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60A -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4060A KR20170004060A KR1020150093889A KR20150093889A KR20170004060A KR 20170004060 A KR20170004060 A KR 20170004060A KR 1020150093889 A KR1020150093889 A KR 1020150093889A KR 20150093889 A KR20150093889 A KR 20150093889A KR 20170004060 A KR20170004060 A KR 201700040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s
- guide rail
- rake
- chain mechanism
- ch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퀴(rake)가 수로에서 걷어올린 각종 협잡물이 상승 이동 중에 체인을 보호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내부로 유입되어 체인의 이송을 방해하고 모터의 과부하 유발 및 손상을 방지하는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로를 따라 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 내는 스크린의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내측을 향해 개방된 ㄷ 자형 채널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따라 순환 이동하는 체인기구와; 양 단부가 각기 상기 양측의 체인기구에 고정되며, 체인기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장착되는 갈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인기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름 접촉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고리 상으로 배치되는 롤러 및 그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축과; 인접한 롤러 사이에 고정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나씩 건너뛰어 단속적으로 연결하도록 2개의 롤러의 양측으로 핀축에 회동 움직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링크 플레이트가 장착된 2개의 롤러들과 이웃한 롤러들을 각기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외측 링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제진기 체인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갈퀴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롤러들 사이를 연결하는 보호 덮개판이 마련되며, 상기 보호 덮개판은 상기 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바깥으로 2개 롤러의 핀축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적어도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부의 일부를 구간별로 덮어 보호하되 상기 갈퀴의 직 상부 영역의 개방부를 덮어 보호하는 형태로 체인기구 및 갈퀴와 함께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갈퀴로부터 걷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양측 단부로 밀려나는 협잡물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상기 보호 덮개판이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낮은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 용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開水路)에 설치하여 개수로를 따라 흘러가는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협잡물(부유 쓰레기)을 걸러내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취수장 및 배수 펌프장 등이 대형화됨으로써 취수 및 배수 용량이 커지고 있고, 또 하수도 보급의 진척에 따라 오수 및 우수펌프장들이 많은 곳에 설치되고 있는데, 이들 수처리장에서 펌프 가동시 유입되는 물속에 다량 다종의 오물과 쓰레기들이 혼입되어 있어 이를 방치할 경우 펌프를 파손시키거나 펌핑 기능을 현저히 약화시키고 또 이들 쓰레기들이 개수로를 막게 되어 집중 호우시 등 배수가 원활치 못하게 되어 침수를 유발하는 등의 여러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수류와 함께 배수로로 유입되는 진개물이 펌프측에 흘러가지 못하게 개수로에 제진기를 설치하여 진개물을 걸러내어 외부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배수로의 도중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협잡물을 걸러내어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20-0175037호에 개시되어 있는 제진기가 있다.
상기한 제진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것에서 확인되듯이 수류와 함께 떠내려 오는 협잡물을 걸러 내기 위하여 바닥면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크린(11)과, 그 스크린(11)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어 스크린(11)과 바닥면 사이를 통과하는 진개물을 차단하기 위한 전위스크린(6)과, 그 스크린(11)과 전위스크린(6)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린(11)의 좌우 양단에 걸쳐 가로질러 설치되는 협잡물 제거용 갈퀴(3)(레이크)와, 그 갈퀴(3)가 스크린(11)상에서 연속 순환 이동하도록 엔드리스 체인기구(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3)와 그 엔드리스 체인기구(2)의 회전 구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스크린(11)의 양측에 설치하는 가이드레일(12)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펌프(도시 없음) 가동에 의해 물을 흡인하여 배수할 때 물속에 부유하고 있는 협잡물(각종 쓰레기)들은 장치 선단의 스크린(11)에 걸린 후 체인기구(2)를 따라 상승하는 갈퀴(3)에 의해 걷어 올려져 장치의 상측에서 헙잡물들이 컨베이어 이송장치(4) 위로 낙하되어 컨베어 벨트를 타고 외부로 이송되어지게 되어 있다.
그런데, 진개물 제거용 갈퀴(3)를 스크린(11)의 하방에서 상승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체인기구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체인기구(2)는 복수의 판재들이 핀축(18)에 의해 절곡 가능하게 고리를 이루도록 형성된 엔드레스 체인(16)과 회전 롤러(17) 및 가이드 레일(12)(체인기구는 광의로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고, 상기한 가이드 레일(12)은 스크린(11)의 좌우 양단에 설치되어 엔드레스 체인(16)의 순환이동을 가이드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갈퀴(레이크)(3)의 양 단부가 상기 회전 롤러(17)의 핀축(18)들 중 어느 하나에 직접 연결 또는 엔드레스 체인(16)을 구성하는 내측 링크 플레이트와 외측 링크 플레이트 중 외측 링크 플레이트에 형성한 브라켓에 고정되고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칼퀴(3)의 순환 이동을 허용해야 하는 관계로 상기 가이드 레일(12)은 그의 내측, 즉 칼퀴(13)를 향하는 면이 개방(12a)된 형태의 ㄷ자형 채널부재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회전 롤러(17)는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양 측벽에 접촉하여 가이드되면서 회전하여 체인기구(2)의 엔드레스 체인(16)이 부드럽게 이송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선 고안의 제진기는 실제 장치의 설치 사진인 도 4에서 보여지고 있는 것과 같이, 칼퀴(레이크)(3)가 체인 구동에 의해 수로의 하부에서 상승 이동하면서 물에 떠 내려와 스크린에 걸려 있는 각종 협잡물들을 걷어올리는 과정에서 협잡물의 양이 많은 경우 협잡물들이 칼퀴(3)의 양측으로 퍼지게 되면서 ㄷ 자형 채널부재인 가이드 레일(12)의 개방부(12a, 도 3 참조)를 통해 체인(16) 측으로 밀려들게 됨으로써 체인(16)의 이송을 방해하는 일이 벌어져 체인 구동모터(13)의 과부하를 유발하고 심하면 모터(13)가 타버리는 등으로 인해 유지보수 비용이 증대되고, 제진기(1) 장치의 가동 시간을 단축시켜 홍수기 시 하천 범람을 일으키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칼퀴(rake)가 수로에서 걷어올린 각종 협잡물이 상승 이동 중에 체인을 보호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내부로 유입되어 체인의 이송을 방해하고 모터의 과부하 유발 및 손상을 방지하는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로를 따라 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 내는 스크린의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내측을 향해 개방된 ㄷ 자형 채널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따라 순환 이동하는 체인기구와; 양 단부가 각기 상기 양측의 체인기구에 고정되며, 체인기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장착되는 갈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인기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름 접촉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고리 상으로 배치되는 롤러 및 그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축과; 인접한 롤러 사이에 고정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나씩 건너뛰어 단속적으로 연결하도록 2개의 롤러의 양측으로 핀축에 회동 움직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링크 플레이트가 장착된 2개의 롤러들과 이웃한 롤러들을 각기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외측 링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제진기 체인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갈퀴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롤러들 사이를 연결하는 보호 덮개판이 마련되며, 상기 보호 덮개판은 상기 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바깥으로 2개 롤러의 핀축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적어도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부의 일부를 구간별로 덮어 보호하되 상기 갈퀴의 직 상부 영역의 개방부를 덮어 보호하는 형태로 체인기구 및 갈퀴와 함께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갈퀴로부터 걷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양측 단부로 밀려나는 협잡물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상기 보호 덮개판이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덮개판은 각각의 갈퀴의 직 상부에 위치되는 3개의 연이은 롤러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각 롤러들의 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2개의 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덮개판 보호부재의 일측 연결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메우도록 와셔가 핀축에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체인기구와 함께 이동하는 덮개판 보호부재를 갈퀴의 직 상부에 위치하는 롤러들 사이에 설치하여 갈퀴의 직 상부 영역의 가이드 레일의 개방부가 덮개판 보호부재에 의해 막히게 되어 갈퀴들에 의해 걷어 올려지는 협잡물들이 덮개판 보호부재에 의해 가이드 레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어 체인 기구가 협잡물에 끼여 구동모터에 과부하를 유발하거나 모터 고장의 원인을 제거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특히 협잡물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홍수기 시 제진기 장치의 잦은 고장에 의한 가동 중단에 의해 초래되는 하천 범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제진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제진기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제진기 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진기 장치의 실제 가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 레일을 단면하여 내부를 주행하는 체인기구와 그 체인기구를 보호하는 보호 덮개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 레일의 개방부 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 레일의 평단면 형상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 장치의 평단면 형상으로, 도 5의 A-A선을 따라 제진기 장치를 평단면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제진기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제진기 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진기 장치의 실제 가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 레일을 단면하여 내부를 주행하는 체인기구와 그 체인기구를 보호하는 보호 덮개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 레일의 개방부 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 레일의 평단면 형상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 장치의 평단면 형상으로, 도 5의 A-A선을 따라 제진기 장치를 평단면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 레일을 단면하여 내부를 주행하는 체인기구와 그 체인기구를 보호하는 보호 덮개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 레일의 개방부 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 레일의 평단면 형상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진기 장치의 평단면 형상으로, 도 5의 A-A선을 따라 제진기 장치를 평단면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 제진기 장치의 일반적 구조는 종래 기술에서 상세히 도시 및 설명하고 있어, 본 발명에서는 장치의 요부 부분만 확대하여 도시하고, 그 외에는 종래 제진기 장치를 참고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진기 체인기구 보호장치는 수로를 가로 막고 설치되어 물에 떠내려 오는 협잡물을 걸러 내는 스크린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ㄷ 자형 채널부재인 가이드 레일(51)과, 그 가이드 레일(51)에 의해 구속 및 안내되어 엔드레스로 순환 이동하는 체인기구(52) 및 상기 가이드 레일(51)의 내측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53)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보호 덮개판(54)(5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51)은 그의 단면도 형상을 나타낸 도 7에서 보여지고 있듯이, 2개의 서로 마주 바라보는 전후 벽면(56)(56)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벽면(56)(56)의 내측에 체인기구(52)의 롤러(57)의 이탈을 방지하고 구름 이동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58)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인기구(52)는 일정 간격(피치)마다 설치되는 롤러(57a, 57b, 57c, 57d,,,: 대표 부호는 57)와, 그 롤러(57)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축(59a, 59b, 59c, 59d,,,:대표부호는 59)과, 이웃한 2개의 롤러(57)들 사이를 연결하되, 하나씩 걸러서 2개의 롤러(57a와 57b, 57c와 57d,,,,)들의 핀축(59), 즉 핀축 59a와 59b 및 핀축 59c와 59d 사이를 연결하는 내측 링크 플레이트(60)와, 상기 내측 링크 플레이트(60)가 건너뛴 이웃한 2개의 롤러들, 즉 57b와 57c, 57d와 57e의 핀축, 즉, 핀축 59b와 59c, 핀축 59d와 59e 사이를 연결하는 외측 링크 플레이트(61) 및 본 발명에는 도시하지 않은 체인기어(도 2의 부호 14 및 도 4의 부호 62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체인기구(52)는 전체가 하나의 연결된 고리로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51)의 상단과 하단의 U자형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변곡지점에 각기 설치되는 체인기어에 의해 엔드레스 이송된다.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상기 보호 덮개판(54)(55)은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2개가 사용되었지만, 최소한 1개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3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여러 형태로 실험한 결과 2개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보호 덮개판(54)는 상기 각각의 갈퀴(63)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롤러(57a)(57b)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판상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보호 덮개판(54)은 상기 외측 링크 플레이트(61)의 바깥으로 2개 롤러의 핀축(59a)(59b)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적어도 상기 가이드 레일(51)의 개방부(53)의 일부를 구간별(각각의 갈퀴가 설치된 부분)로 덮어 보호하되 도 5 및 도 6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상기 갈퀴(63)의 직 상부 영역의 개방부(53)를 부분적으로 덮어 보호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체인기구(52) 및 갈퀴(63)와 함께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갈퀴(63)로부터 걷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양측 단부로 밀려나는 협잡물(도 4의 쓰레기 참조)이 상기 가이드 레일(5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상기 보호 덮개판(54)이 차단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는 상기 보호 덮개판(54)에 연이어 또 하나의 보호 덮개판(55)을 설치하여 2개의 보호 덮개판(54)(55)이 각각의 갈퀴(63)의 직 상부에 위치되는 3개의 연이은 롤러(57a,57b,57c)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각 롤러들의 핀축(59a,59b,59c)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들 보호 덮개판(54)(55)의 폭은 상기 내외측 링크 플레이트(60)(61)의 폭이 롤러(57)들의 직경보다 작은 데 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51)의 양 측벽 사이의 개방부(53) 폭을 완전히 카바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에 의해 상기 보호 덮개판(54)(55)은 상기 체인 기구(5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양 측벽(56)(56)의 단부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 덮개판(54)을 상기 보호 덮개판(55)의 외측으로 겹쳐서 설치하게 되는 경우 상기 외측 링크 플레이트(61)와 상기 보호 덮개판(54)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메우도록 와셔(64)를 핀축(59a)에 끼워 장착하게 되며, 이때 만일 반대로 보호 덮개판(54)의 하단을 핀축 59a에 상단이 접속된 외측 링크 플레이트(61) 표면에 밀착하여 설치하고, 보호 덮개판(54)의 상단도 마찬가지로 상기 핀축(59b)에 장착되는 외측 링크 플레이트(61)의 하단 외표면에 밀착시켜 설치하면, 보호 덮개판(54)의 상부로 연이어 설치되는 보호 덮개판(55)은 그의 하단을 보호 덮개판(54)의 상단 외측에 겹쳐서 장착하게 되며, 이 같은 상태에서는 핀축(59c)에 있어서 보호 덮개판(55)의 상단이 외측 링크 플레이트(61)로부터 덮개판(54)의 두께만큼 들뜨게 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와셔(64)는 상기 핀축(59c)에 설치, 즉, 외측 링크 플레이트(61)와 보호 덮개판(55) 사이의 공간을 메우도록 설치된다.
이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각각의 갈퀴(63)들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보호 덮개판(54)(55)이 가이드 레일(51)의 개방부(53)의 일부, 즉 갈퀴의 양측 위치의 개방부를 차단하게 되어, 도 4의 종래 제진기 장치에서 보여지고 있듯이 갈퀴에 의해 걷어 올려지는 협잡물(각종 쓰레기)이 양측으로 밀려나게 될 때 가이드 레일(51) 내부 공간으로의 협잡물의 유입을 상기 보호 덮개판(54)(55)이 차단하여 체인기구(52) 및 모터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5는 갈퀴(63)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소정 간격마다 외측 링크 플레이트(61)에 절곡 돌출시켜 형성한 브라켓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 있어 발명자에게 알려진 최선의 모드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변형예들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자들은 숙련된 기술자들이 이러한 변형예를 채용할 것을 예상하며, 발명자들도 본 발명을 이상에서 특별히 설명한 것 외에도 실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에 의해 허용되는 바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언급된 주제와 균등한 모든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요소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명세서 내에서 특별히 언급하거나 배제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51: 가이드 레일 52: 체인기구
53: 개방부 54: 보호 덮개판
55: 보호 덮개판 56: 가이드 레일의 측벽
57(a,b,c,d,e,,,,): 롤러 58: 가이드 돌기
59(a,b,c,d,e,,,,): 핀축 60: 내측 링크 플레이트
61: 외측 링크 플레이트 62: 체인기어
63: 갈퀴(레이크) 64: 와셔
65: 브라켓
53: 개방부 54: 보호 덮개판
55: 보호 덮개판 56: 가이드 레일의 측벽
57(a,b,c,d,e,,,,): 롤러 58: 가이드 돌기
59(a,b,c,d,e,,,,): 핀축 60: 내측 링크 플레이트
61: 외측 링크 플레이트 62: 체인기어
63: 갈퀴(레이크) 64: 와셔
65: 브라켓
Claims (3)
- 수로를 따라 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 내는 스크린의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내측을 향해 개방된 ㄷ 자형 채널로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따라 순환 이동하는 체인기구와; 양 단부가 각기 상기 양측의 체인기구에 고정되며, 체인기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장착되는 갈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인기구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름 접촉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고리 상으로 배치되는 롤러 및 그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축과; 인접한 롤러 사이에 고정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나씩 건너뛰어 단속적으로 연결하도록 2개의 롤러의 양측으로 핀축에 회동 움직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링크 플레이트가 장착된 2개의 롤러들과 이웃한 롤러들을 각기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외측 링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제진기 체인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갈퀴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롤러들 사이를 연결하는 보호 덮개판이 마련되며, 상기 보호 덮개판은 상기 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바깥으로 2개 롤러의 핀축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적어도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개방부의 일부를 구간별로 덮어 보호하되 상기 갈퀴의 직 상부 영역의 개방부를 덮어 보호하는 형태로 체인기구 및 갈퀴와 함께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갈퀴로부터 걷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양측 단부로 밀려나는 협잡물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상기 보호 덮개판이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덮개판은 각각의 갈퀴의 직 상부에 위치되는 3개의 연이은 롤러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각 롤러들의 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2개의 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덮개판 보호부재의 일측 연결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메우도록 와셔가 핀축에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3889A KR101821221B1 (ko) | 2015-07-01 | 2015-07-01 |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3889A KR101821221B1 (ko) | 2015-07-01 | 2015-07-01 |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4060A true KR20170004060A (ko) | 2017-01-11 |
KR101821221B1 KR101821221B1 (ko) | 2018-03-29 |
Family
ID=5783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3889A KR101821221B1 (ko) | 2015-07-01 | 2015-07-01 |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1221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2902B1 (ko) * | 2020-04-08 | 2020-07-10 | 주식회사 이코우 | 프론트스크린의 승강구조를 가진 로터리 제진기 |
KR102141076B1 (ko) * | 2020-04-08 | 2020-08-04 | 주식회사 에취켓 | 무빙스크린을 이용한 종합처리기 |
KR102161407B1 (ko) * | 2020-04-27 | 2020-09-29 | 한봉희 |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
KR102229315B1 (ko) * | 2020-03-30 | 2021-03-18 | (주)디케이엠엔이 | 제진기 |
KR102341047B1 (ko) * | 2021-07-30 | 2021-12-20 | (주)디케이엠엔이 | 제진기용 핀 조립형 체인 구조 |
KR102384955B1 (ko) * | 2021-07-23 | 2022-04-08 | 주식회사 에코셋 | 로터리식 제진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5418B1 (ko) | 2020-02-04 | 2020-07-17 | 김해동 | 수로형 부상스크린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5037Y1 (ko) | 1999-05-21 | 2000-03-15 | 주식회사신화기공 | 제진기 |
-
2015
- 2015-07-01 KR KR1020150093889A patent/KR1018212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5037Y1 (ko) | 1999-05-21 | 2000-03-15 | 주식회사신화기공 | 제진기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9315B1 (ko) * | 2020-03-30 | 2021-03-18 | (주)디케이엠엔이 | 제진기 |
KR102132902B1 (ko) * | 2020-04-08 | 2020-07-10 | 주식회사 이코우 | 프론트스크린의 승강구조를 가진 로터리 제진기 |
KR102141076B1 (ko) * | 2020-04-08 | 2020-08-04 | 주식회사 에취켓 | 무빙스크린을 이용한 종합처리기 |
KR102161407B1 (ko) * | 2020-04-27 | 2020-09-29 | 한봉희 |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
KR102384955B1 (ko) * | 2021-07-23 | 2022-04-08 | 주식회사 에코셋 | 로터리식 제진기 |
KR102341047B1 (ko) * | 2021-07-30 | 2021-12-20 | (주)디케이엠엔이 | 제진기용 핀 조립형 체인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1221B1 (ko) | 2018-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1221B1 (ko) |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 |
KR100987812B1 (ko) |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 |
KR101767872B1 (ko) |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 |
KR101969529B1 (ko) | 레이크 플레이트 회전반경 축소구조를 갖는 제진기 | |
KR101390257B1 (ko) | 로터리 제진기 | |
KR101544800B1 (ko) | 조, 세목 협잡물의 동시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로터리제진기 | |
KR101738353B1 (ko) | 로터리 제진기 | |
KR101085335B1 (ko) | 수로 및 배수장에 설치되는 부유물질 제거용 승강식 제진기 | |
KR100893393B1 (ko) |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 |
KR101964591B1 (ko) | 로터리 제진기 | |
KR101425778B1 (ko) | 제진기 | |
KR20080056108A (ko) | 하수 및 배수 처리용 기계식 제진기 | |
KR101599504B1 (ko) | 로터리 제진기 | |
KR101234049B1 (ko) | 게이트 펌프용 로터리 제진기 | |
WO2015026025A1 (ko) | 로터리 제진기 | |
KR102243084B1 (ko) | 제진기 | |
KR101902704B1 (ko) | 샤프트와 조인트의 체결을 이용한 더블 레이크가 장착된 로터리 제진기 인양방법 | |
KR101752105B1 (ko) | 더블 레이크가 적용된 로터리 제진기 | |
KR102152401B1 (ko) |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 |
KR101257759B1 (ko) | 수직 개폐형 로터리 제진기 | |
KR102081354B1 (ko) |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 |
KR102093753B1 (ko) | 레이크와 연동하는 프론트 스크린과 협잡물 리무벌 디바이스를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 |
KR101403773B1 (ko) | 제진기 틈새로 유입되는 잔존협잡물 차단기능을 구비한 자동제진기. | |
KR101931526B1 (ko) | 각종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로타리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 |
KR20130034091A (ko) | 상하식 제진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