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626B1 - 철편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철편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626B1
KR102237626B1 KR1020190076045A KR20190076045A KR102237626B1 KR 102237626 B1 KR102237626 B1 KR 102237626B1 KR 1020190076045 A KR1020190076045 A KR 1020190076045A KR 20190076045 A KR20190076045 A KR 20190076045A KR 102237626 B1 KR102237626 B1 KR 10223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ron piece
support
core memb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837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6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2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non-movable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철편 제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철편 제거장치는: 벨트컨베이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부재와, 코어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 회전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철편제거부와, 철편제거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코어부재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이동되어 철편제거부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작동감지부 및 작동감지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벨트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편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IRON PIECE}
본 발명은 철편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편제거기의 정상 작동상태를 자동으로 확인하며, 이송벨트와 함께 이동하는 철편을 감지하여 철편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철편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 및 원료의 수송은 해상과 육상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송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연원료 속에 철편이 포함된 경우 이송벨트가 파손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34376호(2011.04.05 공개, 발명의 명칭: 이송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편제거기의 정상 작동상태를 자동으로 확인하며, 이송벨트와 함께 이동하는 철편을 감지하여 철편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철편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는: 벨트컨베이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부재와, 코어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 회전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철편제거부와, 철편제거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코어부재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이동되어 철편제거부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작동감지부 및 작동감지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벨트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철편제거부는,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물의 낙하를 안내하는 슈트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감지부는, 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된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철편제거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부와, 철을 포함하며 회전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어부재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이동되어 이송벨트에 접촉되는 롤러부 및 회전부의 이동경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회전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는, 프레임부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제1지지부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센서부를 지지하고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부는, 제1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롤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몸체 및 일측은 제1회전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센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회전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는, 철편제거부가 정상 작동되는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벨트컨베이어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므로 철편에 의해 후공정의 기기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철편은 슈트부로 낙하되기 전에 철편제거부로 이동되어 슈트부의 외측으로 낙하되므로 철편의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감지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제거부의 고장으로 이송물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의 불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감지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제거부의 고장으로 이송물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의 불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1)는, 벨트컨베이어(1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부재(22)와, 코어부재(22)의 외측 둘레를 따라 회전되는 이송벨트(24)를 구비하는 철편제거부(20)와, 철편제거부(2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코어부재(22)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이동되어 철편제거부(20)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작동감지부(30) 및 작동감지부(3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벨트컨베이어(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이송물(50)은 벨트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된다.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부재(12)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며, 벨트부재(12)의 양측에는 풀리부재(14)가 설치된다.
벨트부재(12)를 따라 설치된 이송롤러(18)에 의해 벨트부재(12)가 지지되며, 이러한 이송롤러(18)와 풀리부재(14)는 프레임부(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벨트부재(12)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50)이 낙하되는 벨트부재(12)의 일측에 슈트부(19)가 위치하며, 슈트부(19)의 상측에 철편제거부(20)가 위치한다.
철편제거부(20)는 벨트컨베이어(1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부재(22)와, 코어부재(22)의 외측 둘레를 따라 회전되는 이송벨트(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철편제거부(20)는, 벨트컨베이어(10)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물(50)의 낙하를 안내하는 슈트부(19)의 상측에 위치하며, 자력을 발생시켜 슈트부(19)로 낙하되는 철편(52)을 견인하여 슈트부(19)의 외측으로 낙하시킨다.
작동감지부(30)는 철편제거부(2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코어부재(22)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이동되어 철편제거부(20)의 작동여부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감지부(30)는, 지지부(31)와 회전부(34)와 롤러부(37)와 센서부(38)를 포함한다.
지지부(31)는 벨트컨베이어(10)에 구비된 프레임부(16)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1)는, 프레임부(16)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회전부(3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32) 및 제1지지부(32)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센서부(38)를 지지하고 프레임부(16)에 고정되는 제2지지부(33)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32)의 하측은 프레임부(16)에 고정되며 상측은 프레임부(16)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벨트부재(12)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지지부(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부(3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지지부(33)는 제1지지부(3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지지부(33)의 하측은 프레임부(16)에 고정되며 상측은 프레임부(16)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벨트부재(12)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2지지부(3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면에는 센서부(38)가 설치된다.
회전부(34)는 지지부(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철편제거부(2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4)는, 제1지지부(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롤러부(3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몸체(35) 및 일측은 제1회전몸체(35)에 연결되며 타측은 센서부(38)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회전몸체(36)를 포함한다.
제1회전몸체(35)는 "ㄱ"자 형상이며, 제1회전몸체(35)의 일측은 제1지지부(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측에는 롤러부(3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회전몸체(36)는 제1지지부(32)를 사이에 두고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ㄴ"자로 설치된다. 제2회전몸체(36)의 일측은 제1지지부(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몸체(35)에 연결되며 타측은 센서부(38)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롤러부(37)는 철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회전부(34)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형상이다. 또한 롤러부(37)는 코어부재(22)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이동되어 이송벨트(24)에 접촉된다.
센서부(38)는 회전부(34)의 이동경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회전부(34)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8)는 비접촉 방식에 의해 동작된다.
제어부(40)는 작동감지부(3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벨트컨베이어(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제어장치가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 제거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부재(12)를 따라 이송물(50)이 이송되기 전에 철편제거부(20)를 동작시킨다. 철편제거부(20)의 동작에 의해 코어부재(22)가 전자석이 된다.
코어부재(22)의 자력에 의해 철로 이루어진 롤러부(37)가 코어부재(22)를 향한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송벨트(24)에 접촉된다. 롤러부(37)와 함께 제1회전몸체(35)가 제1지지부(32)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센서부(38)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2회전몸체(36)도 제1회전몸체(35)와 함께 회전한다.
센서부(38)는 제2회전몸체(36)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측정값을 보내면, 제어부(40)는 철편제거부(20)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벨트컨베이어(10)를 동작시킨다.
벨트부재(12)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50)에 철편(52)이 포함된 경우, 철편제거부(20)의 이송벨트(24)에 철편(52)이 접착된 후 이송벨트(24)를 따라 슈트부(19)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슈트부(19)의 외측으로 이동된 철편(52)은 코어부재(22)의 자력이 약해지므로 하측으로 낙하되어 후공정으로 이송됨을 차단한다.
한편 철편제거부(2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롤러부(37)가 코어부재(22)를 향한 상측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회전몸체(36)가 센서부(38)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센서부(38)는 제2회전몸체(36)의 위치를 감지한 측정값을 제어부(40)로 전달한다.
제어부(40)는 철편제거부(20)가 동작되었는데도 제2회전몸체(36)가 이동되지 않는 것은 코어부재(22)의 동작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벨트컨베이어(10)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작업자에게 이를 알려 철편제거부(20)의 정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철편(52)이 혼합된 이송물(50)이 후공정으로 이송되면서 설비를 파손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편제거부(20)가 정상 작동되는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벨트컨베이어(1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므로 철편(52)에 의해 후공정의 기기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컨베이어(10)를 따라 이동하는 철편(52)은 슈트부(19)로 낙하되기 전에 철편제거부(20)로 이동되어 슈트부(19)의 외측으로 낙하되므로 철편(52)의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철편 제거장치 10: 벨트컨베이어
12: 벨트부재 14: 풀리부재
16: 프레임부 18: 이송롤러
19: 슈트부 20: 철편제거부
22: 코어부재 24: 이송벨트
30: 작동감지부 31: 지지부
32: 제1지지부 33: 제2지지부
34: 회전부 35: 제1회전몸체
36: 제2회전몸체 37: 롤러부
38: 센서부 40: 제어부
50: 이송물 52: 철편

Claims (5)

  1. 벨트컨베이어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어부재와, 상기 코어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 회전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철편제거부;
    상기 철편제거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부재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철편제거부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작동감지부; 및
    상기 작동감지부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감지부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된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철편제거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부;
    철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코어부재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벨트에 접촉되는 롤러부; 및
    상기 회전부의 이동경로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편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제거부는,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이송물의 낙하를 안내하는 슈트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편 제거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편 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몸체; 및
    일측은 상기 제1회전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센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회전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편 제거장치.
KR1020190076045A 2019-06-26 2019-06-26 철편 제거장치 KR10223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45A KR102237626B1 (ko) 2019-06-26 2019-06-26 철편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45A KR102237626B1 (ko) 2019-06-26 2019-06-26 철편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37A KR20210000837A (ko) 2021-01-06
KR102237626B1 true KR102237626B1 (ko) 2021-04-07

Family

ID=7412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045A KR102237626B1 (ko) 2019-06-26 2019-06-26 철편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396B1 (ko) * 2021-01-18 2022-12-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장치
CN115445766B (zh) * 2022-09-14 2023-05-30 承德星铄科技有限公司 一种多梯度单筒干式磁选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494U (ko) * 1997-06-30 1999-01-25 김종진 철편감지장치가 구비된 크리너 작동장치
KR100858896B1 (ko) * 2006-10-25 2008-09-17 주식회사 포스코 트립퍼 슈트 막힘 검출장치
KR20090122587A (ko) * 2008-05-26 2009-12-01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이송 밸트 컨베이어의 철편 제거장치
KR101529196B1 (ko) * 2013-11-27 2015-06-1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37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626B1 (ko) 철편 제거장치
KR101767868B1 (ko) 금속재 봉 자동 공급장치
KR101572359B1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206523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 제거장치
KR10141185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237062B1 (ko) 슈트 감지장치
KR102133100B1 (ko)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KR102224863B1 (ko)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KR10216659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KR101938069B1 (ko) 스커트 장치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21778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감지장치
KR10185788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102043548B1 (ko) 철편검출기용 파손 방지장치
KR10238380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 제거장치
KR102166611B1 (ko) 슈트 마모 방지 장치
KR101320658B1 (ko) 트리퍼카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KR102213979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200177675Y1 (ko) 스티프너 부재 이송장치
KR20130002422A (ko) 컨베이어벨트 손상감지장치
KR102133098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2133117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20060119419A (ko) 켄베이어라인에서의 광석역수송감지장치
KR102336753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