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848A -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848A
KR20110026848A KR1020090084668A KR20090084668A KR20110026848A KR 20110026848 A KR20110026848 A KR 20110026848A KR 1020090084668 A KR1020090084668 A KR 1020090084668A KR 20090084668 A KR20090084668 A KR 20090084668A KR 20110026848 A KR20110026848 A KR 2011002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ocking plate
drain trap
housing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훈희
Original Assignee
유훈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훈희 filed Critical 유훈희
Priority to KR1020090084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6848A/ko
Publication of KR2011002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와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욕실, 싱크대 또는 욕조와 같이 사용된 물의 배출을 위한 관로 입구에 설치될 수 있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배수 트랩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본체(11); 상부로 돌출된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고정 홀(121)을 가지면서 개방된 본체(11)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차단판(12); 내부에 수용 실린더(131)가 형성되고 본체(11)의 내부 둘레 면에 결합된 하우징(13); 한쪽 끝이 고정 홀(121)에 고정되고 복원 수단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 실린더(131)에 수용되는 지지 봉(14); 및 수용 실린더(131)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캡(15)을 포함한다.
배수 트랩, 역류, 차단판, 수용 실린더, 고정 홀, 지지 봉

Description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Waste Trap for Blocking Reverse Flow and Bad Smell}
본 발명은 역류와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욕실, 싱크대 또는 욕조와 같이 사용된 물의 배출을 위한 관로 입구에 설치될 수 있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배수 트랩(Waste Trap)은 하수 본관과 연결된 배수관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하수 가스가 위생기구를 통하여 건물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 계통의 일부분에 물을 고이게 하므로 물은 자유롭게 유통되지만 공기나 가스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배수 관련 기기를 말한다. 배수 트랩은 기밀성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고, 간단하여 오물이 체류되지 않고 그리고 유수에 의하여 배수로 내면이 세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배수트랩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5-0074243호 “기밀을 유지하는 배수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일반 하수구에서 발생되어 역류하는 악취나 각종 유해가스를 차단시키면서 생활하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악취 차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2개의 거름망, 작동 핀, 작동 핀에 연결된 탄성부재 및 작동 핀의 하단에 고정된 밸브 시트를 가진 배수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제시된 선행기술은 다수 개의 구성요소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배수에 포함된 오물의 잔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단점을 가지면서 아울러 밸브시트의 형상으로 인하여 완전배수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완전 배수가 가능하고 그리고 잔류 오물을 발생시키지 않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본체(11); 상부로 돌출된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고정 홀(121)을 가지면서 개방된 본체(11)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차단판(12); 내부에 수용 실린더(131)가 형성되고 본체(11)의 내부 둘레 면에 결합된 하우징(13); 한쪽 끝이 고정 홀(121)에 고정되고 복원 수단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 실린더(131)에 수용되는 지지 봉(14); 및 수용 실린더(131)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캡(1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우징(13)은 한쪽 부분이 본체(11)의 내부 둘레 면에 결합되고 그리고 맞은 편 부분이 본체(11)의 상부로부터 차단판(12)의 중앙 부분을 향하는 경사진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단판(12)은 실리콘 고무 소재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원 수단은 수용 실린더(131)에 설치된 스프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은 본체와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면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볼록 렌즈 형상의 차단 판은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면서 차단 판이 본체 하부의 둘레 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악취의 유입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제시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10)의 분해 결합도 및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배수 트랩(1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본체(11); 상부로 돌출된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고정 홀(121)을 가지면서 개방된 본체(11)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차단판(12); 내부에 수용 실린더(131)가 형성되고 본체(11)의 내부 둘레 면에 결합된 하우징(13); 한쪽 끝이 고정 홀(121)에 고정되고 복원 수단(16)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 실린더(131)에 수용되는 지지 봉(14); 및 수용 실린더(131)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캡(C)을 포함한다.
본체(11)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ABS 수지 소재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체(11)의 상 부로 유입되는 배수는 차단판(12)의 개폐에 의하여 배수 트랩(10)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본체(11)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차단판(12)은 본체(11)의 하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중앙 부분이 돌출된 볼록 렌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판(12)은 지지봉(14)의 상하 이동에 따라 본체(11)의 하부에 밀착되어 본체(11) 하부가 폐쇄되도록 하거나 또는 하부와 일정거리 만큼 이격되면서 본체(11)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차단판(12)의 둘레 면은 본체(11) 하부의 둘레 면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차단판(12)의 가장자리 둘레면을 따라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 차단판(12)은 임의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내화학성과 내식성이 강한 실리콘 고무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차단판(12)의 한쪽 부분에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 표면으로 관통하는 고정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12)은 중앙 부분이 돌출된 형상이 가지고 그리고 고정 홀(121)은 중앙 부분으로 벗어난 위치에 하우징(13)의 수용 실린더(131)와 관련되어 형성될 수 있다. 편향된 위치에 형성된 고정 홀(121)은 배수 트랩(10)의 구조를 단순하게 만들어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서로 다른 양으로 불균일하게 낙하하는 배수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차단판(12)이 개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도록 한다.
본체(11)의 한쪽 부분에 결합되는 하우징(13)은 고정 홀(121)과 연통되어 지지 봉(14)을 수용하는 수용 실린더(131)를 포함하고 그리고 수용 실린더(131)의 내부에 지지 봉(14)의 복원을 위한 복원 수단(16)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봉(14)은 한쪽 끝이 고정 캡(142)에 의하여 고정 홀(121)에 고정된 상태로 수용 실린더(131)의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수용된다. 복원 수단(16)은 지지봉(14)을 감싸는 스프링이 될 수 있고 수용 실린더(131)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 봉(14)의 다른 한쪽 끝에 원형의 걸림 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원형의 걸림 돌기(141)는 복원 수단(16)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배수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 이상의 압력이 차단 판(12)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지지 봉(14)이 아래쪽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차단 판(12)에 작용하는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 수단(16)은 지지 봉(14)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본체(11)의 하부가 차단 판(12)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3)은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체형 구조의 경우, 하우징(13)의 한쪽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본체(11)의 내부 둘레 면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고 반대편 부분은 자유단 형태로 될 수 있다. 자유단 형태로 되는 반대편 부분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경사지면서 차단 판(12)의 볼록한 중앙 부분에 접근하는 부분의 직경이 상부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캡(C)은 하우징(13)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 가능한 형태가 되거나 또는 고정 결합 형태가 될 수 있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에서 물이 배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b 및 도 2는 배수트랩(10)에서 차단판(12)에 의하여 본체(11)의 하부가 밀폐된 상태 그리고 본체(11)가 개방된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배수트랩(10)은 욕실의 바닥, 욕조의 내부 또는 주방의 식기 세척기 내부와 같이 배수로가 형성된 임의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배수로의 입구에 설치된 배수트랩(10)은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면서 이와 동시에 배수로와 연결된 외부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 판(12)은 복원수단(16)에 의하여 지지되어 본체(11)의 하부에 밀착된다. 실리콘 고무 소재의 차단 판(12)은 적절한 탄성을 가지므로 본체(11)의 하부 둘레 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가 이루어지면 물은 본체(11)의 상부로부터 본체(11) 내부로 유입된다. 본체(11) 내부로 유입된 물은 차단 판(12)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게 되고 그리고 유입된 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서 압력은 커지게 되어 복원 수단(16)이 지지 봉(14)에 가하는 힘보다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봉(14)이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면서 차단 판(12)을 아래로 이동시키게 된다. 물의 유입과정에서 한쪽 부분이 길이 방향으로 경사진 하우징(13)의 형상으로 인하여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차단판(12)의 가장자리에 모이게 된다. 이로 인하여 차단판(12)이 개방되면 이물질은 쉽게 배수 트랩(10)의 외부로 배출되어 배수 트랩(10)의 내부에 이물질이 잔여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차단 판(12)의 하강으로 인하여 본체(11)의 하부가 개방되면 물은 본체(11)의 둘레 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물이 배출되면 다시 복원 수단(16)은 지지 봉(14)을 상승시켜 차단 판(12)이 본체(11)의 하부 둘레 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도 1b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물의 배출 과정에서 차단 판(12)은 중앙이 볼록한 렌즈 형상을 가지므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차단 판(12)의 표면을 따라 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소량의 물이 본체(11) 내부에 남아 있는 경우에도 차단 판(12)의 가장자리에 모이게 되어 본체(11) 하부가 개방되면 쉽게 배출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10)은 본체(11)와 하우징(13)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면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볼록 렌즈 형상의 차단 판(12)은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면서 차단 판(12)이 본체(11) 하부의 둘레 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체(11)의 하부 둘레 면을 차단 판(11)이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은 접촉의 긴밀성을 높여 외부로부터 악취의 유입이 어렵게 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은 외부로부터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랩(10)의 분해 결합도 및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배수 트랩에서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4)

  1.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본체(11);
    상부로 돌출된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고정 홀(121)을 가지면서 개방된 본체(11)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차단판(12);
    내부에 수용 실린더(131)가 형성되고 본체(11)의 내부 둘레 면에 결합된 하우징(13);
    한쪽 끝이 고정 홀(121)에 고정되고 복원 수단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 실린더(131)에 수용되는 지지 봉(14); 및
    수용 실린더(131)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캡(15)을 포함하는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13)은 한쪽 부분이 본체(11)의 내부 둘레 면에 결합되고 그리고 맞은 편 부분이 본체(11)의 상부로부터 차단판(12)의 중앙 부분을 향하는 경사진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배수 트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판(12)은 실리콘 고무 소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원 수단은 수용 실린더(131)에 설치된 스프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1020090084668A 2009-09-08 2009-09-08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KR20110026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668A KR20110026848A (ko) 2009-09-08 2009-09-08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668A KR20110026848A (ko) 2009-09-08 2009-09-08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848A true KR20110026848A (ko) 2011-03-16

Family

ID=4393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668A KR20110026848A (ko) 2009-09-08 2009-09-08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68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779A (ko) * 2016-10-25 2018-05-04 김명재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230054970A (ko) * 2021-10-18 2023-04-25 박종욱 우수한 악취차단 기능을 구비한 하수구용 플로우 게이트
KR20230094347A (ko) 2021-12-21 2023-06-28 이영호 탄성이동형 배수트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779A (ko) * 2016-10-25 2018-05-04 김명재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230054970A (ko) * 2021-10-18 2023-04-25 박종욱 우수한 악취차단 기능을 구비한 하수구용 플로우 게이트
KR20230094347A (ko) 2021-12-21 2023-06-28 이영호 탄성이동형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1647B2 (ja) 管体継ぎ手
KR101493605B1 (ko) 배수체
KR200434948Y1 (ko) 하수구용 배스트랩
KR20110026848A (ko) 역류와 악취의 방지를 위한 배수 트랩
KR200472604Y1 (ko)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KR20080089804A (ko) 배수구 장치
KR200475135Y1 (ko) 역류방지장치
KR20060095233A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JP6194505B2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JP6564987B2 (ja) 排水トラップ
KR100859736B1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JP6630901B2 (ja) 逆流防止弁を備えた配管構造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JP2012180656A (ja) 逆流防止弁
KR20080109400A (ko)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KR20090132906A (ko) 하수구의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110046976A (ko) 탄성체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배수 장치
KR200260320Y1 (ko) 체크밸브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CN211948723U (zh) 一种溢水口防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