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400A -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400A
KR20080109400A KR1020070057672A KR20070057672A KR20080109400A KR 20080109400 A KR20080109400 A KR 20080109400A KR 1020070057672 A KR1020070057672 A KR 1020070057672A KR 20070057672 A KR20070057672 A KR 20070057672A KR 20080109400 A KR20080109400 A KR 20080109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lower side
blocking device
sewage
sid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일
Original Assignee
김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일 filed Critical 김도일
Priority to KR102007005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9400A/ko
Publication of KR20080109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오수 배출은 가능하도록 하면서 악취의 역류는 차단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로서, 상부측 배수관과 하부측 배수관을 중간에서 접속하여 연결하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는 연결링부재와, 연결링부재에 대해 매달리도록 하부측 배수관내에 구비되는 바디부재와, 바디부재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매달리도록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오수의 배출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밀착되는 추부재와, 연결링부재에 대해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양측 추부재 사이를 통과하도록 연장되며 내부를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비닐튜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오수가 배출되지 않는 시점에 오수의 배출 유로가 되는 비닐튜브를 보다 완벽하면서도 작동 신뢰성 높게 밀봉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악취 차단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70057672
배수관, 하수관, 비닐튜브, 악취, 역류, 차단

Description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STINK BLOCKING APPARATUS FOR A DRAIN PIPE}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악취차단장치를 각기 보여주는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의 요부에 대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l, 10-l' : 하부측 배수관 100, 100' : 악취차단장치
110 : 연결링부재 110a : 상부플랜지부
110a-1 : 나사부 110b : 걸림판부
110c : 하부플랜지부 110c-1 : 현수결합부
120 : 바디부재 120-1 : 피현수결합부
120-2 : 힌지결합부 125 : 링크부재
125-1 : 피힌지결합부 125-2 : 힌지결합부
127 : 안착부재 127-1 : 피힌지결합부
127-2 : 힌지결합부 127-3 : 누름부
127-4 : 마그네틱바 130, 130' : 추부재
130-1, 130-1' : 피힌지결합부 130-2, 130-2' : 받이형상부
130-3, 130-3' : 누름부 130-4, 130-4' : 마그네틱바
140, 140' : 비닐튜브 150 : 씰부재
본 발명은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汚水)가 배출될 때에는 개방되고, 오수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배출 유로를 폐쇄하여 악취 및 세균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등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인 오수(汚水)를 배출하기 위해 배수관 및 하수관이 구비되며, 주요한 오수 발생원으로는 씽크대, 욕실 바닥, 세면대, 소변기 등이 있다.
그리고, 생활하수인 오수에는 유기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쉽게 부패될 수 있음으로써, 배수관 및 하수관내에서는 악취 및 세균이 다량 발생되고, 발생된 악취 및 세균은 역류하여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환경을 해치고 인체에 유해한 영 향을 끼친다.
따라서, 악취 및 세균이 배수관을 타고 역류하여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 대표적인 일 예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관(10)에 대해 U자 형태 등의 굴곡진 배수트랩(trap)(12)을 설치하여 해당 배수트랩(12)내에 항시 일정량의 물이 고여 있도록 함으로써, 고인 물에 의한 차단막 원리를 통해 악취 및 세균을 차단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배수관(10)이 외부 노출되는 경우에만 적용 가능한 한계성이 있고, 또한 배수트랙(12)내에 각종 이물질이 쉽게 쌓여 관 막힘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보다 발전된 형태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2778호의 "배수트랩"이 개발되었으며, 해당 기술을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배수관(10) 내부에 비닐튜브(14)를 설치하여 해당 비닐튜브(14) 내부를 통해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며, 비닐튜브(14)의 하단부 양측 두장의 비닐에 대해 각기 자석물일 수 있는 일자형의 탄편(16)을 서로 대향되게 부착하여, 오수가 배출될 때에는 오수의 무게에 의해 양측 탄편(16)이 서로 떨어져 그 사이로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반면 오수의 배출이 정지되는 때에는 탄편(16)이 서로 자력으로 붙어 비닐튜브(14)를 폐쇄시킴으로써 악취 및 세균의 역류를 차단한다.
그러나, 이 기술에 의하면, 유연한 비닐튜브(14) 및 일자형 탄편(16)이 쉽게 변형되어 서로 자력으로 붙은 상태에서 여러 곳에서 틈새가 발생됨으로써, 악취 및 세균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복 사용에 따라 비닐튜브(14)가 쉽게 늘어나 양측 탄편(16)의 대응 위치가 틀어지게 됨으로써, 이 점에서도 틈새를 발생하여 불완전한 밀봉을 야기하였다.
즉, 성능 및 내구성의 면에서 많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오수가 배출되지 않는 시점에서 비닐튜브를 보다 완벽하게 밀봉할 수 있으면서, 반복된 사용에도 우수한 작동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는, 배수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오수 배출은 가능하도록 하면서 악취의 역류는 차단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로서, 상부측 배수관과 하부측 배수관을 중간에서 접속하여 연결하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는 연결링부재와, 연결링부재에 대해 매달리도록 하부측 배수관내에 구비되는 바디부재와, 바디부재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매달리도록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오수의 배출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밀착되는 추부재와, 연결링부재 에 대해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양측 추부재 사이를 통과하도록 연장되며 내부를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비닐튜브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그 요부에 대한 개략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통상 오수 발생원에 대해 배수관이 연결되고 해당 배수관에 대해 하수관이 연결되는 한편, 오수 발생원에 대해 직접 하수관이 연결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치(100)는 배수관 및 하수관에 대해 모두 설치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배수관에 대해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100)는, 배수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오수 배출은 가능하도록 하면서 악취 및 세균의 역류는 차단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측 배수관(미도시)과 하부측 배수관(10-l)을 중간에서 접속하여 연결하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는 연결링부재(110)와, 연결링부재(110)에 대해 매달리도록 하부측 배수관(10-l)내에 구비되는 바디부재(120)와, 바디부재(120)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매달리도록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오수의 배출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밀착되는 추부재(130)와, 연결링부재(110)에 대해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양측 추부재(130) 사이를 통과하도록 연장되며 내부를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비닐튜브(140)를 포함한다.
상기한 연결링부재(110)는 상부측 배수관과 하부측 배수관(10-l)을 중간에서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원형 튜브체로서, 상부측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부측 배수관과 결합을 이루는 상부플랜지부(110a)와, 하부측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하부측 배수관(10-l)내로 삽입되는 하부플랜지부(110c) 및 상부플랜지부(110a)와 하부플랜지부(110c) 사이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하부측 배수관(10-l)의 단면에 대해 걸려 안착되는 걸림판부(110b)로 일체화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플랜지부(110a)의 외주면상에는 나사부(110a-1)가 형성되며, 따라서 상부측 배수관에 대해 나사결합을 이루면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플랜지부(110c)의 외주면상에는 바디부재(120)를 매달도록 결합하기 위한 현수결합부(110c-1)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해당 현수결합부(110c-1)는 돌출돌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디부재(120)는 연결링부재(110)의 하부플랜지부(110c) 외측에 삽입되는 원형 튜브체로 구현될 수 있고, 그 내주면상에는 하부플랜지부(110c)상의 돌출돌기 형태인 현수결합부(110c-1)에 대해 형합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삽입홈 형태의 피현수결합부(120-1)가 형성된다.
상기한 추부재(130)는 바디부재(120)의 하단부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매달리도록 좌우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오수가 배출될 때에는 오수의 무게에 의해 서로 벌어지고 오수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자체 무게에 의해 하향 회동되어 서로 밀착된다.
이때, 추부재(130)의 힌지결합을 위해 바디부재(120)의 하단부측에는 힌지축과 같은 힌지결합부(120-2)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도록 추부재(130)의 상단부측 에는 힌지공과 같은 피힌지결합부(130-1)가 형성된다.
또한, 해당 추부재(130)는 좌우 양측의 것이 서로 밀착될 때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비닐튜브(140)의 전직경을 누를 수 있도록 하단부측에 일자형태로 형성되는 누름부(130-3)와, 이 누름부(130-3)내에 매설되도록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일자형의 마그네틱바(magnetic bar)(130-4)를 포함한다.
이때, 마그네틱바(130-4)는 비닐튜브(140)에 직접 접촉되어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자 누름부(130-3)내에 매설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추부재(130)는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오수의 배출에 따라 초기에 서로 밀착된 누름부(130-3)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비닐튜브(140)내에 오수가 모일 때, 해당 부분의 비닐튜브(140)를 하부측에서 지지하여 비닐튜브(140)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누름부(130-3)와 피힌지결합부(130-1) 사이의 측면을 통해 받이형상부(130-2)가 구비된다.
상기한 비닐튜브(140)는 그 내부를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것으로, 연결링부재(110)의 하부플랜지부(110c) 외주면 또는 바디부재(120)의 내주면에 대해 결합을 이룰 수 있고, 그 결합에는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닐튜브(140)는 그 상단부측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연결링부재(110)에 대해 원활히 결합을 이룰 수 있고, 그 하단부측은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양측 추부재(130)에 의해 눌려질 때 양측 두장의 비닐이 접히는 부분 없이 일자형태로 완전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비닐튜브(140)와 하부측 배수관(10-l)의 사이 공간을 통해 역류할 수 있는 악취 및 세균을 차단하도록 바디부재(120)와 하부측 배수관(10-l)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씰(seal)부재(150)가 구비되며, 해당 씰부재(150)는 유연성을 갖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악취차단장치(100)를 배수관의 사이에 설치하며, 즉 연결링부재(110)의 상부플랜지부(110a)가 상부측 배수관에 대해 나사결합되고, 하부플랜지부(110c)가 하부측 배수관(10-l)내로 삽입되되, 유연한 씰부재(150)의 변형을 통해 긴박하게 삽입되어 그 걸림판부(110b)가 하부측 배수관(10-l)의 단면에 걸려 안착되도록 한다.
그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시에는, 오수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양측 추부재(130)가 자체 무게 및 마그네틱바(130-4)의 상호 자력에 의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하다가, 오수가 배출되는 때에는, 오수가 상부측 배수관, 연결링부재(110)를 통과한 다음 비닐튜브(140)를 통과시 초기에는 양측 추부재(130)의 누름부(130-3)에 의해 눌려져 있는 부분의 상부측에 모여 무게를 증가시키고, 그 무게가 양측 추부재(130)의 무게 및 자력보다 크게 되는 시점에서 양측 추부재(130)를 벌리면서 배출된다.
그리고, 오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양측 추부재(130)가 자체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하향 회동됨과 아울러 마그네틱바(130-4)에 의한 상호 자력에 의해 누름부(130-3)가 서로 밀착됨으로써 비닐튜브(140)를 눌러 밀봉시키며, 이에 따라 역류 되는 악취 및 세균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제 2 실시예는 하부측 배수관(10-l')이 단순히 수직된 관이지 않고, 엘보우(elbow) 형태인 경우에 적용된다.
해당 악취차단장치(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연결링부재(110), 바디부재(120) 및 씰부재(150)를 구비하며, 또한 바디부재(120)로부터 양단부를 통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반복 연결되어 하부측 배수관(10-l')의 굴곡진 부분을 원활히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비닐튜브(140')를 안내하는 링크부재(125)와, 마지막 링크부재(125)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부측 배수관(10-l')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127)와, 이 안착부재(127)의 일측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오수의 배출에 따라 안착부재(127)에 대해 벌어지거나 밀착되는 하나의 추부재(130')를 구비하며, 비닐튜브(140')는 링크부재(125)에 의해 안내된 다음 안착부재(127)와 추부재(130')의 사이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상기한 링크부재(125)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긋자 형태를 갖어 그 내측 공간을 통해 비닐튜브(140')를 안내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힌지공과 같은 피힌지결합부(125-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피힌지결합부(125-1)에 대해 힌지결합을 이룰 수 있는 힌지축과 같은 힌지결합부(125-1)가 형성되며, 그 피힌지결합부(125-1)와 힌지결합부(125-1)가 서로 반복되도록 회동연결됨으로써 하부측 배수관(10-l')의 굴곡진 형상에 따라 전체적으로 굴곡질 수 있다.
이러한 링크부재(125)는 다소 길게 연장되는 비닐튜브(140')를 안내함으로써 비닐튜브(140')의 겹침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겹침현상에 따라 하부측 배수관(10-l')의 내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안착부재(127)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긋자 형태를 갖어 그 내측 공간을 통해 비닐튜브(140')가 통과되는 것으로, 마지막 링크부재(125)측의 힌지결합부(125-2)에 대해 힌지결합을 이루기 위해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피힌지결합부(127-1)와, 추부재(130')와 힌지결합을 이루기 위해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127-2) 및 출구측에 마그네틱바(127-4)를 갖도록 형성되는 누름부(127-3)를 구비한다.
상기한 추부재(13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피힌지결합부(130-1'), 받이형상부(130-2'), 마그네틱바(130-4')를 갖는 누름부(130-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 작용은, 안착부재(127)에 대해 추부재(130')가 오수의 배출에 따라 벌어지거나 밀착되는 것에 의해 그들 사이의 비닐튜브(140')를 자동으로 누름 또는 누름 해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차단장치(100, 100')는 그 연결링부재(110)의 상부플랜지부(110a)가 상부측 배수관에 대해 결합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씽크대의 배수구와 같은 배출원에 대해 직접 결합을 이룰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수가 배출되지 않는 시점에 오수의 배출 유로가 되는 비닐튜브를 보다 완벽하면서도 작동 신뢰성 높게 밀봉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악취 차단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0)

  1. 배수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오수 배출은 가능하도록 하면서 악취의 역류는 차단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로서,
    상부측 배수관과 하부측 배수관을 중간에서 접속하여 연결하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는 연결링부재와,
    상기 연결링부재에 대해 매달리도록 상기 하부측 배수관내에 구비되는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매달리도록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오수의 배출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밀착되는 추부재와,
    상기 연결링부재에 대해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양측 추부재 사이를 통과하도록 연장되며 내부를 통해 상기 오수가 배출되는 비닐튜브를 포함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부재는,
    상부측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측 배수관과 결합을 이루는 상부플랜지부와,
    하부측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측 배수관내로 삽입되는 하부플랜지부와,
    상기 상부플랜지부와 상기 하부플랜지부 사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측 배수관의 단면에 대해 걸려 안착되는 걸림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부는,
    상기 상부측 배수관에 대해 나사결합을 이루기 위한 나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재는,
    상기 바디부재에 대해 힌지결합을 이루도록 상단부측에 형성되는 피힌지결합부와,
    상기 비닐튜브를 눌러 밀봉하도록 하단부측에 일자형태로 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내에 매설되도록 구비되어 밀착을 위한 자력을 발생하는 마그네틱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부재는,
    상기 누름부와 상기 피힌지결합부 사이의 측면을 폐쇄하여 상기 비닐튜브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받이형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튜브는,
    상기 연결링부재에 대해 결합되는 일측 단부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추부재에 의해 누름되는 타측 단부는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부재와 상기 하부측 배수관의 사이 공간에 긴박하게 삽입되어 밀봉하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는 씰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8. 상부측 배수관과 하부측 배수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오수 배출은 가능하도록 하면서 악취의 역류는 차단하며, 상기 하부측 배수관이 엘보우 형태의 관인 경우에 대한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로서,
    상기 상부측 배수관과 상기 하부측 배수관을 중간에서 접속하여 연결하도록 링 형태로 구비되는 연결링부재와,
    상기 연결링부재에 대해 매달리도록 상기 하부측 배수관내에 구비되는 바디 부재와,
    상기 바디부재로부터 양단부를 통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반복 연결되어 상기 하부측 배수관의 굴곡진 부분을 통과하도록 연장되는 링크부재와,
    마지막 상기 링크부재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부측 배수관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오수의 배출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에 대해 벌어지거나 밀착되는 추부재와,
    상기 연결링부재에 대해 연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안내된 다음 상기 안착부재와 상기 추부재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연장되며 내부를 통해 상기 오수가 배출되는 비닐튜브를 포함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비닐튜브를 내측 공간을 통해 안내하도록 디긋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서로 밀착되는 상기 안착부재와 상기 추부재내에 매설되도록 구비되어 밀착을 위한 자력을 발생하는 마그네틱바를 더 포함하는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KR1020070057672A 2007-06-13 2007-06-13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KR20080109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672A KR20080109400A (ko) 2007-06-13 2007-06-13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672A KR20080109400A (ko) 2007-06-13 2007-06-13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400A true KR20080109400A (ko) 2008-12-17

Family

ID=4036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672A KR20080109400A (ko) 2007-06-13 2007-06-13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94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352B1 (ko) * 2009-02-23 2011-01-10 주식회사 푸름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CN108517924A (zh) * 2018-05-29 2018-09-11 广西康巴科技有限公司 厨卫用隔臭封堵排放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352B1 (ko) * 2009-02-23 2011-01-10 주식회사 푸름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CN108517924A (zh) * 2018-05-29 2018-09-11 广西康巴科技有限公司 厨卫用隔臭封堵排放装置
CN108517924B (zh) * 2018-05-29 2024-04-09 广西康巴科技有限公司 厨卫用隔臭封堵排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3113A (ko) 배수트랩
KR200396193Y1 (ko) 덮개형 하수역류방지구
KR100684174B1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KR20080109400A (ko)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KR200395216Y1 (ko) 자석개폐식 하수구 악취방지구
KR20130001721A (ko) 비수세식 소변기 및 기타 배수설비에 사용되는 건식 트랩 밸브
KR20090129283A (ko) 이음관
KR102007220B1 (ko) 기밀성 및 내구성을 높인 배수유입관의 구조와 탈 부착형 악취차단 구조를 갖는 배수조
KR20010086955A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0403172Y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100905412B1 (ko) 소켓용 악취차단장치
KR20110026848A (ko)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0950542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JP2004124356A (ja) 排水管システム及び排水用通気弁装置
JP6194446B2 (ja) 逆流防止弁を備えた配管構造
KR20090132906A (ko) 하수구의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184663B1 (ko) 악취차단장치가 장착된 이음관
KR200192968Y1 (ko) 하수구용 냄새 차단장치
KR101186960B1 (ko) 멀티트랩 오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