로를 차단할 수 있는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저층수배출로를 통과하는 수류에 의해 위와 같은 개방 및 차단작용이 방해받지 않는 구조의 가동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수로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이고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수로의 물을 막도록 기립하거나 수로의 바닥에 눕도록 도복함으로써 상기 수로(10)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패널을 구비한 가동보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수위조절패널에 설치되고 입구가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출구가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개방된 저층수배출로와,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기립시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물의 유동을 허용하고, 도복시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기립시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입구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으로부터 상기 저층수배출로를 개방하는 힘을 받도록 자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입구를 덮어 차단하는 차단판과,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이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입구를 덮는 위치와 열어 개방하는 위치로 자유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차단판의 단부와 결합된 힌지축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기립시 상기 차단판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중력에 의해 선회하여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입구에서 이탈하여 개방하고,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도복시 상기 차단판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류에 의해 선회하여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입구를 덮어 폐쇄시키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도복시 상기 차단판이 상기 수로 내에서 기립하는 위치로 상기 수위조절패널과 함께 움직이도록,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차단판의 하면을 받치는 걸림턱이 더 설치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입구를 통해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저층수배출로를 차단하기 위한 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의 하단부를 수로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판은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기립시 상기 탄성판이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일측벽면으로 치우쳐 위치하여 상기 저층수배출로를 개방하고, 상기 수위조절패널의 도복시 상기 탄성판이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타측벽면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져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탄성판이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내부를 막는 상태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수위조절패널을 후방에서 받치고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상기 수위조절패널을 기립 및 도복시키는 에어백이고,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중간부에서 상기 저층수배출로의 양 측벽 중 상기 에어백이 위치하는 측인 일측벽면에 설치된 작동창과, 상기 저층수배출로 내에서 하단이 상기 작동창의 하측에 설치된 선회축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창을 덮고 있고 상기 선회축을 중심으로 자유회전함에 의해 상기 저층수배출로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밀어올리기 위해 상기 에어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백의 수축시에 상기 작동창을 통해 상기 개폐판을 밀어올려 상기 개폐판이 상기 저층수배출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푸쉬바와, 상기 푸쉬바가 상기 에어백의 팽창시는 상기 작동창에서 이탈하고 상기 에어백의 수축시에는 상기 작동창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푸쉬바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는, 기립하여 수로나 하천의 물을 저수한 상태에서 저수된 물의 저층수가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위조절패널에 저층수배출로를 형성하고 있는 바, 저수된 영역의 저층에 퇴적될 수 있는 진흙, 슬러지 등을 지속적으로 배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가동보가 설치된 위치의 전방에서 토사적체를 방지할 수 있고, 상류 수질을 향상시켜 수질환경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가동보가 도복한 경우, 저층수배출로도 수위조절패널과 함께 도복한 상태이므로, 수로나 하천을 따라 물과 함께 흐르는 진흙, 슬러지 등이 저층수배출로 내부로 유입되어 저층수배출로를 막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저층수배출로에 차단부재를 설치하여 가동보의 도복시에 입구를 차단함으로써, 저층수배출로의 내부로 진흙 등의 유입 및 막힘을 방지하여 저층수의 배출효율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가동보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특히, 저층수배출로의 입구측에 설치된 본 발명의 차단부재는, 저층수배출로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수류에 의한 외력을 받더라도 가동보의 기립시 저층수배출로를 확실히 개방한 상태가 될 수 있고, 가동보의 도복시에는 저층수배출로를 충실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는, 저층수배출로의 중간영역에 개폐판과 에어백의 푸쉬바에 의한 추가의 차단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저층수배출로의 입구 뿐 아니라 내부에서도 물의 흐름을 차단하여 진흙, 슬러지 등이 저층수배출로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층수배출로에 대한 주기적 점검, 청소 등의 업무가 경감되므로, 가동보의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도 1는 종래 가동부에 저층수배출로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2는 도 1의 가동보가 도복한 상태에서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4는 도 3의 가동보가 도복하는 과정의 중간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3의 가동보가 완전히 도복된 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7은 도 6의 가동보가 도복된 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에서 저층수배출로의 구성을 전면에서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에서 탄성판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11은 도 10의 가동보가 도복된 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보는, 수로(하천)(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이고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수로(S)의 물을 막도록 기립하거나 수로(S)의 바닥에 눕도록 도복함으로써 수로(S)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패널(10)이 포함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수위조절패널(10)을 기립시키거나 수로(S)의 바닥에 도복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흔히 수위조절패널(10)을 후방에서 받치는 에어백(20)이 구동수단으로서 많이 설치된다.
수로(S)의 저부에 설치되는 에어백(20)은 통상의 가동보에 사용되는 에어백(20)과 같이, 플렉시블한 고무판체가 반으로 접혀지고 그 양단부가 겹쳐져 콘크리트기초 또는 베이스플레이트 등의 수로(S)의 바닥에 수밀이 유지되게 밀착·결합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20)의 기립을 위해 수로(S)의 바닥의 저부에 공기급기 및 배출관(21)이 설치되고, 공기급기 및 배출관(21)을 통해 공기를 에어백(20)에 주입 또는 배출시킨다.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은 고강도의 철판으로 이루어져 에어백(20)의 전면에 지지되며, 그 에어백(20)의 기립과 도복에 대응하여 지면에 대해 눕혀짐(도복)과 세워짐(기립) 동작으로 하천의 물을 방류 및 저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은 수로(S)을 횡단하도록 수로(S)의 폭방향(A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하단이 설치되는 에어백(20)의 일단은 고정금구에 의해 수로(S)의 바닥에 결합된다.
수위조절패널(10)의 전면에는 판체의 강도보강을 위해 도 8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리브(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위조절패널(10)에는 수위조절패널(10)의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입구(31)가 수위조절패널(10)의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출구(32)가 수위조절패널(10)의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개방된 저층수배출로(30)와,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에 설치되어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 저층수배출로(30)의 물의 유동을 허용하고, 도복시 저층수배출로(30)의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저층수배출로(30)는 수위조절패널(10)이 수로(S)의 물을 막아 저수된 영역에서 수로(S)의 바닥부근의 저층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수위조절패널(10)이 하류로 흐르는 물을 중간에서 막으면 상류에서 내려오는 이물질이 수위조절패널(10)의 전방에서 퇴적되면서 퇴적층이 형성됨과 함께 슬러지 등에 의해 부패의 우려도 있다.
저층수배출로(30)는 도 3과 같이 입구(31)가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출구(32)가 수위조절패널(10)의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므로, 수위조절패널(10)의 전방의 저층수가 입구(31)로 유입된 후 저층수배출로(30)를 통과하여 상측에서 출구(32)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상류에서부터 계속적으로 유입되는 물은 일부가 수위조절패널(10)의 상단에서 넘쳐 하류로 흐르게 되고, 다른 일부는 저수된 물 중 저층수가 저층수배출로(30)를 통해 하류로 흐를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저층수의 유동은 저층에 산소를 공급하고 퇴적되는 진흙, 슬러지 등을 함께 유동시켜 하류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퇴적물의 증가 및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40)는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에 설치되어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 저층수배출로(30)의 물의 유동을 허용하고, 도복시 저층수배출로(30)의 물의 유동을 차단한다.
즉, 차단부재(40)는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에는 저층수배출로(30)가 저층수를 배출시키는 본래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고,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에는 저층수배출로(30) 내의 물의 유동을 막아 저층수배출로(3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재(40)는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덮어 차단하는 차단판(41)과,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차단판(41)이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덮는 위치와 열어 개방하는 위치로 자유회전가능하도록 차단판(41)의 단부와 결합된 힌지축(42)을 포함한다.
또한,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 상기 차단판(41)이 상기 수로(S) 내에서 기립하는 위치로 상기 수위조절패널(10)과 함께 움직이도록,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1)의 하면을 받치는 걸림턱(45)이 더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위조절패널(10)의 하단부 중 저층수배출로(30)의 하측에 수평방향의 힌지축(42)이 설치되어 차단판(41)의 단부가 그 힌지축(42)에 축결합된다. 이에 따라, 차단판(41)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중력이나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는 상태이다.
또한, 차단판(41)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덮은 상태에서는 작은 틈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최소화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5)은 수위조절패널(10)의 하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차단판(41)의 하면을 받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단판(41)이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자유회전가능한 상태이더라도 수위조절패널(10)이 후방으로 선회하여 도복하는 동작에서 걸림턱(45)이 차단판(41)을 받쳐 함께 선회하게 되므로, 도 4 및 도 5와 같이,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동작시 차단판(41)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도 3과 같이,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 차단판(41)이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충분히 개방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차단판(41)이 하향경사지게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걸림턱(45)은 차단판(41)을 하향경사진 상태로 열릴 수 있도록 하측을 받치는 상태이다.
그러한 걸림턱(45)의 설치상태에서 수위조절패널(10)이 도복하는 경우, 도 4 및 도 5와 같이, 차단판(41)이 후방으로 넘어가면서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덮을 정도로 걸림턱(45)이 차단판(41)을 넘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 5의 확대된 도면의 점선과 같은 위치까지 차단판(41)을 걸림턱(45)이 들어 올린 상태에서는 물의 유동력을 받아 차단판(41)이 후방으로 넘어가게 되고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수위조절패널(10)이 도복하는 시점에서는 저수된 물이 일시에 하류로 흐르게 되므로 물의 유동력이 상당한 크기를 가지므로 차단판(41)을 후방으로 넘기는 작용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판(41)은 자유단의 단부가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로부터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굽어있는 굴곡부(41a)를 가진다.
이러한 굴곡부(41a)는 도 3과 같이,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에는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에서 물이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방을 향하는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수위조절패널(10)이 도복시에서는 도 5와 같이, 물의 유동력을 충분히 받아 후방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물의 유동에 대한 항력을 크게 받는(항력계수가 높은) 형상 및 자세를 가지는 것이다.
수위조절패널(10)이 다시 기립하게 되면,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덮고 있던 차단판(41)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선회함으로써 도 3과 같이,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로부터 이탈하여 개방시킨 상태가 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되는 물이 차단판(41)에 부딪히면서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로 유입되나, 차단판(41)을 걸림턱(45)이 받친 상태에서도 도 3의 확대된 그림과 같이 차단판(41)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열려 있는 상태이므로 차단판(41)은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이 차단판(41)에 부딪히면서 차단판(41)이 저층수배출로(30)를 계속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위조절패널(10)과 저층수배출로(3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차이가 없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차단부재(40)와 다른 구성의 차단부재(50)가 구비된 것으로서, 도 6과 같이, 차단부재(50)는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통해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저층수배출로(30)를 차단하기 위한 탄성판(51)과, 상기 탄성판(51)의 하단부를 수로(S)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52)는 별도의 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나, 구성을 간략화하기 위해 수위조절패널(10)을 수로(S)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금구가 탄성판(51)을 고정시키는 고정부(52)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판(51)은 띠형상의 금속판재로서 하단부가 고정부(52)에 의해 바닥에 고정됨으로써 수위조절패널(10)과 결합되어 있지는 않고, 고정부(52)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위조절패널(10)이 기립한 경사방향으로 연장된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탄성판(51)의 자유단이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수위조절패널(10)이 도복시에는 저층수배출로(30)의 내벽 중 타측벽면(33b)에 의해 눌려지면서 강제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진다.
도 6의 확대된 그림과 같이,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 탄성판(51)이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저층수배출로(30)의 일측벽면(33a)으로 치우쳐 위치하여 저층수배출로(30)를 개방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저층수가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로 유입되어 내부로 상승 유동을 시작하려는 물의 유동이, 탄성판(51)에 부딪히면서 탄성판(51)을 일측벽면(33a)으로 밀어붙이게 되므로, 결국 차단부재(50)(탄성판(51))는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으로부터 저층수배출로(3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힘을 계속 받아 확실한 개방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는 도 7과 같이 수위조절패널(10)이 후방으로 넘어가면서 저층수배출로(30)의 타측벽면(33b)이 탄성판(51)을 하방으로 눌러 탄성변형시키므로, 탄성판(51)이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를 막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상태에서 탄성판(51)이 저층수배출로(30)에 삽입된 상태로 입구(31)를 상하로 가로지는 상태로 배치되므로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에 방해물로서 작용하게 되므로,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로 유입되려는 이물질에 대하여 방해작용을 할 수 있다.
도 8은 수위조절패널(10)의 전면에 저층수배출로(30)가 설치된 구조를 전방에서 본 구성도로서,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가 외측으로 가면서 좌우로 점차 넓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저층수가 넓은 입구(31)를 통해 용이하게 저층수배출로(30)로 유입되도록 하고 진흙, 슬러지 등이 저층수와 함께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와 같은 경우는 탄성판(51)의 자유단에 개폐막(56)을 부가적으로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넓어진 입구(31)로 인해 탄성판(51)이 저층수배출로(30)를 차단하는 효과가 저하되므로, 저층수배출로(30) 내부의 개폐막(56)이 탄성판(51)과 함께 저층수배출로(30)를 막아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 저층수배출로(30)에 물의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상기 개폐막(56)은 상단이 탄성판(51)의 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이 저층수배출로(30)의 일측벽면(33a)에 결합되며, 주름에 의해 용이하게 접철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도 9의 (a)와 같이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에는 탄성판(51)이 저층수배출로(30)의 일측벽면(33a)에 치우친 상태에서 개폐막(56)이 탄성판(51)과 일측벽면(33a) 사이에 접철된 상태로 위치하여 저층수배출로(30)를 개방한다.
도 9의 (b)와 같이,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에는 탄성판(51)이 저층수배출로(30)의 타측벽면(33b)에 위치하게 되므로, 개폐막(56)이 펼쳐져 저층수배출로(30)를 막아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수단으로서 에어백(20)이 설치된 것이고, 에어백(20)은 수위조절패널(10)을 후방에서 받치고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수위조절패널(10)을 기립 및 도복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차단부재(40,50)와 함께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 저층수배출로(30) 내부의 물의 흐름을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부가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동보는,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중간부에서 저층수배출로(30)의 양 측벽 중 에어백(20)이 위치하는 측인 일측벽면(33a)에 설치된 작동창(61)과, 저층수배출로(30) 내에서 하단이 작동창(61)의 하측에 설치된 선회축(62a)에 결합되어 작동창(61)을 덮고 있고 선회축(62a)을 중심으로 자유회전함에 의해 저층수배출로(30)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개폐판(62)과, 상기 개폐판(62)을 밀어올리기 위해 에어백(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백(20)의 수축시에 작동창(61)을 통해 개폐판(62)을 밀어올려 개폐판(62)이 저층수배출로(30)를 차단하도록 하는 푸쉬바(64)와, 상기 푸쉬바(64)가 에어백(20)의 팽창시는 작동창(61)에서 이탈하고 에어백(20)의 수축시에는 작동창(61)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푸쉬바(64)를 안내하는 안내부재(65)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창(61)은 수위조절패널(10)을 관통시킨 관통공으로서 에어백(20)에 설치되는 푸쉬바(64)가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창(61)의 설치위치는 저층수배출로(30)가 수위조절패널(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층수배출로(30)의 양 측벽 중 에어백(20)이 위치하는 측인 일측벽면(33a)에 관통하여 설치한 것이다.
상기 개폐판(62)은 작동창(61)을 덮은 상태로 저층수배출로(30)를 개방시키거나 작동창(61)으로부터 푸쉬바(64)에 의해 들어올려져 저층수배출로(30)를 차단하는 판상부재이다.
상기 개폐판(62)은 작동창(61)의 하측에 설치된 선회축(62a)에 하단이 결합되어 작동창(61)을 덮고 있으며, 푸쉬바(64)가 작동창(61)을 통해 미는 등의 외력이 가해지면 선회축(62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선회하여 저층수배출로(30) 내부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상기 퓌쉬바는 개폐판(62)을 밀어올리기 위해 에어백(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에어백(20)의 수축시에 작동창(61)에 진입한 후 개폐판(62)을 밀어올려 개폐판(62)이 저층수배출로(30)를 차단하도록 하고, 에어백(20)의 팽창시에는 작동창(61)으로부터 후퇴 및 이탈되어 개폐판(62)을 밀지 않는다.
이를 위해, 푸쉬바(64)가 에어백(20)에 고정시 위와 같은 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도 10과 같이, 푸쉬바(64)는 에어백(20)의 팽창시 에어백(20)과 수위조절패널(10)이 접촉하는 영역의 상측에서 에어백(20)의 곡면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20)이 수위조절패널(10)의 후면을 따라 평면상으로 접촉한 후 그 접촉부분의 상측에서 수위조절패널(10)과 이격되는 곡면이 나타나게 되고, 상기 에어백(20)의 곡면의 영역에서 그 곡면 표면의 법선이 작동창(61)의 상측, 바람직하게는 작동창(61)에서 1~2cm 상측지점을 향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재(65)는 푸쉬바(64)가 에어백(20)의 팽창시는 작동창(61)에서 이탈하고 에어백(20)의 수축시에는 작동창(61)으로 진입하도록 푸쉬바(64)를 안내하고 있다.
상기 안내부재(65)는 작동창(61)의 상측에서 수위조절패널(10)의 후면에 일단부가 용접으로 고정되고, 수위조절패널(10)의 후면에서 볼록한 곡판의 형상을 가지며 타단부는 작동창(61)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에어백(20)이 팽창하는 힘에 의해 푸쉬바(64)가 에어백(20)의 표면에서 그 표면의 수직방향을 향하는 자세가 형성되므로 안내부재(65)의 볼록한 곡판의 표면을 따라 푸쉬바(64)가 미끄러지면서 작동창(61)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판(62)은 작동창(61)을 덮고 있는 상태이고 저층수배출로(30)를 개방함으로써, 저층수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백(20)이 수축하는 경우에는 에어백(20)이 푸쉬바(64)를 지지하지 않으므로 푸쉬바(64)의 자세의 변경이 가능해지므로, 안내부재(65)의 볼록한 곡판의 표면을 따라 작동창(61) 내부로 미끄러져 진입한다.
이에 따라, 푸쉬바(64)는 개폐판(62)을 밀어 선회축(62a)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하므로 개폐판(62)이 저층수배출로(30)를 막아 물의 유동을 차단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차단부재(40,50)와 더불어, 위와 같이 저층수배출로(30) 내부의 물의 흐름을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더 부가됨으로써,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 저층수배출로(3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퇴적되거나 고착될 수 있는 문제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위조절패널 14; 보강리브
20; 에어백 21; 공기급기 및 배출관
30; 저층수배출로 31; 입구
32; 출구 33a; 일측벽면
33b; 타측벽면 40; 차단부재
41; 차단판 41a; 굴곡부
42; 힌지축 45; 걸림턱
51; 탄성판 52; 고정부
56; 개폐막 61; 작동창
62; 개폐판 62a; 선회축
64; 푸쉬바 65; 안내부재
S; 수로

Claims (5)

  1. 수로(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이고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수로(S)의 물을 막도록 기립하거나 수로(S)의 바닥에 눕도록 도복함으로써 상기 수로(S)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패널(10)과,
    상기 수위조절패널(10)에 설치되고 입구(31)가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하부에서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출구(32)가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상부에서 후방을 향해 개방된 저층수배출로(30)를 구비한 가동보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을 후방에서 받치고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을 기립 및 도복시키는 에어백(20)이고,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중간부에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양 측벽 중 상기 에어백(20)이 위치하는 측인 일측벽면(33a)에 설치된 작동창(61)과,
    상기 저층수배출로(30) 내에서 하단이 상기 작동창(61)의 하측에 설치된 선회축(62a)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창(61)을 덮고 있고 상기 선회축(62a)을 중심으로 자유회전함에 의해 상기 저층수배출로(30)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개폐판(62)과,
    상기 개폐판(62)을 밀어올리기 위해 상기 에어백(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백(20)의 수축시에 상기 작동창(61)을 통해 상기 개폐판(62)을 밀어올려 상기 개폐판(62)이 상기 저층수배출로(30)를 차단하도록 하는 푸쉬바(64)와,
    상기 푸쉬바(64)가 상기 에어백(20)의 팽창시는 상기 작동창(61)에서 이탈하고 상기 에어백(20)의 수축시에는 상기 작동창(61)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푸쉬바(64)를 안내하는 안내부재(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물의 유동을 허용하고, 도복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으로부터 상기 저층수배출로(30)를 개방하는 힘을 받는 자세를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덮어 차단하는 차단판(41)과,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1)이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덮는 위치와 열어 개방하는 위치로 자유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차단판(41)의 단부와 결합된 힌지축(42)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 상기 차단판(41)이 상기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중력에 의해 선회하여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에서 이탈하여 개방하고,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 상기 차단판(41)이 상기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수류에 의해 선회하여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덮어 폐쇄시키되,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 상기 차단판(41)이 상기 수로(S) 내에서 기립하는 위치로 상기 수위조절패널(10)과 함께 움직이도록,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1)의 하면을 받치는 걸림턱(45)이 더 설치되고,
    상기 차단판(41)은 자유단의 단부가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로부터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굽어있는 굴곡부(41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물의 유동을 허용하고, 도복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으로부터 상기 저층수배출로(30)를 개방하는 힘을 받는 자세를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를 통해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저층수배출로(30)를 차단하기 위한 탄성판(51)과,
    상기 탄성판(51)의 하단부를 수로(S)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2)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판(51)은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 상기 탄성판(51)이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일측벽면(33a)으로 치우쳐 위치하여 상기 저층수배출로(30)를 개방하고,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 상기 탄성판(51)이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타측벽면(33b)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져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탄성판(51)이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를 막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입구(31)가 외측으로 가면서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상기 탄성판(51)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일측벽면(33a)에 결합되는 개폐막(56)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기립시에는 상기 개폐막(56)이 상기 저층수배출로(30)를 개방하고, 상기 수위조절패널(10)의 도복시에는 상기 탄성판(51)이 상기 개폐막(56)을 펼침에 의해 상기 저층수배출로(30)의 물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보
  5. 삭제
KR1020180060189A 2018-05-28 2018-05-28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KR101947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89A KR101947316B1 (ko) 2018-05-28 2018-05-28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89A KR101947316B1 (ko) 2018-05-28 2018-05-28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316B1 true KR101947316B1 (ko) 2019-02-13

Family

ID=6536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189A KR101947316B1 (ko) 2018-05-28 2018-05-28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3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33B1 (ko) * 2019-03-06 2020-02-05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KR102080024B1 (ko) 2019-10-07 2020-02-21 주식회사 신정기공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춘 가동보
KR102191243B1 (ko) 2020-07-03 2020-12-15 주식회사 신정기공 회전식 가동보
KR102252611B1 (ko) 2020-12-22 2021-05-17 주식회사 신정기공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장치
KR20220051645A (ko)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KR102401121B1 (ko) * 2022-02-10 2022-05-23 (주)대도엔텍 저층수 배출 기능 및 에어백 손상 방지가 가능한 가동보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013Y1 (ko) * 2005-05-03 2005-09-07 이시영 저층수 방류장치의 막힘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013Y1 (ko) * 2005-05-03 2005-09-07 이시영 저층수 방류장치의 막힘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933B1 (ko) * 2019-03-06 2020-02-05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KR102080024B1 (ko) 2019-10-07 2020-02-21 주식회사 신정기공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춘 가동보
KR102191243B1 (ko) 2020-07-03 2020-12-15 주식회사 신정기공 회전식 가동보
KR20220051645A (ko)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KR102252611B1 (ko) 2020-12-22 2021-05-17 주식회사 신정기공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장치
KR102401121B1 (ko) * 2022-02-10 2022-05-23 (주)대도엔텍 저층수 배출 기능 및 에어백 손상 방지가 가능한 가동보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316B1 (ko)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US4246666A (en) Flush toilet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7744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KR101788194B1 (ko) 배수능력이 개선된 수문장치
KR101166372B1 (ko) 자동 어도 장치
FR2643971A1 (fr) Vannage cyclique autocurant a decantation
KR100884730B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100008568A (ko)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JP2007078561A (ja) フロート式水位計用防波管
KR101073437B1 (ko) 도크식 어도
KR100963137B1 (ko) 오수 배출로에 설치되는 악취방지장치
KR102073933B1 (ko) 스크린 부착 가동보를 이용한 관로 제어장치
JP2008106461A (ja) フラッシュゲート
JP5699888B2 (ja) 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
KR100664910B1 (ko) 양변기
EP0358672A1 (en) DEVICE FOR PREVENTING RETURN FLOW IN SLOPED TUBES.
KR200361667Y1 (ko) 자동수문 개폐장치
KR102401121B1 (ko) 저층수 배출 기능 및 에어백 손상 방지가 가능한 가동보 및 이의 시공방법
JPS5817912A (ja) 転倒ゲ−トの排砂装置
JP2008095282A (ja) フラッシュゲート
KR101969212B1 (ko)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KR101633300B1 (ko) 직선 운동 구조의 플러싱 게이트
KR200277574Y1 (ko) 초 절수형 양변기
KR100930685B1 (ko) 하수배출형 부표식 자동수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