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393Y1 -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393Y1
KR200218393Y1 KR2019960054155U KR19960054155U KR200218393Y1 KR 200218393 Y1 KR200218393 Y1 KR 200218393Y1 KR 2019960054155 U KR2019960054155 U KR 2019960054155U KR 19960054155 U KR19960054155 U KR 19960054155U KR 200218393 Y1 KR200218393 Y1 KR 200218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ulley
rotating shaft
fixed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071U (ko
Inventor
최권섭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54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393Y1/ko
Publication of KR19980041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393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상되기 쉬운 벨트에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그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하여 그에따라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대형설비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풀리(12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베어링블럭(3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회전축(20)은, 외표면에 돌기(12)를 촘촘하게 형성하고 풀리(120)에 감겨진 벨트(110)에 적정거리 떨어져 있는 드럼형 몸체(14)로 이루어진 풀리감지부재(10)를 중앙부에 고정하고, 상기 회전축(2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된 회전축감지부재(40)는 회전축(120a)에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원판형 감지판(42)을 가지며, 상기 원판형 감지판(42)의 원주방향에 다수개 형성된 격벽(44)의 회전반경에는 제어부에 연결된 리미트스위치(50)를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블럭(30)은 설비의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부재(70)에 수용되어 스프링(72)에 의하여 풀리(120)측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는 미끄럼블럭(60)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70)는 미끄럼블럭(60)이 풀리측으로 이동하는 경로상에 스토퍼(7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본 고안은 대량의 수송물을 연속적으로 수송하도록 된 벨트콘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상되기 쉬운 벨트에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그를 보다 신속하게 감지하여 그에따른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대형설비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콘베이어는 산업설비의 전반에 사용되어지는 것으로서, 특히 제철소에서는 광석이나 원료 등의 대량의 수송물을 필요개소에 연속적으로 수송할 수 있도록 사용되어지고, 이러한 벨트콘베이어에 사용되어지는 벨트는 통상적으로 포(布) 또는 스틸코드가 내당된 합성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수송물 등에 의하여 긁혀 파손되기 쉬운 단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적인 벨트콘베이어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폐단면을 이루도록 된 벨트(110)와, 상기 벨트(110)를 지지하여 무한궤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풀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풀리는, 벨트(110)의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벨트콘베이어설비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이루는 헤드부측 풀리(122)와 테일부측 풀리(124), 상기 벨트(110)의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된 구동풀리(126), 벨트(110)의 경로를 일부 변경시킴으로서 벨트(110)에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도록 된 장력조정풀리(128), 및 그외의 다수개의 지지풀리(1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벨트콘베이어설비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바, 우선 벨트사행에 의하여 그 벨트가 풀리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정상적인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경우, 벨트(110)가 수송물 등에 의하여 긁히고 그 파손부가 풀리축에 감김으로서 풀리축의 외경이 확대되는 경우, 벨트손상부가 풀리드럼에 감겨 그 드럼의 외경을 화장시키는 경우, 벨트절손에 의하여 그 절손부가 풀리드럼에 감겨 드럼의 외경을 확대시키는 경우, 구동풀리에 의하여 벨트가 폭방향으로 절단되어 드럼에 감김으로서 드럼외경을 확대시키는 경우, 풀리에 이물질이 삽입되어 풀리드럼의 외경을 확대시키는 경우등이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벨트의 구동을 위한 부하가 증가하여 구동풀리(126)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과부하에 의하여 정지하거나 설비점검자가 순회중 발견하여 설비를 정지시키는 경우외에는 그 발견이 매우 곤란하여 벨트콘베이어설비가 상기한 문제점에 의하여 파손되는 대형설비사고를 일으키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벨트콘베이어설비의 벨트파손 등에 의하여 비정상적인 가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그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대형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벨트콘베이어 설비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파손 감지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벨트콘베이어설비의 외관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풀리감지부재 12 : 돌기
14 : 몸체 20 : 회전축
30 : 베어링블럭 40 : 회전축감지부재
42 : 감지판 44 : 격벽
50 : 리미트스위치 60 : 미끄럼블럭
70 : 지지부재 72 : 스프링
110 : 벨트 120 : 풀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다수개의 풀리에 의하여 무한궤도운동하도록 된 벨트콘베이어설비에 있어서, 상기 풀리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베어링블럭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회전축은, 외표면에 돌기를 촘촘하게 형성하고 풀리에 감겨진 벨트에 적정거리 떨어져 있는 드럼형 몸체로 이루어진 풀리감지부재를 중앙부에 고정하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 단부에 고정된 회전축감지부재는 회전축에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원판형 감지판을 가지며, 상기 원판형 감지판의 원주방향에 다수개 형성된 격벽의 회전반경에는 제어부에 연결된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블럭은 설비의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수용되어 스프링에 의하여 풀리측으로 탄성력으로 받고 있는 미끄럼블럭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미끄럼블럭이 풀리측으로 이동하는 경로상에 스토퍼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벨트콘베이어설비의 풀리(120)외측에 본 고안의 장치(1)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로서, 상기 풀리(120)는 통상적인 구조에서 알 수 있듯이 양측 단부의 회전축(120a)이 베어링블럭(120b)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의 장치(1)는 상기 풀리(12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된 벨트감지부재(10)를 가지며, 상기 벨트감지부재(10)는 외표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2)가 촘촘하게 형성된 드럼형 몸체(14)로 이루어지며, 벨트(110) 또는 풀리(120)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고 또한 파손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벨트(110)의 외표면과 몸체(14)의 외표면과는 접촉되지 않고 임의로 설정된 갭(Gap)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벨트감지드럼(10)을 이루는 몸체(14)의 회전중심선에 마련되는 회전축(20)은 베어링블럭(3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벨트감지부재(10)의 양측단부에는 회전축감지부재(40)가 고정되는바, 상기 회전축감지부재(40)는 서로 평행하고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적정거리 떨어진 원판형 감지판(42)과, 상기 원판형 감지판(42)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도록 고정되고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져 다수개 마련되는 격벽(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판(42)은 그 외표면부가 풀리(120)의 회전축(120a)의 외표면부에 근접하여 임의거리 떨어져 있도록 위치와 반경이 설정되고, 상기 격벽(44)이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경로상에는 격벽(44)과의 접촉에 의하여 동작하는 리미트스위치(50)를 설치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50)는 벨트콘베이어설비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블럭(30)은 도 4 및 도 5에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풀리(120)측으로 수평한 상태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베어링블럭(30)의 하단부는 미끄럼블럭(6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미끄럼브럭(60)은 중앙부에 벨트감지부재(10)와 풀리(120)를 잇는 기준선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62)을 형성하며, 상기 상기 관통구멍(62)에는 환봉형의 지지봉(64)이 끼워져 미끄럼블럭(60)의 미끄럼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봉(64)은 설비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부재(70)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재(70)에는 스프링(72)이 장착되어 그 스프링(72)에 의하여 상기 미끄럼블럭(60)이 풀리(120)측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도록 하고, 당연하지만 본 고안의 벨트감지부재(10)와 회전축감지부재(40)의 각각이 풀리(120)와 회전축(120a)의 외표면에 접촉하지 않고 적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상기 미끄럼블럭(60)이 풀리(120)측으로 더 이상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74)를 지지부재(70)에 형성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끄럼블럭(60)에는 미끄럼이동하는 방향으로 凹형 요홈(68)을 형성하고, 지지부재(70)에는 상기 요홈(68)에 부합하는 凸형 돌기(78)를 형성하여 서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끼워지게 함으로서 미끄럼블럭(6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스프링(72)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미끄럼블럭(60)이 스토퍼(74)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는 지점에 유지되어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벨트감지부재(10)와 회전축감지부재(40)의 각각이 풀리(120)와 회전축(120a)의 외표면에 적정한 설정거리만큼 떨어져 있게 되는 것이다.
벨트콘베이어설비의 가동중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바, 우선 벨트(110)가 사행되어 풀리(120)의 가장자리측으로 밀려지게 되는 경우에는 벨트(110)의 사행측 단부가 회전축감지부재(40)의 감지판(42)에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감지판(42)은 벨트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은 격벽(44)이 리미트스위치(50)에 접촉하게 하고, 따라서 상기 리미트스위치(50)는 그러한 신호를 제어부에 보내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즉시 제어부는 경보를 발하거나 설비의 가동을 정지시켜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이물질이 풀리(120)에 부착되거나 벨트의 파손부가 풀리(120)에 감김으로서 그 풀리(120)의 외경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경우 결국에는 확대된 풀리(120)의 외표면측을 지나가게 되는 벨트(110)의 경로가 풀리감지부재(1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는 벨트감지부재(10)를 이루는 몸체(14)의 외표면에 형성된 돌기(12)와 벨트(110)가 서로 접촉하게 하며, 따라서 몸체(14)를 회전시키고 이는 격벽(44)이 리미트스위치(50)에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한 과정으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풀리(120)의 회전축(120a)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는 회전축감지부재(40)의 감지판(42)이 감지함으로서 격벽(44)의 회전에 의해 리미트스위치(50)에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한 바와같이 후속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동작에 본 고안의 장치가 파손되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미끄럼블럭(60)이 지지부재(70)에 미끄럼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또한 스프링(72)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벨트콘베이어설비의 이상유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에 의하면, 벨트의 사행이나, 파손되기 쉬운 벨트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또는, 풀리의 외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등에 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동으로 감지하여 제어부에 의하여 설비의 중지가 이루어짐으로서 문제발생에 대한 후속조치를 보다 신속하게 취할 수 있어 대형설비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설비의 정비보수가 용이하여지며, 설비의 안정적인 운용에 의한 생산성 향상의 효과도 보유한다.

Claims (1)

  1. 다수개의 풀리에 의하여 무한궤도운동하도록 된 벨트콘베이어설비에 있어서, 상기 풀리(120)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베어링블럭(3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회전축(20)은, 외표면에 돌기(12)를 촘촘하게 형성하고 풀리(120)에 감겨진 벨트(110)에 적정거리 떨어져 있는 드럼형 몸체(14)로 이루어진 풀리감지부재(10)를 중앙부에 고정하고, 상기 회전축(2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된 회전축감지부재(40)는 회전축(120a)에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원판형 감지판(42)을 가지며, 상기 원판형 감지판(42)의 원주방향에 다수개 형성된 격벽(44)의 회전반경에는 제어부에 연결된 리미트스위치(50)를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블럭(30)은 설비의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부재(70)에 수용되어 스프링(72)에 의하여 풀리(120)측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는 미끄럼블럭(60)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70)는 미끄럼블럭(60)이 풀리측으로 이동하는 경로상에 스토퍼(7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감지장치.
KR2019960054155U 1996-12-23 1996-12-23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KR200218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155U KR200218393Y1 (ko) 1996-12-23 1996-12-23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155U KR200218393Y1 (ko) 1996-12-23 1996-12-23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071U KR19980041071U (ko) 1998-09-15
KR200218393Y1 true KR200218393Y1 (ko) 2001-05-02

Family

ID=5399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155U KR200218393Y1 (ko) 1996-12-23 1996-12-23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3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6968A (zh) * 2019-09-17 2019-11-19 苏州乐导光电设备有限公司 一种实时监测皮带运行距离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071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5920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condition of wire rope
JP3676367B2 (ja) 通行人運搬装置内の特定点を通過する踏段の回数の不規則性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US4798282A (en) Zoning conveyor
KR200218393Y1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CA1175381A (en) Means for supporting idler rollers in conveyor systems
CN101769855B (zh) 一种皮带撕裂检测装置
KR101526542B1 (ko) 컨베이어풀리 파손 감지수단이 구비된 컨베이어
KR101490633B1 (ko) 루퍼 장치
US3058567A (en) Article diverter system
KR200262975Y1 (ko)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KR101985958B1 (ko)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KR20030054514A (ko) 벨트콘베어 장력 및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200217550Y1 (ko) 벨트 콘베어 사행 자동제어장치
US3952864A (en) Conveyor safety device
KR840003208A (ko) 제로 압력 컨베이어와 트리거 어셈블리
US3680685A (en) Safety conveyor
KR19990013550U (ko) 벨트 컨베이어 절손 감지장치
KR100946107B1 (ko) 파이프 콘베이어의 과적물 검출장치
US8960515B2 (en) Web guiding apparatus
KR200228388Y1 (ko) 철편검출기감도테스트장치
KR100361568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절손 감지장치
CN201331487Y (zh) 一种皮带撕裂检测装置
GB2308581A (en) Stall detector for a handrail of a passenger conveyor
KR200179918Y1 (ko) 코일의 정위치 제어장치
KR20040038342A (ko) 벨트콘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자동조정 캐리어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