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720Y1 - 우수받이 - Google Patents

우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720Y1
KR200230720Y1 KR2020010003266U KR20010003266U KR200230720Y1 KR 200230720 Y1 KR200230720 Y1 KR 200230720Y1 KR 2020010003266 U KR2020010003266 U KR 2020010003266U KR 20010003266 U KR20010003266 U KR 20010003266U KR 200230720 Y1 KR200230720 Y1 KR 200230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rain
catch
ne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03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7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720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우수받이 몸체와 뚜껑 사이에 촘촘한 망을 가진 거름망을 구비하여 뚜껑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배수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우수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우수받이 몸체의 내부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격자의 망을 가진 뚜껑이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우수받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뚜껑의 망보다 더 촘촘하고 일정한 틀을 가진 거름망이 상단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 걸림부에 의하여 우수받이 몸체의 걸림턱에 놓여지고, 그 상부로 상기 우수받이 뚜껑이 놓여져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우수받이{RAINWATER CATCHER}
본 고안은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노면으로부터의 이물질이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배수 시설의 일환으로 우수받이가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하수관과 연결된다.
따라서, 우천 시에 노면에 내린 비는 우수받이 쪽으로 흘러 들어가 하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이다.
우수받이를 덮고 있는 뚜껑은 외부로부터 우수받이로 유입되는 이물질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이러한 우수받이 뚜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우수받이를 구성하는 망 사이의 간격이 너무 커서 담배꽁초, 낙엽 등의 이물질이 쉽게 우수받이로 유입되어 배수 통로가 막히게 되어 우천 시에 빗물이 도로쪽으로 넘치는 결과를 초래하여 우수받이의 역할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의 우수받이가 이물질에 의하여 쉽게 막히기 때문에 빈번히 청소를 하여야 하며, 이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우수받이 몸체와 뚜껑 사이에 촘촘한 망을 가진 거름망을 구비하여 뚜껑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배수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우수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
도 2 는 도 1 의 장착 단면을 나타낸 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도.
도 4 는 도 3의 거름망으로 부터 뚜껑이 열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뚜껑
200 : 거름망
210 : 프레임 220 : 걸림테
230 : 망
300 : 우수받이 몸체
310 : 돌출 걸림부
400 : 힌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받이는,
우수받이 몸체의 내부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격자의 망을 가진 뚜껑이 상기걸림턱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우수받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뚜껑의 망보다 더 촘촘하고 일정한 틀을 가진 거름망이 상단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 걸림부에 의하여 우수받이 몸체의 걸림턱에 놓여지고, 그 상부로 상기 우수받이 뚜껑이 놓여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로서, 우수받이 몸체(300)는 통상 콘크리트로 성형되어 그 하부에 하수관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우수받이 몸체(300)는 그 내측에 일정 부분 돌출되는 걸림턱(310)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310)에 거름망(200)이 놓여지며, 그 상부에 금속 재질의 뚜껑(100)이 놓여지게 된다.
뚜껑(100)과 우수받이 몸체(300)에 설치되는 거름망(200)은 일정 깊이를 갖는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의 프레임(210)에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망(230)이 설치되는데, 상기 망(230)은 뚜껑(100)에 구비된 격자망보다 더욱 촘촘하게 구성되어야 뚜껑(100)을 통과한 이물질이 쉽게 걸러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망(230)은 와이어 메쉬 또는 철사 등의 금속재에 의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210)의 상단에는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부(220)가 구비되는데, 이 돌출 걸림부(220)는 우수받이 몸체(300)의 걸림턱(310)에 걸리어 안착된다.
도 2 는 본 고안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로서, 일정 깊이를 갖는 거름망(200)이 우수받이 몸체(300)의 걸림턱(310)에 걸려 장착되고, 그 장착된 상부에 뚜껑(100)이 놓여진다.
상기 거름망(200)이 이물질이 많이 쌓여 배수 기능을 상실하거나 또는 이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뚜껑(100)을 들어내고, 거름망(200)을 우수받이 몸체(300)로부터 단순히 분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수받이는,
우수받이 몸체의 내부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격자의 망을 가진 뚜껑이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우수받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뚜껑의 망보다 더 촘촘하고 일정한 틀을 가진 거름망이 상단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 걸림부에 의하여 우수받이 몸체의 걸림턱에 놓여지고, 그 상부로 상기 우수받이 뚜껑이 놓여지되 상기 거름망과 힌지를 매개로 하여 여닫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굳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우수받이 몸체(300)는 그 내측에 일정 부분 돌출되는 걸림턱(310)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310)에 거름망(200)이 놓여지며, 그 상부에 금속 재질의 뚜껑(100)이 놓여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거름망(200)과 우수받이 뚜껑(100)은 어느 일측부가 힌지(400)를매개로 하여 여닫힘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즉, 거름망(200)과 뚜껑(100)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 거름망(200)이 분실되는 경우와 이를 유지 보수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있으므로, 이를 힌지(400)를 매개로 일체화하는 것이다.
도 5 는 이러한 거름망(200)과 뚜껑(100)이 열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로서, 거름망(200)에 이물질이 쌓여 배수 기능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또는 여타의 이유로 보수를 하는 경우에 우수받이 몸체(300)로부터 거름망(200)과 뚜껑(100)을 분리시킨 다음 거름망(200)으로부터 뚜껑(100)을 열어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후 뚜껑(100)을 닫은 상태에서 우수받이 몸체(100) 즉, 걸림턱(310)에 이를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우수받이는, 기존의 우수받이에 분리 또는 일체형으로 거름망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경제적이며, 우수받이의 유지 보수가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뚜껑의 하부에 거름망을 설치하므로 도로 위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미적 요소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우수받이 몸체의 내부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격자의 망을 가진 뚜껑이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우수받이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뚜껑의 망보다 더 촘촘하고 일정한 틀을 가진 거름망이 상단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 걸림부에 의하여 우수받이 몸체의 걸림턱에 놓여지고, 그 상부로 상기 우수받이 뚜껑이 놓여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힌지를 매개로 하여 뚜껑과 거름망이 여닫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KR2020010003266U 2001-02-09 2001-02-09 우수받이 KR200230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266U KR200230720Y1 (ko) 2001-02-09 2001-02-09 우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266U KR200230720Y1 (ko) 2001-02-09 2001-02-09 우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720Y1 true KR200230720Y1 (ko) 2001-07-19

Family

ID=7306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266U KR200230720Y1 (ko) 2001-02-09 2001-02-09 우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7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45B1 (ko) * 2006-07-21 2007-02-12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1024536B1 (ko) * 2010-08-05 2011-03-31 이지용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45B1 (ko) * 2006-07-21 2007-02-12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1024536B1 (ko) * 2010-08-05 2011-03-31 이지용 오물 수거용 집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2045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KR20130049310A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20170049471A (ko)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200230720Y1 (ko) 우수받이
KR100558709B1 (ko) 오염방지 청소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0855693B1 (ko)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JP5668198B2 (ja) 雨水継手
KR200414156Y1 (ko)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망체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345926Y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KR200239950Y1 (ko) 침사조및악취역류방지기능을보유한배수구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101291639B1 (ko) 악취가 방지되는 우수받이용 거름망
KR19980059575U (ko) 빗물받이용 삽탈식 잡물 걸름망
KR100752292B1 (ko) 마개가 달린 폽업
KR200348451Y1 (ko)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
KR20100010234U (ko) 하수구통 쓰레기 거름장치
KR101564958B1 (ko)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