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8568A -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8568A
KR20100008568A KR1020080069116A KR20080069116A KR20100008568A KR 20100008568 A KR20100008568 A KR 20100008568A KR 1020080069116 A KR1020080069116 A KR 1020080069116A KR 20080069116 A KR20080069116 A KR 20080069116A KR 20100008568 A KR20100008568 A KR 2010000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opening
cover plate
closing pla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015B1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경이엔지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경이엔지, 김성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경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6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0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로 차집관거의 하수유입측 상단부와 하수배출측 상단부에 하수유입구를 형성하게 되는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이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사이에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게 되는 부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하수유입구를 개폐하게 되는 호형개폐판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에 의해 차집관거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가 신속하게 개폐될 수 있게 되므로, 우수로 인하여 하수량이 증대되는 초기에 많은 양의 하수와 함께 토사가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집관거, 토사유입, 방지, 덮개판, 호형개폐판, 부구

Description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earth and sand from inflowing into a drainage gathering box}
본 발명은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로 차집관거의 하수유입측 상단부와 하수배출측 상단부에 하수유입구를 형성하게 되는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이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사이에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게 되는 부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하수유입구를 개폐하게 되는 호형개폐판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에 의해 차집관거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가 신속하게 개폐될 수 있게 되므로, 우수로 인하여 하수량이 증대되는 초기에 많은 양의 하수와 함께 토사가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도로의 배수로를 통해 모여진 하수를 하천으로 배출하기 위한 하수로(20)나 농촌지역에 형성된 농수로의 배출측에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천(23)으로 배출되는 하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기 위한 차집관거(1)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하수로 차집관거(1)의 하수유입측에는 하수에 포함된 토사나 이물질 등이 차집관거(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벽(21)과 스크린(22)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하수로 차집관거는 우천시 우수로 인해 하수량이 증대될 경우 토사가 차단벽과 스크린을 넘어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차집관거의 내부로 토사가 유입되어 쌓이게 되면 차집관거의 배수단면이 축소되어 차집관거의 배수효율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하수 처리장으로 토사가 유입됨에 따라 하수 처리장의 정화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집관거(1)의 하수유입구의 둘레에 구비된 서포트와 서포트의 중간 전방에 구비되어 회동축(31)을 통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프레임 프레이트(30)로 구성된 "토사유입 방지장치"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1706호로 알려진 바 있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토사유입 방지장치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상기 프레임 플레이트(30)가 후방이 개방되게 경사져 있음에 따라 일정한 유량으로 통과되는 하수가 차집관거(1)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되고, 우천시에는 우수로 인해 하수량이 증가됨에 따라 프레임 플레이트(30)의 전방이 하향되어 수평 상태로 되므로써 토사와 함께 유입되는 하수가 차집관거(1)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바로 하천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우천시 우수로 인해 하수량이 증대되는 초기에 차집관거(1)의 내부로 많은 양의 하수와 함께 토사를 유입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토사유입 방지방치는 우천시 하수량이 급격히 증대되어 많은 양의 하수가 차집관거(1)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집관거(1)의 내부로 유입된 하수가 차집관거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 플레이트(30)의 하부에 충돌하게 됨에 따라 그 충격에 의해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던 프레임 플레이트(30)가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프레임 플레이트(30)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 차집관거(1)의 내부에 하수가 완전히 채워진 후 차집관거(1)의 상부를 거쳐 직선으로 흘러가게 되는 하수가 수직으로 세워진 프레임 플레이트(30)의 상부에 충돌하여 프레임 플레이트(30)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차집관거(1)의 하수유입구를 완전히 폐쇄시킬 때까지 차집관거(1)의 내부로 많은 양의 하수와 함께 토사가 그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수로 차집관거의 하수유입측 상단부와 하수배출측 상단부에 하수유입구를 형성하게 되는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이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상부덮개판과 하부덮개판사이에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게 되는 부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하수유입구를 개폐하게 되는 호형개폐판이 설치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에 의해 차집관거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가 신속하게 개폐될 수 있게 되므로, 우수로 인하여 하수량이 증대되는 초기에 많은 양의 하수와 함께 토사가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로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하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보내기 위하여 하수로의 배출측에 설치하게 되는 하수로 차집관거에 있어서, 상기 차집관거의 하수유입측 상단부에는 전단부에 개폐판걸림단부가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상부덮개판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차집관거의 하수유입측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된 상기 차집관거의 하수배출측 상단부에는 후단부에 개폐판안내단부가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하부덮개판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차집관거의 내측저면에는 상부에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지지대가 고 정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지지대에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의 일단부에는 개폐판지지봉이 수직으로 상향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부구지지봉이 하향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지지봉의 끝단부에는 전단부에 상기 상부덮개판의 개폐판걸림단부에 걸리게 되는 돌출단부가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호형개폐판이 설치되고, 상기 부구지지봉의 끝단부에는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호형개폐판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부덮개판의 전단부와 하부덮개판의 후단부사이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를 개폐하게 되는 부구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에 의해 차집관거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가 신속하게 개폐될 수 있게 되므로써 우수로 인하여 하수량이 증대되는 초기에 많은 양의 하수와 함께 토사가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사유입 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하수로 차집관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 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수로(20)를 통해 하천(23)으로 배출되는 하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하수로(20)의 배출측에 설치하게 되는 하수로 차집관거(1)의 하수유입측 상단부에는 전단부에 개폐판걸림단부(2a)가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상부덮개판(2)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차집관거(1)의 하수유입측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된 상기 차집관거(1)의 하수배출측 상단부에는 후단부에 개폐판안내단부(3a)가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하부덮개판(3)이 고정설치된다.
이 때, 상기 차집관거(1)의 하수배출측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덮개판(3)을 상기 차집관거(1)의 하수유입측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상부덮개판(2)보다 낮게 형성한 것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집관거(1)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구(9)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8)이 상부덮개판(2)의 전단부와 하부덮개판(3)의 후단부사이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10)를 견고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판(2)의 전반부는 상부덮개판(2)의 하부에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8)이 상부덮개판(2)의 전반부하면에 밀착될 수 있게 호형개폐판(8)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만곡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집관거(1)의 내측저면에는 상부에 회전축(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지지대(5)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지지대(5)에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축(4)의 일단부에는 개폐판지지봉(6)이 수직으로 상향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부구지지봉(7)이 하향 경사지게 결합된다.
이 때, 상기 회전축(4)과 부구지지봉(7)은 차집관거(1)의 크기나 하수의 유입량 등에 따라 부력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세레이션형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지지봉(6)의 끝단부에는 전단부에 상기 상부덮개판(2)의 개폐판걸림단부(2a)에 걸리게 되는 돌출단부(8a)가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호형개폐판(8)이 설치되고, 상기 부구지지봉(7)의 끝단부에는 차집관거(1)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호형개폐판(8)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부덮개판(2)의 전단부와 하부덮개판(3)의 후단부사이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10)를 개폐하게 되는 부구(9)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부구지지봉(7)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부구(9)는 차집관거(1)의 크기나 하수의 유입량, 호형개폐판(8)의 크기나 중량 등에 따라 부력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및 중량조절이 가능한 부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구(9)는 자중에 의해 호형개폐판(8)을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호형개폐판(8)의 중량보다 무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사유입 방지장치를 하수로 차집관거(1)에 설치하게 되면, 회전축지지대(5)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4)의 타단부에 결합된 부구지지봉(7)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구(9)가자중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게 됨에 따라 회전축(5)의 일단부에 결합된 개폐판지지봉(6)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호형개폐판(8)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상부덮개판(2)과 하부덮개판(3)사이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10)가 개방된다.
이 때, 상기 부구(9)의 하강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8)은 전단부에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돌출단부(8a)가 상부덮개판(2)의 개폐판걸림단부(2a)에 걸리게 되므로써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부구(9)의 하강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8)에 의해 상부덮개판(2)과 하부덮개판(3)사이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10)가 개방된 상태가 되면, 평상시 하수량이 적을 경우에는 개방된 하수유입구(10)를 통해 차집관거(1)의 내부로 하수가 원활하게 유입되고, 유입된 하수는 차집관거(1)의 하수배출구(1a)을 통해 하수 처리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우천시 우수로 인해 하수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상시보다 많은 양의 하수가 개방된 하수유입구(10)를 통해 차집관거(1)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차집관거(1)의 내부에 유입된 하수의 수면이 점차 높아지게 되는데, 이렇게 차집관거(1)의 내부에 유입된 하수의 수면이 점차 높아지게 되면 회전축지지대(5)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4)의 타단부에 결 합된 부구지지봉(7)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구(9)가 위로 상승하게 되고, 부구(9)가 위로 상승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5)의 일단부에 결합된 개폐판지지봉(6)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호형개폐판(8)이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상부덮개판(2)과 하부덮개판(3)사이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10)가 폐쇄된다.
이 때, 상기 부구(9)의 상승에 의해 전방으로 서서히 회동하기 시작한 호형개폐판(8)은 전단부에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돌출단부(8a)에 상부덮개판(2)을 거쳐 흘러내리는 많은 양의 하수가 부딪히면서 더욱 더 빠르게 회동하게 되는데, 이렇게 전방으로 빠르게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8)은 전단부에 상향절곡된 돌출단부(8a)가 하부덮개판(3)의 개폐판안내단부(3a)를 따라 하부덮개판(3)의 후단부상면에 걸리게 되므로써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전단부에 상향절곡된 돌출단부(8a)가 하부덮개판(3)의 개폐판안내단부(3a)를 따라 하부덮개판(3)의 후단부상면에 걸리게 되므로써 상부덮개판(2)과 하부덮개판(3)사이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10)를 폐쇄하게 되는 호형개폐판(8)은 상부덮개판(2)을 거쳐 흘러내리는 많은 양의 하수에 의해 가압되므로써 그 폐쇄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부구(9)의 상승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8)에 의해 상부덮개판(2)과 하부덮개판(3)사이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10)가 폐쇄된 상태가 되면, 많은 양의 하수와 함께 유입된 토사가 차집관거(1)의 내부로 전혀 유입되지 않고 바로 하천으로 그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하수량이 점차 평상시와 같이 감소하게 될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지지대(5)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4)의 타단부에 결합된 부구지지봉(7)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구(9)가 자중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게 됨에 따라 하부덮개판(3)의 후단부상면에 접촉하면서 상부덮개판(2)과 하부덮개판(3)사이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10)을 폐쇄하고 있던 호형개폐판(8)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하수유입구(10)가 다시 개방된다.
이 때, 상기 부구(9)의 하강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8)은 전단부에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돌출단부(8a)가 상부덮개판(2)의 개폐판걸림단부(2a)에 걸리게 되므로써 정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사유입 방지장치에 의하면, 차집관거(1)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구(9)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호형개폐판(8)에 의해 차집관거(1)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1a)가 신속하게 개폐될 수 있게 되므로써 우수로 인하여 하수량이 증대되는 초기에 많은 양의 하수와 함께 토사가 차집관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토사유입 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하수로 차집관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종래기술에 의한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집관거 2 : 상부덮개판
2a : 개폐판걸림단부 3 : 하부덮개판
3a : 개폐판안내단부 4 : 회전축지지대
5 : 회전축 6 : 개폐판지지봉
7 : 부구지지봉 8 : 호형개폐판
8a : 돌출단부 9 : 부구
10 : 하수유입구

Claims (1)

  1. 하수로를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는 하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하수로의 배출측에 설치하게 되는 하수로 차집관거(1)에 있어서,
    상기 차집관거(1)의 하수유입측 상단부에는 전단부에 개폐판걸림단부(2a)가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상부덮개판(2)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차집관거(1)의 하수유입측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된 상기 차집관거(1)의 하수배출측 상단부에는 후단부에 개폐판안내단부(3a)가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하부덮개판(3)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차집관거(1)의 내측저면에는 상부에 회전축(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지지대(5)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지지대(5)에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축(4)의 일단부에는 개폐판지지봉(6)이 수직으로 상향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부구지지봉(7)이 하향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지지봉(6)의 끝단부에는 전단부에 상기 상부덮개판(2)의 개폐판걸림단부(2a)에 걸리게 되는 돌출단부(8a)가 상향절곡되게 형성된 호형개폐판(8)이 설치되고,
    상기 부구지지봉(7)의 끝단부에는 차집관거(1)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의 증감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호형개폐판(8)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부덮개판(2)의 전단부와 하부덮개판(3)의 후단부사이에 형성되는 하수유입구(10)를 개폐하게 되는 부구(9)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20080069116A 2008-07-16 2008-07-16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03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116A KR101033015B1 (ko) 2008-07-16 2008-07-16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116A KR101033015B1 (ko) 2008-07-16 2008-07-16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68A true KR20100008568A (ko) 2010-01-26
KR101033015B1 KR101033015B1 (ko) 2011-05-09

Family

ID=4181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116A KR101033015B1 (ko) 2008-07-16 2008-07-16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0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721B1 (ko) * 2010-02-10 2013-01-11 진두남 호형개폐판을 갖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242668B1 (ko) * 2010-08-30 2013-03-12 (주)우창그레이팅 배수로의 배수장치
KR101305971B1 (ko) * 2012-03-07 2013-09-12 이경우 하수구용 배수장치
CN105745480A (zh) * 2013-07-12 2016-07-06 国家科奇私人有限公司 灌溉网阀
CN113668680A (zh) * 2021-08-14 2021-11-19 邓越 一种水利工程环保蓄水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594B1 (ko) * 2006-05-22 2006-09-01 이근준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
KR100774588B1 (ko) * 2007-01-18 2007-11-09 이경우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721B1 (ko) * 2010-02-10 2013-01-11 진두남 호형개폐판을 갖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242668B1 (ko) * 2010-08-30 2013-03-12 (주)우창그레이팅 배수로의 배수장치
KR101305971B1 (ko) * 2012-03-07 2013-09-12 이경우 하수구용 배수장치
CN105745480A (zh) * 2013-07-12 2016-07-06 国家科奇私人有限公司 灌溉网阀
CN113668680A (zh) * 2021-08-14 2021-11-19 邓越 一种水利工程环保蓄水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015B1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8310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oil inflow in intercepting sewer
KR100774588B1 (ko)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KR101033015B1 (ko)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JPH06510097A (ja) 堰止め能力を有する屋根および平面から降水或いは雨水を遅延して排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291612B1 (ko)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CN105507415B (zh) 一种带有升降式截流橡胶瓣止回阀的雨水弃流井
CN105544713B (zh) 带止回功能的截流井
KR20120003026U (ko) 맨홀 악취방지 덮개
CN109763400A (zh) 具有应急排水功能的园林道路排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00119302A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112240049A (zh) 一种机械式楼宇雨污分离器
CN209556088U (zh) 一种基于浮筒的截流初期雨水的雨水口
CN105386508B (zh) 一种新型初雨水力自动控制弃流装置
KR101221721B1 (ko) 호형개폐판을 갖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CN210458845U (zh) 一种市政道路初期雨水排放系统
KR100781790B1 (ko)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
JPH10140592A (ja) 換気孔の雨水流入防止装置
CN211340277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结构
CN207063119U (zh) 一种浮球闸门式自控截污窨井
KR101305971B1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CN111827458B (zh) 一种市政下水道污水排放处理系统
CN205444424U (zh) 带止回功能的截流井
CN208748803U (zh) 一种具有预处理功能的分流调蓄型雨水口装置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384362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