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827B1 - 협잡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협잡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827B1
KR100985827B1 KR1020090129494A KR20090129494A KR100985827B1 KR 100985827 B1 KR100985827 B1 KR 100985827B1 KR 1020090129494 A KR1020090129494 A KR 1020090129494A KR 20090129494 A KR20090129494 A KR 20090129494A KR 100985827 B1 KR100985827 B1 KR 10098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creen
main body
lifting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진
최민기
Original Assignee
최민기
조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기, 조현진 filed Critical 최민기
Priority to KR102009012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및 펌프장 전단에 설치하거나 우수관로에 설치하여 초기우수처리장치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체로 유입되는 하수 등의 유입수에서 협잡물을 분리한 다음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린이 본체 내부에 설치됨은 물론 협잡물을 제1, 2바스켓에 담아 본체 외부로 반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에 구비되는 구획공간과,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구획공간의 반대편 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경사판과, 유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획공간에 설치되고 상부가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한 제1바스켓과;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과;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한 제2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협잡물, 제거장치, 갈퀴, 고리, 인양장치, 스크린

Description

협잡물 제거장치{REMOVAL APPARATUS OF ADULTERATION}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및 펌프장 전단에 설치하거나 우수관로에 설치하여 초기우수처리장치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체로 유입되는 하수 등의 유입수에서 협잡물을 분리한 다음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린이 본체 내부에 설치됨은 물론 협잡물을 제1, 2바스켓에 담아 본체 외부로 반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manhole)은 노면(路面)에 지하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든 구멍으로서, 설치하는 장소는 관의 굵기, 방향이 바뀌는 곳, 기점이나 교차점,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에 설치되며, 통풍이나 관거(管渠)의 연락에도 이용되며 모양은 시공하기가 수월한 원형이 가장 많고, 이 밖에 사각형, 타원형 등도 있다.
또한, 맨홀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가 하수관을 통해서 이동하는 이동로를 제공하게 되는데 맨홀을 기점으로 관의 굵기가 다르게 되어 하수에 포 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관의 관로를 막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맨홀의 상부를 통해 도로로부터 직접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 역시 관로에 쌓여 통수성을 저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02188호에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11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114)를 통해 배수되는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을 걸러내는 스크린(120)과; 상기 스크린(12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120)의 표면에 잔류하면서 오수의 배수를 방해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이물제거수단(130);을 구비하며, 상기 스크린(120)은 이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수직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직바(121)와, 상기 수직바(121)를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23)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제거수단(130)은 상기 각 수직바(12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제거부(131)와, 상기 제거부(131)를 상기 수직바(121)를 따라 승하강시키는 이동부(1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에 관한 기술이 게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맨홀은 스크린이 구비되어 있기는 하나 별도로 협잡물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협잡물이 맨홀 내부에 지속 적으로 축적될 경우 배수구의 막힘으로 인한 역류의 우려를 여전히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본체 내부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본체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에서 협잡물을 걸러내어 본체 외부로 배출하고, 본체 내부에 적층되는 협잡물은 인양장치와 연결된 제1, 2바스켓을 이용하여 본체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체는 밀폐구조로 형성하여 악취가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 하부바닥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 형태로 형성하여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본체 바닥으로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도록 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체의 구획공간 안쪽 측벽과 스크린 상부 일단을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구획공간으로 유입된 유입수가 연결관을 통해 스크린의 안쪽 승강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 바의 중단부위 외곽 둘레에는 차단판을 설치하여 스크린 상부로 부유하는 협잡물의 스크린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제2바스켓의 경사판 쪽 상부단에는 걸림공간이 형성되도록 갈퀴 및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제2바스켓이 스크린의 승강공간을 따라 승강시 스크린 바 사이의 협잡물을 긁으면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갈퀴가 걸리면서 걸림공간이 끼워져 제2바스켓의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2바스켓 내부의 협잡물을 안정적으로 제1바스켓 내부로 쏟아부을 수 있도록 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경사판의 끝단은 경사판이 마주보는 스크린 안쪽의 테두리 단부의 위쪽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진 경사형태로 하여 제2바스켓으로부터 쏟아진 협잡물이 경사판을 미끄러져 제1바스켓으로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게 하고, 경사판 상단과 스크린의 상단 사이의 간격은 제2바스켓의 걸림공간이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제2바스켓이 회전시 제2바스켓 하단이 스크린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제2바스켓의 회전반경 이상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경사판의 끝단과 경사판이 마주보는 스크린 안쪽의 테두리 단부 사이에는 가이드를 설치하여 제2바스켓의 승강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경사판의 상부 끝단을 하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하여 갈퀴에 걸림이 쉽도록 한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협잡물에 포함된 침출수를 바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일단에 침출수를 바닥으로 유도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구획공간과,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하단은 상기 구획공간의 안쪽 측벽 상부와 연결되고 상단은 하단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구획공간의 반대편 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경사판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획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한 제1바스켓과; 상기 구획공간의 아래에 위치하는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이 스크린 바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안쪽의 승강공간에 설치되어 승강공간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부의 밑판이 개폐 가능한 제2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밀폐구조로 형성되면서 하부바닥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구획공간 안쪽의 측벽과 수직으로 동일선상의 천장에는 천장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바의 중단부위 외곽 둘레에는 차단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의 좌, 우 양측에는 측판을 설치하여 경사판 위로 떨어지는 협잡물이 측면으로 떨어지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바스켓과 연결되는 인양장치는 크레인, 윈치와 같은 기계식 또는 작업자가 제1, 2바스켓을 직접 끌어올리는 인력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은, 밑판의 일측 부위를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고 힌지축에 대향하는 타측 부위는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밑판의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은, 밑판의 좌우 양측을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면서 밑판의 양측으로 분할하여 이중 밑판으로 구성하되 상기 분할된 양쪽부위를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이중 밑판이 좌우 양쪽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바스켓은, 사각 또는 원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의 상, 하부 둘레에는, 스크린 바 사이를 따라 승강하면서 스크린 바 사이의 협잡물을 긁어서 제거하는 갈퀴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스켓의 경사판 쪽 상부단에는, 제2바스켓의 상승시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걸려 제2바스켓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갈퀴와 대응하여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끼움결합되는 걸림공간이 형성되도록 갈퀴와 간격을 두고 경사판의 끝단에 부합되는 형태의 고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은 스크린 안쪽의 테두리 단부의 위쪽과 수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진 경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 상단과 스크린의 상단 사이의 간격은 제2바스켓의 걸림공간이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제2바스켓이 회전시 제2바스켓 하단이 스크린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제2바스켓의 회전반경 이상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과 경사판이 마주보는 스크린 안쪽의 테두리 단부 사이에 제2바스켓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은 갈퀴에 걸림이 쉽도록 하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이 스크린 바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안쪽의 승강공간에 설치되어 승강공간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부의 밑판이 개폐 가능한 제2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이 스크린 바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안쪽의 승강공간에 설치되어 승강공간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부의 밑판이 개폐 가능한 제2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가 복수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로 설치되는 협잡물 제거장치의 본체는, 전방의 분배조 및 후방의 배출지역과 배관라인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와 수조의 하부는 배관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본체의 상부와 수조의 내부는 일단에 펌프가 설치된 배관라인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와 분배조를 연결하는 배관라인의 일단과, 본체의 하부와 수조의 하부를 연결하는 배관라인의 일단 및 본체 상부와 수조의 내부를 연결하는 배관라인의 일단에는 개폐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바의 중단부위 외곽 둘레에는 차단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과 연결되는 인양장치는 크레인, 윈치와 같은 기계식 또는 작업자가 제2바스켓을 직접 끌어올리는 인력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은, 밑판의 일측 부위를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고 힌지축에 대향하는 타측 부위는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밑판의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은, 밑판의 좌우 양측을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면서 밑판의 양측으로 분할하여 이중 밑판으로 구성하되 상기 분할된 양쪽부위를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이중 밑판이 좌우 양쪽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은, 사각 또는 원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의 상, 하부 둘레에는, 스크린 바 사이를 따라 승강하면서 스크린 바 사이의 협잡물을 긁어서 제거하는 갈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이 스크린 바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본체로 유입되는 하수 등의 유입수에서 협잡물을 분리한 다음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린이 본체 내부에 설치됨은 물론 협잡물을 제1, 2바스켓에 담아 본체 외부로 반출 처리함으로써, 협잡물이 본체 내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협잡물의 처리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협잡물에 포함된 침출수를 바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일단에 침출수를 바닥으로 유도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구획공간과,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하단은 상기 구획공간의 안쪽 측벽 상부와 연결되고 상단은 하단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구획공간의 반대편 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경사판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획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한 제1바스켓과; 상기 구획공간의 아래에 위치하는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이 스크린 바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안쪽의 승강공간에 설치되어 승강공간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부의 밑판이 개폐 가능한 제2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밀폐구조로 형성되면서 하부바닥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구획공간 안쪽의 측벽과 수직으로 동일선상의 천장에는 천장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이 설치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바의 중단부위 외곽 둘레에는 차단판이 설치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의 좌, 우 양측에는 측판을 설치하여 경사판 위로 떨어지는 협잡물이 측면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바스켓과 연결되는 인양장치는 크레인, 윈치와 같은 기계식 또는 작업자가 제1, 2바스켓을 직접 끌어올리는 인력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은, 밑판의 일측 부위를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고 힌지축에 대향하는 타측 부위는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밑판의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은, 밑판의 좌우 양측을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면서 밑판의 양측으로 분할하여 이중 밑판으로 구성하되 상기 분할된 양쪽부위를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이중 밑판이 좌우 양쪽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바스켓은, 사각 또는 원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의 상, 하부 둘레에는, 스크린 바 사이를 따라 승강하면서 스크린 바 사이의 협잡물을 긁어서 제거하는 갈퀴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스켓의 경사판 쪽 상부단에는, 제2바스켓의 상승시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걸려 제2바스켓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갈퀴와 대응하여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끼움결합되는 걸림공간이 형성되도록 갈퀴와 간격을 두고 경사판의 끝단에 부합되는 형태의 고리가 형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은 스크린 안쪽의 테두리 단부의 위쪽과 수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진 경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 상단과 스크린의 상단 사이의 간격은 제2바스켓의 걸림공간이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제2바스켓이 회전시 제2바스켓 하단이 스크린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제2바스켓의 회전반경 이상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과 경사판이 마주보는 스크린 안쪽의 테두리 단부 사이에 제2바스켓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은 갈퀴에 걸림이 쉽도록 하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이 스크린 바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안쪽의 승강공간에 설치되어 승강공간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부의 밑판이 개폐 가능한 제2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이 스크린 바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안쪽의 승강공간에 설치되어 승강공간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부의 밑판이 개폐 가능한 제2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가 복수로 설치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로 설치되는 협잡물 제거장치의 본체는, 전방의 분배조 및 후방의 배출지역과 배관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와 수조의 하부는 배관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본체의 상부와 수조의 내부는 일단에 펌프가 설치된 배관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와 분배조를 연결하는 배관라인의 일단과, 본체의 하부와 수조의 하부를 연결하는 배관라인의 일단 및 본체 상부와 수조의 내부를 연결하는 배관라인의 일단에는 개폐수단이 설치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바의 중단부위 외곽 둘레에는 차단판이 설치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과 연결되는 인양장치는 크레인, 윈치와 같은 기계식 또는 작업자가 제2바스켓을 직접 끌어올리는 인력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은, 밑판의 일측 부위를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고 힌지축에 대향하는 타측 부위는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밑판의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은, 밑판의 좌우 양측을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면서 밑판의 양측으로 분할하여 이중 밑판으로 구성하되 상기 분할된 양쪽부위를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이중 밑판이 좌우 양쪽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은, 사각 또는 원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의 상, 하부 둘레에는, 스크린 바 사이를 따라 승강하면서 스크린 바 사이의 협잡물을 긁어서 제거하는 갈퀴가 형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 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이 스크린 바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바스켓(20, 40)과,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30)이 설치되는 밀폐 형태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외부로 반출하는 제1바스켓(20)과, 상기 본체(10) 내부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설치되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에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30)과, 상기 스크린(30)의 안쪽 승강공간(33)을 따라 승, 하강하면서 내부의 협잡물을 제1바스켓(20)에 쏟아 붓는 제2바스켓(40)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일측의 대략 중단부위에는 유입수가 들어오는 유입관(11)이 본체(10)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본체(10) 일측 하부 에는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가 배출되는 배출관(12)이 형성되며, 이 배출관(12)은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가 유입관(11)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유입관(11)보다는 아래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0)는, 본체(10) 내부 천장에 설치된 격벽(14)을 기준으로 크게 좌측으로는 제1바스켓(20)이 설치되는 구획공간(13)과, 우측으로는 스크린(30)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구획공간(13)은 본체(10) 내부의 좌측 상부의 외벽과 안쪽 측벽(16)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이 구획공간(13)의 내부에는 제1바스켓(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측벽(16) 상부 위쪽의 수직으로 동일선상에는 측벽(16) 상부로부터 협잡물을 쏟을 수 있는 만큼의 간격을 두고 본체(10)의 좌측 천장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격벽(14)이 형성되며, 측벽(16) 상단에는 측벽(16)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판(15)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2바스켓(40) 내부의 협잡물을 경사판(15) 위에 떨어뜨리면 경사판(15)이 상단에서 하단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협잡물이 경사판(15)을 미끄러지면서 제1바스켓(20) 내부로 자연스럽게 들어가게 된다.
이때, 경사판(15)의 상부 끝단은 갈퀴(43)에 용이하게 걸리면서 제2바스켓(40)의 갈퀴(43) 및 고리(44) 사이의 걸림공간(45)에 쉽게 끼움결합되도록 하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한다.
또한, 스크린(30)이 설치되는 본체(10) 바닥의 구조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하여 유입수가 자연스럽게 바닥으로 모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바스켓(20)은 구획공간(13)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바스켓(40)으로부터 옮겨진 협잡물에서 침출수가 구획공간(13) 하부 일단에 마련된 배출통로(131)를 통해 본체(10) 바닥으로 완전히 배출되면 제1바스켓(20)을 로프 또는 와이어의 연결수단(46)으로 연결된 이동 또는 고정식 크레인, 윈치와 같은 인양장치(50)로 들어올려 본체(10) 외부로 반출한 다음 내부의 협잡물을 처리하고 빈 상태의 제1바스켓(20)은 다시 구획공간(13)에 보낸다.
물론, 제1바스켓(20)은 침출수가 쉽게 빠질 수 있도록 망체의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에는 로프 및 와이어와 같은 연결수단(46)으로 인양장치(50)와 연결하여 승강할 수 있게 하거나 작업자가 직접 제1바스켓(20)을 직접 끌어올릴 수도 있다.
상기 스크린(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 또는 사각 형태로 설치되는 스크린 바(31)와, 상기 스크린 바(31)를 지지하는 스크린 지지바(32)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 바(31)는, 제2바스켓(40)이 승강할 수 있는 승강공간(33)이 마 련되도록 원형모양 또는 사각모양으로 일정 간을 두고 설치되는데 스크린 바(31)와 스크린 바(31) 사이의 간격은 협잡물의 여과 기준에 따라 폭을 좁게 할 수도 있고 넓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린 지지바(32)는 스크린 바(31)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크린 바(31)의 외측 둘레로부터 일정각격 떨어져서 설치되며 스크린 바(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스크린 바(31)와 연결된다.
한편, 스크린(30)의 높이는 구획공간(13)의 측벽(16) 상단과 수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제작하고, 경사판(15) 상단과 스크린(30) 상단 사이의 간격은 제2바스켓(40)이 상승하여 내부에 협잡물을 경사판(15) 위에 쏟아붓기 위해 회전시 제2바스켓(40)의 회전반경 이상으로 하여 제2바스켓(40)이 회전하는데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경사판(15)의 끝단과 경사판(15)이 마주보는 스크린(30) 테두리 단부 사이에 제2바스켓(4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35)를 설치하여 제2바스켓(40)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가이드(35)는, 판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스크린 바(31) 사이를 따라 이동하는 갈퀴(43)의 작동에 방해를 줄 수 있으므로 판 형태보다는 스크린 바(31)를 그대로 상향으로 연장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스크린(30)의 대략 중단부위의 스크린 바(31)의 외곽둘레 즉, 스크린 바(31)와 스크린 지지바(32) 사이의 둘레에는 차단판(34)을 설치하여 부유물과 같 은 협잡물이 스크린 바(31)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즉, 부유물과 같은 협잡물은 가벼워 유입수 위쪽으로 뜨기 때문에 스크린 바(31) 상부 사이로 빠져나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차단판(34)이 설치되어 있어 위쪽으로 뜨는 부유물과 같은 가벼운 협잡물이 차단판(34)에 막혀 스크린(30)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처럼 스크린(30)을 빠져나가지 못한 협잡물 중 일부는 제2바스켓(40) 내부로 들러가므로 제2바스켓(40)을 끌어올려 처리하면 되고, 협잡물의 일부는 스크린 바(31) 사이에 흡착되는데 이러한 스크린 바(31) 사이에 흡착된 협잡물은 제2바스켓(40)에 설치된 갈퀴(43)로 제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스크린(30) 상부로 빠져나가는 협잡물까지 회수할 수 있어 협잡물의 적체로 인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차단판(34)은 스크린 바(31)로부터 최대한 떨어지도록 설치하여 스크린 바(31)를 따라 이동하는 갈퀴(43)의 작동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바스켓(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30)의 승강공간(33)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공간(33)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협잡물의 침출수가 쉽게 빠질 수 있도록 망체로 형성되면서 상부는 로프 및 와이어의 연결수단(46)에 의해 크레인, 윈치 등과 같은 인양장치(50)와 연결된다.
상기 제2바스켓(40)의 밑판(41)은 개폐가 자유롭도록 제2바스켓(40)의 하부 일측 모서리와 이에 대응하는 밑판(41)의 일측 모서리를 힌지축(42)으로 연결하여 힌지축(42)을 중심으로 밑판(41)이 개폐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힌지축(42) 반대쪽의 밑판(41) 모서리 일단과 인양장치(50)를 연결수단(46)으로 연결하여 인양장치(50)의 작동에 의해 밑판(41)을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도 5와 같이 제2바스켓(40)의 밑판(41)을 이중 분할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바스켓(40)의 밑판(41)은, 좌우 양측을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40)의 하단부와 힌지축(42)으로 연결하면서 밑판(41)의 양측으로 분할하여 이중 밑판(41)으로 구성하되 상기 분할된 양쪽부위를 연결수단(46)으로 인양장치(50)와 연결하여 인양장치(50)의 구동에 의해 이중 밑판(41)이 좌우 양쪽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2바스켓(20, 40)은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때 본체(10)의 내부구조 또한 제1, 2바스켓(20, 40) 형태에 부합되는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됨은 당연하며, 제2바스켓(40)의 상, 하단 둘레에는 스크린 바(31) 사이를 따라 승강하면서 협잡물을 제거하는 복수의 갈퀴 살로 이루어지는 갈퀴(43)가 형성된다.
또한, 경사판(15)의 상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2바스켓(40)의 상부 일측 에는 경사판(15)의 상단에 대응하는 걸림공간(45)이 형성되도록 갈퀴(43)에 대응하는 고리(44)가 형성된다.
상기 갈퀴(43)는 복수의 갈퀴 살로 이루어지며 이 갈퀴 살은 제2바스켓(40)의 스크린 바(31) 사이에 위치되어 제2바스켓(40)의 승강시 스크린 바(31) 사이의 협잡물을 긁으면서 상승하므로 스크린 바(31) 사이에 붙은 협잡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갈퀴(43)의 모양은 경사판(15) 상단과 밀착될 수 있도록 각진 형태보다는 경사판(15) 상부 끝단과 같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리(44)는, 제2바스켓(40)이 상승하여 걸림공간(45)이 경사판(15)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바스켓(40)이 회전할 때 경사판(15) 상단을 감싸기 때문에 제2바스켓(40)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한다.
도 7,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스켓(40)이 단독으로 설치된 구조로서,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11)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11)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12)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33)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31)와, 이 스크린 바(31)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31)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 단이 스크린 바(31)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32)로 이루어지는 스크린(30)과, 상기 스크린(30)의 승강공간(33)에 설치되어 승강공간(33)을 따라 승강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50)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부의 밑판(41)이 개폐 가능한 제2바스켓(40)으로 구성되는 협잡물 제거장치가 복수로 구성한다.
상기 복수로 설치되는 협잡물 제거장치의 본체(10)는, 전방에 설치되는 분배조 (60)및 후방에 설치되는 배출지역(70)과 배관라인(80)에 의해 연결되며, 본체(10)의 하부를 수조(90)의 하부와 배관라인(80)으로 연결하고, 본체(10)와 분배조(60)를 연결하는 배관라인(80)의 일단과, 본체(10)와 수조(90)를 연결하는 배관라인(80)의 일단에는 수문 또는 밸브 등의 개폐수단(801)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 바(31)의 중단부위 외곽 둘레에는 차단판(34)이 설치되며, 제2바스켓(40)과 와이어, 로프 등과 같은 연결수단(46)에 의해 연결되는 인양장치(50)는 크레인, 윈치와 같은 기계식 또는 작업자가 제2바스켓(40)을 직접 끌어올리는 인력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제2바스켓(40)은, 밑판(41)의 일측 부위를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40)의 하단부와 힌지축(42)으로 연결하고 힌지축(42)에 대향하는 타측 부위는 와이어, 로프 등과 같은 연결수단(46)으로 인양장치(50)와 연결하여 인양장치(50) 의 구동에 의해 밑판(41)의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바스켓(40)은, 밑판(41)의 좌우 양측을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40)의 하단부와 힌지축(42)으로 연결하면서 밑판(41)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할하여 이중 밑판(41)으로 구성하되 상기 분할된 양쪽부위를 연결수단(46)으로 인양장치(50)와 연결하여 인양장치(50)의 구동에 의해 이중 밑판(41)이 좌우 양쪽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2바스켓(40)은 사각 또는 원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2바스켓(40)의 상, 하부 둘레에는 스크린 바(31) 사이를 따라 승강하면서 스크린 바(31) 사이의 협잡물을 긁어서 제거하는 갈퀴(43)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구획공간(13)이 없는 본체(10)와 스크린(30)과 제2바스켓(40)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협잡물 제거장치를,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11)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11)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12)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33)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31)와, 이 스크린 바(31)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31)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31)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32)로 이루어지는 스크린(30)과, 상기 스크린(30) 안쪽의 승강공간(33)에 설치되어 승강공간(33)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50)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부의 밑판(41)이 개폐 가능한 제2바스켓(40)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구획공간(13)과 제2바스켓(40)이 없이 본체(10)와 스크린(30)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협잡물 제거장치를,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11)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11)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12)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33)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31)와, 이 스크린 바(31)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31)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31)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32)로 이루어지는 스크린(3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와 스크린(30)만으로 구성할 경우 협잡물이 스크린(30)에 흡착되어 서로 엉기면서 자연필터층을 형성하여 협잡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며, 본체(10) 내부의 협잡물은 제2바스켓(40)과 같은 협잡물 반출 장치가 없으므로 흡 입펌프 등과 같은 장치로 반출처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는, 제2바스켓(40)이 스크린(30)의 승강공간(33)을 따라 상승하다가 걸림공간(45)이 경사판(15)의 상부 끝단에 걸리면서 기울어져 제2바스켓(40) 내부의 협잡물을 제1바스켓(20)에 쏟아부은 다음 제1바스켓(20)을 본체(10) 외부로 반출하여 협잡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하수와 같은 유입수는 스크린(30)의 승강공간(33)에 설치된 제2바스켓(40)으로 유입되는데 여기서, 승강공간(33)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는 스크린(30)에 의해 걸러진 상태로 배출관(12)을 통해 최종 배출되며 나머지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은 제2바스켓(40)을 상승시켜 처리하면 된다.
즉, 제2바스켓(40)의 상부와 인양장치(50)가 로프 및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인양장치(50)를 구동하면 인양장치(50)가 로프 및 와이어를 감으면서 제2바스켓(40)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제2바스켓(40)의 상승 전에는 더욱 많은 량의 협잡물을 제2바스켓(40)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밑판(41)이 열린 상태이며, 제2바스켓(40)을 상승시킬 때는 열려 있던 밑판(41)을 닫아 제2바스켓(40) 하부로 협잡물이 떨어지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제2바스켓(40)의 밑판(41)은, 한쪽 모서리가 연결수단(46)에 의해 인양장치(50)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모서리은 힌지축(42)에 의해 제2바스켓(40)의 하부 모서리와 연결되어 있어, 인양장치(50)을 구동하여 연결수단(46)을 끌어올리면 힌지축(42)을 중심으로 밑판(41)이 회동하여 닫히고, 다시 연결수단(46)을 풀어주면 밑판(41)이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열리게 된다.
밑판(41)은 여닫을 시 본체(10) 바닥을 긁으면서 작동하기 때문에 본체(10) 바닥에 가라앉은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인양장치(50)의 구동에 의해 밑판(41)이 닫힌 상태로 스크린(30)의 승강공간(33)을 따라 상승한 제2바스켓(40)은 갈퀴(43) 부위가 경사판(15)의 상부 끝단에 닿는 순간 상승을 멈추고, 이때 밑판(41)과 연결된 인양장치(50)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밀판(41)과 연결된 로프를 끌어당기면 제2바스켓(40)이 회전하여 갈퀴(43)와 고리(44) 사이의 걸림공간(45)이 경사판(15)의 상부 끝단에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인양장치(50)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밑판(41)과 연결된 로프를 더 끌어당기면 내부의 협잡물이 쏟아질 수 있도록 제2바스켓(40)이 경사판(15) 상부 끝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바스켓(40) 내부의 협잡물을 경사판(15) 위에 쏟는다.
물론, 상기 제2바스켓(40)의 하단은 스크린(30)의 승강공간(33)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상태로 제2바스켓(40)의 회전작동에는 문제가 없으며, 경사판(15) 위에 쏟아진 협잡물은 경사판(15)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제1바스켓(20) 내부에 들어가 게 된다.
상기 경사판(15) 위로 쏟아진 협잡물은 격벽(14) 및 경사판(15) 사이의 입구로 들어가고 또한 경사판(15) 양측에는 측판(151)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곳으로 떨어질 염려는 전혀 없다.
그리고 내부에 협잡물을 완전히 쏟은 제2바스켓(40)은 인양장치(50)의 상승시와 반대로 연결수단(46)을 풀어주면 경사판(15) 상부 끝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측면이 가이드(35)에 밀착되어 스크린(30)의 승강공간(33)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제2바스켓(40)이 본체(10) 바닥에 안착되면 밑판(41)과 연결된 연결수단(46)을 풀어주어 밑판(41)이 열린 상태가 되게 한다.
제2바스켓(40) 내부로부터 제1바스켓(20)으로 옮겨진 협잡물은 구획공간(13)의 바닥 일단에 형성된 배출부를 통해 침출수가 완전히 빠진 후 인양장치(50)를 구동하여 제1바스켓(20)을 본체(10) 외부로 반출하여 처리한다.
본체(10) 내부의 협잡물 배출 량이 소량일 경우 경사판(15)을 제거한 상태에서 제2바스켓(40)을 바로 끌어올려 제2바스켓(40) 내부의 협잡물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바스켓(40)의 작동에 의해 협잡물이 제거된 유입수는 스크린(30)을 통과하면서 협잡물이 걸러진 상태로 최종 배출관(12)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1, 2바스켓(20, 40)과 연결되는 인양장치(50)는 고정식보다는 이동식이 바람직하며 인양장치(50) 없이 작업자가 제1, 2바스켓(20, 40)을 직접 끌어올릴 수도 있다.
한편,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50)로 끌어올린 제1, 2바스켓(20, 40)은 바로 암롤박스로 이동하여 제1, 2바스켓(20, 40) 내부의 협잡물을 암롤박스에 적치한 후 차량에 실어서 운반한다.
여기서, 암롤박스의 내부에는 거름망과 배출관을 설치하여 암롤박스에 적재된 협잡물이 암롤박스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하고 침출수는 배출관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들어가게 하며, 암롤박스와 배출관의 연결부위에는 커플링을 설치하여 배출관의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한다.
도 7,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스켓(40)이 단독으로 설치된 협잡물 제거장치를 복수로 설치하여 협잡물의 처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8과 같이 협잡물 제거장치가 복수의 병렬로 설치되어 한쪽의 협잡물 제거장치(도 8의 위쪽 협잡물 제거장치)와 분배조(60)를 연결하는 배관라인(80)의 개폐수단(801)이 개방될 경우, 다른 쪽 협잡물 제거장치(도 8의 아래쪽 협잡물 제거장치)와 분배조(60)를 연결하는 배관라인(80)의 개폐수단(801)은 닫히며, 한쪽의 협잡물 제거장치와 수조(90)를 연결하는 배관라인(80)의 개폐수단(801)은 닫히고, 다른 쪽 협잡물 제거장치와 수조(90)를 연결하는 배관라인(80) 의 개폐수단(801)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다른 쪽 협잡물 제거장치의 하수 유입은 차단되고 다른 쪽 협잡물 제거장치의 침출수는 수조(90)로 유입되며, 수조(90)로 유입된 침출수는 수조(90) 내에 설치된 펌프에 의해 한쪽 협잡물 제거장치로 유입된다.
이때, 수조(90) 내부와 한쪽 협잡물 제거장치의 상부를 연결하는 배관라인(80)의 개폐수단(801)은 당연히 열린 상태이고, 수조(90) 내부와 다른 쪽 협잡물 제거장치의 상부를 연결하는 배관라인(80)의 개폐수단(801)은 닫힌 상태이다.
다른 쪽 협잡물 제거장치의 협잡물에서 수분이 빠지면 제2바스켓(40)을 인양장치(50)로 들어올려 협잡물을 최종처리하고, 제2바스켓(40) 청소 후 다시 다른 쪽 협잡물 제거장치에 제2바스켓(40)을 내려보내는 등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협잡물이 제거된다.
한편, 모든 시설의 상부에는 밀폐형 덮개가 설치되어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덮개에 형성된 투명창을 통해 외부에서도 협잡물 제거장치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맨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바스켓의 상승시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밑판 구조의 제2바스켓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유입관 12:배출관
13:구획공간 14:격벽 15:경사판
16:측벽 20:제1바스켓 30:스크린
31:스크린 바 32:스크린 지지바 33:승강공간
34:차단판 35:가이드 40:제2바스켓
41:밑판 42:힌지축 43:갈퀴
44:고리 45:걸림공간 46:연결수단
50:인양장치 60:분배조 70:배출지역
80:배관라인 90:수조 131:배출통로
151:측판 801:개폐수단

Claims (23)

  1.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협잡물에 포함된 침출수를 바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부 일단에 침출수를 바닥으로 유도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구획공간과,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하단은 상기 구획공간의 안쪽 측벽 상부와 연결되고 상단은 하단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구획공간의 반대편 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경사판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획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한 제1바스켓과;
    상기 구획공간의 아래에 위치하는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이 스크린 바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안쪽의 승강공간에 설치되어 승강공간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부의 밑판이 개폐 가능한 제2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밀폐구조로 형성되면서 하부바닥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구획공간 안쪽의 측벽과 수직으로 동일선상의 천장에는 천장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바의 중단부위 외곽 둘레에는 차단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의 좌, 우 양측에는 측판을 설치하여 경사판 위로 떨어지는 협잡물이 측면으로 떨어지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바스켓과 연결되는 인양장치는 크레인, 윈치와 같은 기계식 또는 작업자가 제1, 2바스켓을 직접 끌어올리는 인력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바스켓은, 밑판의 일측 부위를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고 힌지축에 대향하는 타측 부위는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밑판의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바스켓은, 밑판의 좌우 양측을 이와 대응하는 제2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하면서 밑판의 양측으로 분할하여 이중 밑판으로 구성하되 상기 분할된 양쪽부위를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이중 밑판이 좌우 양쪽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바스켓은, 사각 또는 원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스켓의 상, 하부 둘레에는, 스크린 바 사이를 따라 승강하면서 스크린 바 사이의 협잡물을 긁어서 제거하는 갈퀴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바스켓의 경사판 쪽 상부단에는, 제2바스켓의 상승시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걸려 제2바스켓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갈퀴와 대응하여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끼움결합되는 걸림공간이 형성되도록 갈퀴와 간격을 두고 경사판의 끝단에 부합되는 형태의 고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은 스크린 안쪽의 테두리 단부의 위쪽과 수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진 경사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 상단과 스크린의 상단 사이의 간격은 제2바스켓의 걸림공간이 경사판의 상부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제2바스켓이 회전시 제2바스켓 하단이 스크린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제2바스켓의 회전반경 이상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과 경사판이 마주보는 스크린 안쪽의 테두리 단부 사이에 제2바스켓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의 상부 끝단은 갈퀴에 걸림이 쉽도록 하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12. 삭제
  13. 유입수가 유입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단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를 배출하는 관으로서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유입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안쪽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의 스크린 바와, 이 스크린 바를 지지하기 위해 스크린 바의 둘레를 감싸면서 일단이 스크린 바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크린 지지바로 이루어지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 안쪽의 승강공간에 설치되어 승강공간을 따라 승강 작동을 하는 것으로서 망체로 이루어지면서 상부는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승강 가능하며, 하부의 밑판이 개폐 가능한 바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스켓의 밑판의 일측 부위는 상기 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축에 대향하는 타측 부위는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밑판의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스켓의 상, 하부 둘레에는, 스크린 바 사이를 따라 승강하면서 스크린 바 사이의 협잡물을 긁어서 제거하는 갈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가 하나 이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바의 중단부위 외곽 둘레에는 차단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밑판의 좌우 양측이 상기 바스켓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되면서 밑판의 양측으로 분할되어 구성하되 상기 분할된 양쪽부위를 연결수단으로 인양장치와 연결하여 인양장치의 구동에 의해 밑판이 좌우 양쪽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90129494A 2009-12-23 2009-12-23 협잡물 제거장치 KR10098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494A KR100985827B1 (ko) 2009-12-23 2009-12-23 협잡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494A KR100985827B1 (ko) 2009-12-23 2009-12-23 협잡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827B1 true KR100985827B1 (ko) 2010-10-11

Family

ID=4313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494A KR100985827B1 (ko) 2009-12-23 2009-12-23 협잡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82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0861A (zh) * 2013-06-24 2013-09-11 天津住宅集团建设工程总承包有限公司 一种确保周边环境稳定的劲性水泥土连续墙拔桩方法
KR101763341B1 (ko) 2015-05-15 2017-07-31 이동희 수중에 가라 앉은 침강물을 수상으로 제거하는 구조를 갖는 빗물 저류조
CN110499813A (zh) * 2019-08-16 2019-11-26 广州凌鼎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排污管道结构及其施工工艺
KR102219755B1 (ko) * 2020-06-11 2021-02-24 김대현 모듈식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CN114134984A (zh) * 2021-11-17 2022-03-04 惠州市弘基水利工程有限公司 泵站前池淤泥清理装置
KR20220032809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평창365 퇴적물 제거 구조체
CN114508128A (zh) * 2022-03-29 2022-05-17 绍兴春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中泥沙收集设备的检修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946U (ko) * 1989-08-01 1991-03-22
JPH09242175A (ja) * 1996-03-08 1997-09-16 Fumio Ida 排水用ストレー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946U (ko) * 1989-08-01 1991-03-22
JPH09242175A (ja) * 1996-03-08 1997-09-16 Fumio Ida 排水用ストレーナ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0861A (zh) * 2013-06-24 2013-09-11 天津住宅集团建设工程总承包有限公司 一种确保周边环境稳定的劲性水泥土连续墙拔桩方法
KR101763341B1 (ko) 2015-05-15 2017-07-31 이동희 수중에 가라 앉은 침강물을 수상으로 제거하는 구조를 갖는 빗물 저류조
CN110499813A (zh) * 2019-08-16 2019-11-26 广州凌鼎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排污管道结构及其施工工艺
CN110499813B (zh) * 2019-08-16 2020-11-06 广州凌鼎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排污管道结构及其施工工艺
KR102219755B1 (ko) * 2020-06-11 2021-02-24 김대현 모듈식 비점오염 저감 시스템
KR20220032809A (ko) *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평창365 퇴적물 제거 구조체
KR102403246B1 (ko) * 2020-09-08 2022-05-30 주식회사 평창365 퇴적물 제거 구조체
CN114134984A (zh) * 2021-11-17 2022-03-04 惠州市弘基水利工程有限公司 泵站前池淤泥清理装置
CN114508128A (zh) * 2022-03-29 2022-05-17 绍兴春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中泥沙收集设备的检修井
CN114508128B (zh) * 2022-03-29 2024-03-12 绍兴春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中泥沙收集设备的检修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27B1 (ko) 협잡물 제거장치
JP3581233B2 (ja) 遮集タンク
CA3083588C (en) A storm water drai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use
US6733665B1 (en) Storm drain system for preventing and filtering debris, trash and hydrocarbons with removable inserts
KR101683365B1 (ko) 여과기능을 첨부한 우수집수정 그레이팅
KR101208359B1 (ko)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JP2015083301A (ja) 水処理およびバイパスシステム
CN110065993B (zh) 一种废油收集设备
KR101907012B1 (ko) 착탈식 맨홀 멀티 스크린 시스템
KR101047570B1 (ko) 맨홀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101024536B1 (ko)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WO2008099182A1 (en) Surface water drainage
KR101765132B1 (ko) 스크린 맨홀
US3398830A (en) Drain guard
KR101038806B1 (ko) 오수용 맨홀
KR101403502B1 (ko) 스크린 일체형 펌프 게이트 장치
KR20210122428A (ko) 유지 및 침사 거름기능을 구비한 물받이
KR101772474B1 (ko) 하수구 맨홀 장치
KR101117776B1 (ko) 협잡물 제거장치
CN215888504U (zh) 防淤堵式倒虹吸污水管道系统
KR101343859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0693281B1 (ko)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KR100971445B1 (ko) 슬러지 준설이 용이한 하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