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354B1 -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 Google Patents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354B1
KR102081354B1 KR1020180144546A KR20180144546A KR102081354B1 KR 102081354 B1 KR102081354 B1 KR 102081354B1 KR 1020180144546 A KR1020180144546 A KR 1020180144546A KR 20180144546 A KR20180144546 A KR 20180144546A KR 102081354 B1 KR102081354 B1 KR 10208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unit
chemical
chemical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번영
김남종
Original Assignee
김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번영 filed Critical 김번영
Priority to KR102018014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단지 내에서 각종 화학사고 발생시 누출되는 화학물질 등이 하천이나 바다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이격되게 상기 저장탱크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누출되는 화학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저장탱크 주변에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방호벽을 포함하는 방호부와; 상기 방호부에 수용되는 화학물질은 폐수처리시설 또는 폐수저류시설 또는 집수설비로 배출시키고, 우수는 우수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방호부에 우수 또는 화학물질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배출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로를 개폐하는 수문부와; 상기 수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Chemical enffluenc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단지 내의 화학물질취급사업장에서 각종 화학사고 발생시 유출 또는 누출되는 화학물질 등이 사업장 바닥이나 우수로 등을 통하여 하천이나 바다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약품은 별도의 약품저장탱크 등 보관시설에 저장하여 보관하면서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약품저장탱크 등에 저장되는 화학약품은 약품저장탱크의 파손 등의 이유로 누출되면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학약품 누출사고가 잦아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누출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약품저장탱크 주변에 방호시설물(방류벽, Dike 등) 등의 차단시설을 설치하여 화학약품이 누출되더라도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에 설치되는 방호시설물 등의 차단시설은 대부분 철근 구조물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약품저장탱크를 에워싸도록 설치되고 있는데, 약품저장탱크를 설치하면서 방호시설물을 법적 설치기준에 맞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문제될 것이 없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약품저장탱크 주변에 법적 설치기준에 맞는 방호시설물을 설치해야 하므로 약품저장탱크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충분하지 않거나, 주변 시설물이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약품저장탱크들 상호 간 또는 시설물의 간섭 및 방해로 인하여 설정된 용량을 갖는 방호시설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약품저장탱크는 넓은 공간에 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약품저장탱크 주변에 다양한 시설물들이 설치되거나 약품저장탱크 상호 간 인접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법적 설치기준에 맞는 방호시설물의 설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KR 10-1694658 B1 KR 10-2011-0040861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학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에 손상 및 파손 발생시 저장탱크로부터 누출되는 화학물질이 우수로를 통해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로를 통해 유해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지 않도록 오염물질 및 유해화학물질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우수로에 수문부를 설치하고, 수문부에 의해 유출이 차단된 화학물질 및 유해화학물질을 집수할 수 있도록 우수로 측면에 집수조를 설치하고, 집수조에 집수된 오염물질 및 유해화학물질은 펌프를 통해 폐수처리장 또는 처리시설로 이송하여 처리하거나 우수로를 따라 흐르는 오염물질 및 유해화학물질을 펌프를 통해 폐수처리장 또는 처리시설로 이송하여 처리함으로써 각종 화학물질취급사업장에서 사고 등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및 유해화학물질이 우수로를 통해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은 화학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이격되게 상기 저장탱크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누출되는 화학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저장탱크 주변에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방호벽을 포함하는 방호부와; 상기 방호부에 수용되는 화학물질은 폐수처리장으로 배출시키고, 우수는 우수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방호부에 우수 또는 화학물질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배출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로를 개폐하는 수문부와; 상기 수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류공간에 수용되는 우수를 상기 우수로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방호벽에 형성된 방류구에 설치되어 상기 방류구를 개폐하는 우수배출부와, 상기 저류공간에 수용되는 화학물질을 펌핑하여 폐수처리장 또는 집수설비로 배출시키는 화학물질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저류공간에 우수가 수용될 때에는 상기 방류구를 개방시키고, 화학물질이 수용될 때에는 상기 방류구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우수배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호부는 맨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맨홀부는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는 우수 또는 화학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지중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문부의 전방 측 우수로에 설치되어 우수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에 포함된 화학물질량을 측정하는 제1화학물질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제1화학물질감지센서에서 측정된 화학물질량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문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수문부의 전방 측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부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될 시 우수로에 체류하는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1펌핑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펌핑유닛은 상기 수문부의 전방 측 우수로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우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이 마련된 제1배수부재와, 상기 제1배수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1스크린이 마련된 제1여과부와, 상기 제1배수부재와 상기 폐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배수부재 내의 우수를 상기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1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문부의 후방 측 우수로에 설치되어 우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보조수문;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문부 및 보조수문 사이의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부와 상기 보조수문 사이의 우수로를 따라 흐르는 화학물질량을 측정하는 제2화학물질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제2화학물질감지센서에서 측정된 화학물질량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보조수문을 작동시키며, 상기 수문부와 상기 보조수문 사이의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수문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될 시 상기 수문부와 상기 보조수문 사이의 우수로에 체류하는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2펌핑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펌핑유닛은 상기 수문부와 상기 보조수문 사이의 우수로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우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간이 마련된 제2배수부재와, 상기 제2배수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2여과부이 마련된 제2여과부와, 상기 제2배수부재와 상기 폐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배출관과, 상기 제2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수부재 내의 우수를 상기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2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은 화학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에 손상 및 파손 발생시 저장탱크로부터 누출되는 화학물질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화학물질을 즉시 폐수처리장으로 이송함으로써 화학물질이 우수로를 통해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로에 수문부, 보조수문, 센서, 펌핑 설비를 설치하여 각종 사업장에서 사고 등으로 발생되는 화학물질 및 유해화학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의 나머지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내지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1)은 방호부(100)와, 배출부(120)와, 감지부(130)와, 주제어부(140)와, 수문부(200)와, 보조제어부(300)와, 제1펌핑유닛(400)과, 보조수문(500)과, 제2펌핑유닛(600)을 구비한다.
방호부(100)는 화학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탱크(5)와 이격되도록 저장탱크(5)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저장탱크(5)로부터 누출되는 화학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저장탱크(5) 주변에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방호벽(111)을 포함한다.
방호벽(111)은 저장탱크(5)의 용량보다 적어도 1.5배 이상의 용량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변환경 즉, 저장탱크(5)들의 이격 간격이 매우 좁거나 저장탱크(5) 주변 시설물이 존재하는 경우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방호벽(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저장탱크(5)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서로 동일한 화학물질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탱크(5) 둘 이상이 서로 근접해있는 경우, 이들을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방호벽(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원형 등 주변 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방호부(100)는 방호벽(111)뿐만 아니라, 저장탱크(5)가 설치된 지역의 지중으로 화학물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면을 덮는 바닥판을 더 구비하며, 바닥판은 방호부(100) 내부에 수용되는 우수나 화학물질이 일 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일 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배출부(120)는 방호부(100)에 수용되는 화학물질은 폐수처리장 또는 집수설비로 배출시키고, 우수는 우수로(105)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방호부(100)의 저류공간에 수용되는 우수를 우수로로 배출하기 위해 방호벽(111)에 형성된 방류구(112)에 설치되어 방류구(112)를 개폐하는 우수배출부(121)와, 저류공간에 수용되는 화학물질을 펌핑하여 폐수처리장 또는 집수설비로 배출시키는 화학물질배출부(125)를 포함한다.
방류구(112)는 방호벽(111)의 상단으로부터 방호부(100) 저장탱크(5)가 설치된 지면과 일정 높이 이격된 지점까지만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류구(112)를 통해 우수가 배출되는 방향에는 우수로가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다르게 방류구(112)는 바닥판을 경사지게 형성한 경우에 바닥판의 가장 낮은 곳과 대응되는 위치에 방호벽(111)의 상부에서 방호벽(111)의 하단 즉, 바닥판까지 개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류공간에 수용되는 우수가 경사진 바닥판을 따라 낮은 측의 방류구(112) 측으로 모여 우수로로 자동 배출될 수 있다.
우수배출부(121)는 방류구(112)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방류구(112)에 설치되는 지지틀(122)과, 지지틀(122)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게이트(123)와, 게이트(123)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틀(122)은 방류구(112)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과,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는 상부지지프레임과,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의 하측 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지지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에는 후술하는 게이트(123)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지지틀(122)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된다.
승강구동부(124)는 일 측이 상부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타 측이 게이트(123)의 상부에 고정되어 게이트(123)를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유압식 또는 공압식 액추에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화학물질배출부(125)는 일 측이 방호벽(111) 내부로 연장되고 타 측은 방호벽(111) 외부의 폐수처리장으로 연장된 화학물질배출관(126)과, 화학물질배출관(126)에 설치되어 저류공간에 수용되는 화학물질을 흡입하여 폐수처리장으로 이송시키는 배출펌프(127)를 포함한다.
승강구동부(124) 및 배출펌프(127)는 후술하는 주제어부(14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감지부(130)는 방호부(100)에 우수 또는 화학물질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방호부(100)에 우수가 수용되는지를 감지하는 우수감지센서(131)와, 방호부(100)에 화학물질이 수용되는지를 감지하는 메인화학물질감지센서(132)를 포함한다. 우수감지센서(131)와 메인화학물질감지센서(132)는 각각 우수와 화학물질을 감지시 주제어부(140)로 감지정보를 송출한다.
그리고, 우수감지센서(131) 및 메인화학물질감지센서(132)는 방호부(100)의 바닥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화학물질감지센서(132)는 저장탱크(5)에 저장된 화학물질의 종류에 따라 해당 화학물질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는 후술하는 우수로 상의 화학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제1화학물질감지센서(133)와 제2화학물질감지센서(134)를 더 포함한다.
제1화학물질감지센서(133)는 수문부(200)의 전방 측 우수로에 설치되어 우수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에 포함된 화학물질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2화학물질감지센서(134)는 수문부(200)와 후술하는 보조수문(500) 사이의 우수로에 설치되어 수문부(200)와 보조수문(500) 사이의 우수로를 따라 흐르는 화학물질량을 측정한다.
주제어부(140)는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배출부(12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저류공간에 우수가 수용될 때에는 방류구(112)를 개방시키고, 화학물질이 수용될 때에는 방류구(112)를 폐쇄시키도록 우수배출부(121)를 제어한다. 즉, 주제어부(140)는 우수감지센서(131)에서 우수가 감지된 경우에는 방류구(112)가 개방될 수 있도록 승강구동부(124)를 제어하고, 메인화학물질감지센서(132)에서 화학물질이 감지된 경우에는 방류구(112)가 즉시 폐쇄될 수 있도록 승강구동부(124)를 제어함과 동시에 화학물질이 폐수처리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출펌프(127)를 제어한다.
수문부(200)는 우수로에 설치되어 우수로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수문틀(210)과, 제1수문(220) 및 수문구동부(230)를 구비한다.
수문틀(210)은 우수로(105) 상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수직프레임(211) 및 제2수직프레(212)과, 제1수직프레임(211) 및 제2수직프레임(212)의 상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연결프레임(213)을 구비한다.
제1수직프레임(211) 및 제2수직프레임(212)의 내측 면에는 제1수문(2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함과 아울러 이탈을 억제하기 위한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수직프레임(211) 및 제2수직프레임(212)은 제1수문(220)의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부분과, 측면부분의 양단에서 중앙부분을 향해 돌출된 날개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수문(220)은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후술하는 수문구동부(230)의 랙기어(231)가 결합된다. 또한, 제1수문(220)은 제1수직프레임(211) 및 제2수직프레임(212)의 가이드홈에 대향되는 양단에 수밀을 위한 고무소재의 패킹부재가 전면과 후면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제1수문(220)은 성형성이 우수하며, 소정의 강도를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문구동부(230)는 랙기어(231), 피니언기어, 웜휠, 웜기어 및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랙기어(231)는 하단이 제1수문(220)의 상면 중앙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부 프레임(213) 중앙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그리고, 랙기어(231)는 상부 프레임(213) 중앙에 설치된 메인 하우징(232)을 관통하게 수직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과 후면에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치(齒)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메인 하우징(232) 내부에는 롤러, 피니언 기어, 웜휠 및 웜기어가 설치된다.
웜휠은 상부 프레임(213) 상에 설치된 메인 하우징(232) 내에 랙기어(231)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과 동축 상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웜기어는 웜휠과 치합되게 메인 하우징(232)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은 일 단이 메인 하우징(23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타 단은 구동모터에 결합된다.
구동모터는 보조제어부(300)에 의해 제1수문(220)을 승하강시키도록 동작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수문부(200)는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제1수문(220)에 의해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도시된 예로 한정하지 않고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방식이나, 회전되는 방식 등의 다양한 형태의 수문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조제어부(300)는 수문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관리자가 직접 수문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지원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수문부(200)의 동작을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펌핑유닛(400)은 수문부(200)의 전방 측 우수로에 설치되어 수문부(200)에 의해 우수의 흐름이 차단될 때, 우수로에 체류하는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한다. 즉, 제1펌핑유닛(400)은 우수로에 화학물질이 유입되어 수문부(200)가 차단될 때, 화학물질이 포함된 우수로 상의 우수가 수문부(200)를 넘어 하천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우수로 상의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보조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된다.
제1펌핑유닛(400)은 수문부(200)의 전방 측 우수로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우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이 마련된 제1배수부재(410)와, 제1배수부재(410)에 설치되고 제1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1스크린이 마련된 제1여과부(420)와, 제1배수부재(410)와 폐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배출관과, 제1배출관에 설치되어 제1배수부재 내의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1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배수부재(410)는 우수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수문부(200)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우수로(105)에 연통되게 설치된 제1집수조(411) 및 제2집수조(412)를 구비한다.
제1집수조(411)는 우수로의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1유입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되거나 사업장 여건을 고려하여 상부 덮개로 덮을 수도 있다. 제2집수조(412)는 제1연결관(413)에 의해 제1집수조(411)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유해화학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보조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제1집수조(411)에 설치된 제1여과부(420)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우수는 제1연결관(413)을 통해 제2집수조(412) 내부에 수용된다.
제1여과부(420)는 제1배수부재(410)의 제1집수조(411) 내부에 설치되는 제1스크린과, 제1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1레이크 유닛과, 제2레이크 유닛을 제1스크린을 따라 무한 궤도상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부를 구비한 제1취출유닛을 구비한다. 제1스크린은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스트립을 구비한다.
제1취출유닛은 제1스크린과 인접된 제1집수조(411)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호 평행한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제1구동축과, 제1구동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스프로킷과, 제1스프로킷과 대응되는 제1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체인가이드와, 각각의 제1스프로킷과 제1체인 가이드에 걸리는 제1체인들과, 제1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를 가진 제1이송부를 포함한다.
제1레이크 유닛은 복수 개가 무한궤도상의 체인들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1레이크 유닛은 체인들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1지지바와, 제1지지바에 형성되며, 단부가 제1스크린의 스트립들 사이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1삽입바를 구비한다. 제1취출유닛에 의해 레이크 유닛이 제1스크린을 따라 이동하며, 제1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제1스크린으로부터 수거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여과부(420)는 레이크 유닛에 의해 수거된 협잡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함 또는 협잡물을 처리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1배출관(430)은 제1배수부재(410)의 제2집수조(412) 및 폐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우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되어 있다.
제1펌프(440)는 제1배출관(430)에 설치되어 제1배수부재(410) 내의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며, 보조제어부(3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보조제어부(300)는 제1화학물질감지센서(133)에서 측정된 화학물질량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수문부(200)를 제어하며, 수문부(200)의 전방 측 우수로 상의 화학물질이 포함된 우수를 폐수처리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1펌핑유닛(400)을 제어한다.
보조수문(500)은 수문부(200)의 후방 측 우수로에 설치되어 우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보조수문(500)은 우수로(10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수문(611)과, 제2수문(611)을 회동시키는 회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2수문(611)은 우수로(105)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2수문(611)은 우수로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수문(611)은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모터는 보조제어부(3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보조수문(500)은 제2수문(611)이 일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수문부(200)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펌핑유닛(600)은 수문부(200)와 보조수문(500) 사이의 우수로에 설치되어 보조수문(500)에 의해 우수의 흐름이 차단될 시 수문부(200)와 보조수문(500) 사이의 우수로에 체류하는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한다. 즉, 제2펌핑유닛(600)은 우수로에 화학물질이 유입되어 보조수문(500)이 차단될 때, 화학물질이 포함된 우수로 상의 우수가 보조수문(500)을 넘어 하천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우수로 상의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보조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된다.
제2펌핑유닛(600)은 수문부(200)와 보조수문(500) 사이의 우수로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우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간이 마련된 제2배수부재(610)와, 제2배수부재(610)에 설치되고 제2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2여과부이 마련된 제2여과부(620)와, 제2배수부재(610)와 폐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배출관과, 제2배출관에 설치되어 제2배수부재 내의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배수부재(631)는 수문부(200)와 보조수문(500) 사이의 우수로(105)에 연통되게 설치된 제3집수조(641) 및 제4집수조(642)를 구비한다.
제3집수조(641)는 배수로의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제2유입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면은 개방되거나 사업장 여건을 고려하여 상부 덮개로 덮을 수도 있다.
제4집수조(642)는 제2연결관(643)에 의해 제3집수조(641)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유해화학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2보조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제3집수조(641)에 설치된 제2여과부(632)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우수는 제2연결관(643)을 통해 제4집수조(642) 내부에 집수된다.
제2여과부(632)는 제2배수부재(631)의 제3집수조(64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스크린과, 제2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제2레이크 유닛과, 제2레이크 유닛을 제2스크린을 따라 무한 궤도상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를 구비한 제2취출유닛을 구비한다. 제2스크린은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의 스트립을 구비한다.
제2취출유닛은 제2여과부과 인접된 제3집수조(641)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호 평행한 제2프레임과, 제2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제2구동축과, 제2구동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스프로킷과, 제2스프로킷과 대응되는 제2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체인가이드와, 각각의 제2스프로킷과 제2체인 가이드에 걸리는 제2체인들과, 제2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가진 제2이송부를 포함한다.
제2레이크 유닛은 다수개가 무한궤도상의 체인들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2레이크 유닛은 체인들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제2지지바와, 제2지지바에 형성되며, 단부가 제2여과부의 스트립들 사이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2삽입바를 구비한다. 제2취출유닛에 의해 레이크 유닛이 제2스크린을 따라 이동하며, 제2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제2스크린으로부터 수거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여과부는 레이크 유닛에 의해 수거된 협잡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함 또는 협잡물 처리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컨베이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배출관(633)은 제2배수부재(631)의 제4집수조(642) 및 폐·하수처리시설 등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우수가 유동하는 내부유로가 마련된다.
제2펌프(634)는 제2배출관(633)에 설치되어 제2배수부재(631) 내의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며, 보조제어부(3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보조제어부(300)는 제2화학물질감지센서(134)에서 측정된 화학물질량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보조수문(500)을 제어하며, 수문부(200)와 보조수문(500) 사이의 우수로 상의 화학물질이 포함된 우를 폐수처리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2펌핑유닛(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1)은 우수 내의 유해화학물질이 감지되면 수문부(200) 및 보조수문(500)을 통해 화학물질이나 유해화학물질이 포함된 우수의 흐름을 다단으로 차단하므로 하천이나 바다로 방류되는 화학물질이나 유해화학물질의 유출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1)은 우수배출부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화학물질배출부(125)의 구성과 대응되게 우수펌프(121b)와 우수배출관(121a)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수배출부(121)는 일 측이 방호벽(111) 내부로 연장되고 타 측은 방호벽(111) 외부의 우수로로 연장된 우수배출관(121a)과, 우수배출관(121a)에 설치되어 저류공간에 수용되는 우수를 흡입하여 우수로로 이송시키는 우수펌프(121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제어부(140)는 방호부(100)의 바닥판에 설치된 우수감지센서(131)와, 메인화학물질감지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우수배출부(121)와 화학물질배출부(125)를 각각 제어하여 우수 또는 화학물질을 우수로 또는 폐수처리장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1)의 방호부(100)는 저장탱크(5) 주변에 방호벽(111)을 설치할 때, 방호벽(111)에 수용 가능한 우수 또는 화학물질의 용량이 기준용량에 미달되는 경우 기준용량에 부합되도록 수용 용량을 확보하기 위한 맨홀부(1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맨홀부(117)는 방호벽(111) 내측의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는 우수 또는 화학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지중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우수를 배출하기 위한 우수배출부(121)의 우수배출관(121a) 및 화학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화학물질배출부(125)의 화학물질배출관(126)은 맨홀 내부의 지중공간에 수용되는 우수 또는 화학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맨홀부(117)의 내부로 연장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배출부(125)는 방호부 내의 화학물질을 펌핑하여 폐수처리장 또는 폐수저류시설로 이송하도록 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우수로(105)로 유해 화학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우수로(105) 내의 유해 화학물질을 펌핑하여 폐수처리장 또는 폐수저류시설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우수로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방호부
111 : 방호벽
112 : 방류구
120 : 배출부
121 : 우수배출부
125 : 화학물질배출부
130 : 감지부
131 : 우수감지센서
132 : 화학물질감지센서
140 : 주제어부
200 : 수문부
210 : 수문틀
220 : 제1수문
230 : 수문구동부
300 : 보조제어부
400 : 제1펌핑유닛
410 : 제1배수부재
500 : 보조수문
600 : 제2펌핑유닛

Claims (7)

  1. 화학물질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이격되게 상기 저장탱크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누출되는 화학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저장탱크 주변에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방호벽을 포함하는 방호부와;
    상기 방호부에 수용되는 화학물질은 폐수처리시설 또는 집수설비로 배출시키고, 우수는 우수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방호부에 우수 또는 화학물질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배출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로를 개폐하는 수문부와;
    상기 수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조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호부는 상기 저장탱크가 설치된 지역의 지중으로 화학물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면을 덮는 바닥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은 방호부 내부에 수용되는 우수나 화학물질이 일 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일 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저류공간에 수용되는 우수를 상기 우수로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방호벽에 형성된 방류구에 설치되어 상기 방류구를 개폐하는 우수배출부와, 상기 저류공간에 수용되는 화학물질을 펌핑하여 폐수처리장 또는 집수설비로 배출시키는 화학물질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저류공간에 우수가 수용될 때에는 상기 방류구를 개방시키고, 화학물질이 수용될 때에는 상기 방류구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우수배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부는 맨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맨홀부는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는 우수 또는 화학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지중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문부의 전방 측 우수로에 설치되어 우수로를 따라 흐르는 우수에 포함된 화학물질량을 측정하는 제1화학물질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제1화학물질감지센서에서 측정된 화학물질량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문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수문부의 전방 측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부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될 시 우수로에 체류하는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1펌핑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펌핑유닛은
    상기 수문부의 전방 측 우수로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우수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이 마련된 제1배수부재와,
    상기 제1배수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1스크린이 마련된 제1여과부와,
    상기 제1배수부재와 상기 폐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배수부재 내의 우수를 상기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1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부의 후방 측 우수로에 설치되어 우수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보조수문;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문부 및 보조수문 사이의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부와 상기 보조수문 사이의 우수로를 따라 흐르는 화학물질량을 측정하는 제2화학물질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제어부는 상기 제2화학물질감지센서에서 측정된 화학물질량이 기설정된 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우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상기 보조수문을 작동시키며,
    상기 수문부와 상기 보조수문 사이의 우수로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수문에 의해 상기 우수의 흐름이 차단될 시 상기 수문부와 상기 보조수문 사이의 우수로에 체류하는 우수를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2펌핑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펌핑유닛은
    상기 수문부와 상기 보조수문 사이의 우수로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우수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간이 마련된 제2배수부재와,
    상기 제2배수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유입공간으로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2여과부이 마련된 제2여과부와,
    상기 제2배수부재와 상기 폐수처리시설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제2배출관과,
    상기 제2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배수부재 내의 우수를 상기 폐수처리시설로 펌핑하는 제2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KR1020180144546A 2018-11-21 2018-11-21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KR10208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546A KR102081354B1 (ko) 2018-11-21 2018-11-21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546A KR102081354B1 (ko) 2018-11-21 2018-11-21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354B1 true KR102081354B1 (ko) 2020-02-25

Family

ID=6964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546A KR102081354B1 (ko) 2018-11-21 2018-11-21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6077A (zh) * 2021-08-13 2021-09-10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现场实测的生物滞留设施海绵绩效评价装置及方法
KR102399563B1 (ko) * 2021-09-15 2022-05-17 박민수 초기우수 및 유해화학물질 사고유출수 흐름유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5946A (ja) * 2002-01-24 2005-06-02 ドンヨウ カン 多重隔壁を有する液体貯蔵タンク
KR20110040861A (ko) 2008-07-07 2011-04-20 베이징 티안큉 케미컬스 컴퍼니 리미티드 위험한 화학 물질의 누출용 회수 장치
KR101437109B1 (ko) * 2014-02-24 2014-09-02 김번영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KR101694658B1 (ko) 2016-08-10 2017-01-09 이성운 염산액체 누출사고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5946A (ja) * 2002-01-24 2005-06-02 ドンヨウ カン 多重隔壁を有する液体貯蔵タンク
KR20110040861A (ko) 2008-07-07 2011-04-20 베이징 티안큉 케미컬스 컴퍼니 리미티드 위험한 화학 물질의 누출용 회수 장치
KR101437109B1 (ko) * 2014-02-24 2014-09-02 김번영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KR101694658B1 (ko) 2016-08-10 2017-01-09 이성운 염산액체 누출사고 감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6077A (zh) * 2021-08-13 2021-09-10 昆山市建设工程质量检测中心 一种现场实测的生物滞留设施海绵绩效评价装置及方法
KR102399563B1 (ko) * 2021-09-15 2022-05-17 박민수 초기우수 및 유해화학물질 사고유출수 흐름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354B1 (ko) 화학물질 유출차단시스템
KR101077249B1 (ko) 기어식 슬러지 배출 호퍼
KR20170004060A (ko) 제진기 체인기구의 보호장치
KR100985827B1 (ko) 협잡물 제거장치
US10927019B2 (en) Oil monitoring system
KR101047570B1 (ko) 맨홀
KR101437109B1 (ko) 환경오염물질 유출 차단 시스템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US20140227035A1 (en) Well pad drain and containment recovery system
KR100927631B1 (ko)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KR20110092024A (ko) 게이트 펌프용 로터리 제진기
KR101299787B1 (ko) 수로에 설치되는 부유물질 제거용 승강식 인양기의 이중 접이식 스크린장치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CN115992546A (zh) 一种危化品货物集装箱堆场废水收集系统
CN212835754U (zh) 一种应用于渠道的排水系统
JP3107019U (ja) 油水分離槽を備えた排水路
CA2983639C (en) Oil monitoring system
US8156969B2 (en) Underground storage tank with sediment trap
JPH10280366A (ja) 排水システムの防塵設備
KR102597050B1 (ko) 빗물 저류 및 침투 시스템
KR101370248B1 (ko) 하수 역류 방지를 위한 배수 장치
KR100531031B1 (ko)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JP2015137459A (ja) 土砂処理方法及び土砂処理システム
JP5210718B2 (ja) 雨水沈砂池用固形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