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342B1 -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보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 - Google Patents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보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342B1
KR100868342B1 KR1020070024492A KR20070024492A KR100868342B1 KR 100868342 B1 KR100868342 B1 KR 100868342B1 KR 1020070024492 A KR1020070024492 A KR 1020070024492A KR 20070024492 A KR20070024492 A KR 20070024492A KR 100868342 B1 KR100868342 B1 KR 10086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upper plate
plate
top plate
fu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3813A (ko
Inventor
최만석
Original Assignee
(주)영광산업개발
(주)엘림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광산업개발, (주)엘림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영광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07002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34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 방법에 있어서, 교량의 상부구조물 이음부에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해체 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축이음장치의 기설치 시에 타설한 후타재의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및 상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신축이음장치 상판(10)의 도로 폭 방향으로 양측단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후타재(140) 타설로 인해 내부를 채워지게 하여 상판(10)을 이음부에 강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40)과, 상판(10)의 다른 양측단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상판(10)을 추가로 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50)과, 상판(1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판의 양측부에 전달되는 상부구조물(100) 이음부의 변위 및 하중을 완충하는 탄성부재(30) 및 상기 상판(10)의 상단면에 다수 개 이격 형성되어 앵커볼트(110) 삽입을 통해 상단면이 천공된 선 설치된 상판(10a)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삽입공(60)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상판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교량조인트, 아스팔트, 후타설재

Description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보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expansion jointing unit for without concrete breaking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볼트삽입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신축이음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시공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10a :상판 20: 플레이트
30: 탄성부재 40: 걸림홈
50: 연결수단 60: 볼트삽입공
100: 상부구조물 110: 앵커볼트
120: 앵커볼트
본 발명은 교량 상부구조의 이음부를 보수 보강하여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어지는 신축이음장치 보수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보수 또는 아스팔트 포장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에 있어서,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상부에 아스팔트를 시공하고, 상기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상부만 일부 파쇄하여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해체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며, 상기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 시공 시에 타설한 후타재를 파쇄하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상판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기존에 형성된 신축이음장치와 교체시공 되는 신축이음장치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기 설치‘ 및 ‘기 시공‘ 의 표현을 사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이음장치는 온도신축, 크리프, 건조수축, 활하중에 의한 변위 또는 지점침하 혹은 지진과 같은 예기치 못한 변위 등에 의한 교량 상부의 이동 및 회전을 수용하여 차량의 원활한 주행성과 불연속부의 방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며 더 나아가 교량의 기능성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신축이음장치를 교체 시공하기 위한 종래에 방법에 의하면,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지면위에 아스팔트를 포장하고, 양생시킨 후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아스팔트와 후타재를 파쇄하고,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해체시킨 후, 새로운 신축이음장치를 새로이 설치하는 과정을 필요로 했다.
이러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 시공 과정에서는 콘크리트 후타재를 파쇄 하는 공정으로 인해 구조물에 악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으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려 시공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후타재 폐기물과 해체되는 신축이음장치를 처리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
상하면 및 후타재와 결합되는 접지면과 교량사이의 연결면의 길이에 따라 본 발명 상판을 연결하여 길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면으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신축이음장치의 상판(10)에 있어서 상하면을 관통하여 볼트삽입공(60)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10)에 있어 상판 고정 후 후타재 타설 시 보수 연결되는 교량의 양측면과 각각 접하는 플레이트(20)의 접지면에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걸림홈(40)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양측 도로 또는 교량의 연결면의 길이에 따라 상기 상판을 연결하여 상판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판연결면에 연결구(5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또는 교체 시공 시,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해체하지 않고 상판을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 상판의 상부에 설치하도록 하여, 신축이음장치의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해체할 필요가 없으며, 기 설치 시에 타설된 후타재를 파쇄하지 않고 작업이 가능한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및 상판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및 상판에 의하면, 본 발명 신축이음장치 상판(10)의 고정 후 후타재 타설 시 연결되는 양측면의 교량과 각각 접하는 플레이트(20)의 양측 접지면에 후타재 타설 시 강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40)을 구성하고, 접하는 교량 양측부의 연결면의 길이에 따라 상기 상판을 연결하여 상판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판연결면에 연결구(50)와, 상판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판을 통해 전달되는 상부구조물 이음부의 변위 및 하중을 완충하는 탄성부재(30) 및 상기 상판의 상하단면으로 관통하여 구성되고 다수 개 이격 형성되어 앵커볼트 삽입을 통해 하면부의 구조물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볼트삽입공(60)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볼트삽입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신축이음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시공순서를 나타낸 순 서도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 상판(10)에 따르면, 상판(10)의 몸체를 형성하는 양측의 플레이트(20)와, 상기 상판(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탄성부재(30)로 대분 구성되어 지며, 상기 플레이트(20)는 후타재 타설 시 양측면의 교량과 각각 접하는 플레이트(20)의 양측 접지면에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걸림홈(40)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양측교량의 연결면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본발명 상판(10)을 연결하여 상판(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판연결면에 연결구(50) 및 상하단면으로에 볼트삽입공(60)을 관통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2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강재로 구성되며, 중앙부의 탄성부재(30)를 매개로 상기 탄성부재(30)의 양측단부에 결착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0)의 양측단면부에는 걸림홈(40)이 형성되어 후타재 타설시 걸림홈(40)에 의해 결합력이 높아 질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판(10)이 상호 연결되는 측면으로 연결수단(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0)의 상하단면을 관통하여 볼트삽입공(60)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양측단면이 플레이트(20)를 지지하여 상기 플레이트(20)에서 전해지는 충격 또는 변위를 일부 수용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중공부(30a)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홈(4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교량의 양측연결면과 후타재에 의해 결합되는 양측 플레이트(20)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신축이음장치 설치 시, 도 6,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20)의 외측에 형성되는 뒤채움부(130)에 후타재(140a)를 타설할 시 상기 걸림홈(40)에 채워지게 타설하여 상부구조물(100)과 강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구(5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 또는 도로의 양측 연결면의 길이에 맞추어 신축이음장치 상판(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서는 상호 연결홈(50b)과 연결돌기(54a)를 대응되게 각각 형성하여, 본발명 신축이음장치 상판(10)들을 연결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볼트삽입공(6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20)의 상하단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도 6, 7과 같이 앵커볼트(110)를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상판(10)을 기 설치된 상판(10a)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볼트삽입공(60)의 천공 시에는,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태핑작업을 통하여 볼트삽입공(60)의 내면부에 나사산(112)을 형성하여 앵커볼트(110)로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다른 측면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교량 상부구조물(100)의 도로 지면에 아스팔트(120)를 덮어 포장한 후, 신축이음장치를 교체시공 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 5 및 도 6, 도 9에서 보는바와 같이 도로 지면을 아스팔트로 포장하는 단계(S10);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상판(10a)이 노출되도록 아스팔트를 파쇄 하고,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 상판(10a)의 상단면에 볼트삽입공(60a)을 천공하고, 상기 천공된 볼트삽입공(60a)에 실란트를 주입하는 단계(S20); 상기 기 설치된 신축이음 상판(10a)의 상단부에 상기한 본 발명의 상판(10)을 앵커볼트(110)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S30) 및; 뒤채움부(130)에 후타재(140a)를 주입하여 타설하는 단계로(S40);로 구성되는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 상판(10a)이 지면에 노출되도록 아스팔트(120)를 파쇄 하고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 상판(10a)을 천공하고, 천공된 신축이음 장치 상판(10a)의 볼트삽입공(60a)에 실란트를 주입하는 단계(S20);에서는 아스팔트(120)를 파쇄 함에 있어서, 도로 양측끝단부에 돌출되는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상판(10a)의 위치를 파악하고 재 설치되는 상판(10)이 정확하게 기 설치된 상판(10a)의 상부에 놓일 수 있도록 재단한 후 아스팔트(120)를 파쇄하며, 파쇄 되는 아스팔트(120)의 너비는 재 설치되는 상판(10)의 너비보다 소정간격 넓게 파쇄 하여 상판(10)을 체결 후 후타재(140a)를 타설할 수 있는 뒤채움부(130)를 형성한다. 또한, 기 설치된 상판(10a)의 천공 시에는 재 설치되는 본발명 상판(10)의 볼트삽입공(60)과 동일한 위치와 간격을 가지도록 태핑작업을 통하여 내경부에 나사산(112)이 구비되는 볼트삽입공(60a)을 형성한다.
상기 기 설치된 신축이음 장치 상판(10a)의 볼트삽입공(60a)에 실란트를 주입하는 과정은 삽입공(60a)과 앵커볼트(110)의 결합력을 높이고 누수방지의 역할을 하기 위한 과정이다.
상기 기 설치된 신축이음 상판(10a)의 상단부에 상판(10)을 올려놓고 앵커볼트(110)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S30)는 교량 또는 도로의 양측 연결면 사이에 본발명 상판(10)의 연결면에 형성된 연결구(50)을 서로 결합하여 다수개의 상판(10)을 연결하여 상기 교량 또는 도로의 양측 연결면 사이의 길이만큼 연결구성하여 기 설치된 상판의 상단부에 안착시키고,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재 설치되는 상판의 볼트삽입공(60)과 이전 단계에서 천공한 선 설치된 상판(10a)의 볼트삽입공(60a)을 일치시키고 앵커볼트(11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뒤채움부(130)에 후타재(140a)를 주입하여 타설하는 단계(S40)는 이전 단계에서 파쇄 하여 형성한 상판(10)의 좌우양단에 형성된 뒤채움부(130)에 무수축 후타재(140a)를 채워 넣어 타설하며, 이때 상판(1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40)에 후타재(140a)가 채워지게 되어 양생한 후 더욱 강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및 상판의 구조에 의하면 아스팔트(120) 포장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 시, 선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해체할 필요 없이 본 발명 상판(10)만 추가로 설치하면 되므로,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해체와, 후타재(140)를 파쇄 하는 작업이 불필요한 것이다.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스팔트 포장 후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시공 시에,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해체 할 필요가 없으며, 후타재를 파쇄 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속도가 빠르고, 인력의 소모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며, 신축이음장치와, 후타재의 파쇄 시 교량 구조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발생되는 폐기물의 처리비용의 발생을 막을 수 있으므로 그 효과가 매우 큰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5)

  1. 교량 상부구조의 이음부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어지는 신축이음장치의 상판에 있어서,
    상하면 및 후타재와 결합되는 접지면과 교량 또는 도로 사이의 연결면의 길이에 따라 상판(10)을 연결하여 길이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판연결면으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신축이음장치의 상판(10)을 구성하되, 상하면을 관통하여 볼트삽입공(60)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10)에 있어 상판 고정 후 후타재 타설 시 양측면의 교량과 각각 접하는 플레이트(20)의 양측 접지면에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걸림홈(40)을 형성하며, 접하는 양측교량의 연결면의 길이에 따라 상기 상판(10)을 연결하여 상판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판연결면에 연결구(5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타재 보존 시공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상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40)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며, 상기 상판(10)의 측면과 아스팔트(120) 사이에 형성된 뒤채움부(130)에 후타재(140a) 타설 시, 후타재(140a)가 채워지도록 하여, 후타재(140a) 양생 후 강한 결합이 되도록 하는 특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상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50)는 상호 결합되는 상판의 상판접지면에 각각 연결홈(50b)과 연결돌기(50a)를 대응되게 구성하여, 상판(10)을 연결되는 교량 또는 도로의 접지면의 길이에 맞추어 연결하여 결합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상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삽입공(60)은 상판(10)의 상하단 면으로 관통하여 구성하되 다수 개 이격되어 형성되고, 앵커볼트(110)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내경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상판
  5. 도로 아스팔트 포장 후 신축이음장치의 재 설치방법에 있어서,
    (a) 도로 지면을 아스팔트로 포장하는 단계(S10);
    (b)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상판(10a)이 노출되도록 아스팔트를 파쇄 하고 기 설치된 신축이음장치 상판(10a)의 상단면에 볼트삽입공(60a)을 천공하고, 천공된 신축이음 장치 상판(10a)의 볼트삽입공(60a)에 실란트를 주입하는 단계(S20);
    (c) 상기 선 설치된 신축이음 상판(10a)의 상단부에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의한 상판(10)을 앵커볼트(110)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S30);
    (d) 뒤채움부(130)에 후타재(140a)를 주입하여 타설하는 단계로(S40);로 구성되는 후타재 보존 시공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KR1020070024492A 2007-03-13 2007-03-13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보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 KR10086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492A KR100868342B1 (ko) 2007-03-13 2007-03-13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보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492A KR100868342B1 (ko) 2007-03-13 2007-03-13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보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813A KR20080083813A (ko) 2008-09-19
KR100868342B1 true KR100868342B1 (ko) 2008-11-12

Family

ID=4002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492A KR100868342B1 (ko) 2007-03-13 2007-03-13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보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535B1 (ko) * 2020-04-13 2020-11-20 (주)우신건설산업 교체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교체방법
KR102181539B1 (ko) * 2020-04-13 2020-11-20 (주)우신건설산업 교체가 용이한 슬라브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교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947B1 (ko) * 2020-12-11 2021-10-06 이두성 신축이음장치 연결부 누수를 최소화시킨 신축이음장치 및 시공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5115A2 (en) * 1983-01-31 1984-08-08 Frank Anton Braun Expansion joint
KR19980019485A (ko) * 1998-03-20 1998-06-05 김희천 신축형 철도 교량 이음구 및 그를 이용한 철도 교량이음부의 시공방법(the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region of railroad connection and bridge structure of railroad connection)
KR100399278B1 (ko) 2000-06-22 2003-09-26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0399279B1 (ko) 2000-06-22 2003-09-26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0399277B1 (ko) 2000-06-22 2003-09-26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30077683A (ko) * 2002-03-26 2003-10-04 금초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장치 및 설치방법
KR200333765Y1 (ko) 2003-08-08 2003-11-21 주식회사 한국피엔알건설 구조물 틈새 이음 구조
KR20060111215A (ko) * 2005-04-22 2006-10-26 (주)이알테크 교량용 신축 조인트 및 그 조립식 공법
KR20070000971A (ko) * 2006-01-20 2007-01-03 김효식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5115A2 (en) * 1983-01-31 1984-08-08 Frank Anton Braun Expansion joint
KR19980019485A (ko) * 1998-03-20 1998-06-05 김희천 신축형 철도 교량 이음구 및 그를 이용한 철도 교량이음부의 시공방법(the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region of railroad connection and bridge structure of railroad connection)
KR100399278B1 (ko) 2000-06-22 2003-09-26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0399279B1 (ko) 2000-06-22 2003-09-26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0399277B1 (ko) 2000-06-22 2003-09-26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30077683A (ko) * 2002-03-26 2003-10-04 금초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장치 및 설치방법
KR200333765Y1 (ko) 2003-08-08 2003-11-21 주식회사 한국피엔알건설 구조물 틈새 이음 구조
KR20060111215A (ko) * 2005-04-22 2006-10-26 (주)이알테크 교량용 신축 조인트 및 그 조립식 공법
KR20070000971A (ko) * 2006-01-20 2007-01-03 김효식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535B1 (ko) * 2020-04-13 2020-11-20 (주)우신건설산업 교체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교체방법
KR102181539B1 (ko) * 2020-04-13 2020-11-20 (주)우신건설산업 교체가 용이한 슬라브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 교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813A (ko)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7391B (zh) 一种易于震后修复及耐腐蚀的自定心桥墩结构
JP6908988B2 (ja) プレキャスト構造部材と経時硬化材の連結構造の構築方法
KR102061224B1 (ko) 상하분리형 프리캐스트 암거 박스 및 그 시공 방법
JP2009041227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2004124617A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KR20150057581A (ko) 프리캐스트 슬래브용 단차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시공방법
KR100868342B1 (ko) 후타재 보존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보수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상판
JP2006104747A (ja) 脚柱の接合部構造および接合方法
CN112942945A (zh) 一种装配式榫卯牛腿型梁柱节点连接装置
KR101287489B1 (ko) 유간 보정이 가능한 신축 이음장치
KR100927188B1 (ko) 전단연결재가 구비된 콘크리트 거더와 섬유강화플라스틱합성바닥판의 연결구조 및 연결시공방법
KR102486675B1 (ko) Pc 슬래브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량
JP2013159953A (ja) 橋梁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床版端の継手構造
KR20200081951A (ko)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904387B1 (ko)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
KR101531148B1 (ko) 기계식 신축이음장치가 배제되는 교량 보수방법
JP3810759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による既設下部構造物の縁端拡幅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758878B1 (ko) 거더와 바닥판 일체형 거더 조립체를 이용한 교량의 교체시공방법
JP4924967B2 (ja) 塔状構造体
KR101424347B1 (ko) 신·구 콘크리트 접합용 전단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신·구 콘크리트 접합방법
KR20210001147U (ko) 철골 구조물용 전단 연결재 및 이를 구비하는 교량 구조물
JP3065931B2 (ja) 鋼道路橋の伸縮継手支持体及び鋼道路橋における伸縮継手の施工方法
CN112942946A (zh) 一种装配式榫卯牛腿型梁柱节点连接方法
US8087211B2 (en) Composite anchor bol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JP2006233584A (ja) 桁橋の架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