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094B1 - 수평형 제진기 - Google Patents

수평형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094B1
KR101760094B1 KR1020160166466A KR20160166466A KR101760094B1 KR 101760094 B1 KR101760094 B1 KR 101760094B1 KR 1020160166466 A KR1020160166466 A KR 1020160166466A KR 20160166466 A KR20160166466 A KR 20160166466A KR 101760094 B1 KR101760094 B1 KR 101760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assembly
shaft
extending
drive shaf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to KR102016016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094B1/ko
Priority to PCT/KR2017/014099 priority patent/WO20181059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협잡물을 수평으로 제거하여 협잡물 처리를 위해 동원되는 동력을 감소시키고, 컨베이어나 기타 협잡물 후처리에 필요한 설비를 생략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형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유수통로(11)가 마련된 유수지 구조물(10); 상기 유수통로(1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수통로(11)를 통해 흐르는 유수는 통과시키고 유수 내의 협잡물은 걸러주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터리어셈블리(50); 및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둘러 싸여지는 내측 공간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44)과,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둘러 싸여지는 내측 공간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동축(49)과, 상기 구동축(44)을 구동하는 구동원(41)을 구비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형 제진기{HORIZONTAL TYPE TRASH SKIMMER}
본 발명은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협잡물을 수평으로 제거하여 협잡물 처리를 위해 동원되는 동력을 감소시키고, 컨베이어나 기타 협잡물 후처리에 필요한 설비를 생략하고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형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수로가 우천으로 인해 범람하게 되면 범람된 하천이나 수로는 그 주변에 널려있던 쓰레기를 포함한 각종 협잡물과 뒤섞이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하천이나 수로에는 각종 협잡물이 부유하여 떠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하수처리장이나 취수장과 같이 물을 관리하는 곳에서는 이와 같이 유수에 부유하여 떠다니는 각종 협잡물이 수로를 통해서 반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로의 일측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유수는 흐르도록 하되, 상기 유수에 떠다니는 각종 협잡물은 걸러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스크린에 걸러지는 각종 협잡물은 인력으로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스크린의 일측에 제진기를 설치하여 스크린에 걸려진 각종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치되는 제진기는 유압식, 로터리식, 스텝스크린식, 부상스크린식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대부분 수직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협잡물을 들어올려 제거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그런데 제진기 자체의 하중이 있기 때문에, 중력을 이기며 이를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데에는 많은 동력이 소요된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협잡물을 들어올리더라도, 이를 지상에서 모으고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설비, 가령 컨베이어와 크레인 등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는 제진기 자체뿐만 아니라 지상에 별도의 설비를 갖추어야 하는 부담으로 작용하며, 지상 측에 소정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제진을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다른 방식의 제진기에 비해 로터리식 제진기는 로터리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으로 스크린과 제진의 기능을 동시에 하는 점에서 유리한 점이 있지만, 이는 상하 방향으로 무한 궤도 운전을 하도록 설치해야 중력에 의한 로터리 어셈블리의 처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터리식 제진기를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은 여의치 않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75281호 등록특허공보 제445196호 등록특허공보 제113519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089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제진을 하여 제진을 위해 소요되는 동력을 대폭 감소시킨 수평형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제진을 할 때 로터리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별도의 레이크(rake)나 스크린 없이도 유수통로로부터 협잡물을 거르고 제거할 수 있는 수평형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으로 길게 로터리어셈블리를 설치하더라도 로터리어셈블리가 중력 방향으로 처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로터리어셈블리의 선회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수평형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로 길게 배치되는 로터리어셈블리가 유수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평형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하면서도 가벼운 로터리어셈블리 구조를 가지는 수평형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 전달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동력이 확실히 전달되고, 동력 전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 구성 부품의 마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수평형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진기에 의해 모인 협잡물을 임시 보관하고 간단하게 수거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수평형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수통로(11)가 마련된 유수지 구조물(10); 상기 유수통로(1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수통로(11)를 통해 흐르는 유수는 통과시키고 유수 내의 협잡물은 걸러주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터리어셈블리(50); 및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둘러 싸여지는 내측 공간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44)과,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둘러 싸여지는 내측 공간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동축(49)과, 상기 구동축(44)을 구동하는 구동원(41)을 구비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하는 수평형 제진기를 제공한다.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에는, 유수통로(11)의 상부 측 유수지 구조물 부근에 고정되는 트랙형의 레일(57)과, 상기 레일(57)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바디(58)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57)은 상기 레일(57)의 측면에 고정되는 브래킷(571)을 통해 상기 유수지 구조물 부근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바디(58)의 측면에는 상기 브래킷(571)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형태의 측면개방부(58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바디(58)의 상부에는 상기 레일(57)의 상면과 접하며 회전하는 가이드롤러(58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수통로(11)의 상부 측 유수지 구조물 부근에는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를 덮는 상부프레임(2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20)에는 상기 구동축(44)을 구동하는 구동원(4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는, 수평으로 연장된 형태이고, 상하방향으로 제1간격만큼 이격되며, 양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축홀(54)을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수평연결부(53); 및 제1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부(53)의 전방에서 이들을 연결하며 상하로 연장된 형태의 갈퀴부(55);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1체인(51)과,
수평으로 연장된 형태이고,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1간격보다 좁은 제2간격만큼 이격되며, 양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축홀(54)을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수평연결부(53); 및 제2간격으로 이격된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부(53)의 전방에서 이들을 연결하며 상하로 연장된 형태의 갈퀴부(55);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2체인(52)과,
상기 제1체인(51)의 일측 축홀(54)과 상기 제2체인(52)의 타측 축홀(54)을 마주하도록 하고 상기 제1체인(51)의 타측 축홀(54)과 상기 제2체인(52)의 일측 축홀(54)을 마주하도록 하며 제1체인(51)과 제2체인(52)을 수평방향으로 교호로 배치한 상태에서, 마주하는 축홀(54)들을 함께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샤프트(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체인(51)과 상기 제2체인(52)은 합성수지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축(44)과 종동축(49)에는 상기 스프라켓(46)이 축설되고, 상기 스프라켓(46)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샤프트 간의 간격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홈(47)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56)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홈(47)과 맞물리는 구간에는 롤러링(561)이 외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후방에는 각각 로터리어셈블리(50)가 유수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6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포스트(61), 상기 복수 개의 포스트(61)의 전방에서 상기 복수 개의 포스트(61)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대(62)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대(62)의 높이는 상기 롤러링(561)이 설치된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수지 구조물(10)에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수평방향의 이동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로터리어셈블리(50)의 수평 이동에 의해 이동한 협잡물이 유수지 구조물(10)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70)가 설치되되, 상기 차단부(70)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전반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차단하는 차단판(71,72)과, 상기 차단판(71,72)의 전면에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갈퀴(7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갈퀴부(55)에는 상기 갈퀴(74)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갈퀴(74)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갈퀴홈(55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는 수평방향을 따라 나누어지는 소정의 구간마다 설치되어 나란히 배열되는 제1로터리어셈블리(501)와 제2로터리어셈블리(5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수지 구조물(10)에는 상기 유수통로(11)의 측방으로 협잡물 계류조(12)가 마련되고, 상기 협잡물 계류조(12)의 입구에는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의해 협잡물 계류조(12) 쪽으로 이동된 협잡물을 협잡물 계류조 내부로 모으는 협잡물 모음부재(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협잡물 모음부재(80)는 상기 유수지 구조물(10)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된 힌지(81)에 의해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압실린더(82)의 일측 단부는 상기 협잡물 모음부재(80)와 제1링크힌지(83)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유수지 구조물(10)에 제2링크힌지(84)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82)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협잡물 모음부재(80)가 회동하여 상기 협잡물 계류조(12) 입구 쪽에 위치하는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계류조(12)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방향으로 제진이 이루어지므로 컨베이어 벨트 등의 설비를 통해 제진된 협잡물을 다시 모으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제진을 위해 필요한 설비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진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진을 위해 소요되는 동력이 중력가속도를 이기는 데에 사용되지 아니하여 제진을 위해 소요되는 동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협잡물이 물에 부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협잡물 제거와 수집이 이루어지므로, 협잡물을 수중에서 지상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을 해야 하는 종래의 수직방향 제진 구조에 비해 소요 동력이 현저히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방향으로 제진을 할 때 로터리어셈블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레이크(rake)나 스크린 없이 로터리어셈블리를 설치하고 가끔식 수평방향으로 궤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유수통로로부터 협잡물을 거르고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수통로의 폭이 매우 넓더라도, 유수통로의 폭 방향을 따라 로터리어셈블리가 연장되며 설치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로터리어셈블리를 가지고도 커버할 수 있는 유수통로의 폭이 더욱 넓어지고, 아울러 유수통로의 폭이 더욱 넓다 하더라도 로터리어셈블리를 2개, 3개 직렬로 설치하는 것만으로 넓은 폭의 유수통로를 모두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리어셈블리 상부에 로터리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을 타고 레일에 의해 안내되며 이동하는 가이드바디를 로터리어셈블리 상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수평으로 길게 로터리어셈블리를 설치하더라도 로터리어셈블리가 중력 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레일을 따르는 원활한 선회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도 좌우로 길게 배치되는 로터리어셈블리가 유수의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밀림방지책과 로터리어셈블리가 접촉하더라도 로터리어셈블리가 마모되는 현상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리어셈블리가 가볍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시공은 물론 유지 보수도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단순한 동력 전달구조로도 로터리어셈블리의 선회가 확실히 이루어지며, 동력이 전달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 수평으로 한 곳에 협잡물을 모은 상태에서 이를 간단하게 수거 처리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설비를 갖출 필요가 없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제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제진기가 설치되는 유수지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유수지 구조물에,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제진기를 설치하기 위한 상부프레임과, 수평형 제진기 하부로 협잡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부프레임에 로터리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도 4에는 좌측에 배치된 제1로터리어셈블리와 우측에 배치된 제2로터리어셈블리 중 좌측의 로터리어셈블리를 위한 구동부만이 도시되어 있음),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부를 측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구동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유수지 구조물에, 로터리어셈블리와 차단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도 2의 유수지 구조물에, 로터리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레일과, 유수에 의한 로터리어셈블리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유수지 구조물과 상부프레임에, 레일과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레일에, 가이드바디를 통해 로터리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레일과 가이드바디와 로터리어셈블리의 상단부를 확대한 도면,
도 13은 도 11의 상태에 더하여 구동부가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4는 제1로터리어셈블리와 중간차단판, 그리고 제2로터리어셈블리의 전면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5는 로터리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16은 로터리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 그리고
도 18은 유수지 구조물의 협잡물 계류조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제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제진기가 설치되는 유수지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유수지 구조물에,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제진기를 설치하기 위한 상부프레임과, 수평형 제진기 하부로 협잡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제진기는 유수지 구조물(10)의 유수통로(11) 전방에 설치된다. 유수통로(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수 방향에 대해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유수통로(11)의 일측(도면 상 좌측)에는 협잡물 계류조(12)가 마련되어 있다. 협잡물은 유수 통로에서 수평형 제진기의 로터리어셈블리(50)에 의해 걸러지고, 로터리어셈블리(50)가 수평방향(도면 상 좌측)으로 선회함에 따라, 로터리어셈블리(50) 전방에 걸려 있던 협잡물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협잡물 계류조(12)에 계류된다.
협잡물 계류조(12)에 계류하는 협잡물은 협잡물 모음부재(80)에 의해 한 곳으로 잘 수집되고, 이어서 지브크레인(90)을 통해 물에서 들어내어 협잡물 수거통(91)으로 수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리어셈블리(50)에 걸린 협잡물을 지상으로 들어내지 않고, 수중에 부유한 상태로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협잡물이 수중에서 한쪽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상하방향 제진기와 달리, 지상에 협잡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등의 설비가 필요 없다. 또한 수중에 떠 있는 상태로 협잡물을 일측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협잡물의 부력에 의해 협잡물 자체가 가볍게 되어, 협잡물을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동력이 현저히 줄어든다. 이러한 부력은 대부분이 물에 잠겨 있는 로터리어셈블리(5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므로, 로터리어셈블리를 구동하는데 드는 동력 역시 줄어들게 된다.
유수지 구조물(10)의 유수통로(11) 전방 상부에는, 로터리어셈블리(50)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0)를 설치하기 위한 상부프레임(20)이 설치된다. 상부프레임(20)은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21)와,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전면 상부를 덮는 전면부(22)를 포함하고, 아울러 상기 유수지 구조물(10)과 맞닿으며 고정되는 후면부(23; 도 5 참조)를 포함한다. 즉 상부프레임(20)은 “ㄷ”자 단면을 가지는 금속 플레이트를 뒤집어 엎어 놓은 형태라 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20)의 전면부(22)는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를 통해 협잡물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로터리어셈블리 상부의 구조물(후술할 레일, 가이드바디 등)을 협잡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유수지 구조물(10)의 유수통로(11) 전방 하부에는, 로터리어셈블리(50)의 전방 하부를 덮는 하부프레임(30)이 설치된다. 하부프레임(30)의 전방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31)이 마련되어 있어, 바닥을 타고 오는 협잡물들이 경사면(31)을 타고 올라 로터리어셈블리(50)에 의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로터리어셈블리(50)와 바닥 사이에 있을 수밖에 없는 유격이나 틈새로 협잡물이 통과하는 것을 확실히 차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로터리어셈블리(50)는 수평방향을 따라 선회하며, 유수통로(11)의 폭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2 이상의 로터리어셈블리를 연속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 상 좌측에 제1로터리어셈블리(501)가 설치되고, 우측에는 상기 제1로터리어셈블리(501)에 이웃하며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2로터리어셈블리(502)가 설치된 구조가 예시된다. 다만 이러한 로터리어셈블리의 설치 개수는 유수통로(11)의 폭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로터리어셈블리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마치 하나의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설치 환경에 따라서는 이들이 약간 각도를 가지는 형태, 가령 “>”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로터리어셈블리의 형상을 살펴보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터리어셈블리가 좌우로 긴 직선의 트랙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설치 환경 등에 따라서는 이것이 “)” 형태와 같이 약간 곡면을 이룰 수도 있다.
통상, 로터리어셈블리 자체가 직선형 트랙 형태이고, 복수 개의 로터리어셈블리들 또한 직선형으로 연결된 형태로 배열하는 것이 구조도 간단하고 시공이나 기타 유지관리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유수지의 제반 환경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변경도 충분히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상부프레임에 로터리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도 4에는 좌측에 배치된 제1로터리어셈블리와 우측에 배치된 제2로터리어셈블리 중 좌측의 로터리어셈블리를 위한 구동부만이 도시되어 있음),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부를 측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동부(40)는, 구동원이 되는 구동모터(41), 상기 구동모터(41)를 고정 지지하는 브래킷(42), 상기 구동모터(41)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43), 상기 감속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여 감속기에 의해 감속된 속도로 회전하는 구동축(44),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축설된 스프라켓(46)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부(40)는 상기 구동축(44)과 이격 배치되는 종동축(49)을 포함한다. 종동축에도 역시 스프라켓(46)이 구동축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축설되어 있다.
구동모터(41)는 출력축이 하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20)의 덮개부(21) 상에 설치된다. 구동모터(41)의 하우징은, 상부프레임(20)에 고정된 브래킷(42)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구동모터(41)가 작동할 때 로터리어셈블리(50) 구동 부하에 의해 발생하는 반력을 브래킷(42)으로 충분히 지지해주게 된다.
구동모터(41)의 하부로 연장되는 출력축에는 감속기(43)가 설치된다. 감속기(43)는 시공과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상부프레임(20) 상부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프레임(20)의 덮개부(2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감속기(43)가 설치된 부분의 반대편에는 축수(45)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프레임(20)에 설치된 축수(45) 위치에서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유수지 구조물(10)의 유수통로(11) 바닥 부분에도 축수(45)가 설치된다. 상기 감속기(43)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구동축(44)의 상단부는 상부프레임(20) 저면에 고정된 축수(4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축 지지되고, 상기 구동축(44)의 하단부는 유수통로(11) 바닥에 설치된 축수(45)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 지지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축수(45)는 상부프레임(20)의 상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축(44)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스프라켓(46)이 외삽 축설된다. 본 발명에서는 4개의 스프라켓이 설치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으나, 스프라켓의 개수와 설치 간격은 유수통로(11)의 폭과 높이, 유속 등 설치 환경과 조건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스프라켓(46)은 구동축(44)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축(44)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라켓(46)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샤프트(56)들 사이의 간격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홈(47)이 마련되어 있다. 상하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스프라켓(46)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47)들은, 상하로 배치된 스프라켓(46)들의 외주면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종동축(49) 역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된다. 종동축(49)의 경우, 구동모터(41)와 감속기(43)가 제외되어 있을 뿐, 마찬가지로 축수(45)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스프라켓(46)이 축설된다. 상하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스프라켓(46)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47)들이 원주 상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있음은 구동축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들 스프라켓(46)의 상하방향의 높이 위치는, 후술할 로터리어셈블리(50)의 롤러링(561)의 설치 높이와 대응한다. 따라서 상기 홈(47)은 로터리어셈블리(50)의 롤러링(561)과 맞물리게 된다.
하나의 로터리어셈블리(50)에는 최소한 양단부에 각각 구동축(44)과 종동축(49)이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중간 구간 부분에도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로터리어셈블리의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텐셔너 축과 같은 구조도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동축(44)과 종동축(49)은 로터리어셈블리(50)의 양단부에서 로터리어셈블리 내측에 맞물린다. 이들 구동축(44)과 종동축(49)에 축설된 스프라켓은 원주방향으로 180도 구간에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와 오버랩되며 서로 맞물리게 된다.
도 7은 도 2의 유수지 구조물에, 로터리어셈블리와 차단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로터리어셈블리(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수통로(11)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로터리어셈블리(501)가 좌측에 설치되고, 제2로터리어셈블리(502)가 상기 제1로터리어셈블리의 우측에 연이어 설치된 형태가 예시된다.
로터리어셈블리(50)는 체인(51,52; 도 15 등 참조)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긴 트랙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앞서 설명한 수직의 구동축과 종동축에 스프라켓을 매개로 맞물려 회전한다. 이러한 로터리어셈블리(50)의 구체적인 조립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로터리어셈블리들(501,502) 사이의 틈새에는 중간차단판(71)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로터리어셈블리(501)의 좌측 단부와 유수지 구조물(10) 사이의 틈새에는 종단차단판(72)이 설치된다. 각 차단판(71,72)은 로터리어셈블리의 수평방향 단부에 존재하는 틈새를 통해 협잡물이 통과하거나 걸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70)로서 기능하게 된다. 각 차단판(71,72)은 전면을 바라보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후방향(즉 유수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차단판(71,72)의 평판의 위치와 로터리어셈블리의 전면의 위치는 서로 대응한다.
상기 각 차단판(71,72)은 바(bar) 형상의 고정부(73)에 의해 유수지 구조물(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각 차단판(71,72)의 전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갈퀴(74)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갈퀴(74)는 차단판에서 로터리어셈블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갈퀴(74)는 로터리어셈블리가 선회할 때 로터리어셈블리의 표면에 걸려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협잡물을 자연스럽게 인계 받으며 이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갈퀴(74)는 협잡물을 인계 받는 로터리어셈블리(50) 쪽으로 연장되면 족하며, 그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필요까지는 없다. 가령 종단차단판(72)의 갈퀴(74)는 제1로터리어셈블리(501) 쪽으로만 연장되며, 중간차단판(71)의 갈퀴(74)는 제2로터리어셈블리(502) 쪽으로만 연장된다.
후술하겠지만, 로터리어셈블리(50)의 체인(51,52)에도 협잡물을 이동시킬 때 협잡물을 밀어내는 칼퀴부(5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갈퀴부(55)는 차단판의 갈퀴(74)와 만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로터리어셈블리와 차단부에 따르면, 제2로터리어셈블리(502)에 걸려진 협잡물은 제2로터리어셈블리(502)의 회전에 의해 칼퀴부(55; 도 14, 도 15 등 참조)에 의해 밀려 중간차단판(71)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중간차단판(71)에 다다른 협잡물은 갈퀴부(55)의 갈퀴홈(551)을 통해 오버랩되는 중간차단판(71)의 갈퀴(74)에 의해 인계되며 중간차단판(71)을 지나 다시 제1로터리어셈블리(501)에 다다르게 된다. 제1로터리어셈블리(501)의 선회운동에 의해 협잡물은 다시 종단차단판(72)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종단차단판(72)의 갈퀴(74)에 의해 인계되며, 종국에는 협잡물 계류조(12)에 다다르게 된다. 계류조에 도달한 협잡물은 후술할 협잡물 모음부재(80)에 의해 계류조에 내에 머무르게 된다.
도 9는 도 2의 유수지 구조물에, 로터리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레일과, 유수에 의한 로터리어셈블리의 밀림을 방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도 9에는 유수통로의 좌측 반부에만 이들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우측 반부에도 동일하게 설치됨), 도 10은 유수지 구조물과 상부프레임에, 레일과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레일에, 가이드바디를 통해 로터리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레일과 가이드바디와 로터리어셈블리의 상단부를 확대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도 11의 상태에 더하여 구동부가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로터리어셈블리(50)는 선회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로터리어셈블리의 선회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에 설치되어 로터리어셈블리(50)의 자중을 지탱해주면서 로터리어셈블리(50)의 선회 운동을 원활하게 지지하는 레일(57)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일(57)은 그 단면 형태가 상하로 긴 직사각형 형태이며(도 12 참조), 로터리어셈블리(50)의 무한궤도 형태와 대응하는 트랙 형태를 가진다. 하나의 로터리어셈블리(50)에는 이에 대응하도록 그 상부에 하나의 레일(57)이 설치된다.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종래의 로터리 방식 제진기와 달리, 본 발명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선회하는 로터리 방식의 제진기에는, 상부에만 레일(57)을 설치하더라도 로터리어셈블리(50)의 선회 운동에 아무런 지장이 없다. 오히려 유수지의 바닥에는 다량의 침전물이나 협잡물이 퇴적될 수 있으므로, 바닥 부분에 레일(57)을 설치한다면, 침전물이나 협잡물에 대한 대비 구조, 즉 침전물이나 협잡물이 레일 틈새 등에 끼어들어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차단 구조 등의 대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선회운동하도록 로터리어셈블리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만 레일(57)을 배치한다면, 유수지 바닥의 침전물이나 협잡물들에 대비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 없다{물론 본 발명에 따르면, 유수지 전방에서 바닥으로 흘러 들어오는 협잡물이나 침전물 중 부피가 어느 정도 있는 것들은 하부프레임(30)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 로터리어셈블리(50)에 의해 걸러지며, 이는 레일에 이물질이 끼어드는 것과는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에만 레일(57)이 설치되었을 때,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는 레일(57)에 의해 지지되어 제자리를 유지하지만, 로터리어셈블리(50)의 하부는 유수의 힘을 받아 후방으로 밀릴 수 있는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로터리어셈블리(50)의 후방에 밀림방지책이 설치된다.
밀림방지책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터리어셈블리(50)의 전반부 후방과 로터리어셈블리(50)의 후반부 후방에 각각 지지부재(60)가 설치된다. 지지부재(6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부는 상부프레임(20)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유수통로(11) 바닥에 고정되는 포스트(61)와, 상기 포스트(61)의 전방에서 포스트(61)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형태의 가로대(62)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포스트(61)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가로대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가로대(62)는 포스트(61)의 전방에서 포스트에 고정된다. 이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터리어셈블리(50)가 유수에 밀려 지지부재(60)와 접촉할 때, 로터리어셈블리(50)의 수평방향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로터리어셈블리(50)와 접촉하게 되는 가로대(62)의 배치 높이는 로터리어셈블리(50)의 각 구성 부분 중 접촉 시 가장 부하가 없는 부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전방에 설치된 지지부재(60)의 가로대(62)의 높이는 후술할 로터리어셈블리(50)의 롤러링(561)의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후방에 설치된 지지부재(60)의 가로대(62)의 설치 위치는 그다지 제한이 없으나, 후술할 로터리어셈블리(50)의 수평연결부(53)와 갈퀴부(55) 혹은 갈퀴홈(551)과 마주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포스트와 가로대의 설치 개수와 설치 간격은 유수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레일(57)의 측면에는 브래킷(571)이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571)의 타측 단부는 상부프레임(2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레일(57)의 전반부는 레일의 외측면에서 외향 연장된 브래킷(571)이 상부프레임의 전면부(22)에 고정되고, 레일(57)의 후반부는 레일의 외측면에서 외향 연장된 브래킷(571)이 상부프레임의 후면부(23) 내지 유수지 구조물(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레일의 측면 중 외측면에 브래킷이 연결되는 형태가 예시되어 있으나, 레일의 내측면에 브래킷이 연결되는 형태 역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브래킷(571)이 반드시 전면부(22)나 후면부(23)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덮개부(21) 쪽에도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레일(57)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가이드바디(58)가 설치된다. 가이드바디(58)는 상기 레일(57)을 감싸는 대략 “C”자 형태의 구조로서, 상기 레일(57)의 상면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레일(57)을 따라 이동할 때 마찰력을 줄어줄 수 있고 구름 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582)가 설치되고, 측면에는 상기 레일(57)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레일(57)의 측면에 설치된 브래킷(571)과 간섭되지 않도록 측면개방부(581)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571)의 하부에는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를 고정하는 연결고정부(583)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고정부가 가이드바디(58)의 하부에 마련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로터리어셈블리(50)의 선회 구동에 지장이 없다면 그 위치가 반드시 가이드바디(58)의 하부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레일(57)의 양단부의 곡선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바디(58) 역시 자연스럽게 안내되며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57)과 가이드바디(58)의 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주어진다.
도 13을 참조하여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구동모터(41)의 회전구동은 감속기에 의해 감속되며 구동축에 전달되고, 구동축에 축설된 스프라켓(46)이 회전하며 거기에 감겨져 있는 로터리어셈블리(50)가 회전하게 된다. 로터리어셈블리(50)가 회전할 때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가이드바디(58)는 레일(57)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며 이동하고, 레일과 가이드바디(58) 구조에 의해 로터리어셈블리의 중력방향 처짐이 방지된다. 또한 유수의 저항에 의해 로터리어셈블리의 하부는 뒤쪽으로 밀릴 수 있는데, 이는 로터리어셈블리(50)의 전반부 후방과 후반부 후방에 각각 설치된 지지부재(60)에 의해 밀림이 방지된다.
도 14는 제1로터리어셈블리와 중간차단판, 그리고 제2로터리어셈블리의 전면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5는 로터리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16은 로터리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이다.
로터리어셈블리(50)는 선회방향으로 제1체인(51)과 제2체인(52)이 교호로 배치되며 연결된 형태이며, 상하방향으로는 복수 개의 제1체인(51)이 나란히 배치되고 복수개의 제2체인(52)이 나란히 배치되는 형태이다.
제1체인(51)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수평연결부(53)가 상하로 한 쌍 이격 배치되고, 이들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갈퀴부(55)가 연결됨으로써, 상호 일체로 고정된 형태이다. 갈퀴부(55)는 평평하고 긴 판재 형태로서 상기 수평연결부(53)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고정된다. 이는 협잡물을 밀어주는 부위가 된다.
갈퀴부(55)와 수평연결부(53)가 인접하는 부위에서 로터리어셈블리(50)의 이동방향의 반대 쪽에는 상기 갈퀴부(55)와 수평연결부(53)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갈퀴부(55)를 지지하는 보강리브(552)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552)는 로터리어셈블리가 수평 이동할 때 협잡물에 의해 갈퀴부(55)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상기 갈퀴부(55)를 지지해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갈퀴부(55)의 길이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형태의 갈퀴홈(551)이 마련된다. 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어셈블리가 회전하여 갈퀴부(55)가 차단부(70) 부근에 도달하였을 때 차단부(70)의 갈퀴(74)가 수용되는 홈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갈퀴(74)의 선단부는 로터리어셈블리에 의해 이송되어 온 협잡물이 자연스럽게 차단면 쪽으로 올라탈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평연결부(53)의 양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형태의 축홀(54)이 마련된다.
한편, 제2체인(52)은 제1체인(51)과 대비하여, 수평연결부(53)가 상하로 이격된 거리가 제1체인(51)보다 좁은 점을 제외하고는 형상과 치수가 제1체인(51)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체인(51)과 제2체인(52)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때 제2체인(52)의 두 수평연결부는 제1체인의 두 수평연결부 내측에 수용된다. 이렇게 두 체인의 수평연결부(53)의 단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하며 그 축홀(54)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홀(54)을 통해 샤프트(56)가 삽입된다. 샤프트(56)의 외경은 축홀(54)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서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1체인(51)과 제2체인(52)은 자연스럽게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구간 중, 앞서 설명한 스프라켓(46)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 구간에는 샤프트(56)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지는 샤프트 홀(562)이 마련된 롤러링(561)이 외삽된다. 롤러링(561)의 내주면에는 부싱 처리가 되어 샤프트(56)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이웃하는 두 제1체인(51) 사이 구간에 롤러링(561)이 설치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롤러링(561)은 제2체인(52)의 두 수평연결부(53)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롤러링(561)은 스프라켓(46)의 홈(47)에 맞물리며 동력을 전달받아 로터리어셈블리(5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롤러링(561)이 로터리어셈블리(50)의 전반부 쪽에 위치할 때, 로터리어셈블리가 유수에 의해 뒤로 밀리면서 상기 지지부재(60)의 가로대(62)와 접촉하더라도, 롤러링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가로대(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로터리어셈블리(50)의 수평 이동을 이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체인(51)과 제2체인(52)은 강도가 높은 플라스틱 즉 합성수지의 사출 성형으로 제작 가능하다. 체인이 금속재질이 아니라 하더라도, 복수 개의 체인들이 그물처럼 얽혀 있는 본 발명의 로터리어셈블리 구조에서, 합성수지제의 체인 강도는 충분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진 작업 시 로터리어셈블리가 선회함에 있어서, 로터리어셈블리의 대부분이 물에 잠겨 있기 때문에 부력에 의해 자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고, 로터리어셈블리에 의해 수거되며 이동하는 협잡물 역시 물에 잠긴 채로 이동하므로 부력에 의해 자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의 저항을 적게 받도록 로터리어셈블리를 천천히 선회하기만 하면, 로터리어셈블리의 각 체인들에 작용하는 외력은 크지 않다. 또한 자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아 레일(57)의 가이드바디(58)에 가해지는 하중도 그다지 크지 않아 가이드바디와 레일 사이의 마찰력 역시 낮은 수준이 유지된다.
도 18은 유수지 구조물의 협잡물 계류조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로터리어셈블리(50)가 구동부(40)에 의해 구동되어 협잡물이 협잡물 계류조(12)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협잡물 모음부재(80)가 힌지(81)를 기준으로 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며 상기 협잡물을 협잡물 계류조 안쪽으로 확실히 밀어 넣어주게 된다. 상기 협잡물 모음부재(80)는, 양단이 각각 제1링크힌지(83)로 협잡물 모음부재(80)에 연결되고 제2링크힌지(84)로 유수지 구조물(10)에 연결된 유압실린더(82)의 신축 작동에 의해 도면 상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협잡물을 협잡물 계류조(12) 안쪽으로 확실히 모으게 된다.
협잡물이 협잡물 계류조(12)에 어느 정도 찬 상태에서, 협잡물 모음부재(80)는 최대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8에 도시된 점선 부분까지 이동함으로써 협잡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협잡물 계류조(12)에 가둬두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지브크레인(90) 등의 수거 수단을 이용해 협잡물을 들어 올리고 근방에 있는 협잡물 수거통(91)에 수집하면 협잡물의 제거와 수집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유수지 구조물
11: 유수통로
12: 협잡물 계류조
20: 상부프레임
21: 덮개부
22: 전면부
23: 후면부
30: 하부프레임
31: 경사면
40: 구동부
41: 구동모터(구동원)
42: 브래킷
43: 감속기
44: 구동축
45: 축수
46: 스프라켓
47: 홈
49: 종동축
50: 로터리어셈블리
501: 제1로터리어셈블리
502: 제2로터리어셈블리
51: 제1체인
52: 제2체인
53: 수평연결부
54: 축홀
55: 갈퀴부
551: 갈퀴홈
552: 보강리브
56: 샤프트
561: 롤러링
562: 샤프트홀
57: 레일
571: 브래킷
58: 가이드바디
581: 측면개방부
582: 가이드롤러
583: 연결고정부
60: 지지부재
61: 포스트
62: 가로대
70: 차단부
71: 중간차단판
72: 종단차단판
73: 고정부
74: 갈퀴
80: 협잡물 모음부재
81: 힌지
82: 유압실린더
83: 제1링크힌지
84: 제2링크힌지
90: 지브크레인
91: 협잡물 수거통

Claims (13)

  1. 유수통로(11)가 마련된 유수지 구조물(10);
    상기 유수통로(1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수통로(11)를 통해 흐르는 유수는 통과시키고 유수 내의 협잡물은 걸러주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터리어셈블리(50); 및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둘러 싸여지는 내측 공간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44)과,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둘러 싸여지는 내측 공간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동축(49)과, 상기 구동축(44)을 구동하는 구동원(41)을 구비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하는 수평형 제진기로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에는,
    유수통로(11)의 상부 측 유수지 구조물 부근에 고정되는 트랙형의 레일(57)과,
    상기 레일(57)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에 고정되는 가이드바디(58)가 마련되고,
    상기 레일(57)은 상기 레일(57)로부터 적어도 측방으로 연장되는 브래킷(571)을 통해 상기 유수지 구조물 부근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바디(58)에는 상기 브래킷(571)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형태의 개방부(58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바디(58)의 상부에는 상기 레일(57)의 상면과 접하며 회전하는 가이드롤러(58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가이드바디의 측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3. 유수통로(11)가 마련된 유수지 구조물(10);
    상기 유수통로(1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수통로(11)를 통해 흐르는 유수는 통과시키고 유수 내의 협잡물은 걸러주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터리어셈블리(50); 및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둘러 싸여지는 내측 공간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44)과,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둘러 싸여지는 내측 공간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동축(49)과, 상기 구동축(44)을 구동하는 구동원(41)을 구비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하는 수평형 제진기로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는,
    수평으로 연장된 형태이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며, 양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축홀(54)을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수평연결부(53);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체인(51,52)과,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체인을 배열하되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체인들의 일측 축홀(54)과 타측 축홀(54)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마주하는 축홀(54)들을 함께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샤프트(56)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44)과 종동축(49)에는 스프라켓(46)이 축설되고,
    상기 스프라켓(46)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샤프트 간의 간격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홈(47)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56)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홈(47)과 맞물리는 구간에는 롤러링(561)이 외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부(53)의 전방에서 이들을 연결하며 상하로 연장된 형태의 갈퀴부(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5. 유수통로(11)가 마련된 유수지 구조물(10);
    상기 유수통로(1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유수통로(11)를 통해 흐르는 유수는 통과시키고 유수 내의 협잡물은 걸러주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터리어셈블리(50); 및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둘러 싸여지는 내측 공간의 일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축(44)과,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둘러 싸여지는 내측 공간의 타측 단부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동축(49)과, 상기 구동축(44)을 구동하는 구동원(41)을 구비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하는 수평형 제진기로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는,
    수평으로 연장된 형태이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며, 양측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축홀(54)을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수평연결부(53); 및 상기 한 쌍의 수평연결부(53)의 전방에서 이들 연결하며 상하로 연장된 형태의 갈퀴부(55);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체인(51,52)과,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체인을 배열하되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체인들의 일측 축홀(54)과 타측 축홀(54)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마주하는 축홀(54)들을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체인들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샤프트(56)를 포함하고,
    상기 유수지 구조물(10)에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수평방향의 이동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로터리어셈블리(50)의 수평 이동에 의해 이동한 협잡물이 유수지 구조물(10)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70)가 설치되되,
    상기 차단부(70)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전반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차단하는 차단판(71,72)과, 상기 차단판(71,72)의 전면에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갈퀴(7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갈퀴부(55)에는 상기 갈퀴(74)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갈퀴(74)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갈퀴홈(55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한 쌍의 수평연결부가 제1간격만큼 이격된 제1체인(51)과, 한 쌍의 수평연결부가 상기 제1간격보다 좁은 제2간격만큼 이격된 제2체인(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51,52)은 합성수지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8.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후방에는 각각 로터리어셈블리(50)가 유수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6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6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포스트(61), 상기 복수 개의 포스트(61)의 전방에서 상기 복수 개의 포스트(61)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대(62)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대(62)의 높이는 상기 롤러링(561)이 설치된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통로(11)의 상부 측 유수지 구조물 부근에는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의 상부를 덮는 상부프레임(2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20)에는 상기 구동축(44)을 구동하는 구동원(4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는 수평방향을 따라 나누어지는 소정의 구간마다 설치되어 나란히 배열되는 제1로터리어셈블리(501)와 제2로터리어셈블리(5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지 구조물(10)에는 상기 유수통로(11)의 측방으로 협잡물 계류조(12)가 마련되는 수평형 제진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계류조(12)의 입구에는 상기 로터리어셈블리(50)에 의해 협잡물 계류조(12) 쪽으로 이동된 협잡물을 협잡물 계류조 내부로 모으는 협잡물 모음부재(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모음부재(80)는 상기 유수지 구조물(10)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배치된 힌지(81)에 의해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압실린더(82)의 일측 단부는 상기 협잡물 모음부재(80)와 제1링크힌지(83)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유수지 구조물(10)에 제2링크힌지(84)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82)가 신축함에 따라 상기 협잡물 모음부재(80)가 회동하여 상기 협잡물 계류조(12) 입구 쪽에 위치하는 협잡물을 상기 협잡물 계류조(12) 안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제진기.
KR1020160166466A 2016-12-08 2016-12-08 수평형 제진기 KR101760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466A KR101760094B1 (ko) 2016-12-08 2016-12-08 수평형 제진기
PCT/KR2017/014099 WO2018105974A1 (ko) 2016-12-08 2017-12-04 수평형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466A KR101760094B1 (ko) 2016-12-08 2016-12-08 수평형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094B1 true KR101760094B1 (ko) 2017-07-20

Family

ID=5944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466A KR101760094B1 (ko) 2016-12-08 2016-12-08 수평형 제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0094B1 (ko)
WO (1) WO2018105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8027B (zh) * 2022-04-18 2023-08-01 湖南河盾水利设备有限公司 一种自带检修保养设备的拦河坝
CN117023708B (zh) * 2023-09-14 2024-01-02 河北彩和坊印刷有限公司 一种处理印刷机产生的污水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196B1 (ko) * 2003-12-18 2004-08-21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유수지의 협잡물처리방법 및 장치
KR100680158B1 (ko) * 2006-08-11 2007-02-16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차수망을 이용한 해상 가물막이 시공용 바지선
KR101085460B1 (ko) * 2011-02-23 2011-11-21 한국농어촌공사 배수장용 락크바식 자동 제진기
KR101306949B1 (ko) * 2013-07-18 2013-09-09 주식회사 신정기공 체인형 제진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286B1 (ko) * 2004-07-01 2006-08-08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수로용 협잡물 파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196B1 (ko) * 2003-12-18 2004-08-21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유수지의 협잡물처리방법 및 장치
KR100680158B1 (ko) * 2006-08-11 2007-02-16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차수망을 이용한 해상 가물막이 시공용 바지선
KR101085460B1 (ko) * 2011-02-23 2011-11-21 한국농어촌공사 배수장용 락크바식 자동 제진기
KR101306949B1 (ko) * 2013-07-18 2013-09-09 주식회사 신정기공 체인형 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5974A1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070B1 (ko) 수류 저항감소 구조를 갖는 회전식 제진기
KR100987812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KR102080060B1 (ko) 전위스크린 및 제진기의 승하강 구조를 갖는 제진기
KR101666028B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738636B1 (ko) 퇴적물 분산유닛을 갖는 제진기
KR101728733B1 (ko) 체인 걸림 방지형 회전식 제진기
KR102055884B1 (ko) 배수 막힘 방지장치
KR101760094B1 (ko) 수평형 제진기
KR101964591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170004060A (ko)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KR100893393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101972705B1 (ko) 스크린 회전형 제진기
KR102371047B1 (ko) 듀얼자켓 일체형 직결구동식 멀티 레이크 스크린 장치
KR20140017965A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KR102221382B1 (ko) 각종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제진기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783011B1 (ko) 후방보조스크린에 경사단부가 형성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KR102093753B1 (ko)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KR101332278B1 (ko) 동조기어장치를 가지는 상승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KR102575364B1 (ko) 잔류 협잡물 절단 기능을 갖는 제진기
KR20190129514A (ko)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102291857B1 (ko) 제진성이 향상된 이동형 레벨 제진기
KR102182705B1 (ko)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