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243B1 - 회전식 가동보 - Google Patents

회전식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243B1
KR102191243B1 KR1020200081855A KR20200081855A KR102191243B1 KR 102191243 B1 KR102191243 B1 KR 102191243B1 KR 1020200081855 A KR1020200081855 A KR 1020200081855A KR 20200081855 A KR20200081855 A KR 20200081855A KR 102191243 B1 KR102191243 B1 KR 102191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haft
sluice
door
wall
slui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식
오성현
최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정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정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정기공
Priority to KR102020008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시 가동보는 수로(10)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수문(20); 그 수문(20)의 중간 후부에 설치되는 회전축(30); 그 회전축(30)을 수로(10)의 외벽(11) 외부로 인출하고, 그렇게 인출된 회전축(30)의 끝단에 설치되는 작동암(40); 상기 수로(10)의 외벽(11) 외부의 어느 한 곳을 지지하여 작동암(40)의 끝단과 링크결합되는 실린더(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가동보{Rotary movable beam}
본 발명은 회전식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가동보란,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에 물을 가두어 농업, 공업, 생활 용수,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한 물막이 구조물이다.
이러한 가동보는 통상적으로 수로에 수문을 설치하고, 그 수문의 하단부를 중심으로하여 수문의 상단이 후방으로 전도되게 한 전도식 가동보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도식 가동보는 상층수를 수문의 상단으로 월류시켜 배출시킴으로써 수위의 조절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저층수의 배출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수문의 전방에서 유량에 의해 유입되는 각종 침전물, 슬러지, 토사 등이 연속적으로 퇴적됨은 물론 그로 인해 하천이 부패되고, 그에 따른 악취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특허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가동보"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최근의 선행기술문헌 5건을 등재한 것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술분야와 배경기술 및 그 발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KR 101947316 B1 KR 101557744 B1 KR 101900943 B1 KR 1020160102936 A KR 101405096 B1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가동보를 구성함에 있어 저층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려는데 과제를 두고 이를 해결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로를 가로막는 수문의 중간 후부에 회전축을 구성하고, 그 회전축을 회전시켜 수문을 회전식으로 개폐하는 수단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 따르면, 수문이 회전되면서 수문의 하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저층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수문을 수평으로 눕혀 수로의 전면적 개방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로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수로 외형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받침구를 적용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받침구를 작동되도록 한 수로 외형 단면 예시도
도 6은 도 5의 또 다른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작동도
도 8은 도 5의 또 다른 예시도
도 9는 도 8의 중간 작동도
도 10은 도 8의 최종 작동도
도 11은 도 8의 요부 평면 단면도 및 그 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82)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으며, 구성의 모양을 특별하게 특정하지 않은 이상 그 평면의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이고, 이럴 경우 평면도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로(10)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수문(20); 그 수문(20)의 중간 후부에 설치되는 회전축(30); 그 회전축(30)을 수로(10)의 외벽(11) 외부로 인출하고, 그렇게 인출된 회전축(30)의 끝단에 설치되는 작동암(40); 상기 수로(10)의 외벽(11) 외부의 어느 한 곳을 지지하여 작동암(40)의 끝단과 링크결합되는 실린더(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문(20)의 하단 전방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회전을 위한 단턱(12)을 형성하고, 수문(20)은 하단이 수로의 후방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실린더(50)의 구동에 따라 수문(20)이 회전되면서 수문(20)의 하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저층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수문(20)을 수평으로 눕혀 수로의 전면적 개방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4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서 수로의 수문(20) 하단 후부에 설치되는 받침구(60); 그 받침구(60)의 회전축(30)을 수로(10)의 외벽(11) 외부로 인출하고, 그렇게 인출된 회전축(30)의 끝단에 설치되는 작동암(40); 그 작동암(40)의 끝단과 링크결합되는 실린더(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받침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20)의 하단 후부로부터 수로의 바닥에 장착홈(61)을 형성하여 수문(20)의 하단보다 낮도록 설치되고, 전방 상면이 수문(20)의 하단 후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30)으로부터 직교회전에 따라 수문(20)의 하단 후부를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수문(20)을 닫았을 때 그 수문(20)은 수압에 의해 수문(20)의 하부가 의도하지 않게 후방으로 회전되어 틈새가 발생하고, 그 틈새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받침구(60)를 채용하여 수문(20)의 하단 후부를 견고하게 받침으로써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6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서 받침구(60)를 별도의 실린더(50)로 작동시키는 것 대신 수로(10)의 외벽(11) 외부로 인출된 수문(20) 회전축(30)과 받침구(60) 회전축(30) 사이에 링크결합되는 1절링크암(71,7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수문(20) 실린더(50)의 작동에 따라 1절링크암(71,72)이 연동하여 작동하고, 그 연동작동에 의해 수문(20)을 닫았을 때 자동으로 받침구(60)가 수문(20)의 하단 후부를 받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실린더(50)를 채용하여 받침구(60)를 동작시키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8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서 받침구(60)를 별도의 실린더(50)로 작동시키는 것 대신 수문(20) 회전축(30)과 받침구(60) 회전축(30) 사이에 링크결합되는 1절링크암(71,72);을 구성하되, 상기 수문(20) 작동암(40)의 두부과 수문(20) 링크암(71)의 두부를 밀착하여 수문(20) 회전축(30)에 결합하고, 그 수문(20) 링크암(71)의 두부는 수문(20) 회전축(30)으로부터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수문(20) 작동암(40)의 두부 밀착면에 형성되는 볼홈(81); 그 수문(20) 링크암(71)의 두부 외측으로부터 수문(20) 작동암(40)의 볼홈(81)에 탄지되는 볼(8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볼(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20) 링크암(71)의 두부 일측면으로부터 볼홈(81)으로 나사홈(83)을 형성하고, 그 나사홈(83)에 볼(82)을 삽입한 다음, 스프링(84)을 삽입한 후, 볼트(85)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20)이 닫혀있을 때 볼홈(81)에 볼(82)이 탄지되어 결합된 상태를 이루고, 그러한 상태에서 수문(20)이 회전되어 소정간격 개방될 때, 탄지력에 의한 볼(82)과 볼홈(81)의 결합력으로 작동암(40)이 링크암를 견인시켜 수문(20)으로부터 받침구(60)의 받침력이 해제되며, 그렇게 해제된 상태에서 작동암(40)이 더 회전하면 1절링크암(71,72)의 한계작동범위에 의해 더 이상 받침구(60)는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되어 있고, 작동암(40)의 연속적인 회전력이 탄지력을 이겨 볼홈(81)으로부터 볼(82)이 이탈하며, 그렇게 볼(82)이 이탈된 상태로 작동암(40)은 연속해서 최대작동범위까지 회전하고, 받침구(60)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작동하며, 반대로 수문(20)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다시 닫을 때에는 볼홈(81)으로부터 볼(82)이 이탈된 상태까지는 작동암(40)이 단독으로 회전하고, 볼홈(81)으로부터 볼(82)이 결합된 시점부터 1절링크암(71,72)이 작동하여 받침구(60)를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즉, 수문(20)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열 때 작동암(40)의 좁은 작동범위 안에서 받침구(60)가 먼저 작동하여 수문(20) 하단 후부를 받치는 받침력이 해제되고, 수문(20)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닫을 때에는 수문(20)이 거의 닫히고 난 이후에 받침구(60)가 작동하여 수문(20)의 하단 후부를 받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하면, 1절링크암(71,72)의 길이와 작동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으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넓은 권리를 갖는 청구항부터 순서를 정하여 청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 및 하술 될 청구범위를 통해 본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이 기술분야의 발전은 물론 사용상의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수로(10)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수문(20); 그 수문(20)의 중간 후부에 설치되는 회전축(30); 그 회전축(30)을 수로(10)의 외벽(11) 외부로 인출하고, 그렇게 인출된 회전축(30)의 끝단에 설치되는 작동암(40); 상기 수로(10)의 외벽(11) 외부의 어느 한 곳을 지지하여 작동암(40)의 끝단과 링크결합되는 실린더(50);를 포함하고,
    상기 수문(20)의 하단 후부로부터 수로(10)의 바닥에 형성되는 장착홈(61); 그 장착홈(61) 내에 몸체가 설치되고 몸체의 전방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이 회전하여 전도 또는 기립되도록 설치하여서 수문(20)의 개방시 전도하여 수문(20)의 경로를 개방하며 수문(20)의 폐쇄시 수문(20)의 하단 후부를 받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구(60); 그 받침구(60)의 전방 회전중심에 설치되는 회전축(30); 그 회전축(30)을 수로(10)의 외벽(11) 외부로 인출하고, 그렇게 인출된 회전축(30)을 수로(10)의 외벽(11) 외부에서 회전축(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여 받침구(60)를 전도 또는 기립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30)의 구동수단은,
    상기 수로(10)의 외벽(11) 외부로 인출된 회전축(30)의 끝단에 설치되는 작동암(40); 그 작동암(40)을 수로(10)의 외벽(11) 외부의 어느 한 곳을 지지하여 작동암(40)의 끝단과 링크결합되는 실린더(50);로 회전되게 하는 것;
    상기 수로(10)의 외벽(11) 외부로 인출된 수문(20) 회전축(30)과 받침구(60) 회전축(30) 사이에 링크결합되는 1절링크암(71,72);으로 회전되게 하는 것;
    상기 수로(10)의 외벽(11) 외부로 인출된 수문(20) 회전축(30)과 받침구(60) 회전축(30) 사이에 링크결합되는 1절링크암(71,72); 상기 수문(20) 작동암(40)의 두부과 수문(20) 링크암(71)의 두부를 밀착하여 수문(20) 회전축(30)에 결합하고, 그 수문(20) 링크암(71)의 두부는 수문(20) 회전축(30)으로부터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수문(20) 작동암(40)의 두부 밀착면에 형성되는 볼홈(81); 그 수문(20) 링크암(71)의 두부 외측으로부터 수문(20) 작동암(40)의 볼홈(81)에 탄지되는 볼(82);로 회전되게 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회전식 가동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81855A 2020-07-03 2020-07-03 회전식 가동보 KR102191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55A KR102191243B1 (ko) 2020-07-03 2020-07-03 회전식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855A KR102191243B1 (ko) 2020-07-03 2020-07-03 회전식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243B1 true KR102191243B1 (ko) 2020-12-15

Family

ID=7378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855A KR102191243B1 (ko) 2020-07-03 2020-07-03 회전식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2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962B1 (ko) * 2022-03-31 2022-11-11 김하경 자연친화형 수문 구조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659Y1 (ko) * 2000-10-16 2001-03-15 진문용 도어형 수문 자동 개폐 장치
KR101004442B1 (ko) * 2010-06-29 2010-12-28 경신가동보(주) 가동보용 게이트 록킹장치
KR101015713B1 (ko) * 2010-06-08 2011-02-22 김지환 도어클로저
KR101405096B1 (ko)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101557744B1 (ko) 2015-04-01 2015-10-06 하서산업 주식회사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KR20160102936A (ko) 2016-08-13 2016-08-31 한상관 저층수 배출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도록 작용하면서 파괴되어가는 하천생태계를 자연적으로 복원시켜주도록 작용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전력생산공법
KR101900943B1 (ko) 2016-03-31 2018-09-21 박도우 저층수 배출이 용이한 가동보의 개량형 패널 구조
KR101947316B1 (ko) 2018-05-28 2019-02-13 이한욱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KR102080024B1 (ko) * 2019-10-07 2020-02-21 주식회사 신정기공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춘 가동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659Y1 (ko) * 2000-10-16 2001-03-15 진문용 도어형 수문 자동 개폐 장치
KR101015713B1 (ko) * 2010-06-08 2011-02-22 김지환 도어클로저
KR101004442B1 (ko) * 2010-06-29 2010-12-28 경신가동보(주) 가동보용 게이트 록킹장치
KR101405096B1 (ko) 2013-11-20 2014-06-11 주식회사 수경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KR101557744B1 (ko) 2015-04-01 2015-10-06 하서산업 주식회사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KR101900943B1 (ko) 2016-03-31 2018-09-21 박도우 저층수 배출이 용이한 가동보의 개량형 패널 구조
KR20160102936A (ko) 2016-08-13 2016-08-31 한상관 저층수 배출용 친환경 가동보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주도록 작용하면서 파괴되어가는 하천생태계를 자연적으로 복원시켜주도록 작용하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전력생산공법
KR101947316B1 (ko) 2018-05-28 2019-02-13 이한욱 저층수배출로를 구비한 가동보
KR102080024B1 (ko) * 2019-10-07 2020-02-21 주식회사 신정기공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춘 가동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962B1 (ko) * 2022-03-31 2022-11-11 김하경 자연친화형 수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243B1 (ko) 회전식 가동보
CN204139133U (zh) 一种液压底轴旋转闸门
WO2017092510A1 (zh) 一种电子锁的触发结构、电子锁及其触发方式
JP2008033152A5 (ko)
US20180132680A1 (en) Toilet with contamination suppression
CN108545376A (zh) 永磁体后置杠杆型自动开闭垃圾桶
CN206847181U (zh) 冰箱
CN110185830B (zh) 一种利用差速自动关闭的防溢水阀门
WO2017181999A1 (zh) 洗衣机上盖止挡结构及全自动洗衣机
CN202077392U (zh) 割草机后部出草通道的开闭装置
CN205278489U (zh) 一种新型一体化机械式无水自关水阀
CN220203663U (zh) 旋转活动限位器及带定位功能的复位门总成
CN210871214U (zh) 一种浴室壁挂收纳柜
CN203189791U (zh) 带关闭功能分水阀芯
CN207569312U (zh) 防儿童打开的水龙头
CN220631943U (zh) 一种足浴器的排水结构及足浴器
CN218291713U (zh) 摆闸及摆闸通道
CN111341573B (zh) 断路器及断路器的操动机构
CN201200083Y (zh) 单手自开合防尘水杯
CN210439817U (zh) 一种防盗门智能锁
KR200291396Y1 (ko) 도어 정지수단이 형성된 유압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CN205065006U (zh) 迥转式水箱开关
KR200392552Y1 (ko) 안정된 고정 부재를 갖는 수문 장치
JPH1096256A (ja) 簡易水洗便器
CN206564230U (zh) 一种因故障脱扣手柄中停的小型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