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027B1 -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027B1
KR100503027B1 KR10-2000-0078281A KR20000078281A KR100503027B1 KR 100503027 B1 KR100503027 B1 KR 100503027B1 KR 20000078281 A KR20000078281 A KR 20000078281A KR 100503027 B1 KR100503027 B1 KR 100503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ension
bar
wire rope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176A (ko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7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02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2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to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장거리 컨베이어의 벨트텐션을 조정하여 주는 벨트 텐션 조정용 대차를 이동시키도록 모터 구동되는 와이어로프의 텐션상태를 감지하여 대차의 이동을 조정함으로서 컨베이어의 벨트 텐션을 정밀하게 조정토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 샤프트(30)와 대차(20)사이에 수직 설치된 지지대(62)사이에 수직 및 선회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40)가 상부에 인접 위치되는 감지바아(64)가 연결되는 작동바아(60) 및, 상기 감지바아(64)의 수직 및 선회작동시 상기 작동바아(60)로서 접촉 작동토록 하측의 베이스(82) 상부 좌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샤프트 (30)를 구동하는 모터(32)와 연결되는 다수의 리미트스위치(80a)(80b)로서 구성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APPARATUS FOR SENSING TENSION CONTROL OF CONVEYOR BELT}
본 발명은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원,연료인 광석 및 석탄등을 장거리 수송하는 수송 컨베이어의 벨트 텐션을 조정하는 벨트텐션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장거리 컨베이어의 벨트 텐션을 조정하여 주는 벨트 텐션조정용 대차를 이동시키는 모터 구동되는 와이어로프의 텐션상태를 감지하여 대차의 이동을 조정함으로서 컨베이어의 벨트 텐션을 용이하게 조정토록 한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송물 즉, 제철공장의 광석 이나 석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는 장거리에 걸쳐서 설치되기 때문에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벨트텐션 조정장치가 필요한데, 이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을 조정하는데에는 웨이트를 이용한 간단한 조정방식과 풀리가 설치된 대차를 이동시키어 벨트의 텐션을 조정하는 대차에 의한 조정방식으로 나누어 질수 있는데, 도 1에서는 대차를 이용한 벨트 텐션 조정작업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에는 여러개의 풀리(110)가 설치되어 이를 통하여 벨트(120)가 궤도 이송되는데, 상기 풀리(110)중 하나를 대차(130)에 설치하고, 상기 대차(13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140)가 모터 구동으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대차(130)는 이동하고, 상기 대차(130)의 이동에 따라 벨트(120)의 텐션이 조정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용 대차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레일(132)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130)의 상측에 풀리(110)가 설치되어 벨트(120)가 이송되고, 상기 대차(130)에는 모터(134)로서 구동되는 회전샤프트(136)에 감기거나 풀리는 상기 와이어로프(140)가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 조정용 대차구조에 있어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대차(130)상의 풀리(110)를 통하여 이송되는 벨트(120)의 텐션상태에 따라 대차(130)가 이동하는 방향이 틀려지게 되는데, 에를 들어 벨트(120)의 텐션이 높으면 상기 대차(130)는 벨트(120)의 진행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고, 반대로 벨트(120)의 텬션상태가 약하면 상기 대차(130)가 벨트(120)의 진행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적게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34)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로드셀에 의하여 와이어로프(140)의 텐션상태를 감지하여 구동지시를 받으면 구동되어 와이어로프 (140)가 회전샤프트(136)에 감기도록 함으로서, 대차(130)를 후진시키어 벨트(120)의 텐션을 높이거나 반대로, 와이어로프(140)를 풀어서 벨트(120)의 텐션상태를 느슨하게 하면서 벨트 텐션을 풀리가 설치된 대차이동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벨트(120)는 컨베이어(100)가 초기 시동될때에 벨트(120)에 가장 많은 텐션이 가해지다가, 일단 시동이 완료된 후에는 벨트(120)의 정상이송으로 벨트(120)의 텐션은 감소되고, 결국 상기 대차(130)와 연결된 와이어로프(140)를 감지하여 대차 이동을 조정하는 로드셀(미도시)이 컨베이어(100)의 초기 시동시에는 순간적으로 텐션이 가해지므로 와이어로프(140)를 풀도록 모터(134)를 구동시키고, 반대로 벨트의 정상작동시에는 또 다시 순간적으로 텐션이 약해지므로 로드셀은 상기 구동모터(134)를 순간적으로 역구동시키어 와이어로프(140)를 감아서 대차(130)를 당기는 것이다.
결국, 종래에는 컨베이어(100)의 초기 시동 및 정상이송에 따라 구동모터 (134)가 짧은 시간에 정,역회전 구동을 수행하면서 손쉽게 작동이 불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터(134)의 손상으로 대차(130)에 의한 컨베이어(100)의 벨트 텐션조정작업이 불가능하고, 이는 컨베이어(100)를 이용한 수송물의 수송도 불안정하게 하며, 수송물 즉, 광석 및 석탄등을 이용한 후공정도 지연되어 상당한 생산성 저하는 초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거리 컨베이어의 벨트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 조정장치의 대차 이동을 위한 와이어로프를 감지함으로서, 종래 로드셀을 이용한 불안정한 감지작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하며, 벨트의 텐션을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대차의 이동을 위한 와이어로프에 감지장치가 접촉하는 방식으로 벨트의 텐션을 조정함으로서, 벨트의 텐션조정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장거리 컨베이어의 벨트 텐션을 조정토록 상기 벨트를 이송시키는 풀리가 설치되는 이동대차와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을 위한 모터 구동되는 회전샤프트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갖는 벨트 텐션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와 대차사이에 수직 설치된 지지대사이에 수직 및 선회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가 상부에 인접 위치되는 감지바아가 연결되는 작동바아 및,
상기 감지바아의 수직 및 선회작동시 상기 작동바아로서 접촉 작동토록 하측의 베이스 상부 좌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를 구동하는 모터와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 부재들로서 구성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의 대차 위치조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1)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작동바아(60)와 다수의 스위치부재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들로 나누어 질수 있는데, 이들 각각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거리 컨베이어(10)의 벨트(12) 텐션을 조정하는 벨트텐션 조정장치 (5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의 벨트(12)를 이송시키는 풀리 (14)가 설치되는 이동대차(20)와 상기 이동대차(20)의 이동을 위한 모터 구동되는 회전샤프트(3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40)를 갖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작동바아(6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작동바아(60)는 상기 회전 샤프트(30)와 대차(20)사이에 수직 설치된 지지대(62)사이에 수직 및 선회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40)가 상부에 인접 위치되는 감지바아(64)가 연결된다.
그리고, 도 5에서는 상기 작동바아(60)의 구성을 분해사시도로서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는데, 상기 지지대(62)의 상부에 설치된 원통 베이스(66)에는 베어링 (68a)(68b)을 개재하여 회전토록 회전아암(70)이 수평 고정되고, 상기 회전아암 (70)에는 상기 작동바아(60)에 볼트 고정된 연결판(72)이 볼트 고정되어 상기 작동바아(60)는 선회 가능하게 지지대(62)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작동바아(60)의 상부는 나사방식으로 볼트 연결블록(74a)과 스프링(74b)을 개재하여 2단(60a)(60b)으로 연결되고, 상기 볼트 연결블록(74a) 및 상기 작동바아(60)의 상부 2단(60a)(60b)중 상단(60a)에 형성된 장홈(60a')을 통하는 고정볼트(76)는 상기 회전아암(70)을 작동바아(60)에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판(72)의 호형 고정단(72a)에 너트 고정되어 상기 작동바아(60)는 그 상부에 연결된 감지바아(64)의 눌림시 수직 이동토록 설치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스위치부재인 리미트 스위치(80a)(80b)들을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리미트 스위치들은 상기 감지바아(64)의 수직 및 선회작동시 상기 작동바아(60)로서 접촉 작동토록 하측의 베이스(82) 상부 좌,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샤프트(30)를 구동하는 모터(3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들은 상기 회전 샤프트(30)와 대차(20)용 레일 (20a)이 설치된 베이스(82)의 바닥 중앙 및 모서리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40)의 운동에 따른 작동바아(60)의 선회 및 수직이동시 접촉하여 작동토록 구성된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20)가 이동하는 이동라인(P)의 상부 프레임(84)의 전,후방에는 대차 프레임(22)에 수직 설치된 이동바아(24)의 접촉시 작동되어 대차(20)의 주행폭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86a)(86b)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거리 컨베이어(10)는 벨트(12)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50)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장치(50)는 대차(20)에 풀리(14)를 설치하여 궤도 이송되는 벨트(12)를 감기도록 한후 상기 대차(20)를 모터(32) 구동되는 회전샤프트(30)에 감아서 당겨지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40)와 연결하여, 상기 대차(2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 상기 벨트(12)가 당겨지거나 느슨하게 되면서 벨트(12)의 텐션이 조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벨트(12)의 초기 시동시에는 벨트자체의 텐션력이 높아지고, 반대로 정상적인 컨베이어 벨트작동이 수행되면 텐션력은 약해지기 때문에 상기 대차(20)를 작동시키는 와이어로프(40)는 순간적으로 느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와이어로프(40)의 느슨한 상태를 감지하여 와이어로프(40)를 당겨주는 회전샤프트(30)를 구동시킴으로서 종래의 로드셀에 의한 텐션조정 감지작동 대신에, 접촉에 의한 보다 간단하면서도 사용에 따른 부하가 적은 방식으로 와이어로프(40)를 감지하여 긍극적으로 컨베이어(10)의 벨트텐션자체로 정확하게 조정토록 하는 것이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샤프트(30)와 대차(20)사이에 수직 설치된 양측의 지지대(62)사이에 수직 및 선회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작동바아(60)를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로프(40)가 상부에서 인접 위치하다가 상기 와이어로프(40)가 느슨하게 되면 수직 또는 선회작동하여 상기 레일(20a)이 설치된 베이스(82)상의 리미트 스위치(80a)(80b)들을 작동시키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 (80a)(80b)들은 와이어로프(40)가 느슨하게 된 것을 팽팽하게 하도록 연결된 구동모터(32)를 작동시키어 구동되는 회전샤프트(30)로서 와이어로프(40)를 당기도록 하고, 이는 결국 대차(20)의 이동을 조정하도록 하여 벨트(12)의 텐션작동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이동대차(20)는 벨트(12)의 텐션상태에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이동대차(20)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로프(40)는 작동바아(60)를 작동시키어 서로 연동하면서 벨트(12)의 텐션조정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바아(60)는 와이어로프(40)가 느슨하게 되는 순간에 와이어로프(40)가 감지바아(64)를 수직방향으로 누르거나 또는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그리고 선회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와이어로프(40)가 수직방향으로 감지바아(64)를 누르면, 상기 작동바아(60)의 상부 2단(60a)(60b)중 상단(60a)에 형성된 장홈(60a')을 통하여 돌출된 고정볼트(76)는 바아 내측의 스프링(74b)을 연결블록(74a)으로서 압축시키면서 작동바아의 상부 2단중(60a)(60b)중 하단(60b)은 상기 고정볼트(76)을 축으로 하강하면서 베이스(82)의 중앙으로 바닥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80a)를 작동시키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8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32)가 작동하여 회전샤프트(30)로서 와이어로프(40)를 당기고, 결국 상기 와이어로프(40)가 팽팽하게 되면 상기 감지바아(64)가 연결된 작동바아(60)는 상승하여 리미트 스위치(80a)의 작동이 중단되면, 모터작동도 중단된다.
다음, 상기 와이어로프(40)가 감지바아(64)를 따라 슬라이딩하면 상기 감지바아(64)가 연결된 작동바아(60)는 상기 베이스(82)의 양측으로 설치된 지지대(62)의 상부 원통 베이스(66)에 베어링(68a)(68b)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회전아암(70)이 연결판(7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 선회 작동되고, 결국 상기 베이스(82)의 바닥 양측 모서리부분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80b)가 작동바아(60)의 하부가 접촉하면서 구동모터(32)와 회전샤프트(30)를 구동시키어 와이어로프(40)는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20)가 이동하는 이동라인(P)의 상부 프레임(84)의 전,후방에는 대차 프레임(22)에 수직 설치된 이동바아(24)의 접촉시 작동되어 대차(20)의 주행폭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86a)(86b)들이 각각 설치되고, 결국 대차(20)의 이동시 일체로 이동하는 이동바아(24)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86a)(86b)들을 작동시킴으로 상기 이동대차(20)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86a)(86b)의 간격으로 그 이동폭이 조정되고, 이와 같은 이동대차(20)의 이동폭은 벨트(12)의 텐션상태를 고려하여 조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이동대차(20)를 위한 와이어로프(40)가 접촉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40)가 느슨하게 되면 수직이동 및 선회운동되는 작동바아(60)가 스위치부재인 리미트스위치들(80a)(80b)을 작동시키는 접촉방식으로 설치됨으로서, 종래 로드셀에 의한 감지방식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텐션조정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에 의하면, 장거리 컨베이어의 벨트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텐션 조정장치의 대차 이동을 위한 와이어로프를 감지함으로서, 종래 로드셀을 이용한 불안정한 감지작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하는 잇점이 있다.
더욱이, 벨트의 텐션을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대차의 이동을 위한 와이어로프에 감지장치가 접촉하는 방식으로 벨트의 텐션을 조정함으로서, 벨트의 텐션조정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장거리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용 대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의 대차 위치조정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벨트텐션 감지장치 10.... 컨베이어
12.... 벨트 14.... 풀리
20.... 이동대차 30.... 회전샤프트
40.... 와이어로프 50.... 벨트텐션 조정장치
60.... 작동바아 64.... 감지바아
66.... 원통 베이스 70.... 회전아암
72.... 연결판 80a,80b,86a,86b.... 리미트 스위치

Claims (5)

  1. 장거리 컨베이어(10)의 벨트(12) 텐션을 조정토록 상기 벨트(12)를 이송시키는 풀리(14)가 설치되는 이동대차(20)와 상기 이동대차(20)의 이동을 위한 모터 구동되는 회전샤프트(3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40)를 갖는 벨트 텐션 조정장치(50)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30)와 대차(20)사이에 수직 설치된 지지대(62)사이에 수직 및 선회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40)가 상부에 인접 위치되는 감지바아(64)가 연결되는 작동바아(60) 및,
    상기 감지바아(64)의 수직 및 선회작동시 상기 작동바아(60)로서 접촉 작동토록 하측의 베이스(82) 상부 좌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샤프트(30)를 구동하는 모터(32)와 연결되는 다수의 스위치 부재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62)의 상부에 설치된 원통 베이스(66)에는 베어링(68a)(68b)을 개재하여 회전토록 회전아암(70)이 수평 고정되고, 상기 회전아암(70)에는 상기 작동바아(60)에 볼트 고정된 연결판(72)이 볼트 고정되어 상기 작동바아(60)는 선회 가능하게 지지대(62)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아(60)의 상부는 나사방식으로 볼트 연결블록(74a)과 스프링(74b)을 개재하여 2단(60a)(60b)으로 연결되고, 상기 볼트 연결블록(74a) 및 상기 작동바아(60)의 상부 2단(60a)(60b)중 상단(60a)에 형성된 장홈(60a')을 통하는 고정볼트(76)는 상기 회전아암(70)을 작동바아(60)에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판(72)의 호형 고정단(72a)에 너트 고정되어 상기 작동바아(60)는 그 상부에 연결된 감지바아(64)의 눌림시 수직 이동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들은 상기 회전 샤프트(30)와 대차(20)용 레일(20a)이 설치된 베이스(82)의 바닥 중앙 및 모서리측에 각각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80a)(80b)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40)의 운동에 따른 작동바아(60)의 선회 및 수직이동시 접촉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20)가 이동하는 이동라인(P)의 상부 프레임(84)의 전,후방에는 대차 프레임(22)에 수직 설치된 이동바아(24)의 접촉시 작동되어 대차(20)의 주행폭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86a)(86b)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KR10-2000-0078281A 2000-12-19 2000-12-19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KR100503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281A KR100503027B1 (ko) 2000-12-19 2000-12-19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281A KR100503027B1 (ko) 2000-12-19 2000-12-19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176A KR20020049176A (ko) 2002-06-26
KR100503027B1 true KR100503027B1 (ko) 2005-07-25

Family

ID=2768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281A KR100503027B1 (ko) 2000-12-19 2000-12-19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0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20B1 (ko) 2009-07-31 2011-06-3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완충 장치
KR101277501B1 (ko) * 2011-06-29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KR101435069B1 (ko) * 2011-10-28 2014-09-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KR20190019774A (ko) * 2017-08-18 2019-02-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6601A (zh) * 2011-12-13 2012-07-11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皮带涨紧轮位置调节装置
CN103359456A (zh) * 2012-04-04 2013-10-23 徐慧敏 一种封口机输送带的张紧调节装置
CN103395599B (zh) * 2013-08-01 2016-03-09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循环工作站
CN111559622A (zh) * 2020-04-30 2020-08-21 任予鑫 一种用于煤矿胶带机钢丝绳张紧的卡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7808A (ja) * 1982-04-13 1983-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ベルト・コンベアの張力制御装置
JPH04292318A (ja) * 1991-03-18 1992-10-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ベルトコンベアの張力制御装置
KR980008071U (ko) * 1996-07-31 1998-04-30 김종진 텐션카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7808A (ja) * 1982-04-13 1983-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ベルト・コンベアの張力制御装置
JPH04292318A (ja) * 1991-03-18 1992-10-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ベルトコンベアの張力制御装置
KR980008071U (ko) * 1996-07-31 1998-04-30 김종진 텐션카 보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20B1 (ko) 2009-07-31 2011-06-3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완충 장치
KR101277501B1 (ko) * 2011-06-29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KR101435069B1 (ko) * 2011-10-28 2014-09-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KR20190019774A (ko) * 2017-08-18 2019-02-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KR101978044B1 (ko) * 2017-08-18 2019-05-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176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649B1 (ko) 물품의 저장설비
KR100503027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US4519595A (en) Apparatus for unwinding fabric from a roll
US4106715A (en) Rolling-up machine for lengths of cloth destined for collar-cutting machines
US4461431A (en) Edge guide unwinding apparatus
US5607120A (en) Paper roll hoist and unwind assembly
JP2000313518A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KR200262975Y1 (ko)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KR200177699Y1 (ko) 벨트 회전력을 이용한 수송물 안내장치
CN218808549U (zh) 一种输送带自动调整跑偏装置
JP2676129B2 (ja) 延反機に於ける解反装置
KR200352834Y1 (ko)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KR19990013555U (ko) 슈트하부 벨트 절손 감지장치
CN216944716U (zh) 一种窄带移载机
KR100506831B1 (ko) 수평 루퍼용 스트립 지지장치
KR101482277B1 (ko)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벨트 지지 장치
KR100361568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절손 감지장치
JP4696309B2 (ja) 縦型ルーパー及びその運転方法
JPH09235011A (ja)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調整装置
CN220098016U (zh) 一种溜布机的送料装置
KR20000020762U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0128598Y1 (ko) 콘베어벨트의 수송물 하역장치
JPH04197914A (ja) 仕分けコンベヤの駆動装置
JPH11246007A (ja) 搬送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