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170Y1 - 하수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170Y1
KR200328170Y1 KR20-2003-0014886U KR20030014886U KR200328170Y1 KR 200328170 Y1 KR200328170 Y1 KR 200328170Y1 KR 20030014886 U KR20030014886 U KR 20030014886U KR 200328170 Y1 KR200328170 Y1 KR 200328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sewage
weigh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20-2003-0014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1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수의 발생시 하수관으로 원활히 유입되게 하면서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발생되거나, 하수가 역류하거나,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해충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수정을 덮어주는 뚜껑에 밸브를 구성함에 있어 동일면적의 뚜껑에 보다 많은 수의 밸브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하수 또는 우수의 유입이 원활해지도록 하며, 하수관 내부에 이상압력 발생시 그 압력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수관의 중간에 설치된 집수정의 상부에 뚜껑이 설치되며, 뚜껑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그 하부에 하수 또는 우수의 유입시에는 물의 무게에 의해 개방되었다가 무게가 없으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는 다수의 밸브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밸브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후방에는 밸브체와는 90°이상의 각도를 가지면서 밸브체보다는 길이가 짧은 연장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연장부의 하단부에는 밸브체보다는 무게가 무거운 중량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밸브체의 중간부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막아주도록 밸브체의 상부에 안전밸브를 힌지결합하여 다수의 밸브 중 일부에 선택 적용하며; 밸브를 뚜껑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 악취차단장치{Apparatus to intercept bad smell of drainage}
본 고안은 하수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의 발생시 하수관으로 원활히 유입되게 하면서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발생되거나, 하수가 역류하거나,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해충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수정을 덮어주는 뚜껑에 밸브를 구성함에 있어 동일면적의 뚜껑에 보다 많은 수의 밸브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하수 또는 우수의 유입이 원활해지도록 하며, 하수관 내부에 이상압력 발생시 그 압력이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하수관의 중간중간에는 하수를 버리거나 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집수정이 설치되며, 이 집수정의 상부에는 뚜껑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집수정에 설치된 뚜껑은 프레임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하수관 내부의 하수로부터 악취가 발생되어 올라오고, 많은 비가 내릴 경우에는 하수가 역류하며,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잘못 투입되어 하수관이 막히는 경우도 있고, 뚜껑의 구멍을 통해 해충이 올라오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하수 또는 우수의 유입시에만 개방되고,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뚜껑의 상부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물의 무게에 따라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를 설치한 하수구용 뚜껑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통상의 하수구용 밸브는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방은 밸브체가 위치하고, 후방에는 90°이상의 각도를 두고 중량체가 밸브체와 일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므로 전방의 밸브체를 원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중량체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며 이러한 중량체는 밸브체가 개방되는 경우 상부 커버측으로 회전되므로 이와 인접한 다른 밸브는 중량체의 회전반경에 간섭되지 않도록 중량체의 길이 이상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밖에 없는데 반해, 뚜껑의 크기는 제한적이므로 뚜껑에 설치되는 밸브의 개수가 작아질 수밖에 없어 이로 인해 많은 량의 하수 또는 우수 발생시 빠른 시간내에 하수관으로 유도하지 못하여 물이 외부로 흘러 넘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뚜껑에 설치되는 밸브는 평상시에는 모두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수관내에서 메탄 발효 등에 의해 이상압력 발생시 그 압력을 배출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각 밸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이 필요하여 제조원가가 증가됨은 물론 일단 용접에 의해 프레임과 뚜껑이 고정되면 밸브 일부가 파손되었다해도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하여 뚜껑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밸브체의 후위에 길이가 짧은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의 하단부에는 중량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연장부의 길이만큼만 간격을 두고 인접한 밸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면적의 뚜껑에 보다 많은 수의 밸브를 설치할 수 있어 많은 량의 하수 또는우수의 발생시 보다 빠른 시간내에 하수관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하수의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밸브체에 안전밸브를 설치하여 다수의 밸브 중 일부에 선택 적용함으로써 하수관에 이상압력 발생시 안전밸브가 열리도록 하여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견지로는, 밸브가 뚜껑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갖게 함과 동시에 밸브 고정용 부재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악취차단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악취차단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악취차단장치의 안전밸브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악취차단장치의 밸브 결합구조도로서,
(a)는 결합부재로 자석이 적용된 경우.
(b)는 결합부재로 스크류가 적용된 경우.
(c)는 결합부재로 접착제가 적용된 경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악취차단장치의 동작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 악취차단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 악취차단장치의 동작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집수정 200 : 뚜껑 201 : 배수공
300,520 : 밸브 301,521 : 힌지축 302,522 : 밸브체
303,523 : 연장부 304,524 : 중량체 305 : 통기공
306 : 안전밸브 307 : 결합부 308 : 자석
309 : 스크류 310 : 접착제 400 : 본체
401 : 유입구 402 : 배출구 500 : 악취차단장치
510 : 프레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과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악취차단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수관의 중간에 설치된 집수정(100)의 상부에 뚜껑(200)이 설치되며, 뚜껑(200)에는 다수의 배수공(201)이 형성되어 그 하부에 하수 또는 우수의 유입시에는 물의 무게에 의해 개방되었다가 무게가 없으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는 다수의 밸브(300)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밸브(300)는 힌지축(301)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밸브체(302)를 구비하고 후방에는 밸브체(302)와는 90°이상의 각도를 가지면서 밸브체(302)보다는 길이가 짧은 연장부(303)를 일체로 형성하되, 연장부(303)의 하단부에는 밸브체(302)보다는 무게가 무거운 중량체(304)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구성한 것으로, 뚜껑(200)에 설치되는 다수의 밸브(300)는 연장부(303)의 길이만큼만 간격을 두고 조밀하게 설치될 수 있어 보다 많은 수의 밸브(300)가뚜껑(2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밸브체(302)의 중간부에 통기공(305)을 형성하고, 통기공(305)을 선택적으로 막아주도록 밸브체(302)의 상부에 안전밸브(306)를 힌지결합하여 다수의 밸브(300) 중 일부에 선택 적용하게 된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밸브(30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해주는 힌지축(301)은 밸브체(302)와 연장부(303)의 중간에 삽입되고, 힌지축(301)의 양단부에는 뚜껑(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부(307)가 각각 연결되며, 결합부(307)에는 자석(308), 스크류(309), 접착제(310) 등의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밸브(300)를 뚜껑(20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하수 악취차단장치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수 또는 하수가 발생되면 그 무게에 의해 배수공(201)을 통해 밸브체(302)를 압박하게 되고, 밸브체(302)는 우수 또는 하수의 무게에 의해 열리게 되어 우수 또는 하수가 집수정(100)의 내측으로 유입되었다가 하수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밸브체(302)가 개방되면 밸브체(302)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303)가 상승하게 되며, 연장부(303)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된 중량체(304) 역시 상승하게 되는데, 중량체(304)는 연장부(303)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상승하더라도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연장부(303)는 밸브체(302)에 비해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짧게 구성되어 있지만 중량체(304)가 밸브체(302)보다는 무겁게 구성되므로 밸브체(302)를 눌러주는 압력이 없을 경우에는 중량체(304)에 의해 밸브체(302)가 상시 상승되는 방향으로 작용되어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장부(303)의 길이가 짧게 구성됨에 따라 제한된 면적의 뚜껑(200)에 보다 많은 수의 밸브(300)를 구성하면서도 각 밸브(300)간 간섭을 피할 수 있어 많은 량의 하수 또는 오수가 발생되더라도 빠른 시간내에 집수정(100)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수관의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오수가 흐르게 되므로 메탄 발효 등에 의해 하수관 내부에 이상압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상압력 발생시 하수관 내부가 막혀있으면 폭발과 같은 대형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상압력의 발생과 동시에 그 압력을 외부로 빼내주어야만 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뚜껑(200)에 설치되는 다수의 밸브(300) 중 1∼2 개정도의 밸브(300)에 안전밸브(306)를 설치하여 이상압력 발생시 그 압력을 외부로 빼낼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밸브체(302)는 하수 또는 우수와 같이 위에서 누르는 압력이 없을 경우에는 중량체(304)의 무게에 의해 상시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하수관 내부에 이상압력이 발생되면 그 압력이 통기공(305)을 통해 안전밸브(306)에 작용하여 안전밸브(306)가 위쪽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압력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밸브(300)가 뚜껑(200)의 하부에 자석(308), 스크류(309), 접착제(310)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밸브(300)를 지지해주기 위한별도의 프레임이 필요없는 간단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밸브(300)의 교체시에도 뚜껑(200)만 들어내어 밸브(300)를 뚜껑에 결합하고 있는 자석(308), 스크류(309), 접착제(310) 등만 떼어내면 간단한 교체가 가능한 이점도 있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400)의 일측 상부에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401)를 형성하고, 본체(400)의 유입구 반대측 하부에는 배출구(402)를 형성하며, 본체(400)의 중간부에는 악취차단장치(500)를 착탈가능하게 삽입하되, 악취차단장치(500)는 본체(400)에 끼워지는 프레임(510)과, 프레임(51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우수 또는 오수의 유입시에는 물의 무게에 의해 양쪽으로 개방되었다가 무게가 없으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는 2개의 밸브(520)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각 밸브(520)는 힌지축(521)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마주보게 밸브체(522)를 각각 구비하고 후방에는 각 밸브체(522)와는 90°이상의 각도를 가지면서 밸브체(522)보다는 길이가 짧은 연장부(523)를 일체로 각각 형성하되, 각 연장부(523)의 하단부에는 각 밸브체(522)보다는 무게가 무거운 중량체(524)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힌지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며, 이와 같이 하면 기본적으로 악취, 역류, 해충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프레임(510)의 양측에 좁은 공간만 있어도 밸브(520)의 설치가 가능하여 배출공간이 그만큼 커질 수 있으며, 배출공간이 커지게 되면 배수되는 물이 빠른 시간내에 빠져나가 역류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수구 뚜껑의 하부에 구비되는 밸브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밸브체의 반대측에 길이가 짧은 연장부가 구비되고, 이 연장부의 하단부에 중량체가 힌지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어서 임의의 밸브와 인접한 밸브를 연장부의 길이만큼만 이격 설치하면 되므로 제한된 면적의 뚜껑에 보다 많은 수의 밸브를 설치할 수 있어 많은 량의 하수 또는 오수의 발생시 빠른 시간내에 집수정으로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다수의 밸브 중 선택하여 안전밸브를 갖는 밸브를 설치한 것이므로 하수관 내부에 이상압력 발생시 이를 외부로 빼내줄 수 있어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고, 밸브가 뚜껑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이므로 이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이 필요없음은 물론 밸브의 파손시 그 부분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하수관의 중간에 설치된 집수정(100)의 상부에 뚜껑(200)이 설치되며, 상기 뚜껑(200)에는 다수의 배수공(201)이 형성되어 그 하부에 하수 또는 우수의 유입시에는 물의 무게에 의해 개방되었다가 무게가 없으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는 다수의 밸브(30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300)는, 힌지축(301)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밸브체(302)를 구비하고 후방에는 상기 밸브체(302)와는 90°이상의 각도를 가지면서 상기 밸브체(302)보다는 길이가 짧은 연장부(303)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연장부(303)의 하단부에는 상기 밸브체(302)보다는 무게가 무거운 중량체(304)를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악취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302)의 중간부에 통기공(305)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공(305)을 선택적으로 막아주도록 상기 밸브체(302)의 상부에 안전밸브(306)를 힌지결합하여 상기 다수의 밸브(300) 중 일부에 선택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악취차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300)를 상기 뚜껑(20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악취차단장치.
  4. 본체(400)의 일측 상부에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401)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400)의 유입구 반대측 하부에는 배출구(402)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400)의 중간부에는 악취차단장치(500)를 착탈가능하게 삽입하되, 상기 악취차단장치(500)는 상기 본체(400)에 끼워지는 프레임(510)과, 상기 프레임(51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 우수 또는 오수의 유입시에는 물의 무게에 의해 양쪽으로 개방되었다가 무게가 없으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는 2개의 밸브(520)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밸브(520)는 힌지축(521)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마주보게 밸브체(522)를 각각 구비하고 후방에는 상기 각 밸브체(522)와는 90°이상의 각도를 가지면서 상기 밸브체(522)보다는 길이가 짧은 연장부(523)를 일체로 각각 형성하되, 상기 각 연장부(523)의 하단부에는 상기 각 밸브체(522)보다는 무게가 무거운 중량체(524)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힌지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악취차단장치.
KR20-2003-0014886U 2003-05-14 2003-05-14 하수 악취차단장치 KR200328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886U KR200328170Y1 (ko) 2003-05-14 2003-05-14 하수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886U KR200328170Y1 (ko) 2003-05-14 2003-05-14 하수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170Y1 true KR200328170Y1 (ko) 2003-09-26

Family

ID=4941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886U KR200328170Y1 (ko) 2003-05-14 2003-05-14 하수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1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5888A1 (en) * 2003-10-14 2005-04-21 Jin-Whan Kim Cover for providing a variable opening level
KR20190102480A (ko) * 2018-02-26 2019-09-04 박장호 배수용 트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5888A1 (en) * 2003-10-14 2005-04-21 Jin-Whan Kim Cover for providing a variable opening level
KR20190102480A (ko) * 2018-02-26 2019-09-04 박장호 배수용 트랩
KR102083469B1 (ko) * 2018-02-26 2020-03-03 박장호 배수용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488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0965793B1 (ko) 도로용 배수구의 여과장치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20120044591A (ko) 그레이팅 개폐장치 및 그레이팅 개폐장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US11753811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ffensive odors for drain port
KR200328170Y1 (ko) 하수 악취차단장치
KR100741695B1 (ko) 하수도 집수정의 악취차단장치
US20080035570A1 (en) Catch basin insert
KR20010086955A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130024339A (ko) 우수 맨홀 커버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100923020B1 (ko) 하수 배출 장치
KR200320468Y1 (ko) 우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200333348Y1 (ko) 하수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EP2154300B1 (de) Abwasserstation
KR200200903Y1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0333411Y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381745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538411B1 (ko) 오수받이장치
KR200333410Y1 (ko) 빗물 오수 겸용받이
KR102378660B1 (ko) 폭우 대비 도로 배수시설용 빗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