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362Y1 -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362Y1
KR200384362Y1 KR20-2005-0004559U KR20050004559U KR200384362Y1 KR 200384362 Y1 KR200384362 Y1 KR 200384362Y1 KR 20050004559 U KR20050004559 U KR 20050004559U KR 200384362 Y1 KR200384362 Y1 KR 200384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outlet
backflow prevention
main body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덕환
Original Assignee
서일공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공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일공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4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3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역류 방지장치는 맨홀에 설치되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에 있어서, 맨홀의 트인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하수를 도입하는 상부의 입구와, 도입된 하수를 배출하는 측방의 트인 출구를 갖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출구로부터 하수가 배수될 시에는 하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여 출구를 개방하고, 하수의 배출이 중단될 시에는 자중에 의해 역회전하여 출구를 폐쇄하며, 배출된 하수가 역류할 시에도 출구를 폐쇄하는 역류방지도어를 구비한다. 출구는 본체의 어느 한쪽 측방을 향해 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출구로부터 하수가 배수될 경우에는 출구를 개방하고, 배출된 하수가 거꾸로 역류할 경우에는 출구를 폐쇄하는 역류방지도어를 갖춤으로써, 집중호우 또는 장마시에 많은 비가 내려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라도 하수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출구로부터 하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는 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맨홀과 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오수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역류된 악취가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Description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BACKFLOW PREVENTER OF SEWAGE AND FOUL SMELL}
본 고안은 맨홀에 설치되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맨홀이 설치된다. 맨홀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과 연결되어 집수된 빗물이나 오수를 하수처리장 또는 하천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맨홀의 트인 상부에는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이라고도 불리는 격자 구조물이 설치되어 크고 거친 이물질을 걸러준다.
그런데, 이러한 맨홀과 하수관은, 집중호우 또는 장마시에 많은 비가 내려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하수의 역류를 허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역류된 하수를 도로상에 그대로 방출시켜 도로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맨홀과 하수관은, 내부를 따라 흐르는 오수의 악취를 그대로 역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역류된 악취를 대기 중에 방출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오수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이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맨홀에 설치되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트인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하수를 도입하는 상부의 입구와, 도입된 하수를 배출하는 측방의 트인 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출구로부터 하수가 배수될 시에는 하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출구를 개방하고, 하수의 배출이 중단될 시에는 자중에 의해 역회전하여 상기 출구를 폐쇄하며, 배출된 하수가 역류할 시에도 상기 출구를 폐쇄하는 역류방지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구는 본체의 어느 한쪽 측방을 향해 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가 맨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는 본체(10)를 갖는다. 본체(10)는 맨홀(A)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맨홀(A)의 형상에 맞춰 사각의 관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10)는 한쪽 측벽(10a)과 마주보는 다른 한쪽 측벽(10b)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성됨에 따라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본체(10)의 하측은 맨홀(A)의 내벽과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살펴보면, 본체(10)는 상측의 트인 입구(12)와 하측의 트인 출구(14)를 구비한다. 상측의 트인 입구(12)는 상부의 격자 구조물(B)을 통과한 하수를 도입하도록 구성되며, 그 둘레에는 플랜지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2a)는 맨홀(A)의 상단에 형성된 단차부(A1)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본체(10)를 맨홀(A)에 수직한 상태로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출구(14)는 하수를 배출하는 것으로, 측방을 향해 트이도록 구성된다. 특히, 측방으로 향해 대략 수직한 상태를 이루며 트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출구(14)는 측방을 향해 트여 있음에 따라 도입된 하수를 측방으로 배출한다.
여기서, 측방을 향하는 출구(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한쪽 측벽(10a)과 마주보는 다른 한쪽 측벽(10b)을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이들의 경사각도와 길이를 사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측방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체(10)에 의하면, 맨홀(A)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입구(12)를 통해 하수를 도입하고, 도입된 하수를 측방의 출구(14)를 통해 측방으로 배출한다. 여기서, 본체(10)는 강도가 높은 재질, 예를 들면 철재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역류 방지장치는 본체(10)의 출구(14)를 개폐하는 역류방지도어(20)를 구비한다. 역류방지도어(20)는 양쪽의 힌지브라켓(22)을 통해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출구(14)로부터 배출되는 하수의 흐름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출구(14)를 개방하며, 하수의 배출이 없을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역회전하여 상기 출구(14)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수가 역류할 경우에는, 역방향으로 흐르는 하수에 의해 원위치로 역회전하여 상기 출구(14)를 닫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역류방지도어(20)에 의하면, 하수가 정방향으로 배수될 경우에는 출구(14)를 개방하여 하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하수가 역방향으로 역류할 경우에는, 출구(14)를 폐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집중호우 또는 장마시에 많은 비가 내려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라도 하수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하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는 출구(14)를 폐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맨홀과 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오수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며, 따라서 역류된 악취가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역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다른 실시예의 역류 방지장치는,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14)를 구비하되, 상기 출구(14)가 본체(10)의 양쪽 측방을 향해 서로 등지면서 두 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출구(14)에는 이를 개폐하는 역류방지도어(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각 역류방지도어(20)는 출구(14)로부터 하수가 배수될 경우에는 출구(14)를 개방하고, 하수의 배출이 없거나 또는 하수가 역류할 경우에는, 출구(14)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양쪽의 출구(14)는 본체(10)의 트인 하부에 "∧"자형 격판(30)을 설치함에 따라 측방을 향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역류 방지장치에 의하면, 하수를 배수하는 출구(14)가 양쪽으로 형성되므로, 하수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집중호우 또는 장마시에 많은 비가 내려도 빗물과 하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는, 출구로부터 하수가 배수될 경우에는 출구를 개방하고, 배출된 하수가 거꾸로 역류할 경우에는 출구를 폐쇄하는 역류방지도어를 갖춤으로써, 집중호우 또는 장마시에 많은 비가 내려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라도 하수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출구로부터 하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는 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맨홀과 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오수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역류된 악취가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가 맨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맨홀 A1: 단차부
B: 격자 구조물 10: 본체
12: 입구 12a: 플랜지부
14: 출구 20: 역류방지도어
22: 힌지브라켓 30: 격판

Claims (4)

  1. 맨홀에 설치되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의 트인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하수를 도입하는 상부의 입구와, 도입된 하수를 배출하는 측방의 트인 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출구로부터 하수가 배수될 시에는 하수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출구를 개방하고, 하수의 배출이 중단될 시에는 자중에 의해 역회전하여 상기 출구를 폐쇄하며, 배출된 하수가 역류할 시에도 상기 출구를 폐쇄하는 역류방지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본체의 어느 한쪽 측방을 향해 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본체의 어느 한쪽 측방과 다른 한쪽의 측방을 향해 서로 등지고 2개가 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입구 둘레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맨홀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단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2005-0004559U 2005-02-21 2005-02-21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384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559U KR200384362Y1 (ko) 2005-02-21 2005-02-21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559U KR200384362Y1 (ko) 2005-02-21 2005-02-21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362Y1 true KR200384362Y1 (ko) 2005-05-16

Family

ID=4368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559U KR200384362Y1 (ko) 2005-02-21 2005-02-21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36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342B1 (ko) 2012-05-17 2012-10-19 이상현 도로 우수받이의 악취 및 역류방지설비
KR200470071Y1 (ko) 2013-08-26 2013-11-25 정명환 맨홀 뚜껑 구조
KR102165649B1 (ko) * 2020-01-06 2020-10-16 장은진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342B1 (ko) 2012-05-17 2012-10-19 이상현 도로 우수받이의 악취 및 역류방지설비
KR200470071Y1 (ko) 2013-08-26 2013-11-25 정명환 맨홀 뚜껑 구조
KR102165649B1 (ko) * 2020-01-06 2020-10-16 장은진 협잡물받이가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와류형 빗물저류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821B1 (ko) 악취방지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0770359B1 (ko)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0384362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170140833A (ko) 도로 배수구용 빗물 처리장치
KR101018776B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101533943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140128813A (ko) 맨홀용 악취 및 역류 방지 장치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1722450B1 (ko) 맨홀 내부 설치용 방취, 방충 기능을 갖는 플랫밸브
KR100654402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100711853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0351993Y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0166989Y1 (ko) 하수처리 차집관로의 우수토실 자동개폐장치.
KR200310121Y1 (ko) 하수관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200429801Y1 (ko) 하수구용 맨홀의 악취 차단장치
KR101758362B1 (ko) 하수도관의 친환경 악취제거 장치
JP4759169B2 (ja) 人孔蓋受枠、マンホールの人孔蓋飛散防止構造
KR200416048Y1 (ko) 자동개폐수단을 갖는 맨홀뚜껑
KR100515985B1 (ko) 악취역류방지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KR200300280Y1 (ko) 배수조용 악취차단구
KR101013190B1 (ko)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200367431Y1 (ko) 악취역류방지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2548347B1 (ko) 맨홀의 역류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