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993Y1 -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993Y1
KR200351993Y1 KR20-2004-0004566U KR20040004566U KR200351993Y1 KR 200351993 Y1 KR200351993 Y1 KR 200351993Y1 KR 20040004566 U KR20040004566 U KR 20040004566U KR 200351993 Y1 KR200351993 Y1 KR 200351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opening
closing plate
inclined surface
deod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열
Original Assignee
박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열 filed Critical 박정열
Priority to KR20-2004-0004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 등을 통해 맨홀에 집수된 하수나 악취가 하수관을 통해 역류하여 일반 가정이나 건물의 실내로 역류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상단부로 돌출된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통공에 고리가 형성된 방취관 몸체와, 상기 방취관 몸체의 체결돌기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돌출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일측면에 고리가 형성된 개폐판과, 상기 방취관 몸체의 고리와 상기 개폐판의 고리에 각각 상, 하부가 체결되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수가 집수되는 집수구와 연계된 하수관에 설치하여 상기 폭우나 하수에 의해 집수구의 수위가 하수관보다 높아져 하수관을 통하여 악취 및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수관에 역류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일정 방향으로만 하수가 배출될 수 있어 하절기와 같이 폭우가 쏟아지는 대홍수시에 하수의 역류에 의해 수해 피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역류방지용 배수장치{Device for blocking reverse flow of sewage}
본 고안은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 등을 통해 집수구에 집수된 하수나 악취가 하수관을 통해 역류하여 일반 가정이나 건물의 실내로 역류하여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집수구(맨홀)는 가정이나 상가 등에서 배출되는 하수나 도로의 빗물 등을 집수하여 하수처리장 등으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집수구는 각 가정이나 상기, 도로의 집수구 등과 연결된 다수개의 하수관이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집수구에 연결된 하수관은 별도의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장마철 집중 호우시 맨홀내의 하수가 하수관을 통해 각 가정이나 상가 등의 실내로 역류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역류방지장치가 공급되어 맨홀에 집수된 하수나 악취가 하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역류방지장치의 일예를 들면, 관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을 개폐 가능하게 커버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는 하수관을 통해 하수가 배수될 때 원활하게 배수되어 집수구에 집수되고 배수가 끝난 후에는 상기 커버의 무게에 의해 자동적으로 배출공을 차단하여 하수의 역류나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맨홀에 과다한 하수나 장마철 집중 호우에 의해 맨홀에 집수된 하수의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하수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상기 배출공을 차단하고 있는 커버가 하수의 수위에 의해 떠올라 상기 경사면이 강제로 개방된다.
따라서 배출공이 하수의 수위에 의해 배출공이 개방되므로 상기 하수관을 통하여 각 가정이나 상가 등의 실내로 하수나 악취 등이 역류되어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수관 등을 통해 집수구(맨홀)에 집수된 하수가 하수관을 통해 역류하여 일반 가정이나 건물의 실내로 역류하여 실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과다한 하수나 장마철 집중 호우에 의해 집수구에 집수된 하수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상기 통공을 차단하고 있는 개폐판이 강제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하수관을 통해 하수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용 배수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용 배수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3 은 도 2의 A부를 보인 확대도.
도 4 는 본 고안의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 은 본 고안의 개폐판이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취관 몸체 12 : 통공
14 : 경사면 16 : 체결돌기
18,24 : 체결공 19, 26 : 고리
20 : 개폐판 22 : 체결돌출부
27 : 걸림돌기 30 : 힌지축
32 : 외피 40 :부력체
50,52 : 패킹 S : 탄성부재
본 고안은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상단부로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통공에 고리가 형성된 방취관 몸체와, 상기 방취관 몸체의 체결돌기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돌출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일측면에 고리가 형성된 개폐판과, 상기 방취관 몸체의 고리와 상기 개폐판의 고리에 각각 상, 하부가 체결되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용 배수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역류방지용 배수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2의 A부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내측에 하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통공(1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방취관 몸체(10)를 마련한다.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일측면에 상단은 길게 하고 하단부는 짧게 하여 경사면(14)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14)은 하단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통공(12) 길이방향으로 상기 경사면(14)에서 이격되게 하여 내측상단에 고리(19)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면(14)의 외측 상단부로 돌출되게 하여 체결공(18)이 형성된 체결돌기(16)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판(20)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개폐판(20)은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체결돌기(16)에 힌지축(30)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체결돌출부(22)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판(20)의 체결돌출부(22)에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 측의 통공(12)이 과다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돌기(27)가 형성된다.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에 맞닿는 면 쪽의 소정 위치에 고리(26)가 구비된다.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고리(19)와 상기 개폐판(20)의 고리(26)에 각각 상, 하부가 체결되는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S)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부재(S)를 감싸 도록하여 하수가 배수될 때 상기 탄성부재(S)에 이물질 등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외피(3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가정이나 상가 등에서 배출되는 하수나 도로에 흐르는 빗물 등을 집수하여 하수처리장 등으로 보내기 위하여 하수가 집수되는 집수구(맨홀) 등과 연결된 다수개의 하수관에 설치하여 집수구 등에 집수된 하수나 빗물 또는 각종 악취 등이 하수관을 통해 일반 가정이나 상가 등의 실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는 본 고안의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하수관을 통해 외부의 맨홀 등의 집수구로 하수관에 설치된 역류방지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상기 역류방지장치를 통과하여 하수가 배출될 때 하수의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을 커버하고 있는 개폐판(20)이 개방되면서 하수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20)이 개방될 때 상기 방취관 몸체(10)와 개폐판(20)의 고리(19)(26)에 각각 상, 하부가 체결되어 있는 탄성부재(S)가 탄성력을 가지면서 상기 개폐판(20)이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통공(12)이 개방된다.
상기 개폐판(20)의 개폐정도는 하수의 배수량에 따라 그 개방정도가 상기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다르게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개폐판(20)이 개방되면 하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하수는 집수구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20)이 과다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상기 개폐판(20)을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힌지축(30)의 세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개폐판(20)이 더 이상 회전하여 상기 통공(12)이 개방되는 것을 상기 탄성부재(S)에 의해 1차로 저지한다.
또한 힌지축(30)의 세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더 이상 회전하여 개방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판(20)이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할 때 상기 걸림돌기(27)가 상기 방취관 몸체(10)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개폐판(20)이 회전되어 상기 통공(12)이 개방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S)와 걸림돌기(27)에 의해 역류방지장치가 설치된 하수관보다 수위가 높을 때 상기 개폐판(20)이 하수의 수위에 의해 과다하게 통공(12)이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S)의 외측을 감싸는 외피(32)를 구비하여 상기 하수가 배수될 때 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상기 탄성부재(S)에 끼게 되어 탄성부재(S) 본연의 기능인 탄성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S)에 하수가 배출될 때 이물질 등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외피(32)는 주름진 주름관 또는 유연성 및 신축성이 좋은 관 형상의 비닐지 등으로 상기 탄성부재(S)의 외측을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생활하수 및 공업하수 등을 원활하게 배수장치를통하여 집수구로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수의 배출이 끝나면 하수관 내에는 하수가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개폐판(20)을 밀고 있는 압력이 감소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20)을 밀고 있는 압력이 감소되면 상기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5와 같이 상기 개폐판(20)이 처음 상태인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에 밀착되어 상기 통공(12)을 막고 있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이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한 후 상기 경사면(14)을 상기 개폐판(20)으로 막고 있고, 또한 상기 방취관 몸체(10)에 상기 개폐판(20)을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S)로 서로 잡아주고 있어 집수구에 집수된 하수가 역류방지장치가 설치된 하수관보다 수위가 높을 때 상기 개폐판(20)이 하수의 수위에 의해 강제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탄성부재(S)가 상기 개폐판(20)을 잡아주고 있고, 또한 하수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상기 개폐판(20)이 하단부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개폐판(20)의 경사부를 타고 하수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하수가 상승하면서 상기 개폐판(20)의 경사부를 외부에서 밀어주어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어 하수관을 통해 악취나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을 커버하고 있는 개폐판(20)의 외측면에 체결수단(42)에 의해 부력을 가지는 부력체(40)를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개폐판(20)에 부력체(40)를 고정시키는 체결수단(42)은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볼트로 체결하거나 또는 리벳 등으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폭우나 하수 등에 의해 집수구의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개폐판(20)이 하단부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는 개폐판(20)의 경사부를 타고 하수가 상승하면서 밀어주어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부력을 갖는 부력체(40)에 의해 상기 개폐판(20)을 밀어주어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에 더욱더 견고하게 밀착되어 하수관을 통해 악취나 하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7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에 밀착되어 커버하고 있는 개폐판(20)의 내측에 안착홈(28)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28)에 안착 고정되는 패킹(5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을 커버하고 있는 개폐판(20)의 밀착면에 패킹(50)을 구비하여 더욱 견고하게 경사면(14)면에 밀착되어 상기 통공(12)을 커버하므로 집수구에 집수된 하수나 악취가 하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차단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 은 본고안의 도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에 패킹(5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방취관 몸체(10)의 경사면(14)에 패킹(52)을 구비하여 상기 개폐판(20)으로 상기 경사면(14)을 커버할 때 상기 개폐판(20)이 상기 경사면(14)의 패킹(52)에 밀착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경사면(14)면을 커버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14)을 견고하게 커버하여 상기 통공(12)을 막아주므로 집수구에 집수된 하수나 악취가 하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차단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전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수가 집수되는 집수구와 연계된 하수관에 설치하여 상기 폭우나 하수에 의해 집수구의 수위가 높아져 하수관을 통하여 악취 및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수관에 역류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일정 방향으로만 하수가 배출될 수 있어 하절기와 같이 폭우가 쏟아지는 대홍수시에 하수의 역류에 의해 수해 피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집수구와 연계되어 있는 하수관에 외부로 돌출되게 역류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수시로 상기 역류방지장치를 점검할 수 있어 신속하게 고장 수리를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8)

  1.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 상단부로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통공에 고리가 형성된 방취관 몸체(10)와,
    상기 방취관 몸체의 체결돌기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돌출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일측면에 고리가 형성된 개폐판(20)과,
    상기 방취관 몸체의 고리와 상기 개폐판의 고리에 각각 상, 하부가 체결되는 탄성부재(S)가 마련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체결돌출부에 형성되어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외피가 더 포함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자바라 모양의 주름관으로 형성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외측면에 부력을 갖는 부력체가 더 포함된역류방지용 배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취관 몸체의 경사면과 상기 개페판의 사이에 패킹이 더 포함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방취관 몸체의 경사면을 커버하는 개폐판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방취관 몸체의 경사면에 구비된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2004-0004566U 2004-02-21 2004-02-21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0351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66U KR200351993Y1 (ko) 2004-02-21 2004-02-21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66U KR200351993Y1 (ko) 2004-02-21 2004-02-21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993Y1 true KR200351993Y1 (ko) 2004-06-10

Family

ID=4934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566U KR200351993Y1 (ko) 2004-02-21 2004-02-21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99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64B1 (ko) 2010-02-02 2010-05-28 주식회사 와텍 주름관을 이용한 커버 부착형 상수도 배수설의 채수기
KR100960370B1 (ko) 2010-02-02 2010-05-28 주식회사 와텍 탄성 주름관을 이용한 상수도 배수시설의 채수기
KR101151803B1 (ko) * 2009-11-09 2012-06-01 박양순 배수 트랩
KR20220090801A (ko) * 2020-12-23 2022-06-30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KR102556058B1 (ko) * 2022-12-07 2023-07-18 주식회사 에이이 빗물받이 악취차단 장치
KR20230153142A (ko) 2022-04-28 2023-11-06 청정테크주식회사 생활하수관 개폐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803B1 (ko) * 2009-11-09 2012-06-01 박양순 배수 트랩
KR100960364B1 (ko) 2010-02-02 2010-05-28 주식회사 와텍 주름관을 이용한 커버 부착형 상수도 배수설의 채수기
KR100960370B1 (ko) 2010-02-02 2010-05-28 주식회사 와텍 탄성 주름관을 이용한 상수도 배수시설의 채수기
KR20220090801A (ko) * 2020-12-23 2022-06-30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KR102418387B1 (ko) * 2020-12-23 2022-07-06 류동환 하천 주변 악취 차단 가림 구조체
KR20230153142A (ko) 2022-04-28 2023-11-06 청정테크주식회사 생활하수관 개폐장치
KR102556058B1 (ko) * 2022-12-07 2023-07-18 주식회사 에이이 빗물받이 악취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4678A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20110111996A (ko) 하수구 및 우수구 악취차단 자동개폐장치
KR200485881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200351993Y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100822433B1 (ko)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101018776B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100000298U (ko) 맨홀용 악취 방지장치
KR20060095233A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20130024339A (ko) 우수 맨홀 커버
KR200350016Y1 (ko) 기밀을 유지하는 배수장치
KR200409407Y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JP4987626B2 (ja) 下水道用臭気防止装置
KR20110015189A (ko) 악취 방지용 맨홀
CN100362176C (zh) 防止倒流的密封式排水设备
KR101704347B1 (ko) 빗물받이용 다단 악취 차단시스템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100950542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200489455Y1 (ko)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0318121Y1 (ko) 하수의 악취 및 역류방지를 위한 고무방취구 구조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KR200310121Y1 (ko) 하수관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WO2002095150A2 (en) Drainage apparatus
CN219638083U (zh) 一种下水管道防臭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