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119B1 -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 Google Patents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119B1
KR101224119B1 KR1020120082065A KR20120082065A KR101224119B1 KR 101224119 B1 KR101224119 B1 KR 101224119B1 KR 1020120082065 A KR1020120082065 A KR 1020120082065A KR 20120082065 A KR20120082065 A KR 20120082065A KR 101224119 B1 KR101224119 B1 KR 101224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sluice
gate
frame
buoyanc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호
Original Assignee
(주)조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조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8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6Gates turning round a horizontal axis arranged midway of the fla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암거 내로 이동하는 유수에 의해 수문의 개폐 및 고정부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무동력으로 이루어지는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에 관한 것으로, 내측이 비워져 있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암거와; 상기 암거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제1 힌지홀을 형성하고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1 힌지홀과 대응하는 제2 힌지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2 힌지홀을 중심으로 상, 하단 수문으로 구성되는 수문과; 상기 프레임과 수문에 형성된 제1, 2 힌지홀에 결합하여 프레임과 수문을 결합하는 힌지축과; 상기 수문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수단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로 구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져 있어, 수문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힌지홀이 상단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암거의 입구를 차단하고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에는 암거 내의 유수의 수압에 의해 수문이 개방되어 무동력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암거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보강대에는 빗면이 설치되어 평상시 수문이 중력에 의해 용이하게 암거의 출구측을 차단할 수 있으며, 프레임 및 수문에 설치되는 고정부의 걸림부에 고정대의 부력체가 결합되어 걸림을 유지하여 고정력을 발생하다가 수위 상승시에는 부력체가 상승하여 걸림이 해제되어 무동력으로 수문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할 수 있는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Non power Floodgate of culvert}
본 발명은 암거 내로 이동하는 유수에 의해 수문의 개폐 및 고정부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무동력으로 이루어지는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힌지홀이 상단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암거의 입구를 차단하고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에는 암거 내의 유수의 수압에 의해 수문이 개방되어 무동력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암거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보강대에는 빗면이 설치되어 평상시 수문이 중력에 의해 용이하게 암거의 출구측을 차단할 수 있으며, 프레임 및 수문에 설치되는 고정부의 걸림부에 고정대의 부력체가 결합되어 걸림을 유지하여 고정력을 발생하다가 수위 상승시에는 부력체가 상승하여 걸림이 해제되어 무동력으로 수문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할 수 있는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거는 전체적인 형상이 ㅁ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암거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게 되며, 특히 일반가정 등의 하수로로 이용하는 암거에는 출구측은 하천과 인접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출구측을 수문을 통해 차단하고 별도의 관을 통해 오폐수 처리장으로 오염된 하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한편, 장마나 우기시에는 우수에 의해 유수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암거 내로 흐르는 유수의 수압에 의해 암거의 출구측의 수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되지 않은 유수가 오폐수 처리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오염되지 않은 유수를 하천으로 방출하여 하수관에서 유수역류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수문은 무동력방식으로는 플랫게이트(flat gate), 부력을 이용한 방식 등이 이용되고 동력을 이용하는 방식은 실린더, 기어나 풀리와 같은 동력전달방식을 통해 수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술한 수문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플랫 게이트의 경우 수압의 차에 의해 수문이 회전하여 개폐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암거 바닥면에 이물질이 잔존할 경우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벼운 플랫 게이트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 제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플랫 게이트의 구조는 상부에 힌지가 설치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동하는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
또한, 대다수의 부력식으로 작동하는 수문의 경우 부력체를 수문과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부력체 자체 중량이 수문을 개폐할 수 있을 정도의 하중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실린더나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수문을 개폐하는 방식의 경우 관리자가 항시 대기하여 이를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항시 관리자가 상주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은 내측이 비워져 있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암거와; 상기 암거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제1 힌지홀을 형성하고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1 힌지홀과 대응하는 제2 힌지홀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2 힌지홀을 중심으로 상, 하단 수문으로 구성되는 수문과; 상기 프레임과 수문에 형성된 제1, 2 힌지홀에 결합하여 프레임과 수문을 결합하는 힌지축과; 상기 수문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수단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로 구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프레임은 암거의 일측에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홀과 제1 힌지홀을 포함하는 제2 결합판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빗면을 포함하는 보강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문은 제2 힌지홀을 중심으로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 수문의 모우멘트가 상단에 형성된 상단 수문의 모우멘트 보다 더 높게 형성되도록 제2 힌지홀의 위치가 상단수문 방향으로 더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수문의 하단 수문의 모우멘트는 암거 내의 유수의 수위가 고정부가 형성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수압보다 더 작은 힘을 형성할 수 있는 중량으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는 수문의 하단 수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고정부의 고정수단은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장공형태의 장공홈을 포함하고 있는 부력체 결합부와 상기 부력체 결합부에 결합되어 수위 변화시 부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부력수단과 부력체 축으로 구성되는 부력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의 걸림부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면과 고정수단의 부력체 형성된 부력체 축이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가이드면과 안착면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문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힌지홀이 상단 방향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암거의 입구를 차단하고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에는 암거 내의 유수의 수압에 의해 수문이 개방되어 무동력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암거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보강대에는 빗면이 설치되어 평상시 수문이 중력에 의해 용이하게 암거의 출구측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프레임 및 수문에 설치되는 고정부의 걸림부에 고정대의 부력체가 결합되어 걸림을 유지하여 고정력을 발생하다가 수위 상승시에는 부력체가 상승하여 걸림이 해제되어 무동력으로 수문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수문과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이 암거의 출구측을 차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이 암거의 출구측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암거(C)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암거(C)를 통해 이동하는 유수를 평상시에는 오폐수 처리장으로 유도하다가 유수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이를 하천으로 유도하여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프레임(10)은 암거(C) 내부의 좌, 우측 및 바닥면에 고정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프레임(10)을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우선,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2 결합판(12)은 암거(C) 내부의 좌, 우측면에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홀(12a)과 제1 힌지홀(12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대(13)는 상기 제2 결합판(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암거(C)를 측면에서 도시하였을 때에 그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빗면(13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의 제2 결합판(12), 보강대(13)는 암거(C)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쌍인 한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10)은 한쌍의 제2 결합판(12), 보강대(13)의 하측에 제1 결합홀(11a)을 포함하는 제1 결합판(11)을 더 형성하여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판(11)은 도면에서는 한쌍의 제2 결합판(12) 및 보강대(13)를 연결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결합판(11)이 이어지지 않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수문(20)은 힌지축(H)을 통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여 암거(C)의 출구측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문(20)은 힌지축(H)이 결합할 수 있는 제2 힌지홀(21)이 내측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문(20)은 제2 힌지홀(21)을 중심으로 하단부의 하단 수문(D1)과 상단부의 상단 수문(D2)으로 구성되며, 이때에 상기 제2 힌지홀(21)은 하단 수문(D1)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가 상단 수문(D2)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보다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도록 상단 수문(D2) 방향으로 더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수문(20)의 하단 수문(D1)의 길이(d1)가 상단 수문(D2)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고정부(50)는 상술한 수문(20)에 설치되는 고정수단(30)과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걸림부(40)로 구성되어 수문(20)을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우선, 고정수단(30)은 수문(20) 중 암거(C)의 출구측과 마주보는 면에 결합하는 장공홈(31a)을 포함하는 부력체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 결합부(31)에 형성된 장공홈(31a)은 수문(20)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였을 때에 장공이 상,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 결합부(31)의 장공홈(31a)에 결합하는 부력체(32)가 구성된다.
상기 부력체(32)는 수위변화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수단(32b)의 양 측면에 부력체 축(32a)이 부력체 결합부(31)의 장공홈(31a)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걸림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레임(10)의 보강대(13)에 통상의 볼트(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수단(30)의 부력체(32)에 형성되어 있는 부력체 축(32a)이 결합되거나 또는 해제되어 수문(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40)에는 고정수단(30)의 부력체(32)에 형성된 부력체 축(32a)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면(41)이 구성되고, 부력체 축(32a)이 안착되는 안착면(42)을 형성하며, 가이드면(41)과 안착면(42) 사이에는 부력체 축(32a)이 안착면(42)에 안착되었을 때에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형성된 걸림면(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문(20)은 암거(C) 내의 유수의 수위가 고정부(50)가 형성된 위치까지 도달할 정도의 수위로 상승하였을 때에 수문(20)의 하단 수문(D1)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 보다 암거(C) 내로 흐르는 유수의 수압에 의한 힘이 더 높을 수 있도록 수문(20)의 중량을 선택하여 형성함으로써, 암거(C) 내의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에 수압에 의해 수문(20)이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정부(50)는 수문(20)의 하단 수문(D1)에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100)은 통상의 암거(C)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암거(C) 출구측을 차단함으로써 암거(C) 내로 흐르는 오폐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암거(C) 내로 흐르는 오폐수가 오폐수 처리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때에, 본 발명에서의 수문(20)에 형성된 제1 힌지홀(12b)은 상단 수문(D2) 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구성되어, 하단 수문(D1) 측의 모우멘트가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도록 작용함으로써 수문(20)이 항상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오폐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수문(20)은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있는 빗면(13a)과 맞닿아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빗면(13a)이 경사진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 암거(C) 내로 흐르는 유수의 량이 많지 않을 경우에는 수문(20)의 자중에 의해 기립상태를 유지하여 암거(C) 출구측을 차단함으로써 오폐수가 하천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문(20)과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50)의 고정수단(30)에 형성된 부력체(32)의 부력체 축(32a)이 걸림부(40)의 안착면(42) 및 걸림면(43)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수문(20)의 거동을 방지함으로써 암거(C) 출구측을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50)의 고정수단(30)을 구성하고 있는 부력체(32)의 부력체 축(32a)은 자중에 의해 고정수단(30)의 부력체 결합부(31)의 장공홈(31a) 하측과 걸림부(40)의 안착면(42) 및 걸림면(43)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문(20)이 가동되지 않도록 잠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평상시에 암거(C) 내로 이동하는 유수가 고정부(50)의 위치까지 수위상승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수문(20)을 항상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우기나 태풍 등과 같이 비가 많이 내리게 되면 암거(C) 내로 흐르는 유수의 양도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증가하는 암거(C) 내의 유수는 초기에는 오폐수 처리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초기의 유수에는 각종 이물질 및 오폐수가 일부 포함되어 있어 하천으로 방출하게 되면 수질오염 등의 환경을 저해하게 되기 때문에 암거(C) 내의 유수가 일정 수위까지 도달하지 않을 때에는 오폐수 처리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암거(C) 내의 유수가 오폐수 처리장으로 이동하는 양보다 더 많이 유입되어 암거(C) 내의 수위가 고정부(50) 중 수문(2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수단(30)의 부력체(32)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도 5에서와 같이 고정수단(30)의 부력체(32)를 구성하는 부력수단(32b)이 수위 상승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게 되어 부유하게 된다.
그러면, 부력체(32)의 부력체 축(32a)은 고정수단(30)의 부력체 결합부(31)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홈(31a)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부력체(32)의 부력체 축(32a)은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부(40)의 안착면(42) 및 걸림면(43)을 벗어나게 되어 수문(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수문(20)이 힌지축(H)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50)에 의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암거(C) 내로 이동하는 유수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암거(C) 내로 이동하는 유수의 수압에 의해 수문(20)이 회전하게 되어 암거(C) 내의 유수가 하천으로 방출됨으로써 암거(C) 내의 유수 역류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우수의 양이 줄어들어 암거(C) 내로 흐르는 유수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수문(20)의 하단 수문(D1)에서 발생하는 모우멘트가 더 커지게 되면,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수문(20)하단부의 하단 수문(D1)의 모우멘트에 의해 프레임(10)의 보강대(13)에 형성된 빗면(13a)과 맞닿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수문(2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50)의 고정수단(30)에 형성되어 있는 부력체(32)의 부력체 축(32a)은 수문(20)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부력체 결합부(31)의 장공홈(31a)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력체(32)의 부력체 축(32a)이 부력체 결합부(31)의 장공홈(31a)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문(20)이 프레임(10)의 보강대(13)에 형성된 빗면(13a)과 맞닿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부력체(31)의 부력체 축(31a)이 부력체 결합부(31)의 장공홈(31a)의 상단부 및 걸림부(40)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면(4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30)의 부력체(31)는 자체 하중이 중력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이러한 하중은 수문(20)의 모우멘트 값보다 작기 때문에 부력체(31)의 부력체 축(31a)이 부력체 결합부(31)의 장공홈(31a)의 상단부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걸림부(40)의 가이드면(41)은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부력체 축(31a)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한 부력체 축(31a)은 걸림부(40)의 걸림면(43)을 통과한 후 안착면(42)에 안착되면서 고정부(50)의 고정수단(30) 및 걸림부(40)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어 수문(20)이 고정부(50)에 의해 잠김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문(20)은 암거(C) 내의 유수가 고정부(50)의 위치까지 수위가 상승하지 않는 이상 잠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C : 암거
10 : 프레임
11 : 제1 결합판 11a : 제1 결합홀
12 : 제2 결합판 12a : 제2 결합홀 12b : 제1 힌지홀
13 : 보강대 13a : 빗면
H : 힌지축
20 : 수문
D1 : 하단수문 D2 : 상단수문 21 : 제2 힌지홀
50 : 고정부
30 : 고정수단
31 : 부력체 결합부 31a : 장공홈
32 : 부력체 32a : 부력체 축 32b : 부력수단
40 : 걸림부
41 : 가이드면 42 : 안착면 43 : 걸림면
100 :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Claims (5)

  1. 내측이 비워져 있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암거(C);
    상기 암거(C)의 출구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제1 힌지홀(12b)을 형성하고 있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제1 힌지홀(12b)과 대응하는 제2 힌지홀(21)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2 힌지홀(21)을 중심으로 상, 하단 수문(D1, D2)으로 구성되는 수문(20);
    상기 프레임(10)과 수문(20)에 형성된 제1, 2 힌지홀(12b, 21)에 결합하여 프레임(10)과 수문(20)을 결합하는 힌지축(H);
    상기 수문(20)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수단(30)과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40)로 구성된 고정부(50);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은 암거(C)의 일측에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홀(12a)과 제1 힌지홀(12b)을 포함하는 제2 결합판(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판(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빗면(13a)을 포함하는 보강대(13)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20)은 제2 힌지홀(21)을 중심으로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 수문(D1)의 모우멘트가 상단에 형성된 상단 수문(D2)의 모우멘트 보다 더 높게 형성되도록 제2 힌지홀(21)의 위치가 상단 수문(D2) 방향으로 더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20)에 형성된 하단 수문(D1)의 모우멘트는 암거(C) 내의 유수의 수위가 고정부(50)가 형성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수압보다 더 작은 힘을 형성할 수 있는 중량으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50)는 수문(20)의 하단 수문(D1)에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의 고정수단(30)은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장공형태의 장공홈(31a)을 포함하고 있는 부력체 결합부(31)와 상기 부력체 결합부(31)에 결합되어 수위 변화시 부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부력수단(32b)과 부력체 축(32a)으로 구성되는 부력체(3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50)의 걸림부(40)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면(41)과 고정수단(30)의 부력체(32)에 형성된 부력체 축(32a)이 안착되는 안착면(42)과 상기 가이드면(41)과 안착면(42)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면(4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KR1020120082065A 2012-07-27 2012-07-27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KR101224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065A KR101224119B1 (ko) 2012-07-27 2012-07-27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065A KR101224119B1 (ko) 2012-07-27 2012-07-27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119B1 true KR101224119B1 (ko) 2013-01-21

Family

ID=4784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065A KR101224119B1 (ko) 2012-07-27 2012-07-27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1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950B1 (ko) * 2013-08-14 2015-09-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수관용 수문 및 이를 구비한 빗물 저류조
KR101555960B1 (ko) * 2013-08-14 2015-09-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수관용 수문 및 이를 구비한 빗물 저류조
KR20180114407A (ko) * 2017-04-10 2018-10-18 김명진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CN110397143A (zh) * 2019-07-31 2019-11-01 湖南奇思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箱涵自锁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2623U (ko) * 1984-12-12 1986-06-30
KR20090099186A (ko) * 2008-03-17 2009-09-22 우일산업 주식회사 경관형 수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2623U (ko) * 1984-12-12 1986-06-30
KR20090099186A (ko) * 2008-03-17 2009-09-22 우일산업 주식회사 경관형 수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950B1 (ko) * 2013-08-14 2015-09-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수관용 수문 및 이를 구비한 빗물 저류조
KR101555960B1 (ko) * 2013-08-14 2015-09-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취수관용 수문 및 이를 구비한 빗물 저류조
KR20180114407A (ko) * 2017-04-10 2018-10-18 김명진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KR101969212B1 (ko) * 2017-04-10 2019-04-15 김명진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CN110397143A (zh) * 2019-07-31 2019-11-01 湖南奇思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箱涵自锁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119B1 (ko)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CN108505614A (zh) 一种下水管道自动清洗装置
KR100943639B1 (ko) 수문 작동 간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삼각구조의 자동수문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JP6132141B2 (ja) 下水・雨水切換型貯留施設
KR100812539B1 (ko) 전단면 전폭의 배수장치를 설치하여 오염된 수질을정화시켜주면서 토사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친환경공법을 이용한 댐
KR100943530B1 (ko) 하천보용 슬리핑식 수문
KR20100010477U (ko) 수문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20120094877A (ko)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면서 가뭄시에 저장된 하천수가 모두 배출되어 버리는 중력의 작용을 차단 시켜주도록 구성되는 수질정화용 저층수 배출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KR100571724B1 (ko) 슬라이드형 수문
KR100798434B1 (ko) 무동력 개폐식 차집용 가동웨어
KR101969212B1 (ko)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KR101987145B1 (ko) 배수용 집수조
KR100753822B1 (ko)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KR100996921B1 (ko) 하수로의 수문개방 지연장치
CN215758867U (zh) 一种设有过水通道的闸门
EP1394328A1 (de) Rückstauventil für Abflussrohre
KR101068592B1 (ko)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
KR102035387B1 (ko) 경첩을 이용한 유량조절장치
KR20090057783A (ko) 보조수문을 구비한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