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678A -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678A
KR20060094678A KR1020050016051A KR20050016051A KR20060094678A KR 20060094678 A KR20060094678 A KR 20060094678A KR 1020050016051 A KR1020050016051 A KR 1020050016051A KR 20050016051 A KR20050016051 A KR 20050016051A KR 20060094678 A KR20060094678 A KR 20060094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ewer
inlet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4488B1 (ko
Inventor
류성석
Original Assignee
류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성석 filed Critical 류성석
Priority to KR1020050016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4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가지며 하수구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각각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의 제1단부가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 위치되어 회동시 제1단부가 상호 접촉 및 분리되어 유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와, 상기 각 도어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단부와 대응되는 제2단부측에 설치되어 각 도어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웨이트 부와, 상기 도어의 양측과 대응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의 양측단부와 프레임의 내주면 사이에 이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한다.
하수구, 악취 차단, 도어

Description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a apparatus to prevent bad smell and flowing backward from the manhole of sewer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20;프레임
30, 40;도어
100; 맨홀 본체
200; 그릴
본 발명은 하수구의 맨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수구로부터 발생 되는 악취 및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수구의 역류 및 악취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생활하수, 우수, 공업하수 등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관으로 하수 또는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하수구를 가진다. 상기 하수구를 통하여 버려진 하수 또는 우수는 대부분이 많은 무기물과 유기물이 포함되어 오염된 상태이므로 이들이 부폐 하면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 악취는 하수관과 하수구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주위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많은 량의 물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경우 저지대 측에서는 하수관과 연결된 하수구를 통하여 물이 역류하게 됨으로써 주위를 침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용신안 등록 제 0139488호에는 하수구의 악취 방출 차단용 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트랩은 여과수단을 갖는 통상의 원통체의 내부에 하수 유입부와 하수 유출부을 가지며 꼬임부가 형성된 꼬임 관체가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공개 특허 제 2000-0072265호에는 하수구 악취 차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악취 차단장치는 거름망에 있어서, 통공이 형성된 유입구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봉수함을 걸름망과 일체화 시켜 악취통로를 차단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예들에 있어서, 하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악취가 물이 일부 담긴 꼬임관체, 봉수함에 의해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하수구를 통 하여 역류하는 물을 차단할 수 없으며, 생활 쓰레기들에 의해 이러한 통로가 막히는 경우가 있으며, 장기가 물이 유입되지 않은 경우 꼬임관체, 또는 봉수함에 담긴물이 부폐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 특허 제 1998-0087630호에는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는 하수구에 설치되는 본체 상면에 이물을 걸러내는 제 1,2걸림망을 설치하여 하수관로의 폐쇄를 방지한다. 그리고 본체 내에 내통에는 배출되는 하수에 의해 부상되는 플로터를 설치하여 이 플로터의 승강에 따라 기어 전동에 의해 차단판이 승강하며 내통하단의 배수구멍을 차단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물이 유입시 플로터의 부력과 차단판의 방향이 상호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조작력과 부력이 상호 상쇄되어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구에 유입되는 물의 자중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우수 또는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구로 유입되는 쓰레기가 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끼어 자중에 의해 도어의 회전이 억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가지며 하수구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각각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의 제1단부가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 위치되어 회동시 단부가 상호 접촉 및 분리되어 유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와,
상기 각 도어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단부와 대응되는 제2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도어의 단부가 상호 접촉되어 닫히도록 회동력을 제공하는 웨이트 부와,
상기 도어의 양측과 대응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의 양측 단부와 프레임의 내주면 사이에 이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도어의 상면은 상기 도어의 단부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프레임의 상부측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는 하수구에 설치되거나 그릴이 설치된 하수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10)는 하수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21)를 가지는 프레임(20)이 하수구(100)의 입구측에 설치되거나 하수구에 설치된 맨홀본체(110)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0)에는 각각 힌지축(31)(41)에 의해 회동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의 제1단부(32)(42)가 상기 힌지축(31)(41)의 하부에 위치되어 회동시 제 1단부(32)(43)가 상호 접촉 및 분리되어 유입구(21)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30)(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0)(40)의 양측과 대응되는 프레임(20)에는 도어(30)(40)의 양측 단부와 프레임(20)의 내주면 사이에 이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 차단부(23)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수구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10)를 구성요소 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20)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21)가 형성된 격자상의 본체(22)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21)는 맨홀본체(100)와 그릴(200)의 사이에 설치되는데, 이 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21)의 상부 측에 별도의 그릴(2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맨홀 본체(100)와 그릴(200)에는 맨홀본체와 그릴을 고정하는 별도의 결합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수단은 맨홀본체와 그릴을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며 어느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22)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수구(100) 또는 맨홀 본체(110)의 프레임 지지부(11)에 장착하기 위한 지지플랜지(24)가 설치된다. 이 지지플랜지(24)는 상기 프레임(20)이 하수구의 입구측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불연속 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플랜지(24)는 상기 본체(22)의 코너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로와 인도의 경계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본체(22)의 일측면에는 지지플랜지(24)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멘홀본체(110)의 경우에도 도로의 경계영역에 설치되는 경우 도로의 경계부와 대응되는 측에 지지플랜지(112)가 설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본체(22)의 유입구 가장자리에는 플랜지(25)가 설치되는데, 각 도어(30)(40)의 단부와 플랜지(25)는 도어의 가장자리와 본체의 내면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0) 본체(22)의 높이는 도어(30)(40)들의 회동시 이들이 간섭을 받지 않은 영역 내에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도어(30)(40)는 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수구로 유입되는 물의 자중에 의해 열리는 것으로, 상기 본체(22)의 유입구(21)에 하방으로 회전시 열리도록 각각 힌지축(31)(41)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된다. 상기 도어(30)(40)를 지지하는 힌지축(31)(41)은 도어(30)(4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가 도어(30)(40)를 길이 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30)(40)의 폭방향 중심에 대해 상부 측에 유입구의 출구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어 도어(30)(40)의 회전 중심이 본체(22)의 측면 측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22)의 내면과 힌지축(31)(41)들 사이에 위치되는 도어(30)(40)의 단부는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시 본체(22)의 내면에 접촉되어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체(22)의 내면측에 위치되는 단부와 힌지축 사이의 도어 하면에는 도어가 닫 히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웨이트부재(34)(44)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도어(30)(40)들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이물이 도어의 가장자리와 본체(22)의 내벽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테두리부(36)(46)가 형성되는데, 도어(30)(40)들의 상호 대향되는 제1단부(32)(43) 측에는 도어의 상부에 위치되는 이물이 유입구 측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힌지축(31)(41)과 본체 사이의 제2단부(33)(34) 측과 대응되는 본체(32)의 유입구 가장자리에는 도어(30)(40)의 제 2단부(33)(34)와 본체(20)의 내면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25)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0)(40)들의 측면과 대응되는 본체(20)의 내측면에는 상기 도어(30)(40)들이 닫혔을 때에 구획된 영역에 이물 차단부(22)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25)와 이물 차단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도어의 열림각도를 한정하는 스토퍼(37)(47)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의 맨홀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10) 도 1 및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본체(110)의 프레임 지지부(111)에 지지되거나 하부구(100)의 입구측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하수구(100)로 물이 유입되게 되면 이 물에 편승된 이물은 일차적으로 상기 그릴(20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이물이 걸러진 물은 프레임(20)의 본체(22)의 유입구(21)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물의 자중에 의해 제 1,2도어(30)(40)가 회동됨으로써 열리게 되고 물이 유입구(21)로 유입되는데, 다량의 물이 유입구(21)로 유입된다하여도 제1,2도어(30)(40)의 상부측 단부는 스토퍼 (37)(47)에 접촉되어 열림각도가 한정된다.
그리고 상기 물의 유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1,2도어(30)(40)의 배면에 설치된 웨이트 부재(34)(44)에 의해 도어(30)(40)가 회전되어 닫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도어(30)(40)들의 양측면과 대응되는 측의 본체 내측에는 이물 차단부(23)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22)의 유입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플랜지부(25)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도어(30)(40)들의 가장자리와 본체(22)의 내측면 사이에 이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어(30)(40)의 상면 자장자리에는 테두리부(36)(4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30)(40) 상면에 부착되거나 유입구로 유이되는 이물이 도어(30)(40)의 측면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수관(100)으로부터 하수구 측으로 물이 역류하는 도어(30)(40)들은 열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을 받게 된다. 즉, 상기 도어(30)(40)들의 힌지축(31)(41)들은 상기 본체(22)의 내측면 측으로 편심되게 치우쳐 있으므로 힌지축(31)(41)들 사이의 도어들에 작용하는 압력과 힌지축(31)(41) 본체 내측면 사이의 도어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에 의해 도어(30)(40)가 열리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유입구(21)를 통하여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는 물이 유입되어 물의 자중에 의해 열리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입구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하수구를 통하여 악취와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가지며 하수구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각각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측의 제1단부가 상기 힌지축의 하부에 위치되어 회동시 제1단부가 상호 접촉 및 분리되어 유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와,
    상기 각 도어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단부와 대응되는 제2단부측에 설치되어 각 도어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웨이트부재와,
    상기 도어의 양측과 대응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의 양측단부와 프레임의 내주면 사이에 이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도어의 상면은 상기 도어의 제1단부 측을 제외한 가장자리에 테두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프레임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프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플랜지부는 유입구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양측면과 대응되는 프레임의 내면 또는 상기 유입구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플랜지부의 내면에 상기 도어의 열림각도를 한정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20050016051A 2005-02-25 2005-02-25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071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051A KR100714488B1 (ko) 2005-02-25 2005-02-25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051A KR100714488B1 (ko) 2005-02-25 2005-02-25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678A true KR20060094678A (ko) 2006-08-30
KR100714488B1 KR100714488B1 (ko) 2007-05-04

Family

ID=3760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051A KR100714488B1 (ko) 2005-02-25 2005-02-25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44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89B1 (ko) * 2007-08-17 2009-09-17 (주)대덕화학 악취방지용 우수받이
KR100941031B1 (ko) * 2009-10-16 2010-02-10 박판석 맨홀 이물질 은폐 자동개폐기
KR100948268B1 (ko) * 2007-02-26 2010-03-17 박판석 맨홀 이물질 은폐 자동개폐기
KR100949852B1 (ko) * 2009-07-30 2010-03-2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맨홀
WO2014168456A1 (ko) * 2013-04-11 2014-10-16 주식회사 이지텍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및 그를 가지는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102165236B1 (ko) * 2019-05-14 2020-10-14 (주) 매그나텍 전기장치가 포함되는 지주구조물의 방습 커버 구조
CN113431160A (zh) * 2021-05-19 2021-09-24 涂水妹 一种市政下水管道出口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37B1 (ko) 2010-11-12 2011-03-21 주식회사 케이앤엠이엔지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1311379B1 (ko) 2013-04-11 2013-09-25 (주)맵시전자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101289025B1 (ko) 2013-04-11 2013-07-23 (주)맵시전자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20190128793A (ko) 2018-05-09 2019-11-19 송인진 맨홀용 악취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424B1 (ko) * 2001-06-22 2004-10-26 주식회사제4기한국 바이오필터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고효율 유해가스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100391363B1 (ko) * 2001-06-25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터코아 구조
KR100713551B1 (ko) * 2001-06-26 2007-05-02 주식회사 포스코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268B1 (ko) * 2007-02-26 2010-03-17 박판석 맨홀 이물질 은폐 자동개폐기
KR100917589B1 (ko) * 2007-08-17 2009-09-17 (주)대덕화학 악취방지용 우수받이
KR100949852B1 (ko) * 2009-07-30 2010-03-2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맨홀
KR100941031B1 (ko) * 2009-10-16 2010-02-10 박판석 맨홀 이물질 은폐 자동개폐기
WO2014168456A1 (ko) * 2013-04-11 2014-10-16 주식회사 이지텍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및 그를 가지는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102165236B1 (ko) * 2019-05-14 2020-10-14 (주) 매그나텍 전기장치가 포함되는 지주구조물의 방습 커버 구조
CN113431160A (zh) * 2021-05-19 2021-09-24 涂水妹 一种市政下水管道出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4488B1 (ko) 200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488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0734610B1 (ko)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1956452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비점오염 여과기능을 갖는 집수정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KR20120003026U (ko) 맨홀 악취방지 덮개
CA2740678C (en) Water resistant hatch and hood
KR20110111996A (ko) 하수구 및 우수구 악취차단 자동개폐장치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KR20170140833A (ko) 도로 배수구용 빗물 처리장치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JP7470819B2 (ja) 下水溝用悪臭遮断装置
KR20080111668A (ko) 맨홀 커버장치
KR20100000298U (ko) 맨홀용 악취 방지장치
KR101283922B1 (ko)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빗물받이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20020096223A (ko)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1632920B1 (ko) 악취 누출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빗물받이
KR200351993Y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0333411Y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201948Y1 (ko) 배수용 침전조
KR200328170Y1 (ko) 하수 악취차단장치
KR100923020B1 (ko) 하수 배출 장치
KR20180003535U (ko) 맨홀의 수직통로 상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용 내부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