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551B1 -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 Google Patents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551B1
KR100713551B1 KR1020010036654A KR20010036654A KR100713551B1 KR 100713551 B1 KR100713551 B1 KR 100713551B1 KR 1020010036654 A KR1020010036654 A KR 1020010036654A KR 20010036654 A KR20010036654 A KR 20010036654A KR 100713551 B1 KR100713551 B1 KR 10071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d
coil
conveyor
wedge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615A (ko
Inventor
고봉균
이점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3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55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연공정의 작업도중 소단중(小單重) 코일의 발생시 밴딩설비의 스키드를 상,하향 시키면서 밴딩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을 안치하는 스키드와 상기 코일을 밴딩하는 밴딩기로 구성된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의 직경별로 컨베이어와 스키드 사이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밴딩기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키드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스키드이동부; 및 상부에 장착된 쐐기를 통해 상기 스키드이동부의 스키드 상판 위로 이동하면서 상기 코일의 안착을 유도하는 쐐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키드, 소단중, 코일, 측정다이, 쐐기

Description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Banding apparatus for short weighted coil}
도 1은 일반적인 냉연코일의 밴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발생시의 밴딩 작업을 도시한 정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측정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측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쐐기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스키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코일 2: 컨베이어
3: 스키드 6: 각목
9: 고정릴 20: 측정다이
21: 가이드 봉 22: 가이드
23: 스프링 28: 전동모터
51: 유니언 56: 터치바
본 발명은 냉연공정의 작업도중 소단중(小單重) 코일의 발생시 밴딩설비의 스키드를 상,하향 시키면서 밴딩 작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권취 작업중에 발생된 소단중(小單重) 코일 하단과 밴딩 유도용 슈트가 간섭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소단중 코일 밴딩 작업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공정은 열연 공정에서 가공된 열연강판을 재가공하는 공정으로서, 표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하고 소둔로에서 도금작업이 가능하도록 열원을 부여하며, 이후에 아연도가니(미도시)에서 적절한 아연도금 작업을 완료 시킨후 강판 표면의 내식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 작업을 한다.
이후에 최종적으로 출측 권취에서 강판을 코일형으로 수요가가 주문한 단중 으로 전단하게 되고 상기 전단한 코일을 외권부 풀림 방지용 밴딩 설비에서 밴딩 작업 후 포장라인으로 이송되어 포장 완료후 수요가에게 전송되어 진다.
하지만, 권취전 또는 권취 작업도중 강판 표면의 결함발생이나 기타 작업조 건 불량에 의해 부득이 하게 출측 권취 작업중 소단중 코일(중량 부족 코일)이 발생되어 진다.
이와 같이 발생된 소단중 코일을 밴딩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키드(3) 일측에 각목(6)을 지지하여 코일(1) 밑부분이 유도슈트(8a, 8b)에 간섭 되지않고 밴드(7) 유입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소단중 코일 밴딩 작업은 수작업에 의한 안전재해 위험이 높고 추가적인 인력소요와 밴딩 작업 지연이 빈번하게 발생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밴딩 장치의 스키드를 상,하향 시키면서 밴딩 작업이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을 안치하는 스키드와 상기 코일을 밴딩하는 밴딩기로 구성된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의 직경별로 컨베이어와 스키드 사이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밴딩기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키드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스키드이동부; 및 상부에 장착된 쐐기를 통해 상기 스키드이동부의 스키드 상판 위로 이동하 면서 상기 코일의 안착을 유도하는 쐐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부는 1쌍의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의 하부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고 하단에는 거리 측정기가 장착된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축에 장착된 원형 기어박스와, 상기 원형 기어박스의 상단에서 스프링을 통해 장착되고 상단에는 암나사 가이드가 장착된 나사산과, 중앙부에 상기 코일을 감지하는 PX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암나사 가이드 상단에 장착되는 측정다이와, 상기 측정다이의 모서리부에서 가이드를 통해 상기 고정본체상에 설치된 가이드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키드부는 고정 스키드와, 상기 고정 스키드 상단에 설치되는 스키드 상판과, 상기 고정 스키드와 스키드 상판을 관통하며 상단에는 원형 고정대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스프링이 연결되는 결합봉과, 상기 고정 스키드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쐐기와, 상기 쐐기의 측단에 장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쐐기부는 1쌍의 쐐기와, 상기 쐐기에 장착되는 유니언과, 일단부가 상기 유니언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원형 베어링에 연결되는 반원형 연결대와, 상기 원형 베어링을 관통하며 베어링 블록을 통해 전동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원형 베어링 하단에 장착되는 터치바와, 상기 터치바의 전방에 설치된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측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측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쐐기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의 스키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부는 밴딩 장치의 컨베이어(2) 내부에 내장되어지되, 저면 중앙부에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요홈이 형성된 고정본체(26a, 26b)가 원형 기어박스(25)를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본체(26a, 26b) 하부에는 전동모터(28)가 결합도구들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상기 결합도구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전동모터(28)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지지대(30a, 30b)와, 상기 지지대(30a, 30b)와 결합되며 상기 전동모터(28)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축(29a, 29b)과, 고정 볼트(31a, 31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동모터(28)의 하단에는 거리 측정기(27)가 장착 되어 있고, 상기와 같이 장착되어진 전동모터(28)의 축에는 원형 기어박스(25)가 장착되고, 상기 원형 기어박스(25) 상단에는 나사산(24)이 장착되어지며 상기 나사산(24)의 상단에는 암나사 가이드(3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나사산(24)에는 작업중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스프링(23)이 장착되고, 상기와 같이 장착되어진 암나사 가이드(32) 상단에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측정다이(20)가 장착 안치되며, 상기 측정다이(20)의 중앙부에는 코일(1) 감지용 PX센서(3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원활한 밴딩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측정다이(20)의 모서리부에는 가이드 봉(21a, 21b, 21c, 21d)이 그 하단의 고정본체(26a, 26b) 상에 가이드(22a, 22b, 22c, 22d)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키드이동부는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기(4)(도 1 참조)내에 서로 대향설치되고, 상면 중앙부에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요홈이 형성된 고정 스키드(41a, 41b) 상단에 스키드 상판(40a, 40b)이 위치되고, 밴딩 작업중 스키드 이탈 및 원활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원형 고정대(42a, 42b, 42c, 42d)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원형 고정대(42a, 42b, 42c, 42d)의 하부에는 결합봉(44a, 45b, 45c, 45d)이 연결되어 상기 결합봉(44a, 45b, 45c, 45d)이 상기 스키드 상판(40a, 40b)과 고정 스키드(41a, 41b)를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45)에 연결되어진다.
상기 스키드 상판(40a, 40b)과 고정 스키드(41a, 41b) 사이와, 고정 스키드 (41a, 41b) 하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코일(1) 안착 작업시 직접적인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기 위한 스프링(45)이 내장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와 같이 장착되어진 고정 스키드(41a, 41b) 좌,우측에는 각각 경사진 모양의 쐐기(43a, 43b)가 장착되어 있고 그 측단에는 실린더(44a, 44b)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쐐기부는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스키드 상단에는 소단중 코일이 생산되어 밴딩 작업이 극히 곤란할시 사용키 위하여 양측에 각각의 쐐기(50a, 50b)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니언(51a, 51b)을 장착 시키고, 상기 유니언(51a, 51b)에 반원형 연결대(52a, 52b)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52a, 52b)의 타단부는 원형 베어링(53a, 53b)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형 베어링(53a, 53b)은 긴 연결축(54)의 외면상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축(54)의 양단부는 베어링 블록(55a, 55b)에 연결되며, 연결축(54)의 일단부는 사각형 받침대(58)상에 장착된 전동모터(59)의 축과 연결되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쐐기부는 작업중 업다운 감지용으로 상기 일측 원형 베어링(53a) 하단에 터치바(56)가 장착되고, 상기 터치바(56)의 전방에는 사각 받침대(58) 상에 감지기(57a, 57b)가 장착되어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각 공정에서 가공된 완제품을 최종적으로 출측의 권취기에서 코일형으로 감아 인출(100) 되어진 코일(1)이 컨베이어(2)을 통하여 밴딩기(4) 전방에 설치된 코일 안착 스키드(3)에 안착이 완료되어 진다(도 1 참조).
이후에 상기 컨베이어(2)가 완전히 정지한 후(101), 전동모터(28)와 모터축이 동작(102) 되어지면 원형 기어박스(25)에 장착되어진 나사산(24)이 움직이면서 측정다이(20)가 스키드(3)에 안착된 코일 하단면에 접촉할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102).
이와 같이 측정다이(20)가 코일면에 접촉시 최대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원형 기어박스(25)와 나사산(24) 사이에 완충용 스프링(23)이 충격을 최대한 흡수 시키면서 접촉(103)하고 접촉이 완료되면 측정다이(20) 중앙지점에 장착된 PX센서(33)의 감지(104)에 의해 전동모터(28)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전동모터(28)의 초기 정지 위치에서부터 코일면에 접촉되면서 정지하는 거리는 자동으로 측정기(27)에서 자동 인식(105)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다이(20)가 동작시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각의 가이드 봉(21a, 21b, 21c, 21d)은 상기 고정본체(26a, 26b) 상에 장착된 가이드(22a, 22b, 22c, 22d) 내로 유도 된다.
상기와 같이 코일(1) 직경별로 컨베이어(2)와 스키드(3) 사이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값만큼 스키드를 자동(106)으로 보상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측정된 값 즉, 컨베이어(2)와 스키드(3)간의 간격이 150~200mm 이내로 측정이 되어지면 정상적인 밴딩작업시 장애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때는 스키드(41a, 41b) 좌,우측에 장착된 실린더(44a, 44b)가 전,후진 되면서 고정 스키드(41a, 41b)의 상부에 장착된 스키드 상판(40a, 40b)을 측정된 값만큼 조정을 실시하고 이후에 컨베이어(2) 상에 코일(1)이 완전히 밴딩기(4) 상의 스키드(40a, 40b, 41a, 41b)에 위치되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은 스키드에 안착되며 안착된 코일은 스키드 상판(40a, 40b)과 스키드(41a, 41b) 사이, 그리고 하단에 장착된 스프링(45)에 의하여 충격 완화 및 완성품인 코일면 결함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제거 시키고 코일(1) 하단과 유도 슈트(8a, 8b)가 간섭이 되지 않으면서 밴딩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1차적인 작업을 마무리한다.
2차적으로는 측정된 값이 컨베이어(2)와 스키드(3)간의 간격이 150mm 이내로 측정되어지면 스키드(41a, 41b) 좌우측에 장착된 실린더(44a, 44b)가 전,후진 되면서 경사진 쐐기(43a, 43b)를 고정시키고, 고정된 스키드 상판(40a, 40b) 위에 다시 전동모터(59)를 이용하여 오픈 위치인 감지기(57b)상에 정지된 반원형 연결대(52a, 52b)가 스키드 상판(40a, 40b) 위로 이동되어 크로스 감지기(57a)에 감지되면 전동모터(59)가 정지하게 된다.
코일(1)이 안착되어지면 정상적인 밴딩기(4)의 유도 슈트(8a, 8b)가 닫히면서 밴딩 작업이 용이(107)하게 된다.
하기에 나타낸 표 1은 본 발명의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를 이용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측정기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의한 경사진 쐐기의 동작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구 분 측정길이 경사진쐐기 (43a, 43b) 쐐기 (50a, 50b) 비 고
200mm 이상 동작 안함 동작 안함 사각고정대는 항상 경사진 쇄기의 200mm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동작됨.
185~200mm 50mm 닫힘
170~185mm 100mm 닫힘
155~170mm 150mm 닫힘 동작 안함
150mm 이하 200mm 닫힘 쐐기 닫힘
정상적인 밴딩 작업시 컨베이어(2)가 다운된 상태에서 코일(1) 하단면 측정시는 통상 200mm 이상이다. 참고로, 상기 길이는 컨베이어(2)와 스키드(3)상에 안착된 코일 높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연공정에서의 작업중 소단중 코일 발생시, 컨베이어와 코일 안착용 스키드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값에 따라 스키드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밴딩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코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을 안치하는 스키드와 상기 코일을 밴딩하는 밴딩기로 구성된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일의 직경별로 컨베이어와 스키드 사이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밴딩기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키드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스키드이동부; 및
    상부에 장착된 쐐기를 통해 상기 스키드이동부의 스키드 상판 위로 이동하면서 상기 코일의 안착을 유도하는 쐐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1쌍의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의 하부에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고 하단에는 거리 측정기가 장착된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축에 장착된 원형 기어박스와, 상기 원형 기어박스의 상단에서 스프링을 통해 장착되고 상단에는 암나사 가이드가 장착된 나사산과, 중앙부에 상기 코일을 감지하는 PX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암나사 가이드 상단에 장착되는 측정다이와, 상기 측정다이의 모서리부에서 가이드를 통해 상기 고정본체상에 설치된 가이드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부는 고정 스키드와, 상기 고정 스키드 상단에 설치되는 스키드 상판과, 상기 고정 스키드와 스키드 상판을 관통하며 상단에는 원형 고정대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스프링이 연결되는 결합봉과, 상기 고정 스키드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쐐기와, 상기 쐐기의 측단에 장착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1쌍의 쐐기와, 상기 쐐기에 장착되는 유니언과, 일단부가 상기 유니언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원형 베어링에 연결되는 반원형 연결대와, 상기 원형 베어링을 관통하며 베어링 블록을 통해 전동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상기 원형 베어링 하단에 장착되는 터치바와, 상기 터치바의 전방에 설치된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KR1020010036654A 2001-06-26 2001-06-26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KR10071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654A KR100713551B1 (ko) 2001-06-26 2001-06-26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654A KR100713551B1 (ko) 2001-06-26 2001-06-26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615A KR20030000615A (ko) 2003-01-06
KR100713551B1 true KR100713551B1 (ko) 2007-05-02

Family

ID=2771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654A KR100713551B1 (ko) 2001-06-26 2001-06-26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460B1 (ko) 2012-11-28 2014-08-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 전도 방지용 스키드장치
KR102515897B1 (ko) 2022-05-04 2023-03-30 주식회사 디아이스틸 코일강판의 포장용 밴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88B1 (ko) * 2005-02-25 2007-05-04 류성석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1394444B1 (ko) * 2012-10-09 2014-05-13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8917A (ja) * 1985-11-18 1987-05-30 Nippon H Kk コイル軸心自動設定機構
JPH1133624A (ja) * 1997-07-23 1999-02-09 Sumitomo Metal Ind Ltd コイル移載装置
KR20000004094U (ko) * 1998-07-31 2000-02-25 이구택 가변 코일스키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8917A (ja) * 1985-11-18 1987-05-30 Nippon H Kk コイル軸心自動設定機構
JPH1133624A (ja) * 1997-07-23 1999-02-09 Sumitomo Metal Ind Ltd コイル移載装置
KR20000004094U (ko) * 1998-07-31 2000-02-25 이구택 가변 코일스키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460B1 (ko) 2012-11-28 2014-08-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 전도 방지용 스키드장치
KR102515897B1 (ko) 2022-05-04 2023-03-30 주식회사 디아이스틸 코일강판의 포장용 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615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0274B2 (en) Bending-straightening machine for a long workpiece, device for feeding in and removing said workpiece and method for bend-straightening long workpieces
US20130180307A1 (en) Gripper head for gripping arrangements for manipulating long workpieces, device for feeding long workpieces into and removing same from a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bend-straightening long workpieces
KR100975073B1 (ko) 워크 계측기 부착 공작 기계
KR100713551B1 (ko) 소단중 코일 밴딩 장치
CN113649928A (zh) 一种合金棒料定量切割自动线
KR101746981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US4860568A (en) Tubular material draw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cision tube
KR100466202B1 (ko) 로 내부 설비 점검용 로봇시스템
KR200166690Y1 (ko) 극박강 권취코일 내부결함 방지용 슬리브 파이프 자동 삽입장치
US3368770A (en) Coil handling apparatus
JP4391444B2 (ja) 成形システム
KR100876176B1 (ko) 냉연코일 외권부 결속상태 검사장치
KR102548511B1 (ko) 환봉부품의 휨 교정 장치
US4958718A (en) Article centering device
KR101018212B1 (ko) 권취된 선재코일 커버장치
KR100737797B1 (ko) 압연롤의 쵸크키 맞춤장치
RU2438815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авки сварных стыков рельсов в холодном состоянии
CN110744333A (zh) 一种机械加工用打孔装置
KR101931640B1 (ko) 원통형 구조물 밀링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밀링 가공 방법
KR101220780B1 (ko) 커버체 투입장치
KR20040020664A (ko) 열연코일 내경 처짐 방지장치
US4401294A (en) Apparatus for coiling and cooling wire rod
JPS62249816A (ja) コイル用スキツド敷込みアツプエンダ−装置
JP5724845B2 (ja) 荷重計測装置及びその荷重計測装置が備える治具
CN117490603B (zh) 一种油管隔热管弯曲检测装置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