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240B1 -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240B1
KR102175240B1 KR1020200096585A KR20200096585A KR102175240B1 KR 102175240 B1 KR102175240 B1 KR 102175240B1 KR 1020200096585 A KR1020200096585 A KR 1020200096585A KR 20200096585 A KR20200096585 A KR 20200096585A KR 102175240 B1 KR102175240 B1 KR 10217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backflow
door
drainage
revers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은
Original Assignee
김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은 filed Critical 김정은
Priority to KR102020009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로의 악취가 배수구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구에 걸쳐져 지지될 수 있는 안착부(110)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10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하향 경사된 면이 형성된 중앙 경사부(150); 상기 중앙 경사부(150)의 경사면에 관통 형성되되 역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역류부(130); 및 상기 중앙 경사부(150)와 상기 안착부(110) 사이의 영역에 관통 형성되되 배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배수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부(130)에는 역류가 없을 경우에는 역류부(130)를 밀폐시키다가 역류가 발생했을 때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역류부(130)를 개방하는 역류 도어(300)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부(120)에는 배수가 없을 때에는 상기 배수부(120)를 밀폐시키다가 배수가 발생했을 때 하방으로 회동하여 배수부(120)를 개방하는 배수 도어(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Device for Blocking Odor from Drainage}
본 발명은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배수 및 역류 배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면서도 배수구 내 악취가 배수구 밖으로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인도에는 빗물 또는 오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지하에 하수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로를 따라 지면 상에는 빗물 또는 오수를 하수로로 보내기 위한 배수구가 설치된다.
배수구에는 보행자나 차량이 안전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하수로 내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구 덮개(grating)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구 덮개의 하부에는 하수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배수구를 통해 지상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악취 방지용 덮개가 별도로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명자가 발명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하수 악취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특허문헌 1 참조), 연결부(120)의 내부면 전체를 곡선 형태(R1,R2,R3,R4)로 형성하여 물의 흐름이 연결부(120)의 중앙 쪽으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유속을 높여서 이물질의 흡착 및 끼임 현상을 방지하고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형태의 하수 악취 자단 장치를 포함하여 종래의 하수 악취 차단 장치는 역류를 허용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태풍 또는 호우 시 하수로를 통하여 다량의 물이 역류할 때,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가 역류를 허용하지 않게 될 경우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내구성을 벗어날 정도로 하수로의 수압이 높아질 수 있고, 이 경우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 역류를 허용하는 구성은 악취 차단판 내에 구비되는데, 이 경우 역류 허용 구성의 사이즈는 악취 차단판 자체의 사이즈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역류 허용양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더 나아가 역류 과정에서 하수도에 있던 이물질들이 배수구를 통하여 지상으로 올라옴으로써, 위생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792465호 (공고일: 2020.02.13.) 등록특허공보 제10-1291612호 (공고일: 2013.08.01.) 등록특허공보 제10-1289025호 (공고일: 2013.07.2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부와 역류부를 별도로 구분함으로써, 충분히 큰 역류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역류 과정에서 하수도 내에 있던 이물질이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를 통과하여 지상으로 올라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수로의 악취가 배수구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구에 걸쳐져 지지될 수 있는 안착부(110)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10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하향 경사된 면이 형성된 중앙 경사부(150); 상기 중앙 경사부(150)의 경사면에 관통 형성되되 역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역류부(130); 및 상기 중앙 경사부(150)와 상기 안착부(110) 사이의 영역에 관통 형성되되 배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배수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부(130)에는 역류가 없을 경우에는 역류부(130)를 밀폐시키다가 역류가 발생했을 때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역류부(130)를 개방하는 역류 도어(300)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부(120)에는 배수가 없을 때에는 상기 배수부(120)를 밀폐시키다가 배수가 발생했을 때 하방으로 회동하여 배수부(120)를 개방하는 배수 도어(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 도어(300)는 상기 중앙 경사부(1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역류 도어 힌지(320) 및 상기 역류 도어 힌지(320)와 결합되어 역류 도어 힌지(320)를 중심으로 중앙 경사부(150)의 상방으로 회동하는 역류 도어 차단판(310)을 포함하되, 상기 역류에 의한 압력이 상기 역류 도어 차단판(310)의 자중에 의한 회동력보다 클 경우 상기 역류 도어 차단판(310)이 열리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배수 도어(2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배수 도어 힌지(220); 상기 배수 도어 힌지(220)의 일 부분에 결합되되, 배수 도어 힌지(22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는 배수 도어 차단판(210); 및 상기 배수 도어 힌지(220)의 다른 일 부분에 결합되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배수 도어 차단판(210)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배수부(120)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힘을 가하는 배수 도어 웨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경사부(150)는 지지 프레임(100)의 중앙부를 정점으로 양쪽으로 하향 경사된 면을 가지되, 상기 하향 경사된 면에 각각 역류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경사부(150)에 의하여 형성된 삼각 기둥 형태의 하부 공간의 하단면에는 역류 이물질 차단망 (400)이 형성되되, 상기 중앙 경사부(150)에 의하여 형성된 삼각 기둥 형태의 측면에는 측면 차단판(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부(120)와 상기 안착부(110)의 사이에는 배수 가속부(170)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 가속부(170)는, 상기 안착부(110)와 가까운 부분의 단면의 곡률반경이 상기 배수부(120)에 가까운 부분의 단면의 곡률반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직막으로 상기 배수부(120) 및 상기 역류부(130)의 상부에는 담배꽁초 또는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또는 하수로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이물질 차단망(4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는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수부와 구별되는 별도의 역류부를 형성함으로써, 역류 발생시 효과적으로 역류를 배수구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중앙 경사부에 역류부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 경사부의 하부에 역류 이물질 차단망 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이물질이 역류부를 통하여 지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역류부에 설치되는 역류 도어와 역류 이물질 차단망 사이가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역류 도어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역류부에 완충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역류 도어의 회동 각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역류 도어가 충격에 의하여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상면과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배수 가속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에서 역류 도어와 배수 도어가 동시에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에서 배수가 이루어질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에서 역류가 발생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중앙 경사부의 하부에 역류 이물질 차단망 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상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지지 프레임(100)은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구성 요소들이 고정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기본 구조물로서, 배수구 주변에 안착되어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안착부(11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착부(110)에는 절개부(1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가 설치될 배수구의 크기에 맞추어 절개부(111)를 따라 절단함으로써, 안착부(11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통상 절개부(111)는 안착부(110)의 영역 내에서 두께를 얇게 만듦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에는 지상의 물을 하수도로 흘려보내기 위한 배수부(120)와 하수도의 물을 지상으로 역류시키기 위한 역류부(130)가 별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프레임(100)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대칭인 경사 구조물을 형성하되, 지지 프레임(100)의 중앙 부분을 정점으로 외곽쪽으로 하향 경사진 중앙 경사부(150)에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역류가 통과할 수 있는 역류부(130)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경사부(150)와 안착부(110) 사이의 영역에도 관통공을 형성하여 배수가 통과할 수 있는 배수부(120)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역류부(130)에는 상황에 따라서 관통공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는 역류 도어(300)가 설치되고, 배수부(120)에는 상황에 따라서 관통공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는 배수 도어(200)가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안착부(110)와 배수부(120)의 사이에는 배수 가속부(17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안착부(1100)로부터 배수부(120)로 갈 수록 단면의 곡률 반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배수 가속부(170)로 유입되는 물이 가운데로 모이게 되고, 그로 인하여 배수 가속부(170)를 떠나 물이 배수부(120)에 도달할 때에는 유속이 커지고, 같은 양의 물로도 배수 도어(200)에 가하는 충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수 가속부(170)의 단면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안착부(110)와 가까운 영역(A)의 곡률반경은 배수부(120) 가까운 영역(B)의 곡률반경에 비하여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배수부(120)에는 배수 도어(200)가 설치되는데, 배수 도어(200)는 배수 도어 힌지(220)를 중심으로 한 쪽에는 배수 도어 차단판(210)이, 그리고 다른 한 쪽에는 배수 도어 웨이트(230)가 형성된다. 배수 도어 힌지(220)는 지지 프레임(100)의 소정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배수 도어 웨이트(230)의 중량으로 인하여 배수 도어 차단판(210)은 배수 도어 힌지(220)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배수부(120)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배수부(120)가 배수 도어 차단판(210)에 의하여 막히므로, 하수도의 악취가 지상으로 흘러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배수 도어 웨이트(230)의 중량을 조절함으로써, 배수 도어 차단판(210)이 개폐되는 힘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역류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 경사부(150)의 하단에는 역류 이물질 차단망 (40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역류 이물질 차단망 (400)은 역류 발생 시 하수도 내의 이물질이 역류부(130)를 통하여 지상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중앙 경사부(150)의 하단에 역류 이물질 차단망 (400)이 형성되므로, 중앙 경사부(150)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역류부(130) 역류 이물질 차단망 (400) 사이는 자연스럽게 이격되고, 그로 인하여 이물질이 역류부(13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경사부(150)의 측면에는 측면 차단판(420)을 형성하여 하수도 내의 이물질이 중앙 경사부(150)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배수 도어 차단판(210)이 배수부(120)에 밀착된 상태, 배수되는 물이 없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지지 프레임(100)의 중앙 경사부(150) 하부에 형성되는 삼각 기둥 형태의 공간의 측면을 막기 위해서 측면 차단판(420)이 구비되어 있다. 측면 차단판(420)에는 역류 도어 힌지(320)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요소 및 역류 이물질 차단망 (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역류 이물질 차단망 고정구(4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배수 도어(200)와 역류 도어(300)가 동시에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배수 도어(200)는 배수 도어 힌지(220)를 중심으로 배수 도어 차단판(210)과 배수 도어 웨이트(230)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데, 배수가 없는 상태에서는 배수 도어 웨이트(230)에 의하여 배수 도어 차단판(210)이 회동하여 배수부(120)와 맞닿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배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는 흐르는 물의 힘 또는 중량에 의하여 배수 도어 차단판(210)이 배수 도어 웨이트(230)의 중량의 힘을 이기고, 배수 도어 차단판(210)이 하방으로 회동하여 배수부(120)가 열리게 된다.
역류 도어(300)와 관련하여, 역류 도어 차단판(310) 역시 지지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역류 도어 힌지(320)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중앙 경사부의 경사면 상방으로만 열리게 구성된다. 즉, 역류가 없는 평상시에는 역류 도어 차단판(310)의 자중에 의하여 중앙 경사부(150)에 형성된 역류부(130)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역류의 힘이 배수 도어 차단판(210)의 자중을 이기는 경우 배수 도어 차단판(210)은 상방으로 열리면서 역류를 지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 7은 배수(D)가 이루어는 경우 배수 도어(2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배수(D)에 의하여 흐르는 물의 힘이 배수 도어 차단판(210)을 회동시키는 배수 도어 웨이트(230)의 자중보다 크게 될 경우 배수 도어 차단판(210)은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배수부(120)가 개방된다.
도 8은 역류(O)가 발생한 경우 역류 도어(30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역류(O)의 힘이 역류 도어 차단판(310)의 자중에 의하여 역류 도어 힌지(32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려는 힘보다 커질 경우 역류 도어 차단판(310)은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역류부(130)가 개방된다.
도 9는 중앙 경사부(150)의 하부에 역류 이물질 차단망 (400)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경사부(150) 하부 공간의 측면에는 측면 차단판(420)이 고정 설치되고, 다시 측면 차단판(420)에 역류 이물질 차단망 (400)이 고정구(410)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중앙 경사부(150)의 경사면과 역류 이물질 차단망 (400)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간격이 생길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하여 하수도 내의 이물질이 역류부(130) 및 역류 도어(300)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중앙 경사부(150)의 소정 부분에 완충 수단(34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역류 도어 차단판(310)이 역류에 의하여 빠른 속도로 회동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에 비하여 역류는 유속이 빠르고 압력도 클 경우가 많으므로, 역류에 의한 장치의 파손 가능성이 높다. 완충 수단(340)은 역류 도어 차단판(310)의 회동 경로 상에 고무와 같은 탄성체(343)를 구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서는 중앙 경사부(150)의 소정 지점에 고정된 브래킷(344)에 버터플라이 너트(342)에 의하여 볼트봉(341)을 고정시키되, 볼트봉(341)의 최하단에 고무와 같은 탄성체(343)를 부착시킴으로써 완충 수단(340)이 구현된다. 볼트봉(34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역류 도어(300)의 회동 각도의 최대값을 제어할 수 있을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배수부(120) 및 상기 역류부(130)의 상부에는 담배 꽁초 또는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또는 하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이물질 차단망(400)이 구비되어 있다.
100: 지지 프레임 110: 안착부
111: 절개부 120: 배수부
130: 역류부 150: 중앙 경사부
170: 배수 가속부
200: 배수 도어 210: 배수 도어 차단판
220: 배수 도어 힌지 230: 배수 도어 웨이트
300: 역류 도어 310: 역류 도어 차단판
320: 역류 도어 힌지 340: 완충 수단
341: 볼트봉 342: 너트
343: 탄성체 344: 브래킷
400: 역류 이물질 차단망 410: 역류 이물질 차단망 고정구
420: 측면 차단판 500: 배수 이물질 차단망

Claims (6)

  1. 하수로의 악취가 배수구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구에 걸쳐져 지지될 수 있는 안착부(110)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10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하향 경사된 면이 형성된 중앙 경사부(150);
    상기 중앙 경사부(150)의 경사면에 관통 형성되되 역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역류부(130); 및
    상기 중앙 경사부(150)와 상기 안착부(110) 사이의 영역에 관통 형성되되 배수를 통과시키기 위한 배수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부(130)에는 역류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역류부(130)를 밀폐시키다가 역류가 발생했을 때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역류부(130)를 개방하는 역류 도어(300)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부(120)에는 배수가 없을 때에는 상기 배수부(120)를 밀폐시키다가 배수가 발생했을 때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수부(120)를 개방하는 배수 도어(200)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 경사부(15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중앙부를 정점으로 양쪽으로 하향 경사된 면을 가지되, 상기 하향 경사된 면에 각각 역류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경사부(150)에 의하여 형성된 삼각 기둥 형태의 하부 공간의 하단면에는 역류 이물질 차단망 (400)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 경사부(150)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삼각 기둥 형태의 하부 공간 측면에는 측면 차단판(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류 도어(300)는 상기 중앙 경사부(1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역류 도어 힌지(320) 및 상기 역류 도어 힌지(320)와 결합되어 역류 도어 힌지(320)를 중심으로 상기 중앙 경사부(150)의 상방으로 회동하는 역류 도어 차단판(310)을 포함하되,
    상기 역류에 의한 압력이 상기 역류 도어 차단판(310)의 자중에 의한 회동력보다 클 경우 상기 역류 도어 차단판(310)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 도어(2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배수 도어 힌지(220);
    상기 배수 도어 힌지(220)의 일 부분에 결합되되, 상기 배수 도어 힌지(22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는 배수 도어 차단판(210); 및
    상기 배수 도어 힌지(220)의 다른 일 부분에 결합되되, 자중에 의하여 상기 배수 도어 차단판(210)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배수부(120)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힘을 가하는 배수 도어 웨이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20)와 상기 안착부(110)의 사이에는 배수 가속부(170)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 가속부(170)는, 상기 안착부(110)와 가까운 부분의 단면의 곡률반경이 상기 배수부(120)에 가까운 부분의 단면의 곡률반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20) 및 상기 역류부(130)의 상부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이물질 차단망(4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20200096585A 2020-08-03 2020-08-03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217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85A KR102175240B1 (ko) 2020-08-03 2020-08-03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85A KR102175240B1 (ko) 2020-08-03 2020-08-03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240B1 true KR102175240B1 (ko) 2020-11-06

Family

ID=7357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585A KR102175240B1 (ko) 2020-08-03 2020-08-03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413B1 (ko) 2022-12-09 2023-10-16 김정은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760A (ja) * 2003-11-07 2005-06-02 Hamana Tekko Kk 雨水ます用防臭装置
KR200398817Y1 (ko) * 2005-07-19 2005-10-18 김영태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KR101289025B1 (ko) 2013-04-11 2013-07-23 (주)맵시전자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101291612B1 (ko) 2011-09-19 2013-08-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102079246B1 (ko) 2019-08-30 2020-02-19 김정은 하수악취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760A (ja) * 2003-11-07 2005-06-02 Hamana Tekko Kk 雨水ます用防臭装置
KR200398817Y1 (ko) * 2005-07-19 2005-10-18 김영태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KR101291612B1 (ko) 2011-09-19 2013-08-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101289025B1 (ko) 2013-04-11 2013-07-23 (주)맵시전자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102079246B1 (ko) 2019-08-30 2020-02-19 김정은 하수악취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413B1 (ko) 2022-12-09 2023-10-16 김정은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181B1 (ko) 우수 조절 및 오물 차단 기능이 구비된 맨홀 그레이팅 장치
US20060285926A1 (en) Impulse-responsive rotary actuator for storm drain barrier not disabled by immersion
JP2008502828A (ja) 遮集管渠の土砂流入防止装置
KR101558325B1 (ko) 악취방지 및 해충의 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맨홀용 악취 차단장치
KR102175240B1 (ko)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266114B1 (ko) 악취 방지용 맨홀
US20090008588A1 (en) Shut-Off Device for a Waste-Water Inspection Chamber
KR20150118000A (ko)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및 그를 가지는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20170140833A (ko) 도로 배수구용 빗물 처리장치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20090014689A (ko) 맨홀 커버장치
KR100913210B1 (ko) 밀폐형 배수로 덮개
KR101124771B1 (ko)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200131718A (ko) 청소차에 의해 청소가 가능한 맨홀 악취 차단 장치
KR200384362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90048527A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 및 유해가스 배출 장치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EP3265620B1 (en) Combined valve and rat killer
KR101582592B1 (ko) 수압 자중식 수문
JP2004285663A (ja) 雨水ます
KR101406283B1 (ko) 악취 및 쓰레기 유입 저감장치 일체형 강판 맨홀뚜껑
KR100726030B1 (ko) 악취역류방지용 맨홀
JP2003138638A (ja) 側溝用雨水導入バルブ装置
KR102582815B1 (ko) 홍수 역류 방지, 악취 유출 방지 및 쓰레기 차단 기능을갖는 배수구용 스틸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