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184B1 -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184B1
KR102630184B1 KR1020230100234A KR20230100234A KR102630184B1 KR 102630184 B1 KR102630184 B1 KR 102630184B1 KR 1020230100234 A KR1020230100234 A KR 1020230100234A KR 20230100234 A KR20230100234 A KR 20230100234A KR 102630184 B1 KR102630184 B1 KR 102630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ember
member coupling
member support
pillar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솔구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솔구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솔구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30100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인트 부재 지지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지반을 굴착하여 구덩이를 형성하는 지반 굴착 단계; 상기 지반 굴착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구덩이에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를 삽입하는 조인트 부재 지지부 삽입 단계; 상기 구덩이에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를 삽입한 후 시멘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구덩이를 타설하되,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을 넘지 않는 높이까지 타설하여 타설부를 형성하는 타설 단계; 상기 타설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타설부를 경화시키는 타설부 경화 단계; 타설부 경화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에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체결하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 체결 단계; 및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와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의 체결이 완료되고 모듈의 기둥을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에 삽입하는 모듈 기둥 삽입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OINT MEMBER FOR MODULAR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듈러 건축 시 사용되는 기둥 및 보를 서로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로 모듈을 구현할 수 있는 연결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듈러 건축 시스템은 공장에서 모듈을 제작하고 현장에서 단위 모듈을 조립하는 혁신적인 공법이다. 건식공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전천후 시공이 가능하고 자원의 재사용 및 단위 모듈을 이용한 증개축이 용이하다.
또한, 모듈러 건축 시스템은 주로 강재로 제작되었으나 탄소저감, 다양한 공학 목재의 개발과 보급으로 인해 목재를 활용한 모듈러 건축 시스템도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듈러 건축에 있어서, 모듈자체는 구조해석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으나, 모듈과 기초의 연결부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며, 관련하여 효율적이며 신뢰성을 확보한 조인트 부재가 개시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모듈러 건축의 하부를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는 모듈을 제대로 장착하거나 지탱하기에 열악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기초와 접합부 공사만 잘 이루어진다면 상부 모듈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상부 모듈의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안정성과 신뢰성이 확보되고, 작업에 효율적인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및 적절한 시공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듈러 건축 시 사용되는 기둥 및 보와 결합하되, 안정적이며, 설치 작업에 효율적인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반에 고정되는 조인트 부재 지지부; 및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에 체결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기둥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형태의 조인트 부재 결합부; 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지반을 굴착하여 구덩이를 형성하는 지반 굴착 단계; 상기 지반 굴착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구덩이에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를 삽입하는 조인트 부재 지지부 삽입 단계; 상기 구덩이에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를 삽입한 후 시멘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구덩이를 타설하되,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을 넘지 않는 높이까지 타설하여 타설부를 형성하는 타설 단계; 상기 타설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타설부를 경화시키는 타설부 경화 단계; 타설부 경화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에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체결하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 체결 단계; 및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와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의 체결이 완료되고 모듈의 기둥을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에 삽입하는 모듈 기둥 삽입 단계; 를 포함하는,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 부재 지지부 및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에 체결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기둥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 형태의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포함하여, 모듈러 건축 시 사용되는 기둥을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를 지반에 설치 후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모듈러 건축 시 사용되는 기둥에 적합한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의 외측 상부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보와 결합하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을 포함하여, 모듈러 건축 시 하부의 구조를 더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의 내측 표면에 돌기가 더 형성되어, 모듈러 건축 시 사용되는 기둥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인트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단' 또는 '하단'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단'이 '하단'을 의미할 수도 있고, '하단'이 '상단'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인트 부재(10)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 및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는 지반에 고정되되, 시멘트 혼합물로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 주변을 타설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 형태이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기둥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의 형태는 사각기둥, 육각기둥, 다각기둥 및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가 상기 기둥을 완전히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을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에 상기 기둥을 끼우면 장착이 끝나므로 설치 작업에 있어서 효율적이다.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는 지반에 단단히 고정된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 상단에 체결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기둥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반에 단단히 고정된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 상단에 다양한 형태의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를 필요에 선택하여, 체결할 수 있어, 상기 기둥에 맞춰 조인트 부재(10)를 전부 교체할 필요 없이, 상황에 맞게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에 효율적이다.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의 외측 상부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는 측면에 인접한 구조물, 예를 들어 보를 결합시켜,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와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를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러 건축물의 하단을 안정적인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110)이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 상부에 위치하여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110)에 결합한 상기 구조물 예를 들어 상기 보가 지면에 닿지 않아, 상기 구조물의 손상이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인트 부재(10)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 및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는,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의 상단에 평판 형태로 고정되어 형성되되,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 상단의 면적보다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210)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210)에 안정적으로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가 안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의 하단에 평판 형태로 고정되어 형성되고,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의 하단 면적보다 보다 넓은 면적을 갖되,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21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 하단 체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210)과 조인트 부재 결합부 하단 체결판(120)이 서로 안정적으로 맞닿아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210)은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210)에 상부로 수직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0)는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의 상단 면적 범위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 부재 결합부 하단 체결판(120)은 돌출부(2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돌출부(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인트 부재 결합부 하단 체결판 통공(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인트 부재 결합부 하단 체결판 통공(미도시)은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의 하단 면적 범위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 부재 결합부 하단 체결판(120)을 포함하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와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210)을 포함하는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를 서로 체결시킨 후, 돌출부(220)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300)를 이용하여 조인트 부재 결합부 하단 체결판(120)을 포함하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와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210)을 포함하는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가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체결할 수 있다.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210)은 돌출부(220) 부분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항하여 물리적으로 보강하기 위하여,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돌출부 지지 기둥(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0)와 돌출부 지지 기둥(221)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20)의 하부가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210)을 관통하여 돌출부 지지 기둥(221)과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돌출부(220) 부분에 하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돌출부 지지 기둥(221)이 대항하여 힘을 받쳐줄 수 있으며, 돌출부(220)에 가해지는 충격 등 외력을 돌출부 지지 기둥(221)이 분산시켜 외력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의 외측 상부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의 외측 상부 측면에 수직으로 판형의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110)과 결합하는 인접한 구조물과 결합에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는 측면에 인접한 상기 구조물, 예를 들어 보를 결합시켜,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와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를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러 건축물의 하단을 안정적인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110)이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 상부에 위치하여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110)에 결합한 상기 구조물 예를 들어 상기 보가 지면에 닿지 않아, 상기 구조물의 손상이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a)를 참조하면,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 내부 공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는 실린더 형태이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인 조인트 부재 결합부 내부 공간(130)을 포함하고,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 상단에 조인트 부재 결합부 내부 공간(130)이 외부로 열려 있어, 조인트 부재 결합부 내부 공간(130)에 기둥이 삽입될 수 있도록 조인트 부재 결합부 삽입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에 상기 기둥을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 (b)를 참조하면,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 내부 공간(130)의 내측 표면에 돌기(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돌기(140)는 규칙 또는 불규칙한 패턴을 같은 요철(bumb, irregularities)일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포(샌드페이퍼, sandpaper)와 같은 거친 표면을 갖도록 돌기(140)가 상기 내측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인트 부재 결합부 내부 공간(130)에 기둥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내측 표면에 형성된 돌기(140)에 의하여 마찰이 형성되어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와 상기 기둥이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러 건축물의 기둥이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140)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 내부 공간(130)의 내측으로 인입 후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돌기(140)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 내측벽에 밀착한 상태로 제공되어 기둥의 삽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기둥의 삽입이 완료되면 돌기(140)가 조인트 부재 결합부 내부 공간(130)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기둥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러 건축물의 기둥이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돌기(140)가 기둥을 가압하는 방법으로, 지렛대 원리가 적용되거나 또는 별도의 유압장치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가압하면 돌기(140)가 내측으로 돌출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둥 A 및 기둥 B의 위치에 맞도록 조인트 부재(10a, 10b)를 설치할 수 있다.
기둥 A 및 기둥 B의 위치에 맞춰 지반에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a, 200b)의 높이에 대응되는 깊이로 굴착을 하여 구덩이를 형성하고, 상기 구덩이에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a, 200b)를 삽입한다. 이후,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a, 200b) 주변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타설하여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a, 200b)를 상기 시멘트 혼합물로 고정하되, 상기 시멘트 혼합물의 타설 높이가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a, 200b)의 상단을 넘지 않도록 타설하여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a, 200b)에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a, 100b)가 결합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상기 시멘트 혼합물이 모두 경화된 후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a, 100b)를 조인트 부재 지지부(200a, 200b) 상단에 체결하여 고정시킨 후 기둥 A 및 기둥 B를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a, 100b)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모듈러 건축물의 기둥 A 및 기둥 B을 손쉽게 지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조인트 부재(10a, 10b)의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a, 100b)에 형성된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110a)와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110b)에 결합되는 보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a)와 조인트 부재 결합부(100b)를 더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러 건축물을 받치는 조인트 부재(10a, 10b)가 구조적으로 더 견고하게 형성되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지반 굴착 단계(S10), 조인트 부재 지지부 삽입 단계(S20), 타설 단계(S30), 타설부 경화 단계(S40), 조인트 부재 결합부 체결 단계(S50) 및 모듈 기둥 삽입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반 굴착 단계(S10)는 조인트 부재 지지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지반을 굴착하여 구덩이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지반을 굴착하여 상기 구덩이를 형성하는 위치는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 기둥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미리 선정하여 굴착을 진행할 수 있다.
조인트 부재 지지부 삽입 단계(S20)는 지반 굴착 단계(S10)에서 형성된 상기 구덩이에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의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이 상부를 향하도록 삽입한다.
타설 단계(S30)는 상기 구덩이에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를 삽입한 후 시멘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구덩이에 타설하여 타설부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시멘트 혼합물은, 시멘트와 보강재를 섞은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멘트 혼합물은 시멘트와 모래를 섞은 모르타르, 시멘트와 모래 및 자갈을 섞은 콘크리트 및 시멘트와 금속 보강재를 섞은 시멘트 복합체가 적용될 수 있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시멘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구덩이를 타설할 때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을 넘지 않는 높이까지 타설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이 상기 시멘트 혼합물에 의해 덮이지 않도록 타설하여,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에 조인트 부재 결합부가 결합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타설부 경화 단계(S40)는 타설 단계(S30)가 완료된 후 상기 타설부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시멘트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상기 타설부가 경화되어 단단하게 굳을 때 까지 양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조인트 부재 결합부 체결 단계(S50)는 타설부 경화 단계(S40)가 완료된 후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에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타설부 경화 단계(S40)가 완료된 후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가 지반에 단단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안정적으로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에 체결할 수 있다.
모듈 기둥 삽입 단계(S60)는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와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의 체결이 완료되고 상기 모듈러 건축물의 상기 모듈 기둥을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에 삽입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 기둥을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에 삽입하는 과정으로 결합이 완료되어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모듈 기둥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러 건축물을 설치함에 있어 편의성 및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모듈 기둥 삽입 단계(S60)가 완료된 후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에 형성된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에 구조물, 예를 들어 보 또는 빔을 장착하여 복수개의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서로 연결 및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러 건축물의 하단을 안정적인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0 : 조인트 부재
100 : 조인트 부재 결합부
110 :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
120 : 조인트 부재 결합부 하단 체결판
130 : 조인트 부재 결합부 내부 공간
131 : 조인트 부재 결합부 삽입구
140 : 돌기
200 : 조인트 부재 지지부
210 :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
220 : 돌출부
221 : 돌출부 지지 기둥
300 : 체결 부재

Claims (3)

  1.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있어서,
    조인트 부재 지지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지반을 굴착하여 구덩이를 형성하는 지반 굴착 단계;
    상기 지반 굴착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구덩이에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를 삽입하는 조인트 부재 지지부 삽입 단계;
    상기 구덩이에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를 삽입한 후 시멘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구덩이를 타설하되,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을 넘지 않는 높이까지 타설하여 타설부를 형성하는 타설 단계;
    상기 타설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타설부를 경화시키는 타설부 경화 단계;
    타설부 경화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에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체결하는 조인트 부재 결합부 체결 단계;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와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의 체결이 완료되고 모듈의 기둥을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에 삽입하는 모듈 기둥 삽입 단계; 및
    모듈 기둥 삽입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의 외측 상부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조인트 부재 결합부 측면 체결판에 구조물을 장착하여, 복수개의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서로 연결 및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설 단계의 상기 시멘트 혼합물은 시멘트 및 보강재의 혼합물이되, 상기 보강재는 모래, 자갈 및 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 적용되고,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 체결 단계에서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에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를 체결할 때, 상기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에 형성된 조인트 부재 지지부 상단 체결판과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 체결부 하단에 형성된 조인트 부재 결합부 하단 체결판이 서로 맞닿아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모듈 기둥 삽입 단계에서, 모듈의 기둥을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에 삽입할 때, 상기 조인트 부재 결합부의 조인트 부재 결합부 내부 공간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상기 모듈의 기둥이 고정되는,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30100234A 2023-08-01 2023-08-01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630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234A KR102630184B1 (ko) 2023-08-01 2023-08-01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234A KR102630184B1 (ko) 2023-08-01 2023-08-01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184B1 true KR102630184B1 (ko) 2024-01-29

Family

ID=8971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234A KR102630184B1 (ko) 2023-08-01 2023-08-01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1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4736A (ja) * 1991-03-28 1993-08-24 Shimizu Corp 地階躯体構築工法
JP2002115323A (ja) * 2000-10-05 2002-04-19 Nippon Steel Corp 鋼製柱脚構造
JP2005299271A (ja) * 2004-04-14 2005-10-27 Elf:Kk 建造物の鉄骨柱立設工法
JP2017075453A (ja) * 2015-10-13 2017-04-20 東急建設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構造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4736A (ja) * 1991-03-28 1993-08-24 Shimizu Corp 地階躯体構築工法
JP2002115323A (ja) * 2000-10-05 2002-04-19 Nippon Steel Corp 鋼製柱脚構造
JP2005299271A (ja) * 2004-04-14 2005-10-27 Elf:Kk 建造物の鉄骨柱立設工法
JP2017075453A (ja) * 2015-10-13 2017-04-20 東急建設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ルト構造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WO2015011641A1 (en) Semi rigid precast wall system
KR100525156B1 (ko) 영구앵커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 구조및 옹벽의 시공방법
KR20080100740A (ko)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KR20190022132A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KR102630184B1 (ko)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630179B1 (ko) 모듈러 건축용 조인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6624797B2 (ja) 杭基礎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杭基礎構造
KR101864173B1 (ko) 원지반 부착식 자연암반형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CN106939616B (zh) 装配式土钉墙钢板结构施工方法
JP3185129B2 (ja) 柱一体型柱脚固定基礎構造並びにその施工方法
JPH0813508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部材及びその接合方法
JP3671344B2 (ja) 基礎杭と柱脚部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146577B1 (ko) 현장 설치가 용이한 터널 지보재의 고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H11310928A (ja) 既存構造物の免震補強工法
JP2980567B2 (ja) 支承装置の交換方法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KR102050170B1 (ko) 건축물의 기초보강 및 인상을 위한 기초하부 증타방법
JP4551663B2 (ja) 杭頭接合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4511080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657628B1 (ko) 강관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1415867B1 (ko) 건축물의 지하구조물 역공사 pc공법
JP4211906B2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敷設構造、およ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敷設方法
JP7290940B2 (ja) 免震装置据付用部材、免震装置架台構造及び免震装置架台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