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955A -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955A
KR20010086955A KR1020000010977A KR20000010977A KR20010086955A KR 20010086955 A KR20010086955 A KR 20010086955A KR 1020000010977 A KR1020000010977 A KR 1020000010977A KR 20000010977 A KR20000010977 A KR 20000010977A KR 20010086955 A KR20010086955 A KR 20010086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passage
closing
discharg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우
Original Assignee
이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우 filed Critical 이강우
Priority to KR102000001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6955A/ko
Priority to KR2020000006288U priority patent/KR200200903Y1/ko
Publication of KR2001008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95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0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8/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ceramics, e.g. refractory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배출수에 섞여 함께 배수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역류방지장치에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출수의 배출후에는 배수구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 배출수 및 악취의 역류방지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고, 배수구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배출수 및 악취의 역류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배수구의 배출수 및 악취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출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수가 배출되는 출구 사이의 수직통로 내벽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한 테두리체(20)와, 상기 통로 내벽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33)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배출수의 유입 여부에 따라 테두리체(20)와 밀착 및 이격되어 통로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개폐판(32)은 제 1 개폐판 (31)보다 무게를 무겁게 하여 자중에 의해 항상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이 테두리체(30)에 밀착하여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도록 한 구성이다.

Description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FLOW IN DRAINAGE}
본 발명은 하수구와 같이 빗물 및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배수구에 설치되어 배출수의 역류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구의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이나 생활용수가 유입되는 배수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름망(1)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배수파이프(2)는 배수관(3)의 바닥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걸름망(1)을 통과한 작은 이물질들이 배수파이프(2)로 유입되지 않고 바닥에 쌓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배수구의 상부로 유입되는 빗물등의 배출수와, 하수파이프(4)를 통해 유입되는 배출수는 배수파이프(2)를 통해 흐르게 되고, 상기 배출수에 섞인 이물질은 걸름망(1) 또는 배수관(3)의 바닥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걸러진 이물질은 수시로 청소하여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수구는, 배수파이프(2)가 도중에 막히는 경우나 장마철에 배출수가 역류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배수구로부터 악취가 그대로 배기되어 주변이 청결치 못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배수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97-59415 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종래기술은, 본체의 상부로 배출수가 유입되면 본체의 통로에 설치된 부상부가 상방으로 부상함과 동시에, 이 부상부와 신축부로 연결된 패킹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본체의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배출수가 배출되게 하고, 배출수가 빠져나간 후에는 부상부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원위치하면 신축부로 연결된 패킹부가 본체의 하부를 폐쇄함으로써 배출수 및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기술은 배출수의 유입 여부에 따라 상,하동작하는 부상부와, 상기 부상부의 상하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본체의 하부를 개폐하는 패킹부와, 상기 부상부와 패킹부를 연결하는 신축부가 본체내의 중앙에 설치되어 통로의 대부분을 막고 있는 것이므로 배출수에 섞여 함께 유입되는 쓰레기등의 이물질이 특히 패킹부의 상면 및 신축부등에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물질이 패킹부의 상면에 쌓이는 경우, 이물질이 본체의 하부와 패킹부 사이에 끼여 틈새를 형성하게 되므로, 확실하게 밀폐되지 않아 배출수 및 악취의 역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물질이 신축부에 쌓이게 되면 신축부의 원활한 신축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써 패킹부가 본체의 하부를 완전히 폐쇄할 수 없어 역시 배출수 및 악취가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구성은 배수구의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배출수의 부력으로 부상부가 상,하동작하는 것에 의해 배출수 및 악취의 역류방지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것이나, 이러한 구성을 수평방향의 배수구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부상부가 상,하동작할 수 없기 때문에 배출수 및 악취의 역류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출수에 섞여 배수구로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역류방지장치에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출수의 배출후에는 배수구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 배출수 및 악취의 역류방지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수구의 배출수 및 악취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구가 수평방향의 통로를 가지는 경우에도 배출수 및 악취의 역류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배수구의 배출수 및 악취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수구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도 3의 요부확대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장치를 수평방향의 배수구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 배수관 20 : 테두리체
21,22 : 제 1 및 제 2 테두리체 30 : 개폐판
31,32 : 제 1 및 제 2 개폐판 33 : 회전축
34,35 : 회전지지축 36 : 중량체
37 : 덮개 38 : 부상체
40 : 회전지지부재 41 : 지지구멍
42 : 삽입개구 50 : 패킹
51,52 : 제 1 및 제 2 패킹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출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수가 배출되는 출구 사이의 수직통로 내벽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한 테두리체와, 상기 통로 내벽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개폐판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배출수의 유입 여부에 따라 테두리체와 밀착 및 이격되어 통로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개폐판은 제 1 개폐판보다 무게를 무겁게 하여 자중에 의해 항상 제 1 및 제 2 개폐판이 테두리체에 밀착하여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역류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개폐판과 이에 밀착되는 테두리체 사이에 패킹을 개재하여 폐쇄력을 증대시키고, 제 1 개폐판의 저면에는 부상체를 부착하여 배출수의 역류시 통로의 폐쇄력을 더욱 증대시키며, 제 2 개폐판에는 중량체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수가 배출되는 출구 사이의 수평통로 내벽둘레에 경사지게 설치한 테두리체와, 상기 통로 내벽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개폐판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배출수의 유입 여부에 따라 테두리체와 밀착 및 이격되어 통로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개폐판은 제 1 개폐판보다 무게를 무겁게 하여 자중에 의해 항상 제 1 및 제 2 개폐판이 테두리체에 밀착하여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역류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단면이 사각형상인 수직방향 통로를 가지는 배수구에 본 발명에 따른 배출수 및 악취 역류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출수 및 악취 역류방지장치는, 배수구에 매립된 통상의 수직방향 통로를 가지는 배수관(10)의 내벽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테두리체(20)와, 배수관 (10)의 내벽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테두리체(20)에 밀착 또는 이격됨으로써 배수통로를 개폐하는 개폐판(30)으로 구성된다.
테두리체(20)는 수직통로의 수평방향에 대하여 대략 10∼40도, 바람직하게는 30도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고, ㄷ자 형상의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로 분리형성되어 스크류등의 고정수단으로 배수관(10)의 수직통로 내벽을 따라 고정된다.
대부분의 배수관(10)은 규격품이므로,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를 규격에 맞추어 다양한 치수의 ㄷ자형상으로 일체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테두리체 (20)는 연질수지재로 제조하고, 일정길이의 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는, 규격품이 아닌 배수관의 경우, 현장에서 직접 알맞은 길이로 구부려 ㄷ자형상으로 만들거나, 3부분으로 절단하여 ㄷ자형태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을좋게 한다.
개폐판(30)은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개폐판(31), (32)의 전체면적은 테두리체(20)와 마찬가지로 수직통로에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통로의 단면적보다 약간 작게 하여 수직통로내에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테두리체(20)에 밀착 및 이격되어 수직통로의 개폐가 가능하게 한다.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은 경질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개폐판(31)보다 제 2 개폐판(32)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제 2 개폐판(32)이 더 무겁게 함으로써 제 2 개폐판(32)의 자중에 의해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이 항상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3)의 양끝단에는 회전지지축(34),(3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배수관(10)의 내측벽에는 상기 회전지지축(34) ,(35)이 끼워맞춤되는 지지구멍(41)을 형성한 회전지지부재(40)가 스크류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회전지지부재(40)의 지지구멍(41) 상측에는 지지구멍(41)의 내경 및 회전지지축(34),(35)의 외경보다는 약간 작은 폭의 삽입개구(42)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개구(42)의 입구부근에는 회전지지축(34),(35)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라운딩 또는 모떼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지지축(34),(35)을 삽입개구(42)에 힘주어 삽입하거나 빼내면,회전지지부재(40)가 탄성변형하여 삽입개구(42)의 폭이 넓어지므로 회전지지축(34) ,(35)이 지지구멍(41)으로 삽입하거나 빼내는 것이 가능하고, 삽입후에는 삽입개구 (42)의 탄성복원력으로 폭이 원위치되므로 회전지지축(34),(35)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는 지지구멍(4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는 개폐판(30)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므로, 후에 배수구 및 개폐판(30)의 청소등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5의 (가)(나)는 도 2의 요부를 상세하게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와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 사이에 패킹(50)이 구비되어 있다. 패킹(50)은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설치된 제 1 패킹(51)과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설치된 제 2 패킹(52)으로 이루어져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의 제 1 패킹(51)과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의 제 2 패킹(52)이 밀착하는 것에 의해 테두리체(20)와 개폐판(30)의 밀폐는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제 1 및 제 2 패킹(51),(52)은 그 단면을 일반적인 사각형태로하여 제 1 패킹(51)의 일측면과 제 2 패킹(52)의 일측면을 밀착시키도록 하여도 좋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면을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제 1 패킹(51)의 일측면과 제 2 패킹(52)의 일측면이 밀착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패킹(51),(52)의 돌출부분이 상대측 홈(21a,22a,31a,32a)에 각각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밀폐력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와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이 맞닿는 끝부분의,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에는 단차홈(31b)(32b)을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테두리부(21)(22)에는 상기 단차홈(31b)(32b)에 일치하는 돌출부 (21b),(22b)를 형성하여 테두리체(20)와 개폐판(30)이 맞닿는 부분에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배출수의 역류시 테두리체(20)와 개폐판(30) 사이의 접촉부분의 경로를 연장함으로써 테두리체(20)와 개폐판(20) 사이로 스며드는 배출수가 패킹(50)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키게 되고, 그 사이에 역류하는 배출수에 의해 제 1 개폐판(31)이 상방으로 가압되어 제 1 패킹(51)과 제 2 패킹(52)이 먼저 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 및 도 6의 (가),(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배출수가 배수구로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가 더 무거운 제 2 개폐판(32)의 자중에 의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여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의 제 2 패킹(52)과,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의 제 1 패킹(51)이 각각 밀착되어 통로를 폐쇄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배수구로 배출수가 유입되면, 제 1 개폐판(31)쪽부터 점차 채워지게 되고, 배출수의 중량이 제 2 개폐판(32)의 중량보다 무거워지게 되면,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은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를 개방하므로 배출수는 배수파이프(12)를 통해배출 된다. 배출수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으면, 제 2 개폐판(32)의 하중에 의해 다시 원위치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은 배출수가 유입될 때에는 통로를 개방하고, 배출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에는 통로를 항상 폐쇄상태로 있게 하는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장마철이나 배수파이프(12)가 막히는 경우, 배출수가 역류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도 6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개폐판(31)을 배출수가 밀어올리는 것이므로,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은 회전축(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이로써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의 제 2 패킹(52)과,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의 제 1 패킹(51)은 더욱 밀착되어 폐쇄력이 증대되므로 배출수가 역류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배출수가 유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에 의해 통로가 항상 폐쇄된 상태로 있는 것이므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장치는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배출수의 유입으로 통로를 개방시킬 때에는 더욱 경사지게 되므로 걸름망(11)을 통과한 작은 이물질이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에 부착하지 않고 모두 미끄러져 배수관(10)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은 이물질이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에 부착되어 통로의 폐쇄를 방해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항상 제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은 회전지지부재(40)의 지지구멍(41)에 형성된 삽입개구(42)를 통해 회전지지축(34)(35)을 착탈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므로, 개폐판(30)을 설치하거나 교체시 또는 배수관의 청소시에 매우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에 배수관(10)이 설치된 배수구에 적용한 것으로, 기존 배수관(10)의 내측벽에 테두리체(20), 회전지지부재(40)를 고정하고, 회전지지부재(40)의 지지구멍(41)에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의 회전지지축(54)(55)을 끼워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배수구를 새로 시설하거나 규격품의 배수관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배수구에 적용한 것이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하부측벽에 배수구멍(112)과 하수구멍(114)이 형성된 통형상의 배수관(110)을 구비하여, 이 배수관(110)에 테두리체(20), 회전지지부재(40) 및 개폐판(30)을 설치하여 단일조립체로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수구를 신설하는 경우나 규격화되지 않은 배수구를 교체할 때, 미리 조립된 단일조립체를 배수구에 매립함으로써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개폐판(130)의 제 1 및 제 2 개폐판(131,132)을 대략 직각으로 형성하고,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제 2 개폐판(132)쪽의 통로를 안내고정판(140)으로 패쇄시킨 구성외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안내고정판(140)은, 제 2 개폐판(132)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 1 개폐판(131)과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고정나사등의 고정수단으로 배수관(10)의 내측벽에 고정된다. 이 안내고정판(140)은, 배수구로 유입되는 배출수를 제 1 개폐판 (131)쪽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하게되며, 안내고정판(140)과 배수관(10) 사이에는 패킹(14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수관(10)내로 배출수가 유입되면, 제 1 및 제 2 개폐판(131,132)이 회전축(133)을 중심으로하여 가상선상태와 같이 회전하므로, 배출수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한쪽은 안내고정판 (140)이 경사지게 설치된 것이므로 안내고정판(140)쪽으로 유입된 배출수는 제 1 개폐판(131)쪽으로 안내되어 배출되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개폐판이 동일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배출수의 배출시 제 2 개폐판이 상방향으로 향함으로써 배출수와 접촉하는 것으로 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개폐판(131,132)이 대략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배출수의 배출시 수평방향을 향하고, 또 안내고정판(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배출수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배출수에 섞여 있는 기다란 이물질이 제 2 개폐판(132)의 끝단부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2 개폐판(32)의 두께를 제 1 개폐판(31)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제 2 개폐판(32)의무게를 제 1 개폐판(31)보다 무겁게 구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개폐판 (32)에 홈(32c)을 형성하고, 이 홈(32c)에 금속등과 같이 무거운 중량체(36)를 넣은 후, 덮개(37)로 막은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량체(36)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무게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체(36)의 중량을 개량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되는 배수구의 배수량 및 배수압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중량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개폐판(31)의 저면에는 가볍고 물에서 잘 뜨는 재질, 예를 들면 스치로폼, 스폰지, 또는 속이 빈 밀폐상태의 통체등으로 형성되는 부상체(38)를 부착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출수의 역류시 부상체(38)의 부력에 의해 테두리체(20)의 패킹과 개폐판(30)의 패킹 사이의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켜 배출수가 역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역류방지장치를 수평통로를 가지는 배수구에 적용한 단면도이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장치가 수평통로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무게가 무거운 제 2 개폐판(30)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직방향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대략 10∼40도, 바람직하게는 대략 30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은 제 2 개폐판(32)의 자중에 의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가지게 되고, 이로써 배출수가 흐르지 않을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과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의 패킹(50)이 밀착되어 항상 수평통로를 폐쇄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출수가 화살표 방향으로 유입되어 배출수의 흐름력이 제 2 개폐판(32)의 하중보다 크게 되면,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은 회전축(3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수평통로가 개방되어 배출수의 배출이 가능해진다.
배출수의 배출후에는 제 2 개폐판(32)의 자중에 의해 제 1 및 제 2 개폐판 (31),(32)이 자동적으로 원위치되므로 수평통로는 다시 폐쇄된다. 이로써 수평통로는 배출수가 흐를때를 제외하고는 항상 폐쇄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수가 역류하는 경우에는 배출수가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되므로, 배출수가 제 2 개폐판(32)을 폐쇄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인해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과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의 패킹(50)은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폐쇄되므로 배출수의 역류가 방지된다.
특히, 수평통로인 경우에는 배출수가 통로의 하부로 흐르고,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이 배출수 흐름방향으로 경사진 것이므로 걸름망을 통과한 작은 이물질들이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에 걸릴 염려가 없고, 제 1 및 제 2 테두리체(21)(22)도 배출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므로 만약 작은 이물질이 걸려 있어도 배출수와 함께 씻겨 배출되어진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는 배수구의 통로 단면이 사각형상인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도 간단한 설계변경에 의해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세면장의 바닥 배수구, 도로 및 가정의 하수구, 씽크대의 배수구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의 배출수 및 악취 역류방지장치에 의하면,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배출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것이므로 작은 이물질이 배출수와 함께 씻겨 배출되어 부착될 염려가 없고, 이로써 통로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배출수 및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개폐판이 통로내벽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므로 개폐판의 교체 또는 청소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유지관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장치는 통로가 수직방향의 배수구는 물론이고, 수평방향의 배수구에도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배출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수가 배출되는 출구 사이의 수직통로 내벽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한 테두리체(20)와, 상기 통로 내벽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배출수의 유입 여부에 따라 테두리체(20)와 밀착 및 이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판(30)의 제 2 개폐판(32)은 제 1 개폐판(31)보다 무게를 무겁게 하여 자중에 의해 항상 개폐판(30)이 테두리체(20)에 밀착하여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작용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3)의 양끝단에 회전지지축(34)(35)을 돌출형성하고, 통로 내벽에는 상기 회전지지축(34)(35)을 회전지지하는 지지구멍(41)이 형성된 회전지지부재(40)를 고정하며, 상기 회전지지부재(40)의 지지구멍(41) 상부에는 적어도 회전지지축(34)(35)보다 작은 폭의 삽입개구(42)를 형성하여 개폐판 (30)을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0)과 이에 밀착되는 테두리체 (20) 사이에 패킹(50)을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0)의 제 1 개폐판(31) 저면에는 부상체(38)를 부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0)의 제 2 개폐판(32)에는 중량체(36)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6. 배출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수가 배출되는 출구 사이의 수직통로 중앙 내벽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직각방향으로 제 1 및 제 2 개폐판(131)(132)이 배치된 개폐판(130)과,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한쪽의 통로 내벽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한 테두리체(21)와,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제 1 개폐판(131)을 제외한 나머지 통로를 폐쇄하는 것으로, 제 2 개폐판(132)의 상부에 위치하고 통로 내벽에 경사지게 설치된 안내고정판(140)과,
    상기 개폐판(130)의 제 2 개폐판(132)은 제 1 개폐판(131)보다 무게를 무겁게 하여 자중에 의해 항상 개폐판(130)이 테두리체(21)에 밀착하여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작용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7. 배출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수가 배출되는 출구 사이의 수평통로 내벽둘레을 따라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한 테두리체(30)와, 상기 통로 내벽에회전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배출수의 유입 여부에 따라 테두리체(20)와 밀착 및 이격되어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개폐판(32)은 제 1 개폐판(31)보다 무게를 무겁게 하여 자중에 의해 항상 제 1 및 제 2 개폐판(31)(32)이 테두리체(20)에 밀착하여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작용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20000010977A 2000-03-06 2000-03-06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010086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977A KR20010086955A (ko) 2000-03-06 2000-03-06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20000006288U KR200200903Y1 (ko) 2000-03-06 2000-03-07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977A KR20010086955A (ko) 2000-03-06 2000-03-06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288U Division KR200200903Y1 (ko) 2000-03-06 2000-03-07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955A true KR20010086955A (ko) 2001-09-15

Family

ID=1965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977A KR20010086955A (ko) 2000-03-06 2000-03-06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6955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569A (ko) * 2001-10-26 2003-05-09 태 호 정 하수구의 악취 방지 장치
WO2006031031A1 (en) * 2004-09-18 2006-03-23 Mirae Green Construction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soil inflow in intercepting sewer
CN102505753A (zh) * 2011-11-08 2012-06-20 扬州大学 翻板式初期雨水截流井
KR101226910B1 (ko) * 2011-06-30 2013-02-21 (주) 삼정디씨피 악취 방지 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1240318B1 (ko) * 2012-09-27 2013-03-18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밀폐형 토사유입 및 역류방지장치
CN105113615A (zh) * 2015-09-17 2015-12-02 成都易信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排水井盖
CN105926755A (zh) * 2016-04-25 2016-09-07 北京东方雨汇节水环保科技有限公司 雨水弃流截污井
CN106836436A (zh) * 2017-01-18 2017-06-13 温州市龙湾建设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市政园林用雨水收集装置
CN108035424A (zh) * 2018-01-25 2018-05-15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翻板弃流装置
KR102079246B1 (ko) * 2019-08-30 2020-02-19 김정은 하수악취차단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569A (ko) * 2001-10-26 2003-05-09 태 호 정 하수구의 악취 방지 장치
WO2006031031A1 (en) * 2004-09-18 2006-03-23 Mirae Green Construction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soil inflow in intercepting sewer
US7648310B2 (en) 2004-09-18 2010-01-19 Mirae Green Construction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soil inflow in intercepting sewer
KR101226910B1 (ko) * 2011-06-30 2013-02-21 (주) 삼정디씨피 악취 방지 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CN102505753A (zh) * 2011-11-08 2012-06-20 扬州大学 翻板式初期雨水截流井
KR101240318B1 (ko) * 2012-09-27 2013-03-18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밀폐형 토사유입 및 역류방지장치
CN105113615A (zh) * 2015-09-17 2015-12-02 成都易信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排水井盖
CN105113615B (zh) * 2015-09-17 2017-04-19 成都易信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排水井盖
CN105926755A (zh) * 2016-04-25 2016-09-07 北京东方雨汇节水环保科技有限公司 雨水弃流截污井
CN105926755B (zh) * 2016-04-25 2019-11-15 泰兴市东城水处理工程有限公司 雨水弃流截污井
CN106836436A (zh) * 2017-01-18 2017-06-13 温州市龙湾建设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市政园林用雨水收集装置
CN106836436B (zh) * 2017-01-18 2019-04-02 温州市龙湾建设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市政园林用雨水收集装置
CN108035424A (zh) * 2018-01-25 2018-05-15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翻板弃流装置
KR102079246B1 (ko) * 2019-08-30 2020-02-19 김정은 하수악취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6955A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0500132B1 (ko) 악취방지용 위생덮개
KR101182645B1 (ko) 하수구용 악취차단 및 역류유도장치
KR20090013258U (ko) 배수구의 악취차단구
KR200200903Y1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0493623Y1 (ko) 척력 개폐식 하수트랩
KR200207108Y1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140005618A (ko) 부력식 악취방지 배수트랩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KR200470846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밸브
KR100836849B1 (ko) 착탈식 개폐기를 구비한 하수역류방지장치
KR20060098176A (ko)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KR200328170Y1 (ko) 하수 악취차단장치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KR200493622Y1 (ko) 자력 개폐식 하수트랩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489455Y1 (ko)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080109400A (ko)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KR200260320Y1 (ko) 체크밸브
KR200257136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