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044B1 -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044B1
KR101978044B1 KR1020170105118A KR20170105118A KR101978044B1 KR 101978044 B1 KR101978044 B1 KR 101978044B1 KR 1020170105118 A KR1020170105118 A KR 1020170105118A KR 20170105118 A KR20170105118 A KR 20170105118A KR 101978044 B1 KR101978044 B1 KR 101978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unit
raw material
support frame
bel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774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0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7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는, 벨트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부와,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벨트부재에서 이송되는 원료에 접촉되면 회전하는 회전부와, 회전부와 연결되고, 회전부의 회전 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부 및 스위치부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스위치부와의 접촉 시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PREVENTING OVERLOAD APPARATUS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 과적으로 인한 슈트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 및 원료의 수송은 해상과 육상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대다수의 경우 선박을 통하여 운송되어 언로더를 통하여 하역되고,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벨트를 따라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4372호(2011. 04. 05 공개, 발명의 명칭: 소결광 운반용 벨트컨베이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료의 과적으로 인한 슈트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는: 벨트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재에서 이송되는 원료에 접촉되면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부와의 접촉 시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부; 및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재 상에서 이송되는 원료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감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지지프레임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본체; 및 상기 감김부와 상기 스위치본체를 연결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스위치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는, 스위치부가 원료와 직접 접촉되는 회전부에 연결되어 이동되며 감지부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원료 과적 시 자동으로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날개부가 복수 개로 구비됨으로 인하여 원료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접촉으로 인한 회전력이 배가되어 원료의 과적 시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을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조절부로 인하여 원료의 과적이 해소된 후 스위치본체가 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정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로 인하여 스위치본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스위치본체가 지지프레임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로 인하여 감김부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와이어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와 감지부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와 감지부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1)는 본체프레임부(100), 회전부(200), 스위치부(300), 감지부(400), 이탈방지부(500)를 포함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프레임부(100)는 벨트부재(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벨트부재(10)에 비접촉되도록 벨트부재(10)의 이동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된다. 본체프레임부(100)에는 뒤에 설명할 회전부(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0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벨트부재(10)에서 이송되는 원료(C)에 접촉되면 회전한다.
벨트부재(10) 상에는 원료(C)가 이송되고, 회전부(200)는 벨트부재(10)의 상측(도 1 기준)에 배치되며 벨트부재(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벨트컨베이어의 정상 상태에서는 회전부(200), 구체적으로 날개부(220)의 하측으로 원료(C)가 이송된다.
벨트컨베이어의 정상 상태에서는 원료(C)가 날개부(220)에 접촉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날개부(220)가 회전되지 않으나, 벨트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원료(C)의 양이 갑작스럽게 증가되는 경우에는 원료(C)가 회전부(200)와 접촉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00)는 샤프트부(210), 날개부(220), 감김부(230)를 포함한다.
샤프트부(210)는 본체프레임부(10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벨트부재(1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본체프레임부(100) 사이에 설치된다.
샤프트부(21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220)는 샤프트부(2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벨트부재(10) 상에서 이송되는 원료(C)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
날개부(22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샤프트부(2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부(210)의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샤프트부(2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220)는 편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샤프트부(210)에 결합되는 일단부에서 이에 대향되는 타단부까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날개부(220)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편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회전 시 벨트부재(10) 상 이송되는 원료(C)가 날개부(220) 상에 적재될 수 있고, 적재된 원료(C)로 인하여 날개부(220)의 회전력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김부(230)는 샤프트부(2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샤프트부(210)와 함께 회전된다.
본 발명에서는 감김부(230)가 샤프트부(2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뒤에 설명할 와이어부(330)가 결합되어 감김부(230)에 감기거나 풀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김부(230)에는 와이어부(330)가 결합된다. 벨트부재(10) 상에서 이송되는 원료(C)와 날개부(220)가 접촉되면, 샤프트부(210)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된다.
이때 감김부(230)는 샤프트부(210)의 회전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하고, 감김부(23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감김부(230)에 결합된 와이어부(330)가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300)는 회전부(200)와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부(200)의 회전 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위치부(300)는 지지프레임부(310), 스위치본체(320), 와이어부(330), 길이조절부(340), 롤러부(350)를 포함한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부(310)는 본체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감김부(230)와 이격되는 위치에서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부(310)에는 가이드부(311)가 형성되고, 뒤에 설명할 스위치본체(32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부(311)는 지지프레임부(310) 상에서 스위치본체(320)의 상하(도 1 기준)측에 형성되고,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11)가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스위치본체(320)가 가이드부(311)에 안착되어 좌우 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스위치본체(320)가 지지프레임부(310) 상에서 이동 중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본체(320)는 지지프레임부(31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좌우 방향(도 4 기준)으로 이동한다.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330)는 스위치본체(320)와 감김부(230)를 연결한다. 이로 인하여 감김부(230)와 결합되는 와이어부(330)의 감김 혹은 풀림에 의하여 스위치본체(320)가 지지프레임부(310)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340)는 지지프레임부(310)와 스위치본체(3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가 조절됨으로 벨트부재(10) 상에서 이송되는 원료(C)의 과적이 해소된 후 스위치본체(320)가 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길이조절부(34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원료(C)의 과적에 의해 원료(C)와 접촉되는 날개부(220)가 회전된 후 원료(C)의 과적이 해소되면 날개부(22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스위치본체(320)가 뒤에 설명할 감지부(400)로부터 이격되며 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부(340)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지지프레임부(310)와 스위치본체(320) 사이에 설치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00)는 스위치부(30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스위치부(300)와 접촉 시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감지부(400)는 접촉식 센서로 형성될 수 있고, 스위치부(300)와 접촉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도면 미도시)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구동부(도면 미도시)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500)는 지지프레임부(310)와 본체프레임부(10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와이어부(33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이탈방지부(5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와이어부(330)의 외측에 배치되어 와이어부(3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감김부(23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와이어부(330)의 경로를 제공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1)는 본체프레임부(100), 회전부(200), 스위치부(300), 감지부(400), 이탈방지부(5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벨트컨베이어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하는 벨트부재(10) 상으로 원료(C)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되는 원료(C)는 벨트부재(10)의 우측(도 1 기준)에 설치되는 슈트부(20)로 투입된다.
도 1은 정상 상태에서의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1)를 도시한 것으로, 벨트부재(10) 상에서 원료(C)가 적정량으로 이송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벨트부재(10) 상에서 이송되는 원료(C)가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경우, 즉 원료(C)의 과적이 발생되면 많은 양이 슈트부(20)로 한꺼번에 투입되고, 이로 인해 슈트부(20)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된다.
벨트부재(10)의 외측에는 본체프레임부(100)가 설치되고, 회전부(200)가 본체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벨트부재(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측(도 1 기준)에 설치된다.
이로 인하여 벨트부재(10) 상에서 원료(C)가 설정량 내로 이송되면, 회전부(200)와 접촉되지 않거나, 접촉된다 하더라도 와이어부(330)가 감길 만큼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벨트부재(10) 상에서 이송되는 원료(C)가 갑작스럽게 증가되면, 원료(C)는 회전부(200), 구체적으로 날개부(220)와 접촉되고, 이로 인해 샤프트부(210)가 본체프레임부(100) 상에서 회전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날개부(22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샤프트부(2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각 배치됨으로 인하여 접촉되는 원료(C)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접촉면이 증가되고, 회전력이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부(200)가 벨트부재(10) 상에서 이송되는 원료(C)에 접촉되어 회전하면, 회전부(200)와 연결된 스위치부(300)가 감지부(400) 측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부(300)는 지지프레임부(310), 스위치본체(320), 와이어부(330), 길이조절부(340), 롤러부(350)를 포함하고, 와이어부(330)가 샤프트부(2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감김부(230)에 결합되어 날개부(220)가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부(330)가 감김부(230)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료(C)의 과적 상태에서 날개부(220)는 원료(C)에 접촉되어 반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되고, 와이어부(330)가 감김부(230)에 반시계 방향으로 감기면서 스위치본체(320)가 우측(도 3 기준)으로 이동한다.
스위치본체(320)는 본체프레임부(100) 상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310) 상에서 좌우 방향(도 4 기준)으로 이동하고, 지지프레임부(31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311)에 안착되어 이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치본체(320)가 가이드부(311)를 따라 이동됨으로 인하여 스위치본체(320)가 지지프레임부(310)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위치본체(32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부(311)는 지지프레임부(310) 상에서 홈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롤러부(350)가 스위치본체(320)와 결합되며, 스위치본체(320)와 가이드부(311)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됨으로 인하여, 스위치본체(320)와 지지프레임부(31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롤러부(350)로 인하여 스위치본체(320)와 지지프레임부(310)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스위치본체(3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날개부(220)가 원료(C)에 접촉되며 샤프트부(210)가 회전되고, 와이어부(330)가 이동됨으로 인하여 스위치본체(320)가 감지부(400)에 접촉되고, 감지부(400)는 스위치본체(320)와의 접촉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00)는 스위치본체(320)와 접촉 시 제어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는 구동부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이 정지되고, 작업자가 벨트부재(10) 상 원료(C)를 제거하면 지지프레임부(310)와 스위치본체(320) 사이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340)가 길이가 압축되면서 스위치본체(320)를 감지부(400)로부터 이격시켜 정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치본체(320)와 감지부(400)의 접촉 시 길이조절부(340)의 길이는 증가하고, 벨트부재(10) 상 과적된 원료(C)가 제거되면, 길이조절부(340)의 지지프레임부(310) 측(도 3 기준 좌측)으로의 탄성복원력이 스위치본체(320)를 감지부(400)로부터 이격시킨다.
길이조절부(340)의 탄성복원력으로 길이조절부(340)의 길이가 감소되고, 감김부(230)에 감겨있는 와이어부(330)는 날개부(220)가 시계 방향(도 3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우측에서 좌측(도 3 기준)으로 이동하며 감김부(230)에서 풀리게 된다.
스위치본체(320)가 감지부(400)에서 이격됨에 따라 벨트컨베이어는 바로 구동될 수 있고, 설정 시간 뒤에 구동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지지프레임부(310)와 본체프레임부(100)에 각각 결합되며 와이어부(3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이탈방지부(500)로 인하여 날개부(220), 샤프트부(210) 및 감김부(230)의 회전에 따라 감김, 풀림을 반복하는 와이어부(33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여 와이어부(3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C: 원료
10: 벨트부재 20: 슈트부
100: 본체프레임부 200: 회전부
210: 샤프트부 220: 날개부
230: 감김부 300: 스위치부
310: 지지프레임부 311: 가이드부
320: 스위치본체 330: 와이어부
340: 길이조절부 350: 롤러부
400: 감지부 500: 이탈방지부

Claims (5)

  1. 벨트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재에서 이송되는 원료에 접촉되면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부와의 접촉 시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재 상에서 이송되는 원료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날개부; 및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감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
    상기 지지프레임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본체;
    상기 감김부와 상기 스위치본체를 연결하는 와이어부;
    상기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스위치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스위치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벨트부재 상에서 이송되는 원료의 과적 해소 후 상기 스위치본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70105118A 2017-08-18 2017-08-18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KR101978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118A KR101978044B1 (ko) 2017-08-18 2017-08-18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118A KR101978044B1 (ko) 2017-08-18 2017-08-18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774A KR20190019774A (ko) 2019-02-27
KR101978044B1 true KR101978044B1 (ko) 2019-05-13

Family

ID=6556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118A KR101978044B1 (ko) 2017-08-18 2017-08-18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0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216B1 (ko) * 2019-03-22 2020-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비상정지장치
KR20220104359A (ko) * 2021-01-18 2022-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8689A (zh) * 2019-07-05 2019-09-13 枣庄和顺达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矿用皮带机综合保护装置鉴定试验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27B1 (ko) * 2000-12-19 2005-07-25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KR101043084B1 (ko) * 2004-12-22 2011-06-21 주식회사 포스코 트립퍼 슈트 오버 플로우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022U (ko) * 1998-12-12 2000-07-05 이구택 스크린 매트 절손 자동검지 및 벨트 정속도 회전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27B1 (ko) * 2000-12-19 2005-07-25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KR101043084B1 (ko) * 2004-12-22 2011-06-21 주식회사 포스코 트립퍼 슈트 오버 플로우 감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216B1 (ko) * 2019-03-22 2020-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비상정지장치
KR20220104359A (ko) * 2021-01-18 2022-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장치
KR102477396B1 (ko) 2021-01-18 2022-12-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774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0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US7175017B2 (en) In-line flipper mechanism and conveyor system for achieving the proper orientation of mail tray and mail tub receptacles
EP2908138B1 (en) Carrying apparatus
US3905473A (en) Drive apparatus
JP2013543829A (ja) ダイバータディスク
CN110884712A (zh) 载带输送方法及装置
KR101957578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572359B1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FR2953207A1 (fr) Dispositif de manutention d'une bande de produit contenant de la gomme et procede de production d'un roule sur lequel est enroulee cette bande
CA1065787A (en) Board grouping apparatus
US4998614A (en) Conveyor discharge control
RU2693784C2 (ru) Режущая станция для установки для сборки шин
US6074723A (en) Rotating mat with holding flaps, for switching machines
US5746427A (en) Roller type stacker and method for stacking pieces of limp material
JP3750670B2 (ja) たばこパック整列装置
GB2201883A (en) Apparatus for cutting off individual pieces for a material strand
US20070017184A1 (en) Automatic Device for Feeding Plastic Film for Packaging Machines
CN105858058A (zh) 一种棒状物体的转接装置
KR101908226B1 (ko) 연속식 하역기용 낙광 방지장치
JP6638073B2 (ja) タイヤ層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KR10197804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추락 방지장치
KR101477101B1 (ko) 낙광 방지장치
KR101873365B1 (ko) 원단 이송 장치
KR102213966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JPS63200876A (ja) 製品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