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817Y1 -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 Google Patents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817Y1
KR200398817Y1 KR20-2005-0021013U KR20050021013U KR200398817Y1 KR 200398817 Y1 KR200398817 Y1 KR 200398817Y1 KR 20050021013 U KR20050021013 U KR 20050021013U KR 200398817 Y1 KR200398817 Y1 KR 2003988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wage
closing plate
downward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20-2005-0021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8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8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8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에 빗물이 꼭지면을 따라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을 따라서 가속되고 하향경사면의 끝단에 개폐판으로 개폐되는 측면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수유도체내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오수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빗물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는 측면개구가 개폐판에 의하여 닫혀 배수구내의 오폐수의 악취냄새가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의 악취발생을 완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하수관내의 오수 및 건수가 역류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개폐판이 열려서 역류되는 물을 안내 유도함으로서,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에 무리한 힘이 가하여져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수구에 개폐판이 형성되는 오수유도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오수유도체(100)내에 모서리분기면(130)을 중심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140)들을 형성하고, 상기 하향경사면(140)의 끝단부분이 개구된 개구부(150) 위쪽에 힌지(161)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개폐판(16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모서리분기면(130)을 중심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140)들의 위면에 역류개폐판(200)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하향경사면(140)의 끝단부분이 개구된 개구부(150) 위쪽에 힌지(161)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개폐판(160)에 부구날개(180)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structure of a soil waste induction machine of drain hall}
본 고안은 생활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통하는 배수구에 빗물 등의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오수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에 빗물이 꼭지면을 따라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을 따라서 가속되고 하향경사면의 끝단에 개폐판으로 개폐되는 측면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수유도체내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오수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빗물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는 측면개구가 개폐판에 의하여 닫혀 배수구내의 오폐수의 악취냄새가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의 악취발생을 완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하수관내의 오수 및 건수가 역류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개폐판이 열려서 역류되는 물을 안내 유도함으로서,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에 무리한 힘이 가하여져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하수 등은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며, 하수관에는 빗물 등의 오수 및 건수가 유입될 수 있는 배수구가 설치되어 생활하수와 빗물이 함께 배수관을 통하여 정수로 또는 하천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수관에 배수구의 형성은 빗물 등의 건수가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는데,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생활하수는 오수이어서 악취가 심하며, 이 악취는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냄새가 역류하게 되어 배수구의 근처만 가도 악취가 심하다. 따라서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기 의하여 비닐포대 등을 배수구의 그레이팅 위에 덮어씌우기도 하나, 갑자기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비닐포대가 빗물의 배수구를 막게되어 오히려 빗물의 배출을 방해하여 빗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의 배수구에 장착하여 악취발생과 빗물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오수유도체들이 제안되고 있다.
대체로, 배수구의 그레이팅의 아래에 빗물이 유입되면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개폐판이 형성되도록 하여, 빗물 등의 건수가 배수구로 유입되면 개폐판이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 낙하하여 개폐판이 열려 빗물 등의 건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이 빗물 등의 건수가 배수구로 유입되어 개폐판을 밀어내는 자연낙하의 운동에너지의 발생으로 개폐판을 개구시키는 것이어서 건수 등의 배출은 무리가 없다. 또한 건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 개폐판이 원래의 상태로 유지하여 배구수내의 악취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없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건수 등의 자연낙하의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개폐되는 개폐판이 건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 개폐판이 개구부를 막아야 한다.
그런데, 개폐판이 하향 이동한 상태에서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복원 수단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그렇치 않으면 자연낙하 상태의 개폐판을 복원되도록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것은 개폐판이 개구부를 긴밀하게 막지 못하여 배수구의 악취의 역류를 전혀 막을 수 없다.
따라서, 개폐판의 원상태로의 복원을 위하여 개폐판에 탄성 복원수단을 구비하는 데에 따르는 장치의 설계와 부품의 수용 등에 따르는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성복원수단을 구비한다하여도 장기간사용으로 인한 탄성복원 수단의 부세력의 약화와 노화 등으로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판이 빗물 등의 건수에 의하여 하향 이동하도록 하고 빗물이 역류하는 경우에 반대로 개폐판이 개구부를 폐쇄하여 배수구의 그레이팅 위쪽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개폐판에 의하여 역류를 막는 것은 오히려 개폐판의 힌지부분에 무리한 피로를 주어 개폐판의 기능의 상실은 물론 훼손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구에 오수유도체를 형성함에 있어서의 오수유도체내에 모서리분기면을 중심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하향경사면의 끝단부분이 개구된 개구부에 위쪽에 힌지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개폐판을 형성하여, 빗물 등의 건수가 그레이팅을 통하여 유입되어 양쪽의 하향경사면으로 분기되면서 하향경사진 경사면에 의하여 가속되어서 그 가속중력과 함께 개폐판을 열어 개구부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건수 등의 배출이 없는 경우 개폐판이 자체의 중력에 의하여 복원되어 개구부를 폐쇄하여 배수구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배수구의 건수 등이 역류하는 경우, 개폐판에 부구날개의 형성으로 부력에 의하여 개폐판이 열릴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하향경사면의 위면에 역류개폐판의 형성으로 역류의 에너지가 역류개폐판을 밀고 올라와, 배수구의 열류수가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오수유도체에 무리한 피로를 줄일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배수구에 개폐판이 형성되는 오수유도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오수유도체내에 모서리분기면을 중심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들을 형성하고, 상기 하향경사면의 끝단부분이 개구된 개구부 위쪽에 힌지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개폐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모서리분기면을 중심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들의 위면에 역류개폐판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하향경사면의 끝단부분이 개구된 개구부 위쪽에 힌지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개폐판에 부구날개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또한 도 2a,b 는 본 고안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에 개폐판의 개폐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또한 도 3 은 본 고안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또한 도 4a,b 는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다른 실시예의 개폐판의 개폐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또한 도 5 는 본 고안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또한 도 6a,b,c 는 본 고안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폐판의 개폐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오수유도체는 배수구에 도 1 및 도 2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되는데, 일정깊이의 배수구(10)내의 플랜지턱(11)에 오수유도체(100)가 얹히고 또한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위에 그레이팅(20)이 덮여진다.
상기 스틸그레이팅은 대략 장,정방형상의 사각형의 스틸그레이팅의 내측에 다수의 아이바들에 크로스바들이 용접되어 고정하도록 되고, 또한 아이바 및 크로스바의 마구리부분에 마구리바 등이 용접되어 하나의 스틸그레이팅을 구성한다.
본 고안의 오수유도체(100)는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의 플랜지턱에 얹혀 고정된 고정플랜지(110)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110)에 연이어져 형성되는 전,후면(120)의 중앙을 가로질러 모서리분기면(13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모서리분기면(130)을 중심으로 양쪽에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140)들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향경사면(140)의 끝단부분이 개구된 개구부(150) 위쪽에 힌지(161)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개폐판(1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판(160)은 상기 하향경사면(140)의 하향끝단에 대하여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경사면(170)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상향경사면(170)의 위쪽에 힌지(161)가 장착되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161)를 중심으로 개폐판(160)들이 바깥쪽으로 벌려질 수 있는 형태로 조립된다.
즉, 그레이팅(20)을 통해 빗물 등의 건수가 오수유도체(100)내에 유입되면 오수유도체(100)의 하향경사면(140)에 떨어지고, 이 낙하수는 하향경사면(140)에 의하여 가속되어 가속중량으로 변환되어 하향경사면(140)의 끝단 개구부에서 개폐판(160)을 밀어내어 개구부(150)를 통하여 오수유도체(100)의 아래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상향경사면(170)의 끝단부분이 개구된 개구부(150) 위쪽에 힌지(161)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개폐판(160)에 부구날개(1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구날개(180)는 개폐판(160)의 가로, 세로칫수 보다 큰 칫수로 튀어나와 있으며, 이 튀어나온 부구날개(180)는 배수구(10)가 역류할 때, 역류수가 부력으로 상기 부구날개(180)를 뜨게 하여 개구부를 열어 역류되는 역류수를 배수구 밖으로 유도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분기면(130)을 중심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140)들의 위면에 역류개폐판(200)이 힌지(210)를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역류개폐판(200)은 평상시에는 자체의 중량에 의하여 개구부(220)를 막고 있다가 오수유도체(100)에 역류가 발생하면 역류수가 역류개폐판(200)을 밀어 올리며 개구부(220)를 개구시키어 배수구(10)로 역류 배출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오수유도체(100)는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로 제작가능하며,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160)의 힌지(161) 및 역류개폐판(200)의 힌지(210)를 경첩과 같이 절첩되는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개폐판(160)과 역류개폐판(200)이 자중에 의하여 절첩될 수 있고 개구부들을 개구 후, 원래의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복원가능한 힌지로 하면 된다. 또한 오수유도체(100)를 금속제로 하는 경우에는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하고, 또한 합성수지제로 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경도가 있는 재질로 하는 한다.
또한, 부구날개(180)는 비중이 낮은 스티로폼 등의 발포제로 하여 개폐판(160)의
도 5 및 도 6a,b,c의 경우에는 오수유도체(100)에 전후면에 편심축(300)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한 편심개폐판(31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편심개폐판(310)에 빗물 등의 건수가 떨어지면 편심길이가 짧은 쪽이 개구되며 이 개구부를 통하여 배수구 아래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편심개폐판(310)의 위에는 역류개폐판(330)이 힌지(320)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역류수가 역류개폐판(330)을 개구하게 되고, 또한 편심개폐판(310)을 개구하여 역류수를 역류시키어 배수구(10)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에 빗물이 꼭지면을 따라 하향 경사진 하향경사면을 따라서 가속되고 하향경사면의 끝단에 개폐판으로 개폐되는 측면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수유도체내로 유입되는 빗물 등의 오수가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빗물의 배출이 없는 경우에는 측면 개구가 개폐판에 의하여 닫혀 배수구내의 오폐수의 악취냄새가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의 악취발생을 완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하수관내의 오수 및 건수가 역류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개폐판이 열려서 역류되는 물을 안내 유도함으로서,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에 무리한 힘이 가하여져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분리 사시도,
도 2a,b 는 본 고안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에 개폐판의 개폐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4a,b 는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다른 실시예의 개폐판의 개폐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6a,b,c 는 본 고안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폐판의 개폐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구 20 : 그레이팅
100 : 오수유도체 110 : 고정플랜지
120 : 전,후면 130 : 모서리분기면
140 : 하향경사면 150 : 개구부
160 : 개폐판 170 : 상향경사면
200 : 역류개폐판 210 : 힌지
220 : 개구부 300 : 편심축
310 : 편심개폐판 320 : 힌지
330 : 역류개폐판

Claims (3)

  1. 배수구에 개폐판이 형성되는 오수유도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오수유도체(100)내에 모서리분기면(130)을 중심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140)들을 형성하고, 상기 하향경사면(140)의 끝단부분이 개구된 개구부(150) 위쪽에 힌지(161)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개폐판(16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분기면(130)을 중심으로 하향경사진 하향경사면(140)들의 위면에 역류개폐판(20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경사면(140)의 끝단부분이 개구된 개구부(150) 위쪽에 힌지(161)를 중심으로 유동가능한 개폐판(160)에 부구날개(18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KR20-2005-0021013U 2005-07-19 2005-07-19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KR2003988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013U KR200398817Y1 (ko) 2005-07-19 2005-07-19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013U KR200398817Y1 (ko) 2005-07-19 2005-07-19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817Y1 true KR200398817Y1 (ko) 2005-10-18

Family

ID=4369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013U KR200398817Y1 (ko) 2005-07-19 2005-07-19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81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020B1 (ko) 2009-07-02 2009-10-21 오윤철 하수 배출 장치
KR200448229Y1 (ko) * 2009-02-11 2010-03-25 강종옥 맨홀의 방취, 배수 및 역류 허용 장치
KR101042442B1 (ko) 2009-06-04 2011-06-16 권혁중 가변 조립식 악취차단장치
KR101913751B1 (ko) * 2018-04-04 2018-10-31 김영만 배수용 도로경계석
KR102175240B1 (ko) * 2020-08-03 2020-11-06 김정은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29Y1 (ko) * 2009-02-11 2010-03-25 강종옥 맨홀의 방취, 배수 및 역류 허용 장치
KR101042442B1 (ko) 2009-06-04 2011-06-16 권혁중 가변 조립식 악취차단장치
KR100923020B1 (ko) 2009-07-02 2009-10-21 오윤철 하수 배출 장치
KR101913751B1 (ko) * 2018-04-04 2018-10-31 김영만 배수용 도로경계석
KR102175240B1 (ko) * 2020-08-03 2020-11-06 김정은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8817Y1 (ko)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181873B1 (ko) 부유구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KR100588297B1 (ko) 하수도관의 역류방지 장치
KR100578290B1 (ko) 맨홀의 역류방지 구조
KR20120090625A (ko) 맨홀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100741695B1 (ko) 하수도 집수정의 악취차단장치
KR101224119B1 (ko)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0710632B1 (ko)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KR20170064301A (ko) 홍수시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맨홀의 구조
KR100564921B1 (ko) 하수도관 맨홀
KR100801979B1 (ko) 그레이팅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20120094877A (ko)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면서 가뭄시에 저장된 하천수가 모두 배출되어 버리는 중력의 작용을 차단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용 저층수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0923020B1 (ko) 하수 배출 장치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CN201232254Y (zh) 水沟盖
KR20090009119U (ko) 하수구 악취방지용 덮개
KR101678821B1 (ko) 커버를 가지는 그레이팅 장치
KR100877703B1 (ko) 하수 역류 방지구
KR101106484B1 (ko) 하수 냄새 역류 방지장치
KR101032155B1 (ko) 하수용 맨홀
CN218622503U (zh) 一种通量可调式雨水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