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536B1 -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 Google Patents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536B1
KR101024536B1 KR1020100075513A KR20100075513A KR101024536B1 KR 101024536 B1 KR101024536 B1 KR 101024536B1 KR 1020100075513 A KR1020100075513 A KR 1020100075513A KR 20100075513 A KR20100075513 A KR 20100075513A KR 101024536 B1 KR101024536 B1 KR 101024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hole
drainage
dirt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용
Original Assignee
이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용 filed Critical 이지용
Priority to KR102010007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1Gully gratings hinged to the body of the gu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이나 도로 상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설치되는 오물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수과정에서 차단덮개에 의한 1차오물유입차단과 차단본체 및 차단하판에 의한 2차오물유입차단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수 및 오물수거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덮개의 편리한 개폐구조를 통해 차단본체 내부의 오물을 쉽게 수거해 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COLLECTING DEVICE FOR SEWAGE FILTERING}
본 발명은 교량이나 도로 상에 형성된 배수부에 설치되어 적정배수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도로 일측에는 빗물 등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가 설치되는데, 배수구는 기본적으로 최초 빗물이 내부로 모이는 배수본체 일측에 배수배관이 연결되어 집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배수본체의 입구 상에는 오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오물차단장치가 설치되는데, 종래 오물차단장치는 단순히 사각 틀 안에 차단프레임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 그레이팅(grating)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빗물이 배수본체 안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물은 차단프레임에 의해 걸러지게 되는데, 하지만 종래 오물차단장치는 오물의 유입차단이 배수본체 입구 상에서 한번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차단프레임 간 간격보다 작은 크기의 오물은 그대로 통과하여 유입될 수밖에 없다.
만약 차단프레임 간 간격을 좁힐 경우 오물유입차단 효율은 높일 수 있지만 반대로 도로 상에서의 최초 빗물 유입이 원활하지 못해 도로상에 빗물이 고이는 현상이 발생되어 배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 중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161948호 『맨홀』이 있는데, 이 종래기술은 배수구 내에 별도의 침전조를 구비시키고 침전조 측벽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빗물은 배수구로 배출됨과 동시에 오물은 걸러지도록 하고 걸러진 오물은 바닥판에 침전되도록 하여 별도 수거 처리함에 따라 배수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 종래기술은 통공이 침전조 측벽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침전조 내에 낙엽처럼 면적이 넓고 가벼운 오물이 들어갈 경우, 빗물의 배수과정에서 통공을 막게 되고, 이로 인해 빗물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해 침사조 내 빗물이 외부로 범람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그레이팅 형태의 뚜껑이 단순히 맨홀 입구상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크고 내부의 바닥판을 들어내기 위해서는 뚜껑전체를 들어올려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동과정 중 떨어트릴 경우 안전사고의 우려도 크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뚜껑의 그레이팅 형상이 기다란 일자형상 이기 때문에 나뭇가지처럼 기다란 형상의 오물이 쉽게 통과될 가능성이 크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빗물과 함께 유입된 오물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오물에 의한 차단공 막힘 현상을 최소화 함에 따라 빗물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단덮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오물차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로나 교량에 형성되는 집수구에 삽입 설치되는 오물수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측개방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하측개방부가 형성되고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차단공이 형성된 차단본체, 상기 상측개방부 상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차단공이 형성된 차단덮개, 상기 하측개방부에 설치되고 바닥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차단공이 형성된 차단하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로나 교량 상판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배수본체 및 상기 배수본체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배관을 갖는 설치부, 상기 설치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집수공간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측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측개방부가 형성되며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차단공이 형성된 차단본체와 상기 상측개방부 상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차단공이 형성된 차단덮개 및 상기 하측개방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차단공이 형성된 차단하판을 갖는 오물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차단공은 상기 제1, 3차단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덮개와 상기 차단본체는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차단덮개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본체 외부면과 상기 배수본체 내부면 사이에는 배수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공과 제2차단공 및 제3차단공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걸름망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빗물의 유입과정에서 차단덮개의 차단공을 통해 오물이 1차로 걸러지고 차단본체 또는 차단하판의 차단공을 통해 2차로 걸러지기 때문에, 오물이 걸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차단본체의 측벽의 제3차단공과 더불어 바닥의 차단하판에도 제1차단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빗물의 배출 과정에서 오물에 의해 제1차단공 또는 제3차단공이 막히더라도 충분한 빗물의 배수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차단덮개가 힌지부를 통해 차단본체와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분실이 방지되는 장점도 갖는다.
도 1은 오물차단부와 배수부 간 분해사시도
도 2는 오물차단부와 배수부 간 결합사시도
도 3은 빗물의 유입 및 배수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오물에 의해 제1차단공이 막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차단덮개를 개방시켜 차단본체 내부의 오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배수부가 생략된 상태에서 오물차단부가 맨홀에 직접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의 적용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 오물차단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배수부(100)와 오물차단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배수부(100)는 교량 등 고가도로 상에서의 빗물의 집수 및 집수된 빗물의 외부 배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배수본체(110) 와 배수배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수본체(110)는 사각 함체 형태로 내부에 설치공간(112)이 형성되고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고 하부에는 바닥판(114)이 형성되되, 바닥판(114) 중앙에는 배수공(116)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본체(110)는 전체적으로 깔때기(funnel))구조, 즉 내부면적이 위쪽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론 배수본체(110)의 구조는 이 외에도 단순 직육면체 등 기타 다양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배수배관(120)은 배수본체(110) 및 후술하는 차단본체(210)로 유입된 빗물의 외부배출 경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명칭 그대로 배관구조이고 일단부가 배수본체(110)의 배수구(116)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수부(100)에는 오물차단부(200)가 설치된다.
오물차단부(200)는 빗물의 유입과정에서 오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차단본체(210)와 차단덮개(220) 및 차단하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차단본체(210)는 배수본체(110)와 동일한 형태, 즉 전체적으로 깔대기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드는 수용공간(212)이 형성되고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측개방부(214) 및 하측개방부(216)가 형성되어 상하부가 완전히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차단본체(210)의 둘레면, 즉 수용공간(212)을 둘러싸고 있는 각 측벽에는 빗물과 함께 수용공간(212)으로 유입된 오물이 배수배관(120)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1차단공(218)이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된다.
참고로 차단본체(210)의 구조도 깔대기 구조가 아닌 단순 직육면체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본체(210)는 배수본체(110)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하단부가 배수본체(110)의 바닥판(114) 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외부의 빗물이 최초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차단본체(210)의 외부면과 배수본체(110)의 내부면 사이에는 배출간극(T)이 형성되도록 하여 차단본체(210) 안으로 유입된 빗물이 제1차단공(218)을 통해 배수본체(11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제1차단공(218)은 도면과 같이 복수 개 형성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단순 원형구멍이 아니라 격자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도면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격자형태와 달이 기다란 막대형태의 오물들은 통과할 수 없게 되는 장점을 더 갖게 된다.
차단덮개(220)는 외부로부터 빗물이 최초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물의 1차유입차단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판재형태로 이루어지고 차단본체(210)의 상측개방부(214) 상에 덮개 형태로 안착 설치된다.
이때 차단덮개(220)는 일측이 별도 경첩형태의 힌지부(H)를 통해 차단본체(210)와 연결됨에 따라, 힌지부(H)를 통해 회동하여 개폐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단덮개(220)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시켜 차단덮개의 개폐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단덮개(220)에는 도로 상의 빗물이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물이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2차단공(222)이 형성된다.
이때 제2차단공(222)의 직경은 제1차단공(218)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아주 큰 오물을 제외한 타 오물들은 1차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하여 오물에 의해 제2차단공(222)이 막혀 빗물의 최초 유입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이렇게 차단덮개(220)와 차단본체(210)에 각각 제1, 2차단공(218)(222)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물이 제2차단공(222)을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지고 제2차단공(222)을 통과한 오물은 차단본체(210) 내부에서 제1차단공(218)을 통해 2차적으로 걸러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참고로 제2차단공(222)도 제1차단공(218)과 마찬가지로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덮개(220) 자체를 기존처럼 일자형 그레이팅이나 격자형 그레이팅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차단편 간 사이 공간이 제2차단공이 된다.
하지만 제2차단공(222)도 제1차단공(218)처럼 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격자형상에 비해 기다란 막대형태의 오물들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차단하판(230)은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배출기능과 더불어 오물배출의 차단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판재형태로 이루어지며 차단본체(210)의 하측개방부(216)에 설치되어 하측개방부(216)를 차단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차단하판(230)은 기본적으로 용접 등을 통해 차단본체(210)에 고정 설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차단덮개(220)처럼 개폐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차단하판(230)에는 차단본체(210)에 집수된 물이 배수배관(120)으로 직접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과정에서 오물을 걸러내기 위한 제3차단공(232)이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제3차단공(232)들은 배수본체(110)의 배출구(116) 면적 내에 형성되도록 하여 제3차단공(232)으로부터 배출된 빗물이 배출구(116)를 통해 곧바로 배수배관(1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3차단공(232)도 제1차단공(218)과 마찬가지로 제2차단공(22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크기가 큰 오물은 제2차단공(222)을 통해 걸러지고 제2차단공(222)을 통과한 오물은 차단본체(210) 내부에서 제1, 3차단공(218)(232)을 통해 걸러지게 된다.
참고로 차단하판(230)도 차단덮개(220)처럼 일자형 또는 격자형 그레이팅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오물차단부(200)가 배수본체(110) 내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 상의 빗물이 차단덮개(220)의 제2차단공(222)을 통해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빗물과 함께 쓸려온 오물 중 크기가 큰 오물은 제2차단공(222)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고 상대적으로 작은 오물은 빗물과 함께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차단본체(210)의 제1차단공(218)과 차단하판(230)의 제3차단공(232)을 통해 배수본체(110)와 배수배관(120)으로 배출된다.
이때 차단본체(210) 외부면과 배수본체(110) 내부면 사이에는 배수간극(T)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제1차단공(218)으로의 빗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차단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오물은 제1차단공(218)과 제3차단공(232)에 의해 걸러져 배출되지 못하고 차단본체(210) 내부에 계속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차단공(222)에 의해 차단덮개(220) 상에서 오물의 유입이 1차적으로 걸러지고 차단본체(210) 안에서 제1, 3차단공(218)(232)에 의해 2차 걸러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빗물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오물이 배수배관(120)으로 배출되는 것은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만약 빗물이 제1, 3차단공(218)(232)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도 4]와 같이 비닐이나 낙옆 과 같이 가벼워 가라앉지 않는 오물(F)이 제1차단공(218)을 막아 제1차단공(218)으로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제3배출공(232)을 통해 충분히 배출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차단본체(2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범람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단본체(210) 측벽뿐만 아니라 바닥에도 차단공(218)(232)을 형성시킴에 따라 낙엽과 같이 가벼운 오물(F)에 의해 측벽의 차단공(218)이 막히더라도 항시 원활한 배수기능이 발휘 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그리고 배수과정에서 오물이 차단본체(210) 내부에 많이 쌓일 경우 [도 5]와 같이 차단덮개(220)를 들러 올리면, 차단덮개(220)는 힌지부(H)를 중심으로 개방되고 이 상태에서 차단본체(210) 내부의 오물을 외부로 수거해 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단덮개(220)가 힌지부(H)를 통해 차단본체(2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연결상태에서 개폐되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차단덮개 전체를 들어올려 분리해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들어올리고 내리는 과정에서 차단덮개를 떨어트려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차단덮개(220)가 차단본체(210)에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차단덮개(220)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내지 제3차단공(218)(222)(232)에 매쉬 형태의 거름망(300)이 형성되어 오물의 유입 및 배출 차단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거름망(300)은 제1내지 제3차단공(218)(222)(232) 모두 형성되거나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위 설명에서는 차단본체(210)가 별도 배수본체(110)에 설치된 구조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구조 외에 [도 6]처럼 일반적인 맨홀 형태의 배수구(400) 내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배수본체(11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차단본체(210)측벽과 차단하판(230)에 모두 차단공(218)(232)을 형성시킨 구조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도면과 같이 차단덮개(220)와 차단하판(230)을 연결와이어(500)로 상호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단하판(230)은 면적이 차단본체(210) 바닥면적과 거의 동일하게 제작되고 상부면 각 모서리 상에는 제1연결고리(2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덮개(220)의 바닥면 각 모서리에는 제2연결고리(2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와이어(500)은 차단덮개(220)와 차단하판(23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부는 어느 한 제2연결고리(224)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이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한 어느 한 제1연결고리(234)에 연결된다.
따라서 차단하판(230)이 연결와이어(500)를 통해 차단덮개(230) 아래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된다.
참고로 연결와이어(500)는 도면과 같이 쇠사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단순 와이어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연결고리(234)(224) 및 연결와이어(500)의 형성개수도 차단하판(230)과 차단덮개(22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형성지점도 차단하판(230)과 차단덮개(220) 모서리에 한정되지 않고 각 변에 형성되거나 변 및 모서리에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와이어(500)를 철재로 적용할 경우 제1, 2연결고리(234)(224)를 생략한 상태에서 연결와이어(500) 양 단부를 차단덮개(220)와 차단하판(230)에 용접시키는 구조로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8]과 같이 차단하판(230) 상에 걸러진 오물을 외부로 수거하고자 할 경우 차단덮개(220)를 들어올리면 연결와이어(500)에 의해 차단하판(230)이 함께 들어올려지므로 작업자가 쉽게 차단하판(230) 상의 오물을 외부로 빼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처럼 차단덮개(220)가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에서는 차단덮개(220)를 완전히 개방시켰을 때 차단하판(230)이 기울어져 오물이 밑으로 떨어질 우려가 있기는 하다.
하지만 차단덮개(220)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라도 차단하판(230)이 충분히 상승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한 손으로 차단덮개(220)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차단하판(230)을 더 들어올리거나 오물만을 빼내면 되므로 반드시 차단덮개(220)를 완전히 개방할 필요가 없다.
참고로 이렇게 연결와이어(500)로 차단덮개(220)와 차단하판(230)을 연결하는 구조는 힌지부(H)가 생략된 구조, 즉 차단덮개(220)를 기존처럼 완전히 들어올리는 구조에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 9]와 같이 차단본체(210)를 구비시키지 않고 차단덮개(220)와 연결와이어(500) 및 차단하판(230)간 결합체를 배수본체(110)내에 직접 설치하는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하판(230)상에 걸러진 오물을 외부로 수거하고자 할 경우 차단덮개(220)를 들어올리면 연결와이어(500)를 통해 연결된 차단하판(230)함께 들어올려지고 차단하판(230)을 외부로 완전히 빼낸 상태에서 오물을 수거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기본구조, 차단본체(210)와 차단하판(230)에 차단공(218)(232)을 형성시킨 구조는 앞의 두 실시예와 동일한 반면 차단하판(230)에 자동 개폐구조를 적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단하판(230)이 차단본체(210) 하단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는 위 제1실시예와 달리 차단하판(230)이 별도의 제2힌지부(H2)를 통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차단하판(230)의 일측 테두리와 차단본체(210) 하단 테두리가 접하는 지점에 별도의 제2힌지부(H2)가 설치됨에 따라 차단하판(230)은 차단덮개(220)처럼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제2힌지부(H2)에는 차단하판(230)의 자동복귀 기능을 위한 탄성부재(600)가 설치되는데, 탄성부재(600)는 일반적인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구조, 즉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610) 양측으로 회동편(620)과 고정편(630)이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고정편(630)은 차단본체(210) 측벽 하단에 연결되고 회동편(620)은 차단하판(230) 바닥면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때 배수배관(120)의 내벽 중 차단하판(230)과 배수본체(210)간의 개폐부분 아래쪽 지점에는 별도의 보조 수거함(130)이 설치되는데, 이때 보조 수거함(130)은 배수배관(120)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보조수거함(130)에는 제1 내지 제3차단공(218)(222)(232)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제4차단공(132)이 형성된다.
[도 10]과 같이 집,배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오물에 의해 제1차단공(218) 및 3차단공(232)이 막힐 경우 차단본체(210)로부터 빗물이 배수되지 못하고 차단본체(210) 내부에 차오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빗물의 집수양이 일정수준이 되면 빗물의 무게에 의해 차단하판(230)이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아래로 젖혀져 차단본체(210) 하단이 완전히 개방된다.
따라서 차단본체(210) 내부의 빗물을 포함해 오물이 함께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빗물과 오물은 보조수거함(130)안으로 들어감과 동시에 보조수거함(130)의 제4차단공(132)에 의해 빗물은 보조수거함(130) 외부로 배출되고 오물은 보조수거함(130) 내에 남게 된다.
이렇게 차단하판(230)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600)의 회동편(620)이 차단하판(230) 함께 회전됨에 따라 탄성부(610)에는 비틀림하중이 적용됨과 동시에 이에 대응되는 탄성력이 적용된다.
이 상태에서 빗물이 어느 정도 배출되면 차단하판(230)은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위를 향해 상승되어 차단본체(210) 하단을 다시 차단하게 된다.
그 후 보조수거함(130)에 남아 있는 오물을 수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차단하판(230)을 아래로 밀어 개방시킨 후 보조수거함(130)을 외부로 꺼내거나 내부의 오물만을 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100 : 배수부 110 : 배수본체
112 : 설치공간 114 : 바닥판
116 : 배수구 120 : 배수배관
200 : 오물차단부 210 : 차단본체
212 : 수용공간 214 : 상측개방부
216 : 하측개방부 218 : 제1차단공
220 : 차단덮개 222 : 제2차단공
230 : 차단하판 232 : 제3차단공
H : 힌지부 300 : 거름망
400 : 배수구 500 : 연결와이어
234 : 제1연결고리 224 : 제2연결고리
H2 : 제2힌지부 130 : 보조수거함
132 : 제4차단공 600 : 탄성부재
610 : 탄성부 620 : 회동편
630 : 고정편

Claims (9)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배수본체,
    상기 설치공간에 삽입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상측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하측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단본체,
    상기 하측개방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차단하판,
    상기 차단하판과 상기 차단본체를 연결하는 제2힌지부,
    상기 제2힌지부 및 상기 차단하판과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오물수거용 집수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차단본체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차단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개방부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차단공을 갖는 차단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하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차단공이 형성되어 있는
    오물수거용 집수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차단덮개는 힌지부를 통해 상기 차단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차단본체 외부면과 상기 배수본체 내부면 사이에는 배수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제1차단공과 제2차단공 및 제3차단공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거름망이 형성되어 있는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제1차단공과 상기 제2차단공 및 상기 제3차단공은 모두 원형인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배수본체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배관 및
    상기 배수배관 내에 설치되어있는 보조 수거함을 더 포함하는 오물수거용 집수장치.
KR1020100075513A 2010-08-05 2010-08-05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KR10102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513A KR101024536B1 (ko) 2010-08-05 2010-08-05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513A KR101024536B1 (ko) 2010-08-05 2010-08-05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536B1 true KR101024536B1 (ko) 2011-03-31

Family

ID=4393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513A KR101024536B1 (ko) 2010-08-05 2010-08-05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5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341B1 (ko) 2012-05-25 2013-08-29 전용준 분할된 복수 개의 개폐판을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CN108589894A (zh) * 2018-03-13 2018-09-28 安徽创新网络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建筑用下水道排水口防堵装置及其控制系统
CN110965467A (zh) * 2020-02-12 2020-04-07 宋鹏威 一种桥梁排水系统
KR102155590B1 (ko) * 2020-03-02 2020-09-14 주식회사 에스티 집수구용 모래 수거장치
KR102210560B1 (ko) * 2020-07-09 2021-02-01 김해성 배수용 그레이팅 방충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20Y1 (ko) * 2001-02-09 2001-07-19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우수받이
KR200278405Y1 (ko) * 2002-02-28 2002-06-20 안판상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20Y1 (ko) * 2001-02-09 2001-07-19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우수받이
KR200278405Y1 (ko) * 2002-02-28 2002-06-20 안판상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341B1 (ko) 2012-05-25 2013-08-29 전용준 분할된 복수 개의 개폐판을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CN108589894A (zh) * 2018-03-13 2018-09-28 安徽创新网络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建筑用下水道排水口防堵装置及其控制系统
CN110965467A (zh) * 2020-02-12 2020-04-07 宋鹏威 一种桥梁排水系统
KR102155590B1 (ko) * 2020-03-02 2020-09-14 주식회사 에스티 집수구용 모래 수거장치
KR102210560B1 (ko) * 2020-07-09 2021-02-01 김해성 배수용 그레이팅 방충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8226A (en) Storm drain filter with removable debris tray
KR101024536B1 (ko)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CA3083588C (en) A storm water drai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use
KR101683365B1 (ko) 여과기능을 첨부한 우수집수정 그레이팅
US7988870B2 (en) Watershed runoff treatment device & method
KR100957464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KR100985827B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100976852B1 (ko) 집수정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101765132B1 (ko) 스크린 맨홀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101772474B1 (ko) 하수구 맨홀 장치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200437460Y1 (ko)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도로의 집수박스 구조
JP7001830B2 (ja) 雨水ます
KR20210122428A (ko) 유지 및 침사 거름기능을 구비한 물받이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01020415B1 (ko) 맨홀 장치
KR200440804Y1 (ko) 개량 우수받이
KR101126280B1 (ko) 우수받이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