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519B1 -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519B1
KR100300519B1 KR1019990014845A KR19990014845A KR100300519B1 KR 100300519 B1 KR100300519 B1 KR 100300519B1 KR 1019990014845 A KR1019990014845 A KR 1019990014845A KR 19990014845 A KR19990014845 A KR 19990014845A KR 100300519 B1 KR100300519 B1 KR 10030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arm
roller
winding drum
edg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218A (ko
Inventor
이재혁
엄규민
Original Assignee
조충환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충환,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충환
Priority to KR101999001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519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리판(6)을 매개로 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된 스틸코드(2)로부터 비닐을 분리하여 상기 비닐을 모우터(8)에 의해 구동되는 권취드럼(7)에 별도로 감아주도록 된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6)과 권취드럼(7) 사이에는 장력조절수단(35)이 설치되고, 상기 권취드럼(7)은 회전축(10)의 한쪽 선단에 나사결합된 핸들(11)과, 제 1아암(17), 제 2아암(18) 및, 양쪽 선단에 가늘고 긴 이동구멍(22)과 고정용 연결구멍(23)이 각각 형성된 링크바아(20)를 구비하되, 상기 제 1아암(17)의 한쪽은 회전축(10) 상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조절부(16)에 핀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로울러(24)를 매개로 상기 링크바아(20)의 이동구멍(22)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 2아암(18)의 한쪽은 이탈방지판(14) 중심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15)에 핀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링크바아(20)의 연결구멍(23)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A Vinyl Disengaging Device of Edge Tape}
본 발명은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지테이프에서 비닐을 분리하여 권취하는 과정에서 비닐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비닐의 수축력으로 권취드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타이어에 쓰여지는 에지테이프는 스틸코드의 절단면이 쉽게 부식될 뿐만 아니라 코드와 코드 및 코드와 고무 사이가 노면과의 마찰에 의한 발열로 세퍼레이션(separation)현상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틸코드벨트의 양면을 두께 0.5㎜ 폭 20㎜로 재단된 얇은 에지테이프로 감싸 코드절단면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에지테이프는 카렌더작업을 통해 두께 0.5㎜, 폭 296㎜로 제조된 고무시트에 두께 0.3㎜, 폭 300㎜ 규격의 비닐테이프를 중첩시켜 고무끼리 붙지 않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에지테이프에서 비닐을 분리하여 별도로 설치된 권취드럼에 감아주도록 되어 있다.
즉 도 7에 개략 도시된 것과 같이, 스틸코드(51)를 운반하는 공급컨베이어(50)와, 이 공급컨베이어(50)에 의해 이송된 스틸코드(51)를 운반하는 에지컨베이어(52) 및, 비닐이 분리된 상태의 스틸코드(51)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공급컨베이어(53)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에지컨베이어(52) 윗쪽에는 스틸코드(51)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분리판(54)이 설치되는 한편, 이 분리판(54)과 소정간격을 두고 비닐권취드럼(55)이 설치되어, 에지컨베이어(52)로 진입된 스틸코드(51)로부터 비닐이 분리되어 비닐권취드럼(55)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비닐권취드럼(55)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우터(60)와 연결된 회전축(61)과, 이 회전축(61)에 끼워지는 로울러(62), 상기 회전축(61)의 일측에 끼워져 로울러(62)의 장착상태를 유지시키는 핸들(63), 상기 로울러(62)를 반복적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스크류(도시되지 않음), 이 스크류와 연결된 LM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로울러(62)는 1마력의 정격용량을 갖는 모우터(60)에 의해 회전되기 때문에 권취되는 비닐에 소정의 장력이 작용되고, 이로 인해 로울러(62)에 권취된 비닐에는 수축력이 작용하게 될 뿐만 아니라, 권취되지 않을 때에도 비닐이 계속 당겨진 상태로 걸려있게 됨에 따라 비닐이 끊어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비닐조각이 타이어에 혼입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닐의 수축력이 직접 작용되는 로울러(62)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 표면이 불균일하게 변형되어 이에 감겨지는 비닐도 한쪽으로 치우쳐 감겨지는 한편, 비닐의 수축력이 축방향으로 전달됨에 따라 핸들(63)부위에 설치된 너트(64)에도 압축력이 가해져 로울러(62)를 교환할 때에 핸들(63)을 조작하기 어려워 망치 등으로 타격을 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타격에 따른 충격력으로 LM베어링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권취드럼을 동작시키는 모우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비닐이 적당한 장력을 갖고서 드럼에 감겨지도록 하고, 권취된 이후에 비닐의 수축력으로 인해 드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 분리장치를 개략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로울러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암의 단면도,
도 4a는 제 2아암의 상세도,
도 4b는 제 1아암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바아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장력조절수단의 측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장력조절수단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부를 개략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 사용예에 따른 비닐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의 대응도,
도 8은 종래 사용예에 따른 권취로울러의 부분단면도로서 도 2의 대응도이다.
1,3,5 --- 컨베이어, 2,4 --- 스틸코드,
6 --- 분리판, 7 --- 비닐권취드럼,
8 --- 모우터, 9 --- 베어링,
10 --- 회전축, 11 --- 핸들,
12 --- 링크부재,
14 --- 이탈방지판, 15 --- 고정부,
16 --- 조절부, 17 --- 제 1아암,
18 --- 제 2아암, 19 --- 핀,
20 --- 링크바아, 21 --- 몸체,
22 --- 이동구멍, 23 --- 연결구멍,
24 --- 로울러, 25 --- 지지대,
26 --- 고정로울러, 27 --- 레일,
28 --- 이동로울러, 29 --- 제 1근접스위치,
30 --- 제 2근접스위치, 31 --- 제 3근접스위치,
32,33 --- 로울러지지축, 35 --- 장력조절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리판을 매개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스틸코드로부터 비닐을 분리하여 상기 비닐을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는 권취드럼에 별도로 감아주도록 된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과 권취드럼 사이에는 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권취드럼은 회전축의 한쪽 선단에 나사결합된 핸들과, 제 1아암, 제 2아암 및, 양쪽 선단에 가늘고 긴 이동구멍과 고정용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된 링크바아를 구비하되, 상기 제 1아암의 한쪽은 회전축 상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조절부에 핀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로울러를 매개로 상기 링크바아의 이동구멍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 2아암의 한쪽은 이탈방지판 중심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에 핀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링크바아의 연결구멍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레일과,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로울러지지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1쌍의 고정로울러, 이 고정로울러 사이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승강동작되도록 설치된 이동로울러 및, 상기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배열설치되고 모우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제 2, 제 3근접스위치를 갖추고서, 이들 스위치에서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우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일정한 장력으로 비닐이 권취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스틸코드(2)를 운반하는 컨베이어(1)와, 이 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된 스틸코드(2)를 운반하는 컨베이어(3) 및, 비닐이 분리된 스틸코드(4)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5)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3) 윗쪽에는 스틸코드(2)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분리판(6)이 설치되고, 이 분리판(6)과 소정간격을 두고 비닐권취드럼(7)이 장착되는 한편, 상기 분리판(6)과 비닐권취드럼(7) 사이에는 장력조절수단(3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닐권취드럼(7)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우터(8)와 일측이 연결되면서 베어링(9) 케이스에 끼워져 수평으로 설치된 회전축(10)과, 이 회전축(10)의 한쪽 선단에 나사결합된 핸들(11), 이 핸들(11)을 매개로 수축 또는 확장되도록 연결결합된 링크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12)는 4쌍의 제 1아암(17) 및 제 2아암(18)과 핀결합되는 한편, 비닐권취드럼(7)의 일측에 고정되고 원형단면을 갖는 이탈방지판(14) 중심부에 한쪽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15)와, 상기 회전축(10)에 끼워져 핸들(11)을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축(10) 상에서 소정거리만큼 이동되는 조절부(16)에 각각 장착된다. 즉, 상기 제 1아암(17)과 제 2아암(18)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쪽끝부분 및 중앙에 각각 연결구멍을 갖추고서 한쪽 선단의 연결구멍을 매개로 상기 고정부(15) 및 조절부(16)에 각각 장착되고, 이들 아암(17,18)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구멍에는 핀(19)이 끼워져 상호연결되며, 이들 제 1아암(17)과 제 2아암(18)의 다른쪽 선단은 4개의 링크바아(20)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아암(17)과 제 2아암(18)은 도 4a와 도 4b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이, 2분할된 제 1아암(17)의 몸체 사이에 제 2아암(18)을 끼우고 이들 아암(17,18)을 핀(19)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핸들(11)을 회전시킴으로써 링크바아(20)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이 링크바아(2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쪽에는 가늘고 긴 이동구멍(22)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연결구멍(2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동구멍(22)에는 제 1아암(17)의 한쪽 선단과 연결되는 로울러(24)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연결구멍(23)에는 제 2아암(18)이 핀에 의해 힌지연결된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수단(35)은 도 6a와 도 6b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 지지대(25)를 매개로 설치된 1쌍의 고정로울러(26)와, 이들 고정로울러(26) 사이에서 레일(27)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로울러(28) 및, 상기 지지대(25)를 매개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된 제 1, 제 2, 제 3근접스위치(29,30,31)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로울러(28)에 의하여 장력을 유지하면서 비닐을 운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로울러(26)와 이동로울러(28)는 각각 로울러지지축(32,33)에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매개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이들 로울러(26,28)의 회전에 의하여 비닐이 긴장되지 않고 모우터(8)의 회전력만으로 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이동로울러(28)는 자중에 의해 하강되고 비닐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 상승동작되도록 되어 있어, 비닐에는 항상 일정하게 장력이 작용되고 비닐이 권취드럼(7)방향으로 진행하는 데에도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컨베이어(3)에 얹혀져 이동되는 스틸코드(2)로부터 분리된 비닐은 장력조절수단(35)을 지나면서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로 비닐권취드럼(7)에 감겨져 작업 중 과다한 장력이 작용하여 비닐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비닐권취드럼(7)을 내측에서 균일한 힘으로 지지해줌에 따라 비닐이 권취된 이후 비닐의 수축력으로 인해 로울러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분리판(6)을 통과하면서 스틸코드(2)로부터 분리된 비닐은, 도 6b에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아랫면은 1쌍의 고정로울러(26)에 걸리고 윗면은 이동로울러(28)에 순차적으로 걸린 상태에서 모우터(8)의 회전력에 의해 권취드럼(7)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로울러(28)는 이동되는 비닐이 상대적으로 팽팽해지면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대(25) 상부 즉, 고정로울러(26)가 설치된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비닐의 장력이 상대적으로 느슨해지면 실선으로 도시된 지지대(25) 하단까지 자동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하로 승강동작되는 이동로울러(28)는 지지대(25)에 설치된 레일 (27)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1, 제 2, 제 3근접스위치(29,30,31)에서 감지된 이동로울러(28)의 위치에 따라 모우터(8)로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시킴에 따라 모우터(8)의 구동을 간헐적으로 정지 또는 가속/감속시키면서 고정로울러(26)와 이동로울러(28)에 감겨있는 비닐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예컨대, 제 2근접스위치(30)가 설치된 위치까지 이동로울러(28)가 하강될 때 제 2근접스위치(30)가 이를 감지하여 모우터(8)로 저속신호를 인가하면 모우터(8)가 상대적으로 저속회전하면서 비닐에 걸리는 장력을 늦춰주게 되고, 제 3근접스위치(31)가 설치된 위치까지 이동로울러(28)가 하강하여 고속신호가 인가되면 모우터(8)가 상대적으로 고속회전하면서 조금 더 빠른 속도로 비닐을 권취하여 긴장(緊張)시켜주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로울러(26)가 설치된 최상부 위치까지 이동로울러(28)가 상승하게 되면 제 1근접스위치(29)가 이를 감지하여 모우터(8)로 정지신호를 인가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모우터(8)가 '오프' 되면서 이동로울러(28)가 제 2근접스위치(30)의 감지위치까지 하강하여 비닐에 소정의 장력이 걸릴 때까지 권취동작을 순간정지시켜 권취되는 비닐의 장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비닐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비닐은 마지막으로 권취드럼(7)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 권취드럼(7)에서는 상기 로울러(13)내에 설치된 링크부재(12)를 매개로 비닐의 수축력을 이용하여 로울러(1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핸들(1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16)는 피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회전축(10)을 따라 도면의 왼쪽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제 1아암(17)을 이탈방지판(14)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아암들(17,18)은 핀(19)을 중심으로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축선회하면서 4개의 링크바아(20)를 권취드럼(7)의 반경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는 바, 이는 상기 제 2아암(18)이 링크바아(20)에 힌지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아암(17)은 한쪽 선단이 이동구멍(22)내에서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 이동구멍(22)의 거리내에서 링크바아(20)가 상승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장력조절수단(35)을 매개로 분리된 비닐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핸들(11)의 회전에 의해 링크바아(20)를 상승시켜 권취드럼(7)을 지지하여 비닐이 끊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비닐의 수축력을 이용하여 권취드럼(7)이 변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에지테이프에서 비닐을 분리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용도로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에 의하면, 비닐에 걸리는 장력에 따라 권취드럼을 구동하는 모우터를 정지 또는 가속/감속시키면서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비닐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중 비닐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의 수축력으로 인해 드럼이 손상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분리판(6)을 매개로 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된 스틸코드(2)로부터 비닐을 분리하여 상기 비닐을 모우터(8)에 의해 구동되는 권취드럼(7)에 별도로 감아주도록 된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6)과 권취드럼(7) 사이에는 장력조절수단(35)이 설치되고, 상기 권취드럼(7)은 회전축(10)의 한쪽 선단에 나사결합된 핸들(11)과, 제 1아암(17), 제 2아암(18) 및, 양쪽 선단에 가늘고 긴 이동구멍(22)과 연결구멍(23)이 각각 형성된 링크바아(20)를 구비하되, 상기 제 1아암(17)의 한쪽은 회전축(10) 상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조절부(16)에 핀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로울러(24)를 매개로 상기 링크바아(20)의 이동구멍(22)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 2아암(18)의 한쪽은 이탈방지판(14) 중심부에서 한쪽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15)에 핀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링크바아(20)의 연결구멍(2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35)은 지지대(25)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레일(27)과, 상기 지지대(25)에 설치된 로울러지지축(32,33)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1쌍의 고정로울러(26), 이 고정로울러(26) 사이에서 상기 레일(27)을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승강동작되도록 설치된 이동로울러(28) 및, 상기 지지대(25)에 수직방향으로 배열설치되고 모우터(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제 2, 제 3근접스위치(29,30,31)를 갖추고서, 이들 스위치(29,30,31)에서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모우터(8)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울러(28)는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한편 비닐의 장력에 의해 상승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KR1019990014845A 1999-04-26 1999-04-26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KR10030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845A KR100300519B1 (ko) 1999-04-26 1999-04-26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845A KR100300519B1 (ko) 1999-04-26 1999-04-26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218A KR20000067218A (ko) 2000-11-15
KR100300519B1 true KR100300519B1 (ko) 2001-09-22

Family

ID=1958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845A KR100300519B1 (ko) 1999-04-26 1999-04-26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958B1 (ko) 2014-08-26 2015-11-02 강미연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145B1 (ko) * 2001-03-08 2004-04-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벨트부의 검 엣지 인장력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958B1 (ko) 2014-08-26 2015-11-02 강미연 배수 및 투수 효율이 향상된 빗물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218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6975B2 (ja) ローラコンベアにおける搬送方向切り換え装置
KR100300519B1 (ko) 에지테이프 비닐 분리장치
JP3299508B2 (ja) 開俵原綿開繊機における開繊速度規制装置
KR101810033B1 (ko) 밸런스 유지 방식의 Logsaw 절단장치
KR100503027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US5769201A (en) Safety apparatus for a novice ski lift
KR200276573Y1 (ko) 샌드위치패널용 단열재 슬리팅장치
KR200208272Y1 (ko) 벨트 컨베이어 상부의 빗물제거장치
KR100283205B1 (ko) 에지테이프 재단기
KR19990013555U (ko) 슈트하부 벨트 절손 감지장치
KR950000538Y1 (ko) 공작기기의 공구포트 90˚ 회전장치
KR200316723Y1 (ko) 리클레이머의릴케이블파손방지장치
KR910006032B1 (ko) 패널캐리어 헤드의 회전구동체
CN216661952U (zh) 一种恒张力控制装置
JP2000309471A (ja) アンダーロール送出・巻取装置
KR100361568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절손 감지장치
KR20020053614A (ko) 벨트 컨베이어 구동 풀리의 미끄럼 방지 장치
CN208303017U (zh) 一种磁选装置
KR200218393Y1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US20060011318A1 (en) Belt conveyor for transferring a web threading tail in a web manufactur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hanging the belt loop of a belt conveyor for a web threading tail in a web manufacturing machine
KR20010001751U (ko) 이동대차의 릴케이블 장력조절장치
KR200194090Y1 (ko) 텐션브라이들롤의 스트립 이탈방지장치
JPS62298742A (ja) 顕微鏡標本作成装置用カバ−片供給機構
KR200254180Y1 (ko) 열간스라브의 위치 감지장치
KR940001653Y1 (ko) Pcb 자동이송 및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