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884B1 - 배수 막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막힘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5884B1 KR102055884B1 KR1020180016383A KR20180016383A KR102055884B1 KR 102055884 B1 KR102055884 B1 KR 102055884B1 KR 1020180016383 A KR1020180016383 A KR 1020180016383A KR 20180016383 A KR20180016383 A KR 20180016383A KR 102055884 B1 KR102055884 B1 KR 1020558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age
- linear member
- water
- drain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7—Devices providing a flushing sur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66—Access opening for cleaning; Devices for avoiding cumulation of deb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 막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토목건축구조물에 설치된 배수시설이 오물이나 협잡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막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 막힘방지장치는 선형부재가 배수부 내에서 왕복 또는 회전 운동하여 배수부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되므로 배수부가 폐색되는 것이 방지되어 토목건축구조물의 배수가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막힘장치는 신축이음장치에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을 측방향으로 배출유도하는 물받이부재에 순환하거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받이부재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되므로 물받이부재가 폐색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 막힘방지장치는 선형부재가 배수부 내에서 왕복 또는 회전 운동하여 배수부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되므로 배수부가 폐색되는 것이 방지되어 토목건축구조물의 배수가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막힘장치는 신축이음장치에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을 측방향으로 배출유도하는 물받이부재에 순환하거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받이부재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되므로 물받이부재가 폐색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수 막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토목 또는 건축구조물에 설치된 배수시설이 오물이나 협잡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막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구조물에는 우수나 생활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토목 및 건축구조물의 배수시설은 집수구와, 집수구와 연결되는 배수관으로 이루어지며,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물은 배수관으로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배수되는 물 이외에 이물질이 집수구를 통해 배수관으로 함께 유입되어 배수관이 막히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특히, 건축구조물의 옥상에서부터 건축구조물의 하부로 연장된 우수시설이나, 교량 또는 고가도로와 같은 고가구조물의 배수시설은 외부환경에 개방되어 있어 이물질 유입이 용이하므로 막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특히, 고가구조물의 경우, 배수가 원활하지 않아 고가구조물의 상면에 물이 차게되면 보행자나, 차량 또는 교통수단에 불편을 주게 되며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토목건축구조물의 배수시설에는 우수을 포함한 물이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집수구와 배수관에 모인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오물수거구(청소구)가 적용되고 있다. 오물수거구는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오물을 분리 수거하여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그러나, 토목건축구조물의 배수시설은 거름망이나 등의 오물수거구를 구비하더라도 오물수거구를 통과하는 작은 부피의 이물질이 침전되어 폐색될 수 있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09378호에는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오물제거구조는 오물수납부에 수납된 오물을 제거할 경우에 개폐판이 하방으로 열리게 되므로 그대로 오물이 직하방으로 쏟아져 나와 작업이 위험하고 안전사고에 노출되게 된다. 또한, 집중 호우시에 오물수납부에 퇴적된 오물이 쓸려내려와 배수관을 막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오물수납부의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로서 오물 청소가 어렵고, 보수 작업시 교통 체증을 유발하며 유지관리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를 갖는다.
한편, 고가도로나 교량과 같은 고가구조물에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신축이음장치의 하부에는 고가구조물의 배수시설 중 하나로서 고가도로가 교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시트(이하 '물받이부재'라 함)가 설치된다. 신축이음장치의 물받이부재는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이 고가구조물 내로 흘러내리지 않고 고가구조물 측 방향으로 배출되게 유도한다. 그런데, 물받이부재에 이물질이 쌓여 고가구조물의 측 방향으로 물 배수 및 이물질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신축이음장치가 폐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목건축구조물의 배수시설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수시설 연장방향으로 이동 유도되어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수시설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막힘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 막힘방지장치는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으로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부 내로 상기 배수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부재와;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물과 함께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부 내에서 정지되지 않고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 내에서 위치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형부재 유동유도유닛은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배수부 내에서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수부의 타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후 복원 가능하게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선형부재의 일측을 유동 구속할 수 있도록 위치이동 또는 신축 가능한 선형부재고정부재를 구비한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와; 상기 배수부의 타단 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수부의 타측으로 연장된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부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의 타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하강 후 상기 배수부에 인접하게 복원되는 구동력발생부가 마련된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선형부재이동유도부는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부의 일단에 대해 돌출되는 상기 선형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선형부재의 연장방향을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도르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형부재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도르래의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어 물 또는 이물질이 배출된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상기 배수부의 타단에 인접한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선형부재를 당길 수 있는 중량을 가진 중량물체이거나 신축가능한 탄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선형부재이동유도부는 일측이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하부 또는 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배수부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부로부터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구동력발생부에 저장시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하강되게 회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바와,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하강시 상기 구동력발생부 내의 물 또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상기 회동바에 대해 회동하는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 선형부재이동유도부는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수부의 타단 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배수부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드럼지지프레임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배수부의 타단에 대해 돌출된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위치 이동되어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의 타단 하방으로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는 선형부재당김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배수 막힘방지장치는 토목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가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신축이음장치에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하방을 폐쇄하는 물받이부재 내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물받이부재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물질이동유도부재와; 상기 이물질이동유도부재가 상기 물받이부재 내에서 회전되거나 이동되게 상기 이물질이동유도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물질이동유도부재 구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이동유도부재 구동유닛은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으로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에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기 이물질이동유도부재를 유동시키는 상기 구동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의 배수 막힘방지장치는 선형부재가 배수부 내에서 왕복운동하거나 회전운동하여 배수부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되므로 배수부가 폐색되는 것이 방지되어 토목건축구조물의 배수가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막힘방지장치는 집수부수직연결부와 결합되는 T관에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외기유입공을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있어,집수부수직연결부 또는 T관에 부압 형성시에도 배수가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막힘장치는 신축이음장치에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을 측방향으로 배출유도하는 물받이부재에 순환하거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받이부재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되므로 물받이부재가 폐색되는 것이 방지되어 토목건축구조물의 배수가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 장치가 고가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 막힘방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제2선형부재 이동유도부에 대한 일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2선형부재 이동유도부의 회동바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배수부 내에 설치된 청소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청소부재가 장착된 배수부에 대한 일측 단면도이고,
도 7은 선형부재가 다른 형태의 제1 및 제2엘보우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방지장치의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의 선형부재당김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및 제5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에 대한 일부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에 대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배수막힘방지장치의 고가구조물의 폭 방향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의 고가구조물의 폭방향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배수막힘방지장치에 대한 일부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수 막힘방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제2선형부재 이동유도부에 대한 일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2선형부재 이동유도부의 회동바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배수부 내에 설치된 청소부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청소부재가 장착된 배수부에 대한 일측 단면도이고,
도 7은 선형부재가 다른 형태의 제1 및 제2엘보우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방지장치의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의 선형부재당김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및 제5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에 대한 일부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에 대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배수막힘방지장치의 고가구조물의 폭 방향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의 고가구조물의 폭방향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배수막힘방지장치에 대한 일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30)는 고가구조물을 포함하는 토목건축구조물의 옥상이나 상면으로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을 토목건축구조물의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시설인 배수부(11)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30)는 교량, 고가도로와 같은 고가구조물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고가구조물(1) 외의 토목 및 건축구조물의 우수배수시설(미도시)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30)를 설명하기에 앞서, 고가구조물(1)에 설치되는 배수시설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교량 또는 고가도로와 같은 고가 구조물(1)의 배수시설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매립 설치되어 고가구조물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고가구조물의 하부로 배출하기 위해 고가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집수부(10)와; 집수부(10)에 각각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집수부수직연결부(12)와, 다수의 집수부수직연결부(12)의 각 하단과 연결되게 고가구조물(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연장배수부(14)와, 수평연장배수부(14)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배수부(19)을 구비하는 배수부(11);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2를 참고하면, 수평연장배수부(14)는 제1엘보우관(15)과, 다수의 T관(16)과, 직선으로 연장된 다수의 직선관(17)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물이나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엘보우관(15)은 다수의 집수부수직연결부(12) 중, 일측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집수부수직연결부(12)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인접하는 집수부수직연결부의 이격 방향의 측방과 상방이 개방된다.
다수의 T관(16)은 제1엘보우관(15)과 결합된 집수부수직연결부(12)에 대해 타측으로 이격된 다수의 집수부수직연결부(12)들의 하단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방과, 양측방으로 개방된다.
직선관(17)은 제1엘보우관(15)과 인접하는 T 관(16)을 연결하거나, 상호 인접하는 T 관(16) 들을 연결하거나, 다수의 집수구수직연결부(12)들 중 타측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집수구수직연결부(12)의 하단에 결합된 T관(16)과 후술되는 수직연장배수부(19)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2엘보우관(18)을 연결한다.
수직연장배수부(1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길이방향이 상하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직선관(17)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고가구조물(1)을 포함하는 토목건축구조물의 연장 길이에 따라 토목건축구보물의 배수시설은 하나의 집수부(10)에 상하로 연장된 수직연장배수부(19) 또는 집수부연결부(12)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배수부(11)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연장배수부(14)과 수직연장배수관(15)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엘보우(15)와 제2엘보우(1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관(17)과 결합되는 반대측이 돌출연장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굴절된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수평연장배수부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 및 제2엘보우관이나 T관 없이, 상방이 개방되고 길이방향 양측이 개방된 트레이 형태의 직선관(미도시)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제,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배수시설을 갖는 고가구조물을 포함하는 토목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3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30)는 배수부(11) 내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배수부(11)로 연장된 선형부재(31)가 유동될 수 있는 구동력이 발생되어, 집수부(10)를 통해 배수부(11)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유도되어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게 유도하여 배수 과정 중에 배수부 내부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30)는 배수부 내로 연장된 선형부재(31)와, 고가구조물(1)의 상부측와 하부측에 각각 위치되어 선형부재(31)가 배수부(11) 연장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50)과, 배수부(11) 내에서 선형부재(31)의 연장방향을 배수부 연장방향을 따라 전환되게 하는 제1 및 제2롤러(36,39)와, 선형부재(31)에 장착되어 선형부재(31)과 함께 이동되면서 배수부 내주면을 청소하는 청소부재(40)를 구비한다.
선형부재(31)는 배수부(11)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부(11) 내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집수부수직연결부(12)들 중, 제1엘보우관(15)에 결합되는 집수부수직연결부(1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엘보우관(15) 내주면에 설치된 제1롤러(36)에 의해 연장 방향이 전환되어 수평연장배수부(14)의 내로 수평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2엘보우관(18) 내주면에 설치된 제2롤러(39)에 의해 연장방향이 전환되어 수직연장배수부(19)의 타단으로 연장된다.
선형부재(31)는 소재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된 와이어(wire)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부재 유동유도유닛(50)은 배수부(11)로 유입되는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선형부재(31)를 배수부(11) 내에서 배수부(11) 연장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물과 함께 배수부(11)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배수부(11) 내에서 정지되지 않고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선형부재 유동유도유닛(50)은 선형부재(31)를 상방 또는 배수부(11)의 일측방향으로 당기는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60)와, 선형부재(31)를 하방 또는 배수부(11)의 타측 방향으로 당기는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를 구비한다.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60)는 수평연장배수부(14)의 일단에 대응되는 집수부에 인접하게 고가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부(11) 내로 연장된 선형부재(31)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배수부(11)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고가구조물의 상부에서 선형부재(31) 일단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60)는 후술되는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가 선형부재(31)를 하방 또는 배수부(11)의 타측 방향으로 당길 때, 선형부재(31)가 배수부(11)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의 당김 해제시 위치 복원되게 선형부재(31)를 유동가능하게 구속한다.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60)는 고가구조물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지지프레임(61)과, 제1지지프레임(61)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집수부(10)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선형부재를 지지하여 선형부재의 연장방향을 측방향으로 전환하는 제1 고정도르래(62)와, 제1고정도르래(62)를 통해 측 방향으로 연장방향이 전환된 선형부재(31)가 상방으로 연장되게 하는 제2 고정도르래(63)와, 제1지지프레임(6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선형부재(31)의 방향을 측방향으로 전환하는 제3고정도르래(64)와, 제3고정도르래에 의해 측방향으로 연장방향이 전환된 선형부재(31)를 제1지지프레임의 하부로 연장되게 하는 제4고정도르래(65)와, 제4고정도르래(65)에 의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선형부재(31)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제4고정도르래(65)의 하방에 위치되는 선형부재고정부재(73)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1선형이동유도부(60)는 제1 및 제2고정도르래(62,63)없이, 제3고정도르래(64)와 제4고정도르래(65)만으로 선형부재(31)를 방향 전환시킬 수 도 있을 것이다.
선형부재고정부재(73)는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에 의해 선형부재(31)가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11)의 타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후 위치 복원 가능하게 선형부재를 당기는 역할을 한다.
선형부재고정부재(73)는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에 의해 선형부재(31)가 배수부(11)의 타단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4고정도르래(65)에 인접하게 상승되며,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의 선형부재(31)를 당김 힘 해제 시,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선형부재(31)를 집수부(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당기는 중량물체이다.
하지만, 도시된 것과 다르게 고가구조물의 상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제4고정도르래(65)와 연결되어, 압축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가 적용된 선형부재고정부재(73)는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에 의해 선형부재(31)가 배수부(11)의 타단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4고정도르래(65)에 인접하게 신장되며,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의 선형부재(31)를 당김 힘 해제 시, 원래 길이로 복원되면서 선형부재(31)를 집수부(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당긴다.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는 배수부(13)의 타단 하방에 위치되어 배수부(13)의 타측, 즉 수직연장배수부(19)의 하단으로 연장된 선형부재(31)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는 고가구조물의 하부에 위치되는데,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면이나, 고가구조물의 기초 또는 교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는 수직연장배수부(19)의 타단에 하방으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의 하중에 의해 일측이 하강 되면서 선형부재(31)를 하방 또는 배수부(11)의 타측 방향으로 당긴다.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80)는 구동력발생부(81)와, 회동부(91)와,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87)와, 스토퍼(100)를 구비한다.
구동력발생부(81)는 수직연장배수부(19)의 타단으로 연장된 선형부재(31)와 연결되어 배수부(11)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하강되면서 선형부재(31)를 배수부(11)의 타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하강 후 선형부재(31)와 연결된 선형부재고정부재(73)에 의해 배수부(11)에 인접하게 복원되는 것이다.
구동력발생부(81)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수직연장배수부(19)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내부공간(83)이 형성된 바스켓 형태의 본체부(82)와, 본체부(82)에 설치되어 본체부(82)가 후술되는 회동부(91)에 대해 회전되게 회동부(91)의 일단과 결합되는 힌지결합부(86)와, 본체부(82)의 마주하는 내주면을 연결하며 선형부재(31)가 결속되는 선형부재 결속부(85)가 구비된다.
하지만, 구동력발생부(81)는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본체부(82) 일측에 와이어 결속을 위한 고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체부(82)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면 원통 형상 또는 다각기둥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힌지결합부(86)는 본체부(82)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환봉 형상으로서 양측이 후술되는 회동부(91)와 결합된다.
회동부(91)는 도 3을 참고하면, 구동력발생부(81)의 본체부(82)를 관통하여 본체부(82)의 양측면에 돌출되는 힌지결합부(86)에 일측이 각각 결합되고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며 타측이 고가구조물(1)의 하부 또는 지면에 설치된 프레임(미도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회동바(92,93)와, 본체부(82)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회동바(92,93)를 연결하며 제1 및 제2회동바(92,9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다수의 보강바(94)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회동바(92,93)는 일측 하강 시, 본체부(82)에 저장된 물 또는 이물질 배출을 위해 본체부(82)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본체부(82) 또는 후술되는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87)와 간섭될 수 있도록 각 일측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91)는 구동력발생부(81)에 저장되는 물 또는 이물질의 하중에 의해 구동력발생부(81)가 설치된 일측이 하강되는데, 구동력발생부(81)가 회동부(91)의 일측과 함께 하강되면서 선형부재(31)가 수직연장배수부(19)의 타단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그리고, 구동력발생부(81)가 하강시 회전되면서 구동력발생부(81)의 내부공간(83)에 저장되었던 물 또는 이물질이 배출되면, 구동력발생부(81)가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60)에 의해 선형부재(31)가 상방 또는 배수부(19)의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회동부(91)의 일측은 다시 상승된다.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87)는 본체부(82)의 하면에 회동부(91)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부(82)의 일면에 대해 돌출되는 부분이다.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87)는 구동력발생부(81)가 하강시, 구동력발생부(81) 내의 물 또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력발생부(81)가 회동부(91)에 대해 회전되게 회동부 또는 지면이나 토목건축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된 돌출부(미도시)에 간섭되는 부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87)는 회동부 일측 하강시, 회동부의 보강바(94)와 간섭된다.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87)는 본체부(82)의 저면에 나란하게 본체부(82)의 일 측면에 돌출되게 연장되는데, 회동부(91)에 인접한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는 보강바(94)가 될 수도 있다. 구동력발생부(81) 하강 시 본체부(82)의 상부가 보강바(94)에 간섭될 수 있도록, 본체부(82)의 상부의 전후방향 폭을 늘리거나 보강바(94)를 본체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게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된 지면이나 토목건축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는 돌출부(미도시) 적용 시에는, 돌출부는 회동부 회동시 제1 및 제2회동바 사이로 진입되고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에 접촉될 수 있게 설치되어야한다.
스토퍼(100)는 제2선형부재 이동유도부(80)에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회동되는 회동부(91)를 탄성지지하여 하강된 상태의 회동부(91)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선형부재(31)가 배수부 내에서 원활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스토퍼(100)는 하강되는 제1 회동바(92) 또는 제2회동바(93)에 간섭될수 있도록 고가구조물(1)의 하부 또는 지면에 설치된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된다.
스토퍼(100)는 회동부 지지부재(101)와, 적어도 하나의 탄성지지부재(110)와, 제2지지프레임(120)을 구비한다.
회동부 지지부재(110)는 고가구조물의 하부 또는 지면에 설치된 프레임(미도시)의 일면에 고정설치되는 판 상의 고정부(102)와, 고정부(102)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반경 내에서 제1회동바(92) 또는 제2회동바(93)와 간섭되는 판 상의 회동지지부(103)를 구비한다.
회동지지부(103)는 내측에 관통되되 고정부(102)와 힌지 결합되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04)이 형성된다.
제2지지프레임(120)은 회동부 지지부재(110)의 상방에 위치되게 고가구조물의 하부 또는 지면에 설치된 프레임(미도시)의 일면에 고정설치되며, 고가구조물의 하부 또는 지면에 설치된 프레임(미도시)의 일면에 돌출형성되어 탄성지지부재(110)의 상단을 지지한다.
탄성지지부재(110)는 일측이 제2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타측이 회동지지부(103)의 장공(104)을 관통하며 회동지지부(103)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타단부가 장공(104)보다 큰 면적을 가져 회동지지부(103)를 지지한다.
탄성지지부재(110)는 도 4를 참고하면, 일측이 제2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며 하방으로 연장된 코일스프링부(111)와, 코일스프링부(11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장공(104)을 관통하는 환봉 형상의 장공관통부(112)와, 회동지지부(103)에 돌출되는 장공관통부(112)의 단부에 결합되어 회동지지부를 지지하는 헤드부(113)를 구비한다. 헤드부(113)는 장공관통부(112)에 나사결합가능한 너트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장공관통부(112)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장공(104)이 회동지지부(103)의 회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회동지지부(103)에 다수 개 형성되고, 탄성지지부재(110)도 다수의 장공에 각각 관통되어 회동지지부의 회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 설치된다. 탄성지지부재(110)의 코일스프링부(111)의 탄성계수나, 회동부의 하중에 따라 탄성지지부재의 설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한정되지 않는다.
청소부재(40)는 배수부(11) 내로 연장된 선형부재(31)에 설치되어 선형부재(31)의 이동방향에 대응되게 이동되면서 배수부(11)의 내측면에 부착되거나 침전되는 이물질을 이동시킨다.
청소부재(40)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배수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이동방향가이드바(41)와, 이동방향가이드바(41)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며 배수부(1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게 설치되는 이물질밀판(44)과, 선형부재구속부재(49)를 구비한다.
이동방향가이드바(41)는 선형부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에 길이방향에 교차되게 절곡되어 선형부재(31)가 관통되는 선형부재관통부(42)가 형성된다.
이물질밀판(44)과 힌지결합되는 이동방향가이드바(41)의 타단은 이물질밀판(45)이 선형부재(31)가 배수부의 일측으로 이동시 선형부재(31)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되고, 선형부재(31)가 배수부(11)의 타측으로 이동시 이동방향가이드바(41)에 직교하거나 선형부재(31)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타측 단면과 측면이 호형곡률을 갖는 곡면(미도시)을 형성하며 연결되어 있다.
이물질밀판(44)은 힌지결합판(45)과, 메인청소판(47)을 구비한다.
힌지결합판(45)은 이동방향가이드바(41)의 타단과 힌지 결합되며 이동방향가이드바(41)의 선형부재관통부(42)에 대응되는 가장자리 측에 관통공(46)이 형성된다.
메인청소판(47)은 힌지결합판(45)이 중심 측에서 결합되게 힌지결합판(45)보다 큰 직경을 가져 배수부(11)의 내측면에 접하며, 이동방향가이드바(41)의 선형부재관통부(42)에 대응되는 가장자리측에서 관통공(46)까지 인입되어 선형부재(31)가 관통연장되는 선형부재관통홈(48)이 형성된다.
힌지결합판(45)과 메인청소판(47)은 상호 결합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형성되어 연통되는 제1연통공(45a)과 제2연통공(47b)이 형성된다. 제1연통공(45a)과 제2연통공(47b)은 이물질밀판(44)이 이동되면서 회동시 물 또는 이물질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거나, 이물질이 직선관(17) 또는 T관(16)의 내주면에 대해 부상되게 이물질을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선형부재구속부재(49)는 소정길이 연장된 선 형상으로, 힌지결합판(45)의 관통공(46)을 관통하여 양측이 선형부재(31)와 결속되거나 결합된다. 선형부재구속부재(49)는 구부러짐 가능하게 형성되어 선형부재(31)에 매듭되거나, 클램프(C) 또는 용접에 의해 결속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청소부재(40)는 선형부재 이동유도유닛(50)에 의해 선형부재(31)가 왕복운동시 이물질밀판(44)이 회동되면서 배수부(11)의 내주면을 긁어 배수부(11)의 내주면에 부착되거나 침전된 이물질을 이동시켜 배수부(11)의 내주면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부(11)의 내주면은 수평연장배수부(14) 또는 수직연장배수부(19)의 내주면을 말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청소부재(40)는 선형부재구속부재(49)를 하나 더 구비하여, 선형부재관통부(42)를 관통하는 선형부재구속부재(48)에 의해 선형부재(31)를 구속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방지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력발생부(81)의 내부공간(83)이 빈 상태이면,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60)의 선형부재고정부재(73)의해 선형부재(31)가 상방 또는 배수부(11)의 일측 방향으로 당겨져 구동력발생부(81)가 수직연장배수부(19)의 타단에 인접하게 회동부(91)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가 유지된다.
고가구조물(1)의 상면의 빗물을 포함하는 물이 집수구(10)를 통해 배수부(11)로 유입되어 구동력발생부(81)의 내부공간(83)으로 저장되면, 구동력발생부(81)의 늘어난 하중에 의해 회동부(91)가 하방으로 회동되며, 구동력발생부(81)가 하강된다.
구동력발생부(81)가 하강되면,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85)가 회동부(91)의 보강바(94)에 간섭되어 하강이 제한되면서 본체부(82)가 회동부(91)에 대해 회동되어 본체부(82)의 내부공간(83)에 저장된 물 또는 이물질이 배출된다.
구동력발생부(81)의 본체부(82)의 내부공간(83)에 빗물이나 이물질이 배출되어, 구동력발생부(81)가 상승된 상태의 하중으로 감소되면 상승 됐었던 중량물체(73)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선형부재(31)를 상방 또는 배수부(11)의 일측 방향으로 당겨 구동력발생부(81)가 수직연장배수부(19)의 하단에 인접하게 회동뷰(91)가 회동되어 일측이 상승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는 선형부재(31)가 배수부(11) 내에서 왕복 운동하여 배수부(11)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되므로 배수부(11)가 폐색되는 것이 방지되어 배수가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는 선형부재(31)가 왕복운동시 청소부재가 선형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배수부의 내주면에 부착되거나 침전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배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는 선형부재(31)가 별도의 전원 및 구동부 없이 왕복운동이 가능하므로 관리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의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다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제1롤러(36)가 제1엘보우관(15) 외측에 장착되게 제1엘보우관(31)에 결합되어 제1롤러(36)를 지지하는 브라켓(130)을 더 구비하고, 집수부수직연결부(12)에서 제1엘보우관(15)으로 연장된 선형부재(31)가 연장방향인 제1엘보우관(31) 외측으로 관통되고 제1롤러(36)에 의해 측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제1엘보우관(31) 내부로 관통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브라켓(130)은 도 7을 참고하면, 일정 폭을 갖는 삼각형상 기둥으로서, 상호 직각 또는 직각보다 큰 각을 이루는 제1면(132)과 제2면(133)을 대각방향으로 연결하는 측에서 제1면(132)과 제2면(133)이 상호 만나는 방향으로 인입되어 제1엘보우관(15)의 굴절된 부분이 일부 수용되고 제1롤러(3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장착홈(131)이 형성된다. 브라켓(130)은 제1엘보우관(15)에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엘보우관(15)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면이 제1엘보우관(15)의 외주면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부재(31)는 제1엘보우관(15)을 관통하여 롤러장착홈(131)으로 연장되어 제1롤러(36)에 의해 수평연장배수부(14)의 타측 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제1엘보우관(15) 내로 관통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기 설치된 배수부(11)에 선형부재(31)와 에 제1롤러(36)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적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제2엘보우관(18)에 제2롤러(39)가 설치된 브라켓(130)을 장착하여 제2엘보우관(18) 외측에서 선형부재(31)가 외측에서 방향 전환되게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방지장치는 제2 선형부재이동유도부(18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방지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180)는 회전드럼(181)과, 회전드럼 지지프레임(190)과, 선형부재당김유닛(200)를 구비한다.
회전드럼(181)은 수직연장배수부(19)의 타단의 하방에 회전궤적이 지면에 대해 수직되도록 설치된다. 회전드럼(181)은 회전 시 수직연장배수부(19)의 타단과 마주하는 외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수부(11)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구동력발생부(281)가 연속적으로 다수 개 구비된다.
구동력발생부(281)는 배수부(11)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하강되면서 선형부재(31)를 배수부(11)의 타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회전드럼의 회전궤적을 따라 이동되면서 배수부(11)에 인접하게 복원되는 것으로, 회전축(185) 방향으로 인입된 내부공간(283)이 형성된다.
회전드럼(181)은 수직연장배수부(19)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이 구동력발생부(281)의 내부공간(283)으로 저장되면서 회전된다.
회전드럼 지지프레임(190)는 고가구조물의 하부 벽 또는 지면에 설치되어 회전드럼(180)의 회전축(18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드럼의 회전축(185)은 일측에 후술되는 선형부재 당김유닛이 장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도록 회전드럼 지지프레임(190)에 돌출된 길이가 일측이 타측보다 길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선형부재당김유닛(200)은 회전드럼(181)의 회전축(185)과 연결되고 배수부(11)의 타단에 대해 돌출된 선형부재(31)와 연결되어, 회전드럼(181)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위치 이동되어 선형부재(31)를 수직연장배수부(19) 타단 하방으로 당기거나 당김 해제한다.
선형부재당김유닛(200)은 회전축(185)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회전가압돌기(210)와, 일측에 회전축(185)이 관통되어 회전축(185)에 대해 회전가능하나 타측에 선형부재(31)와 연결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크랭크(220)와, 크랭크와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가압돌기(210)에 간섭되는 걸림돌기(215)와,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회전가압돌기(210)에 간섭되는 걸림돌기(223)에 의해 회전드럼(181)에 멀어지게 이동되는 크랭크(220)를 이동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크랭크 탄성지지부재(230)를 구비한다.
회전가압돌기(210)는 회전축(185)의 일측의 외주면에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크랭크에 마주하는 일면이 회전드럼에 마주하는 타면에 인접하도록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회전가압돌기(210)는 회전드럼(181)이 회전 전, 즉,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60)에 의해 선형부재(31)가 상방 또는 배수부(11)의 일측으로 당겨지는 상태일 때,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크랭크(220)는 회전축(18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회전축(185)이 관통되는 회전축관통부(221)과, 회전축관통부(221)와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축관통부(221)에서 회전축(185)에 멀어지는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암부(223)와, 회동암부(223)의 단부에서 회전축(18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회동암부(223)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선형부재(31)와 연결되는 선형부재결속부(224)를 구비한다.
회전축관통부(221)는 내측에 회전축(185)이 관통 가능한 중공(222)이 형성되고, 회전드럼(181)에 마주하는 일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215)가 형성된다. 걸림돌기(215)는 회전드럼(181)의 회전방향으로 갈수록 회전축관통부(221)의 일면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길게 연장형성된다.
탄성지지부재(230)는 코일스프링으로서, 크랭크(220)의 중공(222)을 관통하여 크랭크(220)에 대해 돌출되는 회전축(185)이 내측으로 관통되어, 일측이 크랭크의 타면을 지지하고 타측이 회전축(185)의 단부에 지지된다.
회전축(185)의 일단부는 탄성지지부재(2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외격이 확장된 외경확장부(187)가 형성된다.
또한, 제2와이어이동유도부(180)는 수익연장배수부(19)의 하단으로 연장된 선형부재(31)가 크랭크(2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선형부재(31)의 연장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는 제5고정도르래(191)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선형부재(31)를 크랭크(220)가 위치된 수직하방으로 방향 전환시키도록 크랭크(220)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6고정도르래(192)와, 고가구조물의 하부에 장착되거나 지면에 설치된 별도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제5고정도르래(191)와 제6고정도르래(192)를 고정하는 제3지지프레임(195)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배수부(11)를 통해 물 또는 이물질이 배출되기 전에는 선형부재(31)가 상방 또는 배수부(11)의 일측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며, 회전가압돌기(210)는 상방을 향한다.
회전드럼(18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동력발생부(281) 중, 수직연장배수부(19)의 타단에 대응되는 하방에 위치되는 원주방향으로 연속된 다수의 구동력발생부(281)에 수직연장배수부(19)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이 배출되면서 회전드럼(181)이 회전된다.
회전드럼(181)이 회전되면서, 회전축(185)에 형성된 회전가압돌기(210)가 원주방향으로 이동된다.
회전가압돌기(210)가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돌기(215)를 원주 방향으로 밀게 되는데, 회전가압돌기(210)의 일면과, 회전가압돌기(210)의 일면에 접하는 걸림돌기(223)의 경사면이 회전축(185)의 원주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185) 회전방향으로 크랭크(220)가 회전되면서 후퇴된다.
크랭크(220)가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회전되면서 선형부재(31)가 수직연장배수부(19)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크랭크(220)가 회전시 후퇴되는데, 걸림돌기(230)가 회전가압돌기(210)의 회동반경에 벗어나면, 회전가압돌기(210)의 회전력이 해제되므로 제1선형부재이동유도유닛(60)에 의해 선형부재(31)가 상방 또는 배수부(11)의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선형부재결속부(224)가 당겨지면서 크랭크는 회전이동 전 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후퇴된 크랭크(220)는 크랭크 탄성지지부재(230)에 의해 걸림돌기(23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가압돌기(210)에 간섭되게 회전드럼(181) 방향으로 전진된다.
물이 배수부(11)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되면 회전드럼(181)이 연속 회전되면서, 크랭크(220)가 원주방향으로 소정길이 이동되었다 복원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배수부(11) 내의 선형부재(31)가 지속적으로 배수부(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된다.
회전드럼(181)은 지면에 인접한 하단측에 회전드럼(181) 회전 후, 회전가압돌기(210)가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 복원되게 중량물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수 막힘방지장치는 선형부재(31)가 배수부(11) 내에서 왕복 운동하여 배수부(11)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되므로 배수부(11)가 폐색되는 것이 방지되어 고가구조물을 포함하는 토목건축구조물의 배수가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막힘방지장치는 선형부재(31)를 따라 이동되는 청소부재(40)에 의해 배수부(11)의 내주면에 이물질 부착 또는 침전이 방지되므로 배수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배수부의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장치의 구조에 체크밸브(330)를 더 구비하고, 배수부(11)의 T관(316)의 구조를 달리한다.
T관(316)은 집수부수직연결부(12)와 결합되는 굴곡연장부(317)와, 직선관(17)과 결합되는 직선연장부(319)를 구비한다.
굴곡연장부(317)는 집수부수직연결부(12)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되 수평연장배수부(14)를 따라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구부러게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부로 관통형성된 외기유입공(318)이 형성된다.
직선연장부(319)는 직선관(1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굴곡연장부(316)와 연결되며 고가구조물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직선관(17)이 각각 결합된다.
체크밸브(330)는 굴곡연장부(317)의 외기유입공(318)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굴곡연장부(317)의 내주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굴곡연장부(317)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연장부(317)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 판 상으로 형성된다.
체크밸브(330)는 수평연장배수부(14)를 따라 흐르는 물의 흐름에 의해 굴곡연장부(317)에 부압 형성시 굴곡연장부(317) 내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기유입공(318)이 개방되게 회동되어 집수부(10)와 집수부수직연결부(12)의 배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체크밸브(330)는 수평연장배수부(14)에 물이 흐르지 않아 굴곡연장부(317)에 부압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외기유입공(318)이 폐쇄되게 회동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집수부수직연결부(12)와 결합되는 T관(316)에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외기유입공(318)을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있어, 집수부수직연결부(12) 또는 T관(316)에 부압 형성시에도 배수가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T관(316)이 수평연장배수부(14)의 배수방향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어 배수 및 외기 유입이 더욱 원할 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수부(11)의 T관(316)의 구조를 달리하며, 선형부재(31)와 선형부재위치이동유닛(50) 없이 체크밸브(330)만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와, 배수부의 T관(316)의 구조를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T관(316)은 집수부수직연결부(12)와 결합되는 굴곡연장부(317)와, 직선관(12)과 결합되는 직선연장부(319)를 구비한다.
굴곡연장부(317)는 집수부수직연결부(12)의 하단부와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되 수평연장배수부(14)를 따라 물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부로 관통형성된 외기유입공(318)이 형성된다.
직선연장부(319)는 직선관(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굴곡연장부(317)와 연결되며 고가구조물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직선관(17)이 각각 결합된다.
체크밸브(330)는 굴곡연장부(317)의 외기유입공(318)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굴곡연장부(317)의 내주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체크밸브(330)는 수평연장배수부(14)를 따라 흐르는 물의 흐름에 의해 굴곡연장부(317)에 부압 형성시 굴곡연장부(317) 내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기유입공(318)이 개방되게 회동되어 집수부(10)와 집수부수직연결부(12)의 배수를 원할하게 한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배수부(11)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부재(431)와, 선형부재(431)를 배수부(11) 연장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순환회전시켜 물과 함께 배수부(11)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배수부(11) 내에서 정지되지 않고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450)을 구비한다.
선형부재(431)는 폐 궤도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450)에 의해 배수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부(11)의 내외측 방향으로 순환된다.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450)은 회전드럼(181)과, 회전드럼지지프레임(190)과, 종동회전부재(456)와, 구동회전부재(458)를 구비한다.
회전드럼(181)은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11)의 타단 측에 인접하며 배수부(11)에서 배출되는 물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토목건축구조물의 하부 또는 지면에 설치되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궤적이 지면에 대해 수직되며 배수부(11)의 수평연장배수부(19)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드럼지지프레임(19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회전부재(458)는 회전드럼(181)의 회전축(185)과 결합되어 회전드럼(181)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정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중심측으로 회전축(185)이 관통장착되고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선형부재(431)가 안착되는 제1선형부재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선형부재안착홈은 저면에 선형부재(431)와 마찰력을 높여 선형부재(431)의 회전력을 높일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동회전부재(456)는 물이 유입되는 배수부(11)의 일단에 인접하게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구동회전부재(458)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을 달리할 수도 있다. 종동회전부재(456)는 선형부재(431)와 연결되어 구동회전부재(458)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부재(431)가 배수부(11)의 외측에서 배수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도록 선형부재(431)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롤러(461,463)가 장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부의 수평연장배부수(14)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부재(431)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수평연장부배수부(14) 또는 토목건축구조물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선형부재(431)를 지지하는 쳐짐방지롤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배수부(11)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의 하중에 의해 회전드럼(181)이 회전되면서 구동회전부재(458)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선형부재(431)와 종동회전부재(456)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선형부재(431)가 배수부(11) 길이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무한궤도 운동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배수부(11) 내에서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선형부재(431)에 의해 이물질이 정지되지 않고 배수부(11) 타단측으로 배출되어 배수부(11)가 폐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배수부(11)의 수평연장배수부(14) 내에 수평연장배수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부재(531)와, 선형부재(531)를 수평연장배수부(14)의 내주면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연장배수부(14) 내에 이물질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게 유도하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550)을 구비한다.
선형부재(531)는 수평연장배수부(14)의 양측에 돌출되게 연장형성되어 양단이 후술되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550)의 제1 및 제2회전부재(556,559)에 각각 지지된다.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550)은 회전드럼(181)과, 회전드럼지지프레임(190)과, 제1 및 제2회전부재(556,560)와, 구동회전부재(565)와, 구동력전달부재(567)를 구비한다.
회전드럼(18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궤적이 지면에 대해 수직되며 배수부(11)의 수평연장배수부(19)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드럼지지프레임(19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회전부재(565)는 회전드럼(181)의 회전축(185)과 결합되어 회전드럼(181)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마디가 형성된 스프로킷(Sprocket)이 적용된다.
제1회전부재(556)는 회전드럼(181)에 대응되는 토목구조건축물의 상부에 장착된 제1브라켓(558)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제1회전부재의 회전축(557)이 수평연장배수부(14)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제1회전부재(556)는 구동회전부재(565)와 같은 스프로킷이 적용된다.
그리고, 수평연장배부수(14)와 마주하는 회전축(557)의 단부는 수평연장배수부(14)의 타단에 대해 돌출된 선형부재(531)와 연결되는데 선형부재(531) 연결을 위한 제1고리(55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회전부재(560)는 수평연장배부수(14)의 일단측에 인접한 위치의 토목구조건축물에 설치된 제2브라켓(563)에 제1회전부재(556) 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제1회전부재(556)와 나란하게 장착된다.
제2회전부재(560)는 제2브라켓(563)을 관통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브라켓(563)과 제2회전부재(560) 사이에는 제2회전부재(56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된다. 그리고, 수평연장배부수(14)와 마주하는 제2회전부재(560)의 단부는 수평연장배수부(14)의 일단에 대해 돌출된 선형부재(531)와 연결되는데 선형부재(531) 연결을 위한 제2고리(56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력전달부재(567)는 구동회전부재(565) 회전시 제1회전부재(556)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폐궤도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회전부재(565)와 제1회전부재(556)에 각각 체결 될 수 있는 체인이 적용된다.
그리고, 선형부재(531)은 수평연장배수부(14)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 회전반경이 확장되게 일정간격마다 매듭이 형성되거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부재(531)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부재(532)가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우수나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에 흐르는 물이 배수부(11)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배수부(11)의 타단으로 배출되면, 배출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드럼(181)이 회전되고 회전축(185)에 결합된 구동회전부재(565)가 회전된다. 구동회전부재(565)가 회전되면서 구동회전부재(565)의 회전력이 구동력전달부재(567)에 의해 제1회전부재(556)에 전달되어 제1회전부재(556)가 회전된다. 제1회전부재(556)가 회전되면서 수평연장배수부(14) 내의 선형부재(531)가 수평연장배수부(14)의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연장배수부(14) 내의 이물질이 물 배출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부상되거나 침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수평연장배수부(14) 내에서 선형부재(531)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물질을 부상시켜 침전을 방지하므로 수평연장배수부(14)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고가구조물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600)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신축이음장치(600)로 유입되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과 이물질을 고가구조물의 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신축이음장치(600)의 배수시설인 물받이부재(604)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한다.
신축이음장치(600)는 고가구조물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고가구조물의 신축에 따라 이격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어지는 좌우 핑거형 신축이음쇠(601.603)과, 배수시설로서 좌우 핑거형 신축이음쇠(601.603) 하방에 위치되고 주로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볼록한 물받이부재(604)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좌우핑거형 신축이음장치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신축이음장치(6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신축이음장치(600)의 하방을 폐쇄하는 물받이부재(604)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받이부재(604)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고가구조물의 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물질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물질이동유도부재(710)와, 이물질이동유도부재(710)가 물받이부재(604) 내에서 회전되게 이물질이동유도부재(7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물질이동유도부재구동유닛(730)을 구비한다.
이물질이동유도부재(710)는 물받이부재(60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물받이부재(604)의 위치에 대응되는 고가구조물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브라켓(718,719)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송회전축(711)과, 이송회전축(711)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연장된 이송날개(713)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브라켓(718,71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이동유도부재(71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이물질이 고가구조물 측부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이송회전축(711)이 장착되는 각 중심측(718a,719a)이 도로나 교량의 측면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게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이동유도부재구동유닛(730)은 회전드럼(181)과, 회전드럼지지프레임(190)과, 제2구동회전부재(735)와, 제2종동회전부재(737)와, 구동력전달부재(741)를 구비한다.
회전드럼(181)은 회전축(185) 연장방향이 고가구조물의 폭 방향에 나란하도록 회전드럼지지프레임(19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구동회전부재(735)는 회전드럼(181)의 회전축(185)과 결합되어 회전드럼(181)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서 스프로킷이 적용된다.
제2종동회전부재(737)은 제2구동회전부재와 동일 구조의 스프로킷으로서, 제2브라켓(719)에 대해 돌출된 이물질이동유도부재(710)의 단부에 관통결합되어 후술되는 구동력전달부재(74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물질이동유도부재(710)를 회전시킨다.
구동력전달부재(741)은 제2종동회전부재(737)와 제2구동회전부재(735)에 체결되어 제2구동회전부재(735)의 회전력이 제2종동회전부재(737)에 전달되게 순환하는 폐 궤도 형태로 형성된 체인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배수부에 배출되는 물의 자중에 의해 회전드럼(181)이 회전되고 회전드럼(181)과 함께 회전되는 제2구동회전부재(735)의 회전력이 제2종동회전부재(737)에 전달되어 이물질이동유도부재(710)가 회전되면서 물받이부재(604) 내의 이물질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므로 신축이음장치(600)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별도의 전원공급수단 없이 이물질이동유도부재(710)를 회전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며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의 배수막힘방지장치와 같이 고가구조물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600)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폐궤도로 형성된 선 형상으로 물받이부재(604) 내에서 순환하는 이물질이동유도부재(810)와, 이물질이동유도부재(810)가 물받이부재(604) 내에서 순환이동되게 이물질이동유도부재(8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물질이동유도부재구동유닛(830)을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물질이동유도부재(810)는 순환시 이물질의 유동반경을 넓힐 수 있도록 소정간격마다 외경이 확장되게 매듭되거나, 이물질이동유도부재(810)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내측으로 이물질이동유도부재(810)가 관통되는 돌출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물질이동유도부재구동유닛(830)은 물받이부재(604)의 위치에 대응되는 고가구조물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브라켓유닛(831,834)과, 제1 및 제2브라켓유닛(831,834)에 각각 고가구조물의 폭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물질이동유도부재(810)가 연결되는 제1 및 제2회전보빈(837,840)과, 배수부의 타단에 인접한 고가구조물 하부 또는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회전드럼지지프레임(19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181)과, 회전드럼(181)의 회전축(185)과 결합되어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되는 제2구동회전부재(735)와, 제2회전보빈(840)의 회전축(841)의 단부에 관통결합되는 제2종동회전부재(856)와, 제2구동회전부재(735)와 제2종동회전부재(856)에 체결되어 제2구동회전부재(735)의 회전력이 제2종동회전부재(856)에 전달되게 순환하는 폐 궤도 형태로 형성된 체인형태의 구동력전달부재(867)를 구비한다.
회전드럼(181)과 제2구동회전부재(735)는 고가구조물의 폭 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되는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가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제2회전보빈(840)의 회전축(84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베벨기어(미도시)와, 제1베벨기어에 맞물려 제2회전보빈(840)의 회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베벨기어(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제2종동회전부재(856)가 제2베벨기어에 결합되어 제2베벨기어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게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배수부에 배출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드럼(181)이 회전되고 회전드럼(181)과 함께 회전되는 제2구동회전부재(735)의 회전력이 제2종동회전부재(856)에 전달되어 이물질이동유도부재(810)가 무한궤도로 순환되면서 물받이부재(604) 내의 이물질이 일부분에 쌓이는 것이 방지되므로 신축이음장치(600)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고가구조물의 배수시설인 배수부(11)와 물받이부재(604)의 폐색 방지를 병행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제6실시예 또는 제7실시 예의 배수막힘방지장치의 구조에 본 발령의 제8실시 예 또는 제9실시 예의 이물질이동유도부재(710,810)와, 이물질이동유도부재구동유닛(730,830)가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배수막힘방지장치는 회전드럼의 회전으로 고가구조물의 배수시설인 배수부(11) 및 물받이부재(604)의 이물질을 유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고가구조물의 배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막힘방지장치는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토목건축구조물의 배수시설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정체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배수시설 연장방향으로 이동 유도되어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배수시설의 폐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막힘 방지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 : 배수 막힘 방지장치
31 : 선형부재 40 : 청소부재
50 : 선형부재 위치 이동유도유닛 60 : 제1선형부재 이동유도부
61 : 제1지지프레임 64 : 제3고정도르래
65 : 제4고정도르래 73 : 선형부재고정부재
80,180 : 제2선형부재 이동유도부 81 : 구동력발생부
87 : 구동력발생부 회동유도부 91 : 회동부
100 : 스토퍼 181 : 회전드럼
185 : 회전축 190 : 회전드럼 지지프레임
200 : 선형부재당김유닛 210 : 회전가압돌기
215 : 걸림돌기 220 : 크랭크
230 : 크랭크 탄성지지부재
31 : 선형부재 40 : 청소부재
50 : 선형부재 위치 이동유도유닛 60 : 제1선형부재 이동유도부
61 : 제1지지프레임 64 : 제3고정도르래
65 : 제4고정도르래 73 : 선형부재고정부재
80,180 : 제2선형부재 이동유도부 81 : 구동력발생부
87 : 구동력발생부 회동유도부 91 : 회동부
100 : 스토퍼 181 : 회전드럼
185 : 회전축 190 : 회전드럼 지지프레임
200 : 선형부재당김유닛 210 : 회전가압돌기
215 : 걸림돌기 220 : 크랭크
230 : 크랭크 탄성지지부재
Claims (10)
-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으로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 내로 상기 배수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부재와;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물과 함께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부 내에서 정지되지 않고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 내에서 상기 배수부의 연장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선형부재 유동유도유닛은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배수부 내에서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수부의 타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후 복원 가능하게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선형부재의 일측을 유동 구속할 수 있도록 위치이동 또는 신축 가능한 선형부재고정부재를 구비한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와;
상기 배수부의 타단 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수부의 타측으로 연장된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부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의 타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하강 후 상기 배수부에 인접하게 복원되는 구동력발생부가 마련된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 - 삭제
-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으로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 내로 상기 배수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부재와;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물과 함께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부 내에서 정지되지 않고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 내에서 위치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선형부재 유동유도유닛은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배수부 내에서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수부의 타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후 복원 가능하게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선형부재의 일측을 유동 구속할 수 있도록 위치이동 또는 신축 가능한 선형부재고정부재를 구비한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와;
상기 배수부의 타단 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수부의 타측으로 연장된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부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의 타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하강 후 상기 배수부에 인접하게 복원되는 구동력발생부가 마련된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선형부재이동유도부는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부의 일단에 대해 돌출되는 상기 선형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선형부재의 연장방향을 전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도르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형부재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도르래의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어 물 또는 이물질이 배출된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상기 배수부의 타단에 인접한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선형부재를 당길 수 있는 중량을 가진 중량물체이거나 신축가능한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 -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으로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 내로 상기 배수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부재와;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물과 함께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부 내에서 정지되지 않고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 내에서 위치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선형부재 유동유도유닛은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배수부 내에서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수부의 타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후 복원 가능하게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선형부재의 일측을 유동 구속할 수 있도록 위치이동 또는 신축 가능한 선형부재고정부재를 구비한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와;
상기 배수부의 타단 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수부의 타측으로 연장된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부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의 타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하강 후 상기 배수부에 인접하게 복원되는 구동력발생부가 마련된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선형부재이동유도부는
일측이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하부 또는 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배수부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수부로부터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구동력발생부에 저장시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하강되게 회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바와,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하강시 상기 구동력발생부 내의 물 또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상기 회동바에 대해 회동하는 구동력발생부회동유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 -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으로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 내로 상기 배수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부재와;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물과 함께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부 내에서 정지되지 않고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 내에서 위치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선형부재 유동유도유닛은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배수부 내에서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수부의 타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 후 복원 가능하게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선형부재의 일측을 유동 구속할 수 있도록 위치이동 또는 신축 가능한 선형부재고정부재를 구비한 제1선형부재이동유도부와;
상기 배수부의 타단 측에 위치되고 상기 배수부의 타측으로 연장된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부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의 타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하강 후 상기 배수부에 인접하게 복원되는 구동력발생부가 마련된 제2선형부재이동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선형부재이동유도부는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수부의 타단 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력발생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배수부에서 배출되는 물 또는 이물질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드럼지지프레임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배수부의 타단에 대해 돌출된 상기 선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위치 이동되어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의 타단 하방으로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는 선형부재당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 - 제 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하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집수부와,
다수의 상기 집수부와 각각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집수부 수직연결부와,
상기 집수부수직연결부의 각 단부에 장착되며 상방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개방된 다수의 T관과, 상호 이격되는 상기 T관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직선관이 마련된 수평연장배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T관은
상기 집수부수직연결부이 단부와 결합되며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수평연장배수부를 따라 물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굴곡연장부와, 상기 직선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에 상기 굴곡연장부와 연결되며 양단에 상기 직선관과 결합되는 직선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굴곡연장부는
일측에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내부로 관통형성된 외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굴곡연장부의 상기 외기유입공 측에 장착되며 상기 수평연장배수부를 따라 흐르는 물의 흐름에 의해 상기 굴곡연장부에 부압 형성시 상기 굴곡연장부에 외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외기유입공을 개방하는 체크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막힘방지장치. -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으로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 내로 상기 배수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부재와;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물과 함께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부 내에서 정지되지 않고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 내에서 위치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은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수부의 타단 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회전부재와,
물이 유입되는 상기 배수부의 일단에 인접하게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종동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선형부재는
상기 종동회전부재와 상기 구동회전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배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수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순환운동할 수 있도록 폐 궤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막힘방지장치. -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으로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 내로 상기 배수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부재와;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상기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물과 함께 상기 배수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배수부 내에서 정지되지 않고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선형부재를 상기 배수부 내에서 위치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선형부재유동유도유닛은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수부의 타단 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배수부의 수평연장부의 양측에 각각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수부의 수평연장부 내에 상기 수평연장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선형부재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선형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회전부재와,
일측이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1회전부재 또는 상기 제2회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 회전 시 상기 선형부재가 상기 수평연장부 내에서 회전되게 상기 제1회전부재 또는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막힘방지장치. - 삭제
- 토목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가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 막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신축이음장치에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하방을 폐쇄하는 물받이부재 내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물받이부재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물질이동유도부재와;
상기 이물질이동유도부재가 상기 물받이부재 내에서 회전되거나 이동되게 상기 이물질이동유도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물질이동유도부재 구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이동유도부재는
상기 물받이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회전축과, 상기 이송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연장된 이송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이물질이동유도부재 구동유닛은
상기 토목건축구조물의 상면으로 흐르는 우수를 포함하는 물을 상기 토목건축구조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에 유입되는 물에 의해 상기 이물질이동유도부재를 유동시키는 상기 구동력이 발생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부의 타단 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되는 제2구동회전부재와,
상기 이물질이동유도부재의 단부에 관통결합되는 제2종동회전부재와,
상기 제2구동회전부재와 상기 제2종동회전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제2구동회전부재의 회전력이 상기 제2종동회전부재에 전달되게 순환하는 폐 궤도 형태로 형성된 구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막힘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383A KR102055884B1 (ko) | 2018-02-09 | 2018-02-09 | 배수 막힘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383A KR102055884B1 (ko) | 2018-02-09 | 2018-02-09 | 배수 막힘 방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6671A KR20190096671A (ko) | 2019-08-20 |
KR102055884B1 true KR102055884B1 (ko) | 2020-01-22 |
Family
ID=6780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6383A KR102055884B1 (ko) | 2018-02-09 | 2018-02-09 | 배수 막힘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588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05312A (zh) * | 2019-12-31 | 2020-04-14 | 广东粤路勘察设计有限公司 | 一种山区公路桥梁排水口的安装方法 |
CN112922132B (zh) * | 2021-01-27 | 2022-02-11 | 无锡市园林工程有限责任公司 | 应用于综合管廊雨水分质调蓄装置 |
CN113062415A (zh) * | 2021-03-23 | 2021-07-02 | 鲁永贵 | 一种房屋建筑排水系统 |
CN113073545A (zh) * | 2021-04-13 | 2021-07-06 | 郝北一 | 一种高速公路桥梁排水结构 |
CN115962371B (zh) * | 2022-12-26 | 2024-05-03 | 广东省南粤交通投资建设有限公司 | 一种隧道防结晶堵塞排水管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7025Y1 (ko) * | 2005-03-17 | 2005-06-16 | 최광수 | 교량 배수시설 |
KR101339617B1 (ko) * | 2013-08-02 | 2013-12-10 | 최인정 |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
KR101715182B1 (ko) * | 2016-06-10 | 2017-03-10 | 김원주 | 교량 배수관용 에어벤트 장치 |
KR101750413B1 (ko) * | 2017-02-02 | 2017-06-23 | (주)예평이앤씨 | 우수맨홀을 이용한 초기빗물처리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9277B1 (ko) | 2000-06-22 | 2003-09-26 |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
KR200345926Y1 (ko) | 2003-12-08 | 2004-03-22 |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
-
2018
- 2018-02-09 KR KR1020180016383A patent/KR1020558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7025Y1 (ko) * | 2005-03-17 | 2005-06-16 | 최광수 | 교량 배수시설 |
KR101339617B1 (ko) * | 2013-08-02 | 2013-12-10 | 최인정 |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
KR101715182B1 (ko) * | 2016-06-10 | 2017-03-10 | 김원주 | 교량 배수관용 에어벤트 장치 |
KR101750413B1 (ko) * | 2017-02-02 | 2017-06-23 | (주)예평이앤씨 | 우수맨홀을 이용한 초기빗물처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6671A (ko) | 2019-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5884B1 (ko) | 배수 막힘 방지장치 | |
US6478954B1 (en) | Debris collecting apparatus | |
CN105392541B (zh) | 连续链式格栅 | |
US6972088B2 (en) | Pivotal gate for a catch basin of a storm drain system | |
KR100624085B1 (ko) |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 |
CA2929096C (en) | Closed flow sewer system | |
FI61631C (fi) | Reningsanordning foer sedimenterings- och avloppsvattenanlaeggningar | |
KR101306943B1 (ko) | 교량용 배수장치 | |
CN115228166A (zh) | 一种城市污水排放管网 | |
EP4311890A1 (en) | A detention well and method for using it | |
CN112459208B (zh) | 市政污水管网的分流处理输送设备 | |
KR101357244B1 (ko) | 수로 내 유속 확보 시스템 | |
KR101876279B1 (ko) | 맨홀용 하수관로 협잡물 제거장치 | |
KR101760094B1 (ko) | 수평형 제진기 | |
KR100753822B1 (ko) |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 |
WO2002072965A1 (en) | Apparatus for collecting limited | |
KR101605196B1 (ko) |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 |
CN115054989B (zh) | 一种建筑工程用废水处理设备及处理方法 | |
RU2745349C1 (ru) | Комплек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квидации аварийных разливов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с поверхности малых рек | |
JP3924557B2 (ja) | 汚泥回収装置 | |
CN220469092U (zh) | 一种雨水管道清淤装置 | |
CN116815908A (zh) | 一种道路排水结构 | |
KR200265466Y1 (ko) | 조립식 암거의 내부 바닥 청소용 장치 | |
AU2002235663B2 (en) | Apparatus for collecting rainwater | |
KR20110060878A (ko) | 멀티 슬러지 수집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