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958B1 -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958B1
KR101564958B1 KR1020140111586A KR20140111586A KR101564958B1 KR 101564958 B1 KR101564958 B1 KR 101564958B1 KR 1020140111586 A KR1020140111586 A KR 1020140111586A KR 20140111586 A KR20140111586 A KR 20140111586A KR 101564958 B1 KR101564958 B1 KR 101564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drain pipe
vortex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연
Original Assignee
강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미연 filed Critical 강미연
Priority to KR102014011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하부몸체의 측면으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배수관과, 상기 하부배수관에 장착되는 빗물투수그릴과, 하부몸체의 상측으로 걸림턱이 구성된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높이몸체의 하측으로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에 결합되는 하부턱과, 높이몸체의 상측으로 상부턱이 구성된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상부몸체의 하측으로 상기 높이조절부에 형성된 상부턱에 결합되는 고정턱과, 상기 고정턱의 상측으로 하나 이상의 타공홀이 형성되며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와류부와, 상기 와류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걸름바구니와, 상기 걸름바구니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그레이팅과, 측면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드레인관으로 구성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에 형성된 드레인관에 연결되는 집수몸체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드레인관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집바구니와, 상기 수집바구니가 거치되는 고정턱과, 커버가 구성된 이물질집수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부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원뿔형상의 와류부를 통해 상부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이 직선방향으로 떨어지지 않고 와류되면서 이동하게 되어 한 곳에 쌓이지 않게 됨은 물론, 와류부로 흐른 이물질이 드레인관을 통해 이물질집수부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면서 이물질이 쌓이면서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Rainwater receiving case improved drainage efficiency and water-permeability}
본 발명은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중으로 흐르는 빗물이나 오수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저수조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저수조로 흐르는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이 지중으로 이동하게 될 때, 와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물막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이나 오수를 집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빗물받이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20254호와 같이 지면에 위치되는 그레이팅의 하측으로 빗물이 집수되는 집수탱크를 설치하고 집수탱크의 상측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장치를 배열하여 지면을 흐르는 오수 등을 원활하게 집수탱크로 집수할 수 있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집수탱크로 오수 등을 집수하게 되더라도 오수와 같이 이동되는 나뭇잎 등이 집수탱크로 쌓이게 되면서 집수조로 오수 등이 유입되지 못해 도로가 침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20254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의 쌓임을 방지하고, 이물질로 인해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는 하부몸체의 측면으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배수관과, 상기 하부배수관에 장착되는 빗물투수그릴과, 하부몸체의 상측으로 걸림턱이 구성된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높이몸체의 하측으로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에 결합되는 하부턱과, 높이몸체의 상측으로 상부턱이 구성된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상부몸체의 하측으로 상기 높이조절부에 형성된 상부턱에 결합되는 고정턱과, 상기 고정턱의 상측으로 하나 이상의 타공홀이 형성되며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와류부와, 상기 와류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걸름바구니와, 상기 걸름바구니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그레이팅과, 측면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드레인관으로 구성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에 형성된 드레인관에 연결되는 집수몸체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드레인관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집바구니와, 상기 수집바구니가 거치되는 고정턱과, 커버가 구성된 이물질집수부로 이루어져, 상부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원뿔형상의 와류부를 통해 상부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이 직선방향으로 떨어지지 않고 와류되면서 이동하게 되어 한 곳에 쌓이지 않게 됨은 물론, 와류부로 흐른 이물질이 드레인관을 통해 이물질집수부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면서 이물질이 쌓이면서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부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원뿔형상의 와류부를 통해 상부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이 직선방향으로 떨어지지 않고 와류되면서 이동하게 되어 한 곳에 쌓이지 않게 됨은 물론, 와류부로 흐른 이물질이 드레인관을 통해 이물질집수부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면서 이물질이 쌓이면서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와류부로 이물질과 오수 등이 이동하게 될 때, 와류부로 이동되는 이물질이 드레인관을 통해 이물질집수부로 흐르게 되면서, 상기 와류부에 형성된 타공홀로 오수만이 흐르게 되면서 하부본체로는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만이 집수되어 사용자가 오수를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에는 하부배수관에 결합되는 덮개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덮개의 개폐하면서 생태 동, 식물의 수자원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하부본체와 상부본체의 사이로 높이조절부를 형성하여 빗물받이가 설치되는 장소에 상관없이 빗물받이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본체, 높이조절부, 상부본체, 이물질집수부를 통해 빗물받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한 막힘현상을 감소시켜 침수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의 하부본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의 높이조절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의 상부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의 상부본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의 이물질집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5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10), 높이조절부(20), 상부본체(30), 이물질집수부(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부본체(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9)의 측면으로 오수 및 우수 등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하부배수관(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배수관(11)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공관 형태의 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밸브(도면에 미도시) 등이 포함된 배관(도면에 미도시)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배수관(11)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수량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4개소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관(11)의 전면방향으로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면서 물이 원활하게 하부배수관(11)으로 흐를 수 있도록 빗물투수그릴(12)이 고정형태 또는 분리, 결합형태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빗물투수그릴(12)이 하부배수관(11)에 결합될 때, 볼트 또는 핀 등과 같은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콘크리트와 같은 골재를 타설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19)의 상측으로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할 상기 높이조절부(20)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19)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원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사용자가 상기 하부배수관(11)으로 흐르는 오수 및 우수 등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부배수관(11)에 결합되는 덮개(14)를 추가로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10)의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높이몸체(29)의 하측으로 상기 하부본체(10)에 형성된 걸림턱(13)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하부턱(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높이몸체(29)의 상측으로 하부턱(21)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0)를 다수단으로 형성할 경우 1단의 높이조절부재(20)에 형성된 하부몸체(29)의 상측이 2단의 하부몸체(29)의 하측과 대응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부재(20)의 상측과 하측을 원활하게 결합하기 위해서 하부턱(21)과 상부턱(22)을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높이조절부재(20)를 하나 이상의 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본체(3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20)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상부몸체(39)의 하측으로 상기 높이조절부(20)에 형성된 상부턱(22)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고정턱(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턱(31)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상부몸체(39)의 내측으로 하나 이상의 타공홀(32a)이 형성되고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원뿔 형태의 와류부(32)가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와류부(32)가 상부본체(30)의 내부에 원활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몸체(39)의 내부 하측으로 하부거치대(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류부(32)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지면에서 상부몸체(39)로 유입되는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는 걸름바구니(3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름바구니(33)는 빗물받이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상과 같이 형성되는 것으로 걸름바구니(33)의 형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은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름바구니(33)가 상부본체(30)에 원활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몸체(39)의 내부 상측으로 걸름바구니(33)가 거치되는 상부거치대(37)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걸름바구니(33)의 상측으로 지면에서 상부본체(30)로 흐르는 오수 및 우수 등에 포함된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지면과 동일한 지점에 위치되는 그레이팅(3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그레이팅(34)는 현재 빗물받이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34)에 대한 설명 및 작용은 일반적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그레이팅(34) 및 걸름바구니(33)의 크기 등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알맞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39)의 측면으로는 상부몸체(39)의 내측으로 오수 및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이동되면서 수집될 수 있도록 드레인관(3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관(35)는 일반적인 단순히 중공관과 같은 관(도면에 미도시)이나 밸브 등이 형성된 밸브관(도면에 미도시)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39)의 측면으로 드레인관(35)을 형성할 때, 드레인관(35)의 높이를 조절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몸체(39)의 내측으로 우수 및 오수가 흐르면서 일부의 이물질이 같이 유입되게 된다.
그러면, 와류부(32)로 우수 및 오수와 이물질이 떨어지게 되는데 와류부(32)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이물질이 하부본체(10)로 떨어지거나 와류부(32)의 하측에 쌓이지 않도록 와류부(32)를 따라 흐르면서 바로 드레인관(35)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와류부(32)의 하측부분이 드레인관(35)의 하측부분과 최소 동일하거나 드레인관(35)의 하측부분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상기 하부본체(10)에 형성된 하부몸체(19)와 높이조절부(20)에 형성된 높이몸체(29)와 상부본체(30)에 형성된 상부몸체(39)가 각각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하부몸체(19), 높이몸체(29), 상부몸체(39)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하부몸체(19), 높이몸체(29), 상부몸체(39)는 파이프(도면에 미도시)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집수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본체(30)에 형성된 드레인관(35)에 연결되는 집수몸체(49)의 내측으로 드레인관(35)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집바구니(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집바구니(41)가 집수몸체(49)의 상부 내측으로 원활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임의의 지점에 수집바구니(41)가 거치되는 고정턱(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집수몸체(49)의 상측으로 사용자가 수집바구니(41)를 원활하게 집수몸체(49)에서 빼내거나 끼울 수 있도록 커버(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43)는 사용자가 손쉽게 수집바구니(41)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는, 도로에 설치되는 맨홀(도면에 미도시)의 뚜껑(도면에 미도시)과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집수부(40)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하부본체(10), 높이조절부(20), 상부본체(30)와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몸체(49)에는 상부본체(30)에 형성된 드레인관(35)이 연결되는 홈(도면에 미도시)이나 드레인과(35)과 같은 관(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드레인관(35)을 통해 집수몸체(49)로 유입되는 이물질 등이 집수몸체(49)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수집바구니(41)로 유입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굴토하고자 하는 지점의 지면을 절개하고 하부본체(10)를 지중에 설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본체(10)와 연결되어 하부본체(10)로 유입되는 오수나 우수가 흐를 수 있는 별도의 부재(도면에 미도시)가 연결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런 후,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10)의 상측으로 높이조절부(20)를 위치시키되 하부몸체(19)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13)에 높이몸체(29)의 하측에 형성된 하부턱(21)이 서로 대응되도록 하면서 하부본체(10)의 상측으로 높이조절부(20)를 위치시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높이조절부(20)를 1단으로 설치하거나 2단 이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0)를 2단 이상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1단의 높이조절부(20)의 상측으로 2단의 높이조절부(20)를 위치시키되 1단의 높이몸체(29)의 상측에 형성된 상부턱(22)에 2단의 높이몸체(29)의 하측에 형성된 하부턱(21)을 서로 대응시키면서 1단의 높이조절부(20)와 2단의 높이조절부(20)를 상, 하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높이조절부(20)를 다수단으로 설치하여, 상기 높이조절부(2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상부본체(30)에 형성된 그레이팅(34)의 상측면이 지면과 맞닿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20)의 상측으로 상부본체(30)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최상의 높이조절부(20)에 형성된 상부턱(22)에 상부몸체(39)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턱(31)를 대응시켜 결합시키면서 높이조절부(20)의 상측으로 상부본체(30)를 위치시키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20)의 상측으로 상부본체(30)를 위치시킬 때, 상부몸체(39)의 내측으로 와류부(32) 및 걸름바구니(33)를 고정시킨 후, 상부본체(30)를 높이조절부(20)의 상측으로 위치시키거나 상부몸체(39)를 먼저 높이조절부(20)의 상측으로 올려놓고 와류부(32) 및 걸름바구니(33)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부(20)의 상측으로 상부본체(30)를 결합할 때, 상부본체(30)의 내부에 위치되는 와류부(32) 및 걸름바구니(33)를 위치시키는 방법을 아래의 설명과 같다.
이는, 상기 상부몸체(39)의 내부 하측에 형성된 하부거치대(36)에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원뿔형태로 형성된 와류부(32)를 거치시키고 상기 상부몸체(39)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상부거치대(37)에 걸름바구니(33)를 거치시켜 상부몸체(39)의 내부에 걸름바구니(33)를 고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런 후, 상기 상부몸체(39)의 측면으로 형성된 드레인관(35)에 이물질집수부(40)의 집수몸체(49)를 연결한 후, 상기 집수몸체(49)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고정턱(42)에 수집바구니(41)를 거치시켜 이물질집수부(40)를 지중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집바구니(41)는 이물질집수부(40)가 지면에 삽입되기 전에 집수몸체(49)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집수몸체(49)가 지중에 설치된 후에 집수몸체(49)의 내측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런 후, 상부몸체(39)의 상측으로 그레이팅(34)을 결합하고 집수몸체(49)의 상측으로 커버(43)를 결합하며,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50)를 설치하기 위해 굴토 및 절개하였던 지면을 메우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50)를 설치하고 지면으로 오수 및 우수가 흐르게 된다.
그러면, 1차로 상부본체(30)의 상측에 형성된 그레이팅(34)에 의해 비교적 부피가 큰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오수 및 우수와 이물질 등이 그레이팅을 통과하여 상부몸체(39)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그레이팅(34)을 통과한 오수 및 우수와 이물질이 상부몸체(39)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걸름바구니(33)로 유입되어 다시 한 번 이물질이 걸름바구니(33)에서 걸러지게 되면서 오수 및 우수와 2차로 걸러지고 난 후의 이물질이 걸름바구니(33)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름바구니(33)에서 2차로 걸러진 오수 및 우수, 이물질이 걸름바구니(33)의 하측에 위치된 원뿔형상의 와류부(32)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와류부(32)의 상측으로 떨어진 오수 및 우수와 2차로 걸러진 이물질이 와류부(32)의 형상의 의해 와류되면서 아래로 점점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류부(32)에 형성된 타공홀(32a)을 통해 오수 및 우수가 와류부(32)의 하측에 형성된 하부본체(10)로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와류부(32)를 따라 와류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던 이물질이 와류부(32)의 끝단에 위치된 드레인관(35)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드레인관(35)에 연결된 집수몸체(49)의 내측에 위치된 수집바구니(41)로 이동하여 상기 수집바구니(41)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이물질집수부(40)에 형성된 커버(43)를 열고 수집바구니(41)를 꺼내어 상기 수집바구니(41)에 쌓여진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이물질집수부(40)에 거치시키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와류부(32)의 타공홀(32a)을 통해 하부본체(10)로 유입된 오수 및 우수는 하부본체(10)에 형성된 하부배수관(11)을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배수관(11)에는 빗물투수그릴(12)이 형성되어 있어 하부본체(10)에서 다른 곳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우수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이물질이 완전히 걸러진 후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3차 이상으로 걸러진 오수 및 우수를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10)의 하부배수관(11)에는 덮개(14)가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덮개(14)를 개폐하여 오수 및 우수의 흐름이나 집수되는 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본체(30)의 걸름바구니(33)에 쌓여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부본체(30)에 형성된 그레이팅(34)을 상부본체(30)에서 분리시키고 상부거치대(37)에 거치된 걸름바구니(33)를 분리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상부거치대(37)에 걸름바구니(33)를 걸고 그레이팅(34)을 상부본체(30)에 위치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오수 및 우수와 같이 흐르는 이물질이 수차례 걸러지게 되면서 이물질이 최대한으로 제거된 오수 및 우수만이 하부본체(10)로 모여지게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하부본체(10)에 형성된 덮개(14)를 통해 오수 및 우수의 흐름 등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30)에 형성된 와류부(32)를 통해 상부본체(30)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와류되면서 이동하게 되어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이 한 곳에 쌓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와류되면서 회전되어 이물질이 쌓이면서 발생될 수 있는 물막힘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와류되어 이동되는 이물질이 드레인관(35)을 통해 이물질집수부(40)에 용이하게 쌓이게 되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류부(32)에 형성된 타공홀(32a)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오수 및 우수가 용이하게 하부본체(10)에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하부본체
11 : 하부배수관 12 : 빗물투수그릴
13 : 걸림턱 19 : 하부몸체
20 : 높이조절부
21 : 하부턱 22 : 상부턱
29 : 높이몸체
30 : 상부본체
31 : 고정턱 32 : 와류부
32a : 타공홀 33 : 걸름바구니
34 : 그레이팅 35 : 드레인관
36 : 하부거치대 37 : 상부거치대
39 : 상부몸체
40 : 이물질집수부
41 : 수집바구니 42 : 고정턱
43 : 커버 49 : 집수몸체
50 :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Claims (5)

  1. 하부몸체(19)의 측면으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배수관(11)과, 상기 하부배수관(11)에 장착되는 빗물투수그릴(12)과, 하부몸체(19)의 상측으로 걸림턱(13)이 구성된 하부본체(10);
    상기 하부본체(10)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높이몸체(29)의 하측으로 상기 하부본체(10)에 형성된 걸림턱(13)에 결합되는 하부턱(21)과, 높이몸체(29)의 상측으로 상부턱(22)이 구성된 높이조절부(20);
    상기 높이조절부(20)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상부몸체(39)의 하측으로 상기 높이조절부(20)에 형성된 상부턱(22)에 결합되는 고정턱(31)과, 상기 고정턱(31)의 상측으로 하나 이상의 타공홀(32a)이 형성되며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와류부(32)와, 상기 와류부(32)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걸름바구니(33)와, 상기 걸름바구니(33)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그레이팅(34)과, 측면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드레인관(35)으로 구성된 상부본체(30);
    상기 상부본체(30)에 형성된 드레인관(35)에 연결되는 집수몸체(49)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드레인관(35)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수집되는 수집바구니(41)와, 상기 수집바구니(41)가 거치되는 고정턱(42)과, 커버(43)가 구성된 이물질집수부(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10)에는 하부배수관(11)에 결합되는 덮개(14)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30)의 내부 하측으로는 와류부(32)가 거치될 수 있는 하부거치대(36)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거치대(36)는 드레인관(35)의 하측 부분과 동일하거나 높게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30)의 내부 상측으로는 걸름바구니(33)가 거치될 수 있는 상부거치대(37)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KR1020140111586A 2014-08-26 2014-08-26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KR10156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86A KR101564958B1 (ko) 2014-08-26 2014-08-26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86A KR101564958B1 (ko) 2014-08-26 2014-08-26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958B1 true KR101564958B1 (ko) 2015-11-02

Family

ID=5459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586A KR101564958B1 (ko) 2014-08-26 2014-08-26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145A (zh) * 2018-07-11 2018-12-18 安徽省徽腾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排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519B1 (ko) 1999-04-26 2001-09-22 조충환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KR100715445B1 (ko) 2005-11-17 2007-05-0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겸용 오수받이
JP4618737B2 (ja) 2007-08-02 2011-01-26 ケイコン株式会社 路面排水処理槽
KR101314793B1 (ko) 2012-04-04 2013-10-08 주식회사 대경산업 비점오염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519B1 (ko) 1999-04-26 2001-09-22 조충환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KR100715445B1 (ko) 2005-11-17 2007-05-07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겸용 오수받이
JP4618737B2 (ja) 2007-08-02 2011-01-26 ケイコン株式会社 路面排水処理槽
KR101314793B1 (ko) 2012-04-04 2013-10-08 주식회사 대경산업 비점오염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145A (zh) * 2018-07-11 2018-12-18 安徽省徽腾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排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2045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US7153417B2 (en) Floating storm water drain basket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US10688415B2 (en) Filter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let and at least two outlets
KR101652055B1 (ko) 우수받이
US20110100887A1 (en) Downspout debris collector
KR101275666B1 (ko) 도로의 우수받이
KR101564958B1 (ko)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20150091603A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200440804Y1 (ko) 개량 우수받이
KR20170079458A (ko) 그레이팅 거치형 간이 우수 여과장치
AU2009100093B4 (en) Self Flushing Leaf Filter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101413688B1 (ko) 낙하 우수 처리 장치
AU2006203090A1 (en) A filtration device
KR200414156Y1 (ko)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망체
US20180112384A1 (en) Drainage treatment system
KR101116660B1 (ko) 배수관용 협잡물 스크린 장치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EP3117042A1 (en) Drainage treatment system
KR200208312Y1 (ko) 여과조가 구비된 도로용 빗물 집수구
KR200230720Y1 (ko) 우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