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822B1 -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 Google Patents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822B1
KR100753822B1 KR1020070012603A KR20070012603A KR100753822B1 KR 100753822 B1 KR100753822 B1 KR 100753822B1 KR 1020070012603 A KR1020070012603 A KR 1020070012603A KR 20070012603 A KR20070012603 A KR 20070012603A KR 100753822 B1 KR100753822 B1 KR 100753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sewage
collection
rainwater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영
Original Assignee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 내벽에 직각삼각형상의 이물질수거관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수거관의 상부에 하류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경사진 수거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수거경사면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부유이물질이 이동되는 이물질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수거관의 하류측 끝단에 상기 이물질이동홈을 통해 이동된 부유이물질이 낙하되어 적층되는 이물질수거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수거부의 상면에는 고정망이 설치되어 상방이 폐쇄되고, 이물질수거부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질수거부를 개폐하기 위한 청소판체가 회동축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청소판체의 하부에 투과망이 형성된 하수관로와; 상기 이물질이동홈의 양측 내벽에 축결합된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 중 하나의 롤러에 연결된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하천 상류측으로 구동되며,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반원형상의 수거날개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거날개에 걸려진 부유이물질을 이물질이송홈을 통해 상기 이물질수거부로 이동시키는 수거콘베이어벨트와; 상기 이물질이송홈의 하류측 끝단에 방지막고정체가 고정구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방지막고정체의 중심에 유동홈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홈의 좌우측단에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힌지축을 갖되, 상기 힌지축 사이에 상기 힌지축이 축삽입되는 힌지공을 갖는 차단막이 설치되어 선단이 상기 수거콘베이어벨트의 수거날개 선단부와 접촉되어 변형되었다가 원위치되면서 이물질수거부의 부유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이동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유입방지구와; 상기 이물질수거관의 수거경사면 상면에 양단이 각각 걸림고정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중심측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우수와 오수의 부유이물질만을 상기 좌우양측의 수거콘베이어벨트의 수거날개로 유도하는 다수개의 이물질유도봉을 구비하는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수 관로 내에서 흐르는 우수나 오수의 부유이물질을 양측단으로 유도하여 유도된 부유이물질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보관하다가 차후 일정기간에 보관된 부유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하수 관로의 청소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거한 부유이물질이 평상시 잔류하여 흐르는 하수의 배수 장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수관로, 수거콘베이어벨트, 이물질유입방지구, 이물질유도봉

Description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Structure of sewage line for confluence of rainwater and dirty water}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의 이물질유입방지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수관로 11,11a : 이물질수거관
12 : 이물질수거부 13 : 청소판체
13a : 투과망 13b : 회동축
14 : 고정망 15 : 이물질이송홈
16 : 수거경사면 20 : 수거콘베이어벨트
21 : 구동모터 22 : 롤러
23 : 수거날개 30 : 이물질유입방지구
31 : 차단막 32 : 힌지공
33 : 방지막고정체 34 : 힌지축
35 : 복원스프링 36 : 유동홈
37 : 고정구 40 : 이물질유도봉
본 발명은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관로 내에서 흐르는 우수나 오수의 부유이물질을 양측단으로 유도하여 유도된 부유이물질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보관하다가 차후 일정기간에 보관된 부유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하수 관로의 청소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거한 부유이물질이 평상시 잔류하여 흐르는 하수의 배수 장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라 함은 오수와 우수 및 공장폐수 등을 말하고, 하수도라 함은 오수와 우수를 배제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설치하는 도관(하수 관거) 및 기타의 공작물과 시설(관거, 부대 설비, 종말처리시설 및 이들을 보완하기 위한 펌프시설)의 총체를 말한다.
이런, 하수도는 오수와 우수가 유입되어 모이는 집배수시설과, 집배수시설에서 거쳐 유입되는 하수 처리시설과, 다시 이를 거쳐서 유입되는 방류,처분시설과, 이러한 시설들 간의 연결을 취해 오수와 우수를 유송하는 하수 관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수도는 지역의 특성, 방류 수역의 여건, 수질보전, 방류 하천 하류의 환경보호, 주민의 감정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분류식 또는 합류식으로 배제하여 정화 방류시키고 있다. 이중, 분류식이란 오수와 우수를 각각의 관거에 의해 배제하는 방식이고, 합류식이란 오수와 우수를 한 개의 하수 관거에 의해 배제하는 방식이다.
먼저, 분류식의 경우에는 우천시에 오수를 수역으로 방류하는 일이 없으므로 수질오염을 방지하는데 유리하여 공공수역에서 수질 오염을 방지하는데 하수도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최근에는 하수도를 계획할 때 배제 방식을 우수에 의한 침수 방지, 공공수역의 수질 오염방지를 목적으로 분류식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분류식이 기능상으로는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합류식에 비해 상당히 부담이 크고 시공상에 있어서도 어려운 점이 많아 도시의 여건상 분류식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공공의 수질보전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합류식이 이용되고 있다
참고로, 이런 합류식의 장점과 단점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첫째, 우수에 의한 오수 희석 비율이 크며 분류식보다 효율적이다. 둘째, 하나의 계통에 하수 관거를 부설하므로 공사비가 적게 들고 시공이 쉽다. 셋째, 우수를 신속히 배수하는데 있어 지형 조건에 알맞은 관로망 이다. 넷째, 관거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폐쇄될 염려가 없고, 검사,보수,청소,유지관리하기가 쉽다. 다섯째, 우수의 흐름에 의해 자연적으로 관내를 세척할 수 있다. 여섯째, 공공하수와 사설하수의 연결이 쉽다.
반면에, 단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첫째, 계획하수량 이상이 되면 월류현상이 발생한다. 둘째, 갈수기에는 오수의 유속이 느려 하수 내에 고형 물질이 하수관 내에 많이 퇴적되어 부패될 우려가 있다. 셋째, 강우시 비점원 오염물질을 하수처리장으로 유입시키므로 대책이 필요하다. 넷째, 우천시에 다량의 토사가 유입되어 침전지에 퇴적한다. 다섯째, 우수와 오수가 혼합된 하수를 미처리 상태로 직접 방류하므로 수역을 오염시킬 염려가 있다. 여섯째, 강우시 처리장의 부하를 가중시킨다. 일곱째, 갈수기에 침전된 하수 내의 고형물질이 강우시에 공공 수역으로 일시에 유출된다. 여덟째, 처리용량과 펌프의 용량이 일정치 않다. 아홉째, 처리시 수질변동이 크다.
이와 같이 단점이 많은 반면, 장점 역시 많은 합류식은 횡방향으로 단순 관통된 관거를 이용함에 따라 단점이 증대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관거의 내부에 메쉬 형태의 망을 설치하기만 하더라도 앞에서 표기한 세번째, 네번째, 다섯번째와 같은 단점은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지 못하였던 이유는, 관거의 관내에 일반적인 형태의 메쉬망을 설치하였다간 비점원 오염물질과 퇴적물 및 부유물(토사,돌,나무,몰타르 등) 등과 같은 이물질을 동반하며 많은 량의 오수와 우수가 유입될 경우, 관거 내부가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검사,보수,청소,유지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 등을 발생시켜 오히려 역효과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었다.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양내측면 상부에는 고정공이 적어도 한곳 이상에 형성되어 있는 하수 관거와; 상기 하수 관거의 고정공에 삽입 고정을 취할 수 있도록 일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일정 압력 이상의 하중이 전가될 경우에만 일측으로 회동을 취할 수 있도록 밴드 스프링과 연결 설치되어 있는 힌지 연결봉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절첩 케이스와; 상기 절첩 케이스의 힌지 연결봉에 양측 상부에 형성된 연결돌기를 통해 20도 가량의 기울기를 취하며 설치 고정되어 있되, 하부는 상향 굴곡되어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메쉬망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식 하수 관거 구조가 2002년 2월 25일에 실용신안등록 제20-0265416호로 등록공고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합류식 하수 관거는, 하수 관거의 내부 상측에 축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하수 관거에 적당향의 수위가 유지되는 우기에는 메쉬망에 퇴적물이나 부유물 등이 걸려져 작동상태가 원활하나, 갈수기와 같이, 하수 관거 내부에 흐르는 우수나 오수의 양이 점차로 줄어들어 하수 관거 내의 수위가 내려가면, 메쉬망에 걸려진 퇴적물이나 부유물 등은 하단의 일부만을 남기고 메쉬망에서 낙하되어 우수 및 오수와 함께 섞여서 다시 흐르게 됨에 따라 재역할을 담당하지 못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수나 오수의 양이 적게 흘러 수위가 낮은 지역이나 장소에서는 종래의 하수 관거가 쓸모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수 관로 내에서 흐르는 우수나 오수의 부유이물질을 양측단으로 유도하여 유도된 부유이물질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보관하다가 차후 일정기간에 보관된 부유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하수 관로의 청소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거한 부유이물질이 평상시 잔류하여 흐르는 하수의 배수 장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 내벽에 직각삼각형상의 이물질수거관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수거관의 상부에 하류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경사진 수거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수거경사면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부유이물질이 이동되는 이물질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수거관의 하류측 끝단에 상기 이물질이동홈을 통해 이동된 부유이물질이 낙하되어 적층되는 이물질수거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수거부의 상면에는 고정망이 설치되어 상방이 폐쇄되고, 이물질수거부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질수거부를 개폐하기 위한 청소판체가 회동축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청소판체의 하부에 투과망이 형성된 하수관로와;
상기 이물질이동홈의 양측 내벽에 축결합된 롤러들과 상기 롤러들 중 하나의 롤러에 연결된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하천 상류측으로 구동되며,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반원형상의 수거날개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거날개에 걸려진 부유이물질을 이물질이송홈을 통해 상기 이물질수거부로 이동시키는 수거콘베이어벨트와;
상기 이물질이송홈의 하류측 끝단에 방지막고정체가 고정구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방지막고정체의 중심에 유동홈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홈의 좌우측단에 복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힌지축을 갖되, 상기 힌지축 사이에 상기 힌지축이 축삽입되는 힌지공을 갖는 차단막이 설치되어 선단이 상기 수거콘베이어벨트의 수거날개 선단부와 접촉되어 변형되었다가 원위치되면서 이물질수거부의 부유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이동홈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유입방지구와;
상기 이물질수거관의 수거경사면 상면에 양단이 각각 걸림고정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중심측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우수와 오수의 부유이물질만을 상기 좌우양측의 수거콘베이어벨트의 수거날개로 유도하는 다수개의 이물질유도봉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의 이물질유입방지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 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는, 내부 좌우측에 이물질수거관(11,11a)을 갖는 하수관로(10)와, 이물질수거관(11,11a)의 개방된 상면인 수직경사면에(16) 장착되어 하수의 부유이물질을 이물질수거관(11,11a) 내부로 유입시키는 수거콘베이어벨트(20)와, 수거콘베이어벨트(20) 하류측 끝단에 설치되어 부유이물질의 이물질이송홈(15) 방출을 방지하는 이물질유입방지구(30)와, 우수와 오수의 부유이물질을 좌우측단의 이물질수거관(11,11a)으로 유도하는 이물질유도봉(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수관로(10)는 양측 내벽에 직각삼각형상의 이물질수거관(11,11a)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수거관(11,11a)의 상부에 하류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경사진 수거경사면(16)이 형성되며, 상기 수거경사면(16)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부유이물질이 이동되는 이물질이동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수거관(11,11a)의 하류측 끝단에 상기 이물질이동홈(16)을 통해 이동된 부유이물질이 낙하되어 적층되는 이물질수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수거부(12)의 상면에는 고정망(14)이 설치되어 상방이 폐쇄되고, 이물질수거부(12)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질수거부(12)를 개폐하기 위한 청소판체(13)가 회동축(13b)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청소판체(13)의 하부에 투과망(13a)이 형성된다.
상기 수거콘베이어벨트(20)는 상기 이물질이동홈(16)의 양측 내벽에 축결합된 롤러(22)들과 상기 롤러(22)들 중 하나의 롤러(22)에 연결된 구동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하천 상류측으로 구동되며,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반원형상의 수거날개(23)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거날개(23)에 걸려진 부유이물질을 이물질이송홈(15)을 통해 상기 이물질수거부(15)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1)는 방수되도록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하수관로(10)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으나, 하수관로(10) 외측면에 부착되어 밀폐되어 방수되는 구동축(도시않음)을 길게 연장시켜서 상기 롤러(22)를 구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물질유입방지구(30)는 상기 이물질이송홈(15)의 하류측 끝단에 방지막고정체(33)가 고정구(37)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방지막고정체(33)의 중심에 유동홈(36)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홈(36)의 좌우측단에 복원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힌지축(34)을 갖되, 상기 힌지축(34) 사이에 상기 힌지축(34)이 축삽입되는 힌지공(32)을 갖는 차단막(31)이 설치되어 선단이 상기 수거콘베이어벨트(20)의 수거날개(23) 선단부와 접촉되어 변형되었다가 원위치되면서 이물질수거부(12)의 부유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이동홈(16)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힌지축(34)과 힌지공(32)은 단면이 "D"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원회동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질유도봉(40)은 상기 이물질수거관(11,11a)의 수거경사면(16) 상면에 양단이 각각 걸림고정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중심측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우수와 오수의 부유이물질만을 상기 좌우양측의 수거콘베이어벨트(30)의 수거날개(23)로 유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수관로(10)를 따라 흐르는 우수와 오수에 포함된 부유이물질은 상기 이물질수거관(11,11a)의 수거경사면(16)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이물질유도봉(40)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유도봉(40)은 그 중심측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부유이물질은 상기 수거콘베이어벨트(30) 측으로 유도된다.
이렇게 유도된 부유이물질은 구동모터(21)에 의해 우수나 오수의 흐름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하는 수거콘베이어벨트(30)의 수거날개(23)로 걸려 이물질유도홈(15)으로 유도되어 이물질수거부(12)에 적층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수거콘베이어벨트(30)은 오수의 흐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며, 이때, 상기 수거콘베이어벨트(30)에 고정설치된 수거날개(23)에 부유이물질이 걸려 이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이물질수거부(12)로 이동된 부유이물질의 수분은 상기 청소판체(13)에 형성된 투과망(13a)을 통해 하수관로(10)의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상기 부유이물질은 상기 투과망(13a)에 걸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일정기간이 경과하여 상기 이물질수거부(12)에 부유이물질이 가득채워지면, 관리자는 상기 청소판체(13)를 회동축(13b)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이물질수거부(12)를 개방한 후, 이물질수거부(12) 내부의 부유이물질을 수거하면 된다.
이때, 이물질수거부(12)에 충전된 부유이물질은 이물질유입방지구(30)에 의해서 이물질이이송홈(15)측으로 부유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이물질유입방지구(30)의 차단막(31) 선단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수거콘베이어벨트(20)와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부유이물질과 함께 수거날개(23)가 차단막(31)과 접촉되면, 상기 차단막(31)은 힌지축(34)에 의해 방지막고정체(33)의 유동홈(36) 상에서 회동되었다가 수거날개(23)가 통과되면 차단막((31)은 힌지축(34)의 복원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원되어 이물질이송홈(15)으로 이물질수거부(12)의 부유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 관로 내에서 흐르는 우수나 오수의 부유이물질을 양측단으로 유도하여 유도된 부유이물질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보관하다가 차후 일정기간에 보관된 부유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하수 관로의 청소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거한 부유이물질이 평상시 잔류하여 흐르는 하수의 배수 장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양측 내벽에 직각삼각형상의 이물질수거관(11,11a)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수거관(11,11a)의 상부에 하류측으로 갈수록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경사진 수거경사면(16)이 형성되며, 상기 수거경사면(16)의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부유이물질이 이동되는 이물질이동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수거관(11,11a)의 하류측 끝단에 상기 이물질이동홈(16)을 통해 이동된 부유이물질이 낙하되어 적층되는 이물질수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수거부(12)의 상면에는 고정망(14)이 설치되어 상방이 폐쇄되고, 이물질수거부(12)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질수거부(12)를 개폐하기 위한 청소판체(13)가 회동축(13b)에 의해 힌지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청소판체(13)의 하부에 투과망(13a)이 형성된 하수관로(10)와;
    상기 이물질이동홈(16)의 양측 내벽에 축결합된 롤러(22)들과 상기 롤러(22)들 중 하나의 롤러(22)에 연결된 구동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하천 상류측으로 구동되며,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반원형상의 수거날개(23)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수거날개(23)에 걸려진 부유이물질을 이물질이송홈(15)을 통해 상기 이물질수거부(15)로 이동시키는 수거콘베이어벨트(20)와;
    상기 이물질이송홈(15)의 하류측 끝단에 방지막고정체(33)가 고정구(37)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방지막고정체(33)의 중심에 유동홈(36)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홈(36)의 좌우측단에 복원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힌지축(34)을 갖되, 상기 힌지축(34) 사이에 상기 힌지축(34)이 축삽입되는 힌지공(32)을 갖는 차단막(31)이 설치되어 선단이 상기 수거콘베이어벨트(20)의 수거날개(23) 선단부와 접촉되어 변형되었다가 원위치되면서 이물질수거부(12)의 부유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이동홈(16)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유입방지구(30);
    상기 이물질수거관(11,11a)의 수거경사면(16) 상면에 양단이 각각 걸림고정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되, 중심측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우수와 오수의 부유이물질만을 상기 좌우양측의 수거콘베이어벨트(30)의 수거날개(23)로 유도하는 다수개의 이물질유도봉(40)을 구비하는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KR1020070012603A 2007-02-07 2007-02-07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KR100753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603A KR100753822B1 (ko) 2007-02-07 2007-02-07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603A KR100753822B1 (ko) 2007-02-07 2007-02-07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822B1 true KR100753822B1 (ko) 2007-08-31

Family

ID=3861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603A KR100753822B1 (ko) 2007-02-07 2007-02-07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2702A (zh) * 2022-01-06 2022-04-15 黑龙江省林业科学院齐齐哈尔分院 一种节约水资源的林业育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65Y1 (ko) * 1999-07-09 2000-02-15 김장식 오폐수토석정화상하개방하수관로
KR100536063B1 (ko) * 2005-09-28 2005-12-12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관로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65Y1 (ko) * 1999-07-09 2000-02-15 김장식 오폐수토석정화상하개방하수관로
KR100536063B1 (ko) * 2005-09-28 2005-12-12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관로청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2702A (zh) * 2022-01-06 2022-04-15 黑龙江省林业科学院齐齐哈尔分院 一种节约水资源的林业育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923B1 (ko) 하수용 우수토실
CA2929096C (en) Closed flow sewer system
CN105863021B (zh) 一种分片截流调蓄排放系统
KR101441852B1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발생 되는 하천수와 빗물에 함유된 각종 쓰레기들과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처리하여 저장하거나 깨끗하게 정수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KR102055884B1 (ko) 배수 막힘 방지장치
KR100976348B1 (ko) 토사 침투 방지용 회전 갑문을 갖는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KR100753822B1 (ko)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KR101574480B1 (ko)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KR20110016363A (ko) 맨홀의 퇴적물용 청소장치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KR100632438B1 (ko) 우수토실
KR20070061500A (ko) 부유형 오물수거장치에 의한 하천정화공법
CN207776074U (zh) 适于城市合流管涵的溢流式防倒灌导流三通井
KR100625746B1 (ko)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KR101605196B1 (ko)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100913526B1 (ko) 침사 및 부유물 제거용 수처리 장치
CN206220223U (zh) 一种可除砂限流的截流式雨水口
KR200265416Y1 (ko) 합류식 하수 관거 구조
KR100499612B1 (ko) 스크린 수로를 이용한 고형물 분리와 여과수 확보방법 및장치
KR100690372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KR101408976B1 (ko) 배수관에서 퇴적토 제거장치
KR100536774B1 (ko) 합류식 하수 관거
KR200265515Y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