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695B1 -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해체방법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695B1
KR100749695B1 KR1020060107641A KR20060107641A KR100749695B1 KR 100749695 B1 KR100749695 B1 KR 100749695B1 KR 1020060107641 A KR1020060107641 A KR 1020060107641A KR 20060107641 A KR20060107641 A KR 20060107641A KR 100749695 B1 KR100749695 B1 KR 100749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ost
air
pouring portion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호
배문교
Original Assignee
장성호
배문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호, 배문교 filed Critical 장성호
Priority to KR1020060107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7Flat continuous joints cast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같이 후타설콘크리트가 메워지는 콘크리트타설부를 추후 보수 시에 다시 깨야 하는 시공성 낮은 공정을 생략하여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형성시킨 공기 또는 수압홈; 및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접착제 도포를 포함한 분리 가능한 경계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후타설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후타설콘크리트, 신축이음장치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 해체방법{SEPARABLE CONSTRUCTION STRUCTURE OF POST POURING CONCRETE AND THE CONSTRUCTION AND DISMANTLE METHOD}
도 1은 종래의 후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후타설콘크리트 설치 및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교량상판 120:교대
130:단턱부 200:콘크리트타설부
300:공기 또는 수압홈 400:접착제
500:후타설콘크리트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같이 후타설콘크리트가 메워 지는 콘크리트타설부를 추후 보수 시에 다시 깨야 하는 시공성 낮은 공정을 생략하여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교량상판에 설치되는 종래의 신축이음장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교량상판을 구성하는 슬래브콘크리트 타설시 교량(바닥판)과 교량연결부(교대)에 단턱부(10,20)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교량(바닥판)과 교량연결부(교대) 각각에 블록 아웃부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단턱부(10,20)에는 U자 형상의 철근(30)이 설치되며, 신축이음장치(40)에 의하여 볼트(50)가 체결되고, 모르타르가 상기 블록아웃부에 후 타설된다. 이러한 후 타설된 모르타르를 후타설 콘크리트(60)라 한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40)는 교량과 교량 연결부에 있어 수평방향으로 변위를 흡수함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파손 등에 의하여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신축이음장치(40)는 후타설 콘크리트(60)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이를 교체하자면 먼저, 후타설 콘크리트(60)를 파쇄 시켜야 한다.
통상은, 소형 파쇄기를 이용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시공성이 매우 낮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후타설 콘크리트(60)를 파쇄하지 않고 신축이음장치를 교체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소개된 바 있지만, 실제 차량이 교량상판을 통과하다보면, 후타설 콘크리트(60) 자체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때는 신축이음부재의 교체와 상관없이 후타설 콘크리트를 보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후타설 콘크리트는 블록아웃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수 없이 후타설 콘크리트는 소형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 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항상 대두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축이음장치를 위한 단턱부를 포함하는 후타설콘크리트에 의하여 메워지는 콘크리트 타설부에 있어서 상기 후타설콘크리트를 해체하되 보다 소형 파쇄기와 같은 타격장치를 이용하지 않아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상기 후타설콘크리트를 해체시킬 수 있는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와 해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축이음장치를 위한 단턱부를 포함하는 후타설콘크리트에 의하여 메워지는 콘크리트 타설부에 형성되는 후타설콘크리트와 콘크리트 타설부가 당초부터 일체성을 확보하여 서로 고착화되도록 하지 않도록 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접착층과 같은 경계층을 통해 후타설콘크리트와 콘크리트 타설부가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 등을 가했을 때, 서로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충격 등을 가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타설부를 형성시킬 때 미리 공기 또는 수압 등을 압송시킬 수 있는 공기 또는 수압홈을 먼저 형성시켜 놓은 다음, 콘크리트 타설부에 후타설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하였다.
이에, 후타설콘크리트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는 후타설콘크리트를 일부 절삭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공기 또는 수압홈을 노출시킨 다음, 상기 홈에 공기 또는 물을 압송시켜, 접착제에 의하여 콘크리트타설부에 형성된 후타설콘크리트가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후타설콘크리트의 형성 및 해체공종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a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교대(120)와 교량상판(110, 바닥판)의 연결부에 있어 단턱부(130)를 블록 아웃시키는 방식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단턱부(130)에 의한 블록아웃된 공간에는 도 1과 같은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단턱부(130) 형성에 의한 공간을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타설부(200)라 한다.
즉, 신축이음장치가 매립되도록 모르타르와 같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타설부(200)의 저면에 본 발명의 공기 또는 수압 유입을 위한 공기 또는 수압홈(30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기 또는 수압홈(300)은 콘크리트타설부(200)의 저면에 폭 방향으로 다수를 병렬로 형성시키게 되며, 콘크리트타설부(200)의 크기에 따라 개수를 정하면 된다.
또한 공기 또는 수압홈(300)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비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반원형단면으로 형성시키는 등 홈의 형상에는 달리 제한은 없다.
이에 도 2b와 같이 상기 공기 또는 수압홈(300)이 폐쇄되지 않도록 접착제(400)를 도포한다.
이러한 접착제(400)로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부착을 위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접착제(400)는 추후 타설되는 후타설콘크리트(500)가 콘크리트타설부(200)와 서로 분리되는 경계면의 역할을 하게 된다. 말하자면 후타설콘크리트(500)가 양생된 이후라도 콘크리트타설부(200)에 1차적으로 부착되더라도 추후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접착제(400) 위에 후타설콘크리트(500)를 타설시킨 후 양생시키게 된다.
도 2c는 상기 후타설콘크리트(500)가 양생된 상태에서, 콘크리트타설부(200)에 매립된 신축이음장치의 파손 등으로 인하여 이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양생된 후타설콘크리트(500)를 파쇄하지 않고 해체할 수 있도록 후타설콘크리트(500) 표면으로부터 공기 또는 수압홈(300)이 노출되도록 후타설콘크리트(500)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작업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콘크리트 절삭기 또는 인력 등으로 가능하게 되며, 공기 또는 수압홈(300)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면 된다.
도 2d 및 도 2e는 상기 노출된 공기 또는 수압홈(300) 일부에 공기 또는 물을 고압으로 유입시킴으로서 그 압력으로 양생된 후타설콘크리트(500)가 콘크리트타설부(200)로부터 분리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 또는 수압홈(300)에 유입되는 공기압 또는 수압은 후타설콘크리트(500)가 콘크리트타설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조절하도록 한다.
예컨대, 공기압은 노즐이 부착된 공기호수를 노출된 공기홈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기호수에 장착된 컴프레샤에 의하여 상기 공기홈에 공기압이 압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압도 역시 노즐이 부착된 물호수를 노출된 수압홈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물호수에 장착된 컴프레샤 및 컴프레샤와 별도로 연결된 물탱크를 통하여 상기 수압홈에 물이 압송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공기압 또는 수압이 노출된 공기 또는 수압홈(300)으로 압송되면, 도 2e와 같이 접착제(400)에 의하여 경계층을 가진 후타설콘크리트(500)는 자연스럽게 콘크리트타설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후타설콘크리트와 콘크리트타설부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 파쇄기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후타설콘크리트 제거를 위한 작업이 매우 단순해지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4)

  1.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위한 단턱부를 포함하는 후타설콘크리트에 의하여 메워지는 콘크리트 타설부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형성시킨 공기 또는 수압홈; 및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접착제 도포를 포함한 분리 가능한 경계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후타설콘크리트;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 또는 수압홈에 연장된 주입구에 의하여 추후 유입된 공기압 또는 압력수에 의하여 상기 후타설콘크리트가 콘크리트 타설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또는 수압홈은 콘크리트 타설부의 저면에 파여져 형성된 홈 또는 관형태의 홈 형성 부재에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3. 신축이음장치를 위한 단턱부를 포함하는 후타설콘크리트에 의하여 메워지는 콘크리트 타설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 저면에 공기 또는 수압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콘크리트 타설부가 메워지도록 후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 및 분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워진 콘크리트 타설부를 절단기로 일부 절단하여 공기 또는 수직홈을 노출시키고,
    상기 공기 또는 수직홈에 공기압 또는 압력수를 유입시켜 압력에 의하여 후타설콘크리트가 콘크리트타설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 및 분리방법.
KR1020060107641A 2006-11-02 2006-11-02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해체방법 KR100749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641A KR100749695B1 (ko) 2006-11-02 2006-11-02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해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641A KR100749695B1 (ko) 2006-11-02 2006-11-02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해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9695B1 true KR100749695B1 (ko) 2007-08-17

Family

ID=3861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641A KR100749695B1 (ko) 2006-11-02 2006-11-02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해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6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2026A (zh) * 2010-04-07 2010-09-15 南通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基础底板后浇带模板支撑体系的施工方法
KR101127561B1 (ko) * 2009-10-20 2012-03-27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콘크리트 무타설 교량 연결 방법
CN104727549A (zh) * 2015-03-26 2015-06-24 广东电白建设集团有限公司 有限空间可升降整体装拆模板体系施工安装方法
CN105463992A (zh) * 2014-08-15 2016-04-06 四平欧维姆机械有限公司 一种卡楯机构
CN107558733A (zh) * 2017-09-26 2018-01-09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伸缩后浇带下模架体系与周边支模架同步拆除的施工方法
CN113250081A (zh) * 2021-06-15 2021-08-13 山西高速集团朔神有限责任公司 一种装配式桥梁预制防撞墙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717A (ja) 2000-11-08 2002-05-22 Nishimatsu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舗装版の沈下修繕方法
KR100399277B1 (ko) 2000-06-22 2003-09-26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JP2003286706A (ja) 2002-01-25 2003-10-10 Jfe Engineering Kk 伸縮継手装置の撤去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277B1 (ko) 2000-06-22 2003-09-26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JP2002146717A (ja) 2000-11-08 2002-05-22 Nishimatsu Constr Co Ltd コンクリート舗装版の沈下修繕方法
JP2003286706A (ja) 2002-01-25 2003-10-10 Jfe Engineering Kk 伸縮継手装置の撤去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561B1 (ko) * 2009-10-20 2012-03-27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콘크리트 무타설 교량 연결 방법
CN101832026A (zh) * 2010-04-07 2010-09-15 南通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基础底板后浇带模板支撑体系的施工方法
CN105463992A (zh) * 2014-08-15 2016-04-06 四平欧维姆机械有限公司 一种卡楯机构
CN104727549A (zh) * 2015-03-26 2015-06-24 广东电白建设集团有限公司 有限空间可升降整体装拆模板体系施工安装方法
CN107558733A (zh) * 2017-09-26 2018-01-09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伸缩后浇带下模架体系与周边支模架同步拆除的施工方法
CN113250081A (zh) * 2021-06-15 2021-08-13 山西高速集团朔神有限责任公司 一种装配式桥梁预制防撞墙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695B1 (ko) 분리 가능한 후타설콘크리트 설치구조 및 그 설치 및해체방법
JP5012355B2 (ja) 水中構造物の補強方法、水中構造物
KR101300553B1 (ko) Pc강선을 교체할 수 있는 psc 텐던이 구비된 거더교
KR101300317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 방법
KR10130311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사이의 연결 콘크리트 타설용 하면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 콘크리트 타설방법
KR101287489B1 (ko) 유간 보정이 가능한 신축 이음장치
CN102303351B (zh) 一种一次性浇注成型的t型梁制梁方法
CN207597279U (zh) 一种高位张拉的预应力碳纤维张拉装置
CN209380996U (zh) 一种预应力小箱梁内模装置
JP2014084590A (ja) 既設コンクリート床版の部分的修復工法
CN110593142A (zh) 一种桥梁修复方法
KR100758878B1 (ko) 거더와 바닥판 일체형 거더 조립체를 이용한 교량의 교체시공방법
JP2007177436A (ja) 継手の補修方法
JP2980567B2 (ja) 支承装置の交換方法
KR102105771B1 (ko) 거푸집 일체형 지수재
KR101074136B1 (ko) 폐합거푸집 및 경사지지 구조를 이용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바닥판-가로보 일체형 세그먼트 경사타설 제작방법
KR200405459Y1 (ko) 면귀 이동식 철재 거푸집
CN110219323A (zh) 一种用于软土地基中的抗浮桩结构及其丰水期施工方法
JP2001140221A (ja) 張出床版の補修工法及び型枠の支持構造
CN214089952U (zh) 一种桥梁加固基础
JP2003213611A (ja) 道路橋継目部の構造、道路橋継目部への伸縮継手の施工方法、並びに道路橋継目部の補修方法
JP6735628B2 (ja) 補強土壁の部分補修方法
CN110778110B (zh) 双曲面斜交网格混凝土构件镂空结构处封堵板的后浇方法
KR101025019B1 (ko) 가설벤트를 이용한 쉬트파일 합성 rc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20110123453A (ko) 교각 보강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