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246B1 - 하수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246B1
KR102079246B1 KR1020190107149A KR20190107149A KR102079246B1 KR 102079246 B1 KR102079246 B1 KR 102079246B1 KR 1020190107149 A KR1020190107149 A KR 1020190107149A KR 20190107149 A KR20190107149 A KR 20190107149A KR 102079246 B1 KR102079246 B1 KR 10207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odor blocking
blocking plate
curved surface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은
Original Assignee
김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은 filed Critical 김정은
Priority to KR102019010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배수로를 밀폐시켜 악취를 차단하고 수압에 의해 배수로가 개방되어 물의 역류를 유도하여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하수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구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양쪽에 배수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양쪽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로를 개폐시키는 악취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악취차단장치{ODOR SUPPRESSION DEVICES}
본 발명은 하수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중에 의해 배수로를 밀폐시켜 악취를 차단하고 수압에 의해 배수로가 개방되어 물의 역류를 유도하여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하수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가나 일반 주택가의 인도가에는 빗물이나 각 가정 및 공장 등에서 나오는 오수가 배출되는 지하 하수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하 하수로를 따라 지면 상에는 일정간격으로 지하 하수로로 빗물 등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에는 보행자나 차량의 안전한 이동과 각종 이물이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구 덮개(이하, '그레이팅' 이라 함)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 덮개의 하부에는 지하 하수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악취방지용 덮개가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이러한 악취방지용 덮개들은 빗물이나 오수가 용이하게 배수구를 통해 하수로로 유입되기에는 용이한 것이나 빗물이나 오수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하수로의 악취가 역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는 없는 결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320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체의 양쪽 하부에 상부로 개방되게 악취차단판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배출구를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어 악취 및 해충과 쥐의 통행을 차단하고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부상하면서 배출구를 개방함에 따라 물의 역류를 유도하여 침수를 방지하게 되어 제품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수악취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는 배수구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양쪽에 배수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양쪽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로를 개폐시키는 악취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배수구의 걸림턱에 안착되게 안착판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판의 하부에 양쪽으로 배수로가 형성되고 배수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악취차단판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바깥쪽 전후에는 배수로를 개폐시키는 악취차단판이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끼움홀이 형성된 연결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에는 악취차단판이 끼움홀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전후가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1곡선면이 형성되며, 좌우로 경사지게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2곡선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전후가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3곡선면이 형성되며, 좌우로 경사지게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4곡선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악취차단판의 상부 양쪽 끝단에는 연결편의 끼움홀에 끼워져 악취차단판을 회전시키는 끼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악취차단판의 내측면에는 배수로의 밀폐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배수로의 외곽 테두리 면이 삽입되게 삽입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에 의하면, 배수구에 안착되는 본체의 하부 양쪽에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수로를 개폐시키는 악취차단판을 설치함으로써 평상시 자중에 의해 악취차단판이 배수로를 막아 주어 악취의 차단은 물론 배수구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려는 해충과 쥐의 통행을 막아주며 하수의 역류 시 악취차단판이 부상하여 배수로를 개방시켜 역류를 유도하여 침수를 방지하게 되어 쾌적한 환경 조성 및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의 악취차단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의 악취차단판이 상승하여 배수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의 악취차단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를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의 악취차단판이 상승하여 배수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악취차단장치는 본체(100)와, 악취차단판(20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도로의 배수구(10)에 설치되어 배수구(10) 내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배수구(10)의 걸림턱(11)에 안착되는 안착판(110)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110)의 하부에 배수로(121)가 형성되는 연결부(120)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안착판(110)의 외부는 배수구(10)의 내부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배수구(10)를 견고하게 막아줄 수 있게 된다.
통상, 도 8 내지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10)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안착판(110)의 외형이 사각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구(10)와 안착판(11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된다.
상기 연결부(120)는 안착부(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 양쪽에 배수로(121)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의 상부에는 전,후가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1곡선면(R1)이 형성되며, 좌,우로 경사지게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2곡선면(R2)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0)의 하부에는 전,후가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3곡선면(R3)이 형성되며, 좌,우로 경사지게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4곡선면(R4)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120)의 상부를 곡선 형태인 제1곡선면(R1)과 제2곡선면(R2)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20)의 하부를 곡선 형태인 제3곡선면(R3)과 제4곡선면(R4)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부(120)로 떨어지는 빗물이나 오수가 제1,2,3,4곡선면(R1,R2,R3,R4)에 의해 연결부(120)의 중앙으로 집중되어 흐르게 되어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이렇게 빨라진 유속을 갖는 빗물 혹은 오수가 배수로(121)를 통해 배수구(10)로 신속하게 흘러내려 배수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빠른 유속으로 인해 연결부(120)로 떨어지는 이물질이 배수로(121)에 걸리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어 배수로(121)의 막힘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곡선면(R1,R2,R3,R4)의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하거나, 일부만 동일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르게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일정한 값이 아닌 소정 범위 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곡선면의 곡률반경은 5㎜ ~ 1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곡선면의 곡률반경은 30㎜ ~ 750㎜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3곡선면의 곡률반경은 25㎜ ~ 28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4곡선면의 곡률반경은 85㎜ ~ 29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의 외측면, 즉 배수로(121)의 상측에 배수로(121)를 개폐시키기 위한 악취차단판(200)이 연결되는 연결편(130)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연결편(130)은 연결부(120)의 양쪽 외측면에 각각 전,후로 구비되며, 중앙에 악취차단판(2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끼움홀(131)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한쪽의 연결편(130)에는 악취차단판(200)이 끼움홀(131)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편(130)의 끼움홀(131)에 악취차단판(200)이 연결될 때 상기 절개부(132)가 형성되지 않은 연결편(130)의 끼움홀(131)로 악취차단판(200)의 한쪽을 연결하고 악취차단판(200)의 다른 쪽을 절개부(132)를 통과하여 끼움홀(131)에 연결시켜 상기 연결편(130)에 악취차단판(20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금속재의 배수구 덮개(20)가 설치되게 된다.
즉, 상기 배수구(10)의 걸림턱(11)에 배수구 덮개(20)를 설치하기 전에 본체(100)를 걸림턱(11)에 걸어 배수구 덮개(20)의 하부에 하수악취 차단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악취차단판(200)은 본체(100)의 하부 양쪽에 연결편(130)의 끼움홀(131)로 끼워져 배수로(121)의 둘레 면에 밀착되고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수로(121)를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악취차단판(200)은 상부 양끝단에 연결편(130)의 끼움홀(131)로 끼워져 연결편(130)을 축으로 악취차단판(200)이 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210)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악취차단판(200)의 내측면에는 배수로(121)의 밀폐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배수로(121)의 외곽 테두리 면이 삽입되게 삽입홈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악취차단판(200)이 배수로(121)의 테두리에 밀착될 때 상기 삽입홈부(220) 내로 배수로(121)의 테두리 면 전체가 삽입되면서 밀착되어 악취 차단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악취차단판(200)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배수로(121)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물보다 비중이 낮은 발포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AS수지 등 중 어느 하나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악취차단판(200)이 물보다 비중이 낮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배수구(10) 내에서 물이 차오르면 부력에 의해 악취차단판(200)이 끼움돌기(210)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부상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역류를 유도하여 침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악취차단판(200)은 배수로(121)의 외경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수로(121)의 넓이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하수악취차단장치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배수구(10)의 상부 내측 걸림턱(11)에 본체(100)의 안착판(110)을 거치시켜 설치하고 그 상부에 배수구 덮개(20)를 안착시켜 상기 배수구 덮개(20)에 의해 본체(10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121) 상부의 연결부(120)에 구비되는 연결편(130)의 끼움홀(131)로 악취차단판(200)의 상부 끝단에 구비되는 끼움돌기(210)를 끼워서 상기 연결부(120)에 악취차단판(200)을 연결하게 되어 상기 악취차단판(200)이 끼움돌기(210)를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수로(121)를 개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130)에 악취차단판(200)의 상부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악취차단판(200)이 끼움돌기(210)를 축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배수로(121)에 밀착되어 악취는 물론 해충이나 쥐가 배수로(12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악취차단판(200)이 배수로(121)에 밀착된 상태에서 배수구(10) 내의 물이 차오르게 되면 물보다 비중이 낮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악취차단판(200)이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상기 배수로(121)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자연스럽게 역류를 유도하여 침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121)가 형성된 연결부(120)의 내부면 전체를 곡선 형태의 제1,2,3,4곡선면(R1,R2,R3,R4)으로 형성함으로써 물의 흐름이 연결부(120)의 중앙 쪽으로 하여 배수로(121)로 집중되어 물의 유속이 빨라져 이물질의 흡착 및 끼임 현상을 방지하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연결편(130)에 수압 및 자중에 의해 회전되는 악취차단판(200)을 구비하여 스프링이나 무게 추 등의 강제적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악취차단판(200)이 수압에 의해 상승하여 배수로(121)를 개방시키고 자중에 의해 배수로(121)에 밀착되어 배수로(121)를 폐쇄하게 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고장이 발생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배수구 11 : 걸림턱
20 : 배수구 덮개 100 : 본체
110 : 안착판 120 : 연결부
121 : 배수로 130 : 연결편
131 : 끼움홀 132 : 절개부
200 : 악취차단판 210 : 끼움돌기
220 : 삽입홈부 R1,R2,R3,R4 : 제1,2,3,4곡선면

Claims (8)

  1. 배수구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양쪽에 배수로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 양쪽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수로를 개폐시키는 악취차단판;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배수구의 걸림턱에 안착되게 안착판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판의 하부에 양쪽으로 배수로가 형성되고 배수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악취차단판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바깥쪽 전후에는 배수로를 개폐시키는 악취차단판이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두 개의 끼움홀이 형성된 연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곡선형태를 이루는 제1곡선면(R1)이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곡선형태를 이루는 제2곡선면(R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3곡선면(R3)이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로 곡선 형태를 이루는 제4곡선면(R4)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곡선면(R1)의 곡률반경은 제2곡선면(R2)의 곡률반경과 상이하고,
    제3곡선면(R3)의 곡률반경은 제4곡선면(R4)의 곡률반경과 상이하며,
    상기 두 개의 연결편 중 어느 한쪽에만 악취차단판이 끼움홀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악취차단판의 상부 양쪽 끝단에는 연결편의 끼움홀에 끼워져 악취차단판을 회전시키는 끼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악취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판의 내측면에는 배수로의 밀폐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배수로의 외곽 테두리 면이 삽입되게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악취차단장치.
KR1020190107149A 2019-08-30 2019-08-30 하수악취차단장치 KR102079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149A KR102079246B1 (ko) 2019-08-30 2019-08-30 하수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149A KR102079246B1 (ko) 2019-08-30 2019-08-30 하수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246B1 true KR102079246B1 (ko) 2020-02-19

Family

ID=6966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149A KR102079246B1 (ko) 2019-08-30 2019-08-30 하수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240B1 (ko) 2020-08-03 2020-11-06 김정은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2476351B1 (ko) * 2022-03-04 2022-12-13 (주)도래샘 빗물 안내 돌기라인을 구비한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차단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955A (ko) * 2000-03-06 2001-09-15 이강우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0715444B1 (ko) * 2005-11-30 2007-05-0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KR100913209B1 (ko) 2009-02-16 2009-08-24 오웅배 악취방지 및 이물질 유입차단용 배수로 덮개
KR20150066306A (ko) * 2013-12-06 2015-06-16 (주) 뉴티브 방화 기능 및 쓰레기 유입 저감 기능을 갖는 악취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955A (ko) * 2000-03-06 2001-09-15 이강우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0715444B1 (ko) * 2005-11-30 2007-05-0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KR100913209B1 (ko) 2009-02-16 2009-08-24 오웅배 악취방지 및 이물질 유입차단용 배수로 덮개
KR20150066306A (ko) * 2013-12-06 2015-06-16 (주) 뉴티브 방화 기능 및 쓰레기 유입 저감 기능을 갖는 악취 차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240B1 (ko) 2020-08-03 2020-11-06 김정은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2476351B1 (ko) * 2022-03-04 2022-12-13 (주)도래샘 빗물 안내 돌기라인을 구비한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하수 악취방지용 스마트 차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246B1 (ko) 하수악취차단장치
KR101558325B1 (ko) 악취방지 및 해충의 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맨홀용 악취 차단장치
KR101111091B1 (ko) 하수구 악취방지장치
KR200485881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100500132B1 (ko) 악취방지용 위생덮개
KR101022021B1 (ko)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20140128813A (ko) 맨홀용 악취 및 역류 방지 장치
JP6388175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KR20010086955A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0737121B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90048527A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 및 유해가스 배출 장치
KR20080037918A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KR20050081903A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100766279B1 (ko)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KR101707671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KR101406283B1 (ko) 악취 및 쓰레기 유입 저감장치 일체형 강판 맨홀뚜껑
KR20190128793A (ko) 맨홀용 악취 방지장치
KR20190024209A (ko) 그레이팅 구조체
KR20180003535U (ko) 맨홀의 수직통로 상에 설치되는 악취차단용 내부덮개
KR102078388B1 (ko)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KR101536618B1 (ko)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200207108Y1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0388665Y1 (ko) 배수구
KR200281794Y1 (ko) 배수용 덮개의 구멍 개폐장치
JPH09228465A (ja) オイル阻集器の臭気シャッ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