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277B1 -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277B1
KR100399277B1 KR10-2000-0034567A KR20000034567A KR100399277B1 KR 100399277 B1 KR100399277 B1 KR 100399277B1 KR 20000034567 A KR20000034567 A KR 20000034567A KR 100399277 B1 KR100399277 B1 KR 100399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expansion
upper cover
outer circumferential
joi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943A (ko
Inventor
박중길
이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Priority to KR10-2000-0034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2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과 같은 도로구조물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는 신축수단(20), 내부지지강재(30), 상부덮개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이음장치가 기 설치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보수공법은 교량상부 구조물인 상판의 연결부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상부덮개판(50)의 볼트(55)를 제거한 후, 상기 상부덮개판(50) 하부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방식 처리하고,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두 개의 신축수단 결합부(40) 사이에 설치된 기존의 신축수단(20)을 제거한 후, 신축이음장치의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방식 처리하며,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두 개의 신축수단 결합부(40) 및 상부덮개판(50)과 내부지지강재(30)가 맞닿는 부분에 코킹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두 개의 신축수단 결합부(40) 사이에 새로운 신축수단(20)을 설치하고 상기 방식처리된 상부덮개판(50)을 상기 내부지지강재(30) 위에 설치한 후 볼트를 체결하여 보수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은 신축이음장치 양 옆에 타설되는 무수축콘크리트를 파쇄하지 않고 신축이음장치의 상부덮개판을 분리시킨 후 손상된 기존의 신축수단을 제거하고 새로운 신축수단을 간단하게 설치함으로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Bridge expansion joint and repair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와 상기 신축이음장치 양 옆에 타설되어 신축이음장치를 교량 상판에 고정시키는 무수축콘크리트가 신축이음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지지강재의 상부키로 분리되어 있어 상기 무수축콘크리트를 파쇄하지 않고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구조물은 온도변화와 하중에 따라 팽창하고 수축되므로 일정길이 이상으로 설치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은 팽창·수축으로 인한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손상을 막기 위해 적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간격을 이어주는 장치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이며 통상 교면에 일치하는 표면지지강재(11)와 일체화된 내부지지강재(12), 교량의 표면수 및 이물질이 신축이음장치를 통하여 교량의 하부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상기 내부지지강재 사이에 열융착 또는 접착재로 설치되는 신축고무(13) 및 신축이음장치를 교량 상부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해 신축이음장치 양 옆에 타설되는 무수축콘크리트(14)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지지강재와 신축고무(13)가 교통하중, 교량의 신축 또는 이물질에 의해 상기 내부지지강재 및 무수축콘크리트보다 조기에 손상 탈락되어 우수 시에 신축이음장치에 유입된 표면수가 교량의 하부로 흘러 들어가 교량의 거더(16), 교좌장치(17) 및 교각(18)에까지 해로운 영향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신축고무가 손상된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하기 위해 종래에는 신축이음장치 양 옆에 타설된 무수축콘크리트(14) 및 내부철근(15)을 모두 파쇄·절단한 뒤 신축이음장치 전체를 교체하기 때문에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보수작업공기가 길어지고 작업공정이 복잡하며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지지강재(19)와 신축고무(13)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신축이음장치인 경우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하기 위해 양 옆에 설치되어 있는 무수축콘크리트를 파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내부지지강재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고무(13)를 신축이음장치의 옆에서 밀어 넣으면서 설치하기 때문에 교량 폭에 따라 보수작업에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이음장치와 상기 신축이음장치 양 옆에 타설되는 무수축콘크리트를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의 내부지지강재에 형성된 외주면 키로 분리하여 무수축콘크리트를 파쇄하지 않고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축이음장치 옆에서 신축고무를 삽입하여 설치하지 않고 신축이음장치 위에서 신축수단을 신축이음장치의 신축수단 접속홈에 삽입하여 설치함으로 교량폭이 길더라도 쉽게 손상된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할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신축이음장치 및 상기 종래의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입면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로 신축수단이 뱀머리형인 경우의 사시도 이다.
도2B는 본 발명의 신축수단이 뱀머리형인 경우의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상판의 입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로 뱀머리형인 경우의 결합도이다.
도4는 뱀머리형 신축수단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신축수단이 벌집형인 경우의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상판의 입면도이다.
도6은 벌집형 신축수단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신축이음장치 11: 표면지지강재
12: 내부지지강재 13: 신축고무
14: 무수축 콘크리트 15: 내부철근
16: 거더 17: 교좌장치
18: 교각 19: 내부지지강재
20: 신축수단 21: 몸통부
22: 머리부 23: 중공
24: 돌기 30: 내부지지강재
31: 내부지지강재 수직부 32: 내부지지강재 수평부
33: 내부지지강재 돌출부 34: 외주면 키
35: 볼트 암나사부 40: 신축수단 결합부
41: 신축수단 접속홈 50: 상부덮개판
51: 볼트구멍 52: 톱니열
53: 결합홈 54: 결합돌기
55: 볼트 61: 수평원형강
62: 경사원형강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수단(20), 내부지지강재(30), 상부덮개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수단(20)은 탄성을 가진 몸체를 가지며 타 부재와 결합을 위한 양 단부는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중공(23)이 연속 형성된 두툼한 머리부(22)를 가진 신축수단으로 뱀머리형과 벌집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뱀머리형 신축수단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중앙부분이 아래로 굽은 판형으로, 단면은 U자 형상이며, U자형 단면의 양 단부에는 판의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연속형성된 두툼한 머리부(22)가 있고, 양 단부를 제외한 중앙부분은 신축이 가능한 몸통부(21)가 형성되는 고무이다.
상기 벌집형 신축수단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벌집형상 단면이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 반복적으로 형성된 몸통부(21)를 가지며, 상기 벌집형상 단면의 양 단부에는 신축수단의 길이방향으로 중공(23)이 연속형성된 두툼한 머리부(22)가 형성되는 고무이다.
상기 신축수단(20)은 머리부(22)의 상부면에는 상기 신축수단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돌기(24)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기(24)는 상기 신축수단(20)이 신축수단 접속홈(41)에 삽입된 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신축수단(20)의 내부에는 섬유소재를 면상으로 편직한 보강재가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신축수단(20)의 중공(23)은 머리부의 신축성을 증가시키며, 전체적으로 상기 신축수단(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지지강재(30)와 상부덮개판(50) 사이에서 압착되어 신축이음장치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표면수 및 이물질이 신축이음장치 내부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내부지지강재(30)는 도2B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면이단계적으로 변화하는 L자형으로 이루어진 부재로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신축수단(20)과의 결합을 위한 신축수단 결합부(40)가 형성된다.
수직부(31)와 수평부(32)로 이루어진 상기 L자형 부재의 상기 수직부(31)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안쪽에서 한 단계 경사를 가지면서 단면이 줄어든 형상으로 바깥쪽 외주면을 따라서 상기 L자형 부재의 고착을 위한 다수 개의 외주면 키(34)가 형성되고, 상기 L자형 부재의 상기 수평부(32)는 상기 수직부(31)와 만나는 부분에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끝은 안쪽에서 위를 향하여 한 단계 경사를 가지면서 단면이 좁아지는 돌출부(33)를 가지고, 상기 수평부(32)의 아래 외주면에는 상기 L자형 부재의 고착을 위한 다수 개의 외주면 키(34)가 다시 형성되고, 윗쪽 외주면에는 타 부재의 고착을 위한 다수 개의 외주면 키(34)가 또 다시 형성되며, 또한 윗쪽 외주면 중앙에는 상기 L자형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다수 개의 볼트 암나사부(35)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3)의 수직면 윗쪽 끝부분에는 상기 신축수단의 머리부(22)가 삽입되는 접속홈(4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33)의 수직면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신축수단 결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지지강재(30)의 상기 수직부(31)의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하게 형성되며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다수 개의 수평원형강(61)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부(32)의 외주면으로부터 아래쪽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다가 중간에서 구부러져서 수평으로 형성되며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다수 개의 경사원형강(62)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원형강(61)과 상기 경사원형강(62)은상기 내부지지강재(30)가 구조체에 안정적으로 고착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상부덮개판(50)은 도2B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거꾸로 된 L자형으로 이루어진 부재로 좌우대칭으로 설치되며 밑면은 상기 내부지지강재(30)와 암수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윗면 중앙부는 톱니열(52)이 서로 마주보며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덮개판(50)은, 밑면은 상기 내부지지강재(30)에 고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외주면 키(34)를 가지며, 윗면은 상기 내부지지강재(30)의 볼트 암나사부(35)까지 수직으로 관통하는 볼트구멍(51)이 형성되고, 전체 길이방향 양 단부 중 한쪽은 오목하게 파여진 삼각형상의 결합홈(53)이 형성되고 다른쪽은 상기 결합홈(53)과 일치하는 삼각형상의 결합돌기(5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덮개판(50)은 상기 내부지지강재(30)와 볼트(55)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어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상부덮개판(50)의 톱니열(52)은 삼각형상의 톱니, 사각형상의 톱니 또는 반원형의 톱니 중의 하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 보수공법은 교량상부 구조물인 상판의 연결부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상부덮개판(50)의 볼트(55)를 제거한 후, 상기 상부덮개판(50) 하부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방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두 개의 신축수단 결합부(40) 사이에 설치된 기존의 신축수단(20)을 제거한 후, 신축이음장치의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방식 처리하는 단계,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두 개의 신축수단 결합부(40) 및 상부덮개판(50)과 내부지지강재(30)가 맞닿는 부분에 코킹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신축이음장치의 두 개의 신축수단 결합부(40) 사이에 새로운 신축수단(2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방식처리된 상부덮개판(50)을 상기 내부지지강재(30) 위에 설치한 후 볼트를 체결하여 보수작업을 완료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덮개판(50)과 상기 내부지지강재(30)가 녹이 슬지 않는 합금강재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방식처리가 불필요하며, 코킹처리 후 코킹재가 응고되기 전에 신축수단(20)을 설치하여야 하며, 녹이 스는 재료로 구성된 경우에는 볼트 구멍(51), 볼트 암나사부(35) 주위를 써스와 같이 부식에 강한 재료로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둘러싸도록 가공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은 신축이음장치 양 옆에 타설되는 무수축콘크리트를 파쇄하지 않고 신축이음장치의 상부덮개판을 분리시킨 후 손상된 기존의 신축수단을 제거하고 새로운 신축수단을 간단하게 설치함으로 보수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작업공기가 단축되어 공사중 중단되었던 차량의 통행을 신속하게 개통시킬 수 있고 나아가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교량유지관리비가 절감된다.

Claims (8)

  1. 전체적으로는 중앙부분이 아래로 굽은 판형으로, 단면은 U자 형상이며, U자형 단면의 양 단부에는 판의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연속형성된 두툼한 머리부(22)가 있고, 양 단부를 제외한 중앙 부분은 신축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몸통부(21)를 가진 신축수단(20);
    전체적으로 단면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수직부(31)와 수평부(32)로 이루어진 L자형 부재의 수직부(31)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안쪽에서 한 단계 경사를 가지면서 단면이 줄어든 형상으로 바깥쪽 외주면을 따라서 L자형 부재의 고착을 위한 다수개의 외주면 키(34)가 형성되고, L자형 부재의 수평부(32)는 수직부(31)와 만나는 부분에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끝은 안쪽에서 위를 향하여 한 단계 경사를 가지면서 단면이 좁아지는 돌출부(33)을 가지고, 수평부(32)의 아래 외주면에는 L자형 부재의 고착을 위한 다수 개의 외주면 키(34)가 다시 형성되고, 위쪽 외주면에는 타 부재의 고착을 위한 다수 개의 외주면 키(34)가 또 다시 형성되며, 또한, 위쪽 외주면 중앙에는 L자형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일렬로 다수개의 볼트 암나사부(35)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3)의 수직면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신축수단 결합부(40)가 형성되는 내부지지강재(30); 및
    전체적으로 거꾸로된 L자형으로 이루어진 부재로 좌우대칭으로 설치되며 밑면은 상기 내부지지강재(30)와 암수결합되어 유동이 적고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외주면 키(34)를 가지며, 윗면은 상기 내부지지강재(30)의 볼트 암나사부(35)까지 수직으로 관통하는 볼트구멍(51)이 형성되고, 전체 길이방향 양단부 중 한쪽은 오목하게 파여진 삼각형상의 결합홈(53)이 형성되고 다른 쪽은 상기 결합홈(53)과 일치하는 삼각형상의 결합돌기(54)가 형성되며 윗면 중앙부는 톱니열(52)이 서로 마주보며 맞물리도록 형성된 상부덮개판(50)으로 구성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내부 지지강재(30)의 상기 수직부(31)의 외주면으로부터 수평하게 형성되며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다수개의 수평원형강(61);
    상기 두 개의 내부지지강재(30)의 상기 수평부(32)의 외주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다가 중간에서 구부러져서 수평으로 형성되며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다수개의 경사원형강(6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20)은 머리부(22)의 상부면에는 상기 신축수단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돌기(24)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수단(20)의 내부에는 섬유소재를 면상으로 편직한 보강재가 삽입된 신축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판(50)의 톱니열(52)은 삼각형상의 톱니, 사각형상의 톱니 또는 반원형상의 톱니중의 하나인 상부덮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신축이음장치.
  8. 삭제
KR10-2000-0034567A 2000-06-22 2000-06-22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039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567A KR100399277B1 (ko) 2000-06-22 2000-06-22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567A KR100399277B1 (ko) 2000-06-22 2000-06-22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156U Division KR200212391Y1 (ko) 2000-06-26 2000-06-26 교량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943A KR20020000943A (ko) 2002-01-09
KR100399277B1 true KR100399277B1 (ko) 2003-09-26

Family

ID=1967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567A KR100399277B1 (ko) 2000-06-22 2000-06-22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2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947B1 (ko) * 2006-01-20 2007-03-28 김효식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KR100749695B1 (ko) 2006-11-02 2007-08-17 장성호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해체방법
KR100868342B1 (ko) 2007-03-13 2008-11-12 (주)영광산업개발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보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
KR100996649B1 (ko) 2010-03-26 2010-11-25 대경산업(주)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설치/교체공법
KR20190096671A (ko) 2018-02-09 2019-08-20 김동규 배수 막힘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066B1 (ko) * 2009-08-24 2011-03-08 주식회사 일원테크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29994B1 (ko) * 2010-09-10 2011-04-20 민경기술 주식회사 전합성 게르버빔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KR101507121B1 (ko) * 2014-07-22 2015-03-31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보수성이 개선된 신축이음장치
KR102248602B1 (ko) 2020-11-25 2021-05-06 광주과학기술원 해상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DE102021204003A1 (de) * 2021-04-21 2022-10-27 Maurer Engineering Gmbh Verfahren zum Austausch einer Übergangskonstruktion, Übergangskonstruktion zur Überbrückung einer in einem Bauwerk befindlichen Bauwerksfuge und Bauwerk mit einer Übergangskonstruk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728Y1 (ko) * 2000-01-04 2000-06-01 박중길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0184726Y1 (ko) * 2000-01-04 2000-06-01 박중길 교량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728Y1 (ko) * 2000-01-04 2000-06-01 박중길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0184726Y1 (ko) * 2000-01-04 2000-06-01 박중길 교량 신축이음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947B1 (ko) * 2006-01-20 2007-03-28 김효식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KR100749695B1 (ko) 2006-11-02 2007-08-17 장성호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해체방법
KR100868342B1 (ko) 2007-03-13 2008-11-12 (주)영광산업개발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보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
KR100996649B1 (ko) 2010-03-26 2010-11-25 대경산업(주) 신축이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설치/교체공법
KR20190096671A (ko) 2018-02-09 2019-08-20 김동규 배수 막힘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943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035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재의 제작, 설치 및 교체방법
KR100399277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1785624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프리캐스트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96398B1 (ko) 교량용 신축 조인트 및 그 조립식 공법
KR10123619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보수공법
KR200417259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50611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KR10041277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200016089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부재 체결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399278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212392Y1 (ko) 교량 신축이음장
KR200212391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WO2007021078A1 (en) Replaceable drainage device of expansion joint
KR200184726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010068280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0399279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20000281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212393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0184729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1002423B1 (ko) 신축이음장치
KR200184728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0212394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2918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 볼트 구멍을 성형하는 방법 및 그 성형기구
KR20010068282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