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396B1 - 벨트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396B1
KR102477396B1 KR1020210006521A KR20210006521A KR102477396B1 KR 102477396 B1 KR102477396 B1 KR 102477396B1 KR 1020210006521 A KR1020210006521 A KR 1020210006521A KR 20210006521 A KR20210006521 A KR 20210006521A KR 102477396 B1 KR102477396 B1 KR 10247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lt conveyor
iron piece
pair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4359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3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2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non-movable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 Fish Paste Product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 장치는: 벨트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부와, 슈트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이송시키는 철편제거부와,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철편제거부의 자력에 의해 작동되어 철편제거부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작동판단부와, 작동판단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토대로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 장치{BELT CONVEYOR APPARATUS}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편에 의해 벨트컨베이어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벨트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광석 등 원료와 같은 이송물을 대량으로 장거리 이송하기 위하여 벨트컨베이어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에는 철편이 혼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2763호(발명의 명칭: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철편을 제거하는 철편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공개일:2002.07.0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철편에 의해 벨트컨베이어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벨트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장치는: 이송물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이송시키는 철편제거부;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철편제거부의 자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철편제거부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작동판단부; 및 상기 작동판단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편제거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철편이 저장되는 철편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판단부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지지에 설치되는 제1설치대;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설치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설치대; 상기 제1설치대와 상기 제2설치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철편제거부의 자력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는 터치부; 및 상기 제1설치대와 상기 제2설치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터치부의 접촉에 작동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작동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판단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이동프레임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제1설치대 및 상기 제2설치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에 상기 탄성부가 감싸도록 설치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와 연결되고, 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철편제거부의 자력에 반응하여 상기 이동바를 이동시키는 시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지지롤러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설치대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설치바와, 한 쌍의 상기 제1설치바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1설치바를 연결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제1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설치대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설치바와, 한 쌍의 상기 제2설치바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설치바를 연결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편제거부는, 상기 슈트부의 상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철편제거풀리부; 한 쌍의 상기 철편제거풀리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철편제거풀리부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철편제거벨트부; 상기 철편제거벨트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력부; 및 상기 자력부가 설치되는 자력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력설치부는, 상기 자력부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자력설치대; 및 한 쌍의 상기 자력설치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자력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는 작동판단부를 통해 철편제거부의 자력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작동판단부의 판단여부에 따라 제어부가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철편제거부의 이상으로 이송물로부터 철편이 제대로 분리되지 못함에 따라 철편에 의해 벨트컨베이어 즉, 제2벨트컨베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의 철편제거부의 자력에 의해 작동판단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의 작동판단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토대로 벨트컨베이어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의 작동판단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의 철편제거부의 자력에 의해 작동판단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의 작동판단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토대로 벨트컨베이어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의 작동판단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1)는 벨트컨베이어(100), 슈트부(200), 철편제거부(300), 작동판단부(400), 제어부(500) 및 철편저장부(600)를 포함한다. 벨트컨베이어(100)는 이송물(10)을 이송한다. 벨트컨베이어(100)는 풀리부(110), 벨트부재(120), 지지롤러부(13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벨트부재(120)는 풀리부(110)에 걸쳐져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된다. 지지롤러부(130)는 벨트부재(120)를 지지한다.
지지부(140)는 벨트부재(120)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개의 지지롤러부(130)가 이격되게 설치되고, 풀리부(11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40)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1)을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프레임(141)은 벨트컨베이어(100)의 벨트부재(120)의 이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지지롤러부(130)를 지지한다(도 2 참조).
슈트부(200)는 벨트컨베이어(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벨트컨베이어(100)로부터 낙하되는 이송물(10)을 안내한다. 슈트부(200)에는 운송물이 낙하되는 내측통로(미도시)가 형성된다. 내측통로로 낙하된 운송물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벨트컨베이어(700)를 따라 이송된다.
철편제거부(300)는 슈트부(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송물(10)에 포함된 철편(20)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이송시킨다. 이때, 철편제거부(300)는 전력을 공급받아 자력을 생성하는 장치로, 후술된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이송물(10)에 포함된 철편(20)이 철편제거부(300)에 인접하면, 철편(20)이 이송물(10)에서 분리되어 철편제거부(300)에 부착된다. 이렇게 철편제거부(300)에 부착된 철편(20)은 슈트부(200)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작동판단부(400)는 벨트컨베이어(100)에 설치되고, 철편제거부(300)의 자력에 의해 작동되어 철편제거부(300)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작동판단부(400)는 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편부(432)를 구비하여 철편제거부(300)의 자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작동판단부(400)는 철편제거부(300)의 자력에 의해 작동시 전기신호를 후술된 제어부(500)에 전달한다. 이로 인해, 철편제거부(300)가 자력으로 이송물(10)에 포함된 철편(20)을 이송물(10)과 분리하는 작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작동판단부(4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토대로 벨트컨베이어(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00)가 작동판단부(400)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받으면, 벨트컨베이어(100)를 작동시킨다. 반대로, 제어부(500)가 작동판단부(400)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면, 벨트컨베이어(10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그 결과, 철편제거부(300)의 이상으로 철편(20)이 이송물(10)로부터 제대로 분리되지 않고 이송물(10) 속에 남겨져 슈트부(200)를 통해 제2벨트컨베이어(700)로낙하되면서 제2벨트컨베이어(70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철편저장부(600)는 철편제거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철편(20)이 저장된다. 일 예로, 철편저장부(600)는 슈트부(200)와 연결되며, 철편제거부(300)에 의해 슈트부(200)의 외측으로 이송되어 낙하된 철편(20)이 저장된다.
작동판단부(400)는 제1설치대(410), 제2설치대(420), 이동프레임(430), 터치부(440) 및 작동감지부(450)를 포함한다. 제1설치대(410)는 벨트컨베이어(100)의 지지부(140)에 설치된다. 제1설치대(410)는 한 쌍의 제1설치바(411)와 제1연결바(4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설치바(411)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1)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연결바(412)는 한 쌍의 제1설치바(411)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제1설치바(411)를 연결하며 후술된 이동프레임(430)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부(412a)가 형성된다. 제1관통홀부(412a)에는 이동프레임(430)의 이동바(431)가 관통된다.
제2설치대(420)는 벨트컨베이어(100)의 지지부(140)에 설치되고, 제1설치대(41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설치대(420)는 한 쌍의 제2설치바(421)와 제2연결바(4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설치바(421)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11)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연결바(422)는 한 쌍의 제2설치바(421)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제2설치바(421)를 연결하며 이동프레임(430)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부(422a)가 형성된다. 제2관통홀부(422a)에는 이동프레임(430)의 이동바(431)가 관통된다.
이동프레임(430)은 제1설치대(410)와 제2설치대(4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철편제거부(300)의 자력에 의해 이동된다. 이동프레임(430)은 제1설치대(410)의 제1관통홀부(412a)와, 제2설치대(420)의 제2관통홀부(422a) 상에서 전후방으로(도 3, 4 기준)으로 이동가능하며, 철편제거부(300)의 자력에 의해 전방으로(도 3, 4 기준) 이동된다.
터치부(440)는 이동프레임(430)과 연결되고, 이동프레임(430)과 함께 이동된다. 터치부(440)는 제1터치바(441)와 제2터치바(442)를 포함한다. 제1터치바(441)는 이동프레임(430)의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제2터치바(442)는 제1터치바(441)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후술된 작동감지부(450)와 접촉된다.
작동감지부(450)는 제1설치대(410)와 제2설치대(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터치부(440)의 접촉에 작동되어 제어부(500)로 전기신호를 전달한다. 일 예로, 작동감지부(450)는 리미트 스위치 등 접촉센서로 제1설치대(410)에 설치된다. 작동감지부(450)에 터치부(440)의 제2터치바(442)가 접촉되면, 전기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이후, 제어부(500)는 전기신호를 토대로 벨트컨베이어(100)의 풀리부(110)를 작동시킨다.
탄성부(460)는 이동프레임(430)에 설치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이동프레임(430)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탄성부(46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동프레임(430)의 이동바(431)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460)는 이동프레임(430)이 철편제거부(300)의 자력에 의해 이동될 때, 제1설치대(410)와 제2설치대(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탄성변형되어 압축된다.
이후, 철편제거부(300)의 이상 등에 의해 철편제거부(300)의 자력이 제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철편제거부(300)의 작동이 멈추면 탄성부(46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고, 탄성부(4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프레임(430)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터치부(440)와 작동감지부(450)가 미접촉되고, 벨트컨베이어(100)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도 7(a), 도 7(b)).
이동프레임(430)은 이동바(431)와 시편부(432)를 포함한다. 이동바(431)는 제1설치대(410) 및 제2설치대(42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에 탄성부(460)가 감싸도록 설치된다.
시편부(432)는 이동바(431)와 연결되고, 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철편제거부(300)의 자력에 반응하여 이동바(431)를 이동시킨다. 시편부(432)는 이동바(431)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철편제거부(300)의 하측에 위치된다.
철편제거부(300)는 한 쌍의 철편제거풀리부(310), 철편제거벨트부(320), 자력부(330) 및 자력설치부(34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철편제거풀리부(310)는 슈트부(200)의 상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철편제거풀리부(310)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철편제거풀리부(310)는 벨트컨베이어(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철편제거벨트부(320)는 한 쌍의 철편제거풀리부(310)의 외측면을 감싸며, 철편제거풀리부(310)의 작동에 의해 회동된다. 철편제거벨트부(320)는 철편제거풀리부(310)의 작동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된다.
자력부(330)는 철편제거벨트부(320)의 내부에 위치되며,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력부(330)는 자력판(331)과 결합돌기(332)를 포함한다(도 1 내지 도 6 참조). 자력판(331)은 철편제거벨트부(320)의 내부에 위치되며,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력판(331)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자력을 생성하며,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결합돌기(332)는 자력판(331)의 양측부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자력설치부(340)의 와이어부(342)가 결합된다.
자력설치부(340)에는 자력부(330)가 설치된다. 자력설치부(340)는 한 쌍의 자력설치대(341)와 복수개의 와이어부(34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자력설치대(341)는 자력부(330)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장치(1)에서는 작동판단부(400)를 통해 철편제거부(300)의 자력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작동판단부(400)의 판단여부에 따라 제어부(500)가 벨트컨베이어(100)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철편제거부(300)의 이상으로 이송물(10)로부터 철편(20)이 제대로 분리되지 못함에 따라 철편(20)에 의해 벨트컨베이어 즉, 제2벨트컨베이어(7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와이어부(342)는 한 쌍의 자력설치대(341)와 각각 연결되며, 자력부(330)의 양측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와이어부(342)는 한 쌍씩 한 쌍의 자력설치대(341)에 각각 결합되며, 자력부(330)의 양측부에 한 쌍씩 구비되는 결합돌기(332)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벨트컨베이어 장치 10 : 이송물
20 : 철편 100 : 벨트컨베이어
110 : 풀리부 120 : 벨트부재
130 : 지지롤러부 140 : 지지부
141 : 지지프레임 200 : 슈트부
300 : 철편제거부 310 : 철편제거풀리부
320 : 철편제거벨트부 330 : 자력부
331 : 자력판 332 : 결합돌기
340 : 자력설치부 341 : 자력설치대
342 : 와이어부 400 : 작동판단부
410 : 제1설치대 411 : 제1설치바
412 : 제1연결바 412a : 제1관통홀부
420 : 제2설치대 421 : 제2설치바
422 : 제2연결바 422a : 제2관통홀부
430 : 이동프레임 431 : 이동바
432 : 시편부 440 : 터치부
441 : 제1터치바 442 : 제2터치바
450 : 작동감지부 460 : 탄성부
500 : 제어부 600 : 철편저장부
700 : 제2벨트컨베이어

Claims (8)

  1. 이송물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이송시키는 철편제거부;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상기 철편제거부의 자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철편제거부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작동판단부; 및
    상기 작동판단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판단부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지지에 설치되는 제1설치대;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설치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설치대;
    상기 제1설치대와 상기 제2설치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철편제거부의 자력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이동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는 터치부; 및
    상기 제1설치대와 상기 제2설치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터치부의 접촉에 작동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작동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지지롤러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설치대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설치바와, 한 쌍의 상기 제1설치바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1설치바를 연결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제1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설치대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설치바와, 한 쌍의 상기 제2설치바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설치바를 연결하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제2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제거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철편이 저장되는 철편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단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며, 탄성복원력으로 상기 이동프레임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제1설치대 및 상기 제2설치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에 상기 탄성부가 감싸도록 설치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와 연결되고, 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철편제거부의 자력에 반응하여 상기 이동바를 이동시키는 시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제거부는,
    상기 슈트부의 상측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철편제거풀리부;
    한 쌍의 상기 철편제거풀리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철편제거풀리부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철편제거벨트부;
    상기 철편제거벨트부의 내부에 위치되며,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력부; 및
    상기 자력부가 설치되는 자력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설치부는,
    상기 자력부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자력설치대; 및
    한 쌍의 상기 자력설치대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자력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장치.
KR1020210006521A 2021-01-18 2021-01-18 벨트컨베이어 장치 KR10247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21A KR102477396B1 (ko) 2021-01-18 2021-01-18 벨트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21A KR102477396B1 (ko) 2021-01-18 2021-01-18 벨트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59A KR20220104359A (ko) 2022-07-26
KR102477396B1 true KR102477396B1 (ko) 2022-12-13

Family

ID=8260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521A KR102477396B1 (ko) 2021-01-18 2021-01-18 벨트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3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044B1 (ko) 2017-08-18 2019-05-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032B1 (ko) * 2012-09-27 2014-08-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편 분리기
KR102043554B1 (ko) * 2018-04-24 2019-1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낙광 제거장치
KR102237626B1 (ko) * 2019-06-26 2021-04-07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편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044B1 (ko) 2017-08-18 2019-05-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과적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59A (ko)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75B1 (ko) 트레이 공급장치
KR101403890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KR102477396B1 (ko) 벨트컨베이어 장치
KR20200008789A (ko) 벨트컨베이어
KR101388022B1 (ko) 트리퍼 장치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KR102043554B1 (ko) 연속하역기용 낙광 제거장치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1694469B1 (ko) 기판 적재운송기
KR101237062B1 (ko) 슈트 감지장치
KR100725339B1 (ko) 켄베이어라인에서의 광석역수송감지장치
KR200169337Y1 (ko) 벨트 컨베어 사행 조정장치
JP2773608B2 (ja) 搬送ラインにおける箱の蓋閉め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20036009A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101159773B1 (ko) 수송물 이송장치
KR102499833B1 (ko)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KR101295742B1 (ko) 철편 검출장치
CN216104331U (zh) 送料装置与包装机
KR20170123601A (ko) 트레이 공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진 트레이 피더
KR100211734B1 (ko)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장치
KR20180136631A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JP3147969B2 (ja) 収納装置
KR101694468B1 (ko) 기판 적재운송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시스템
JP2665654B2 (ja) ラックに対するプリント配線板の受取機及び投入機
JP2001080742A (ja) 製品搬出集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