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753B1 -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753B1
KR102336753B1 KR1020190170773A KR20190170773A KR102336753B1 KR 102336753 B1 KR102336753 B1 KR 102336753B1 KR 1020190170773 A KR1020190170773 A KR 1020190170773A KR 20190170773 A KR20190170773 A KR 20190170773A KR 102336753 B1 KR102336753 B1 KR 102336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tection
pair
sen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867A (ko
Inventor
이정복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7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는: 벨트컨베이어의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를 가로지르는 설치부와, 설치부에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고, 벨트부재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와, 설치부에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와 각각 접촉되고,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비접촉시에 벨트부재의 손상을 감지하는 한 쌍의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APPARATUS FOR ANTI DAMAGE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의 손상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의 이송공정에서 벨트컨베이어용 슈트(chute)는 상부 벨트컨베이어와 하부 벨트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며, 수송물의 수직 이동 통로로 사용된다. 슈트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터널 형상으로 수송물이 바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다음 단계의 벨트컨베이어에 수송물이 실리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5594호(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등록일: 2013.07.25.)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의 손상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는: 벨트컨베이어의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를 가로지르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에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 상기 설치부에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와 각각 접촉되고,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비접촉시에 상기 벨트부재의 손상을 감지하는 한 쌍의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손상시 탄성복원력으로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 중 적어도 하나와, 한 쌍의 상기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 사이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받은 손상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풀리부의 회전을 멈추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감지센서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장착되는 감지설치프레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설치프레임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제1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설치프레임부에 상기 제1감지센서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 중 다른 하나와 접촉되는 제2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는 제1감지프레임부와 제2감지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프레임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벨트부재의 타측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감지센서와 접촉되며,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제1감지프레임바; 및 상기 제1감지프레임바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벨트부재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감지프레임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타측에서 상기 벨트부재의 일측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감지센서와 접촉되며,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제2감지프레임바; 및 상기 제2감지프레임바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벨트부재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롤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감지프레임부는 상기 제1감지프레임바의 일측면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제1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감지프레임바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프레임에 접촉되는 제1스토퍼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감지프레임부는 상기 제2감지프레임바의 일측면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제2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감지프레임바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2프레임에 접촉되는 제2스토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는 결합부에 의해 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와,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의 접촉여부에 따라 벨트부재의 손상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통해 벨트부재의 손상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를 통해 벨트부재의 손상시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한 쌍의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신속하게 이격시켜 감지센서가 벨트부재의 손상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한 쌍의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받은 손상감지신호를 토대로 벨트컨베이어의 풀리부의 회전을 멈춰 벨트컨베이어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다른 예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 또 다른 예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1)는 설치부(100),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결합부(300), 감지부(400), 탄성부재(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설치부(100)는 벨트컨베이어(10)의 프레임부(13)에 설치되고,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부재(11)를 가로지른다.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철광석, 석탄 등 이송물은 벨트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된다. 벨트컨베이어(10)는 풀리부(14)를 걸쳐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벨트부재(11)를 구비한다. 벨트부재(11)는 풀리부(14)의 회동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된다. 일 예로, 풀리부(14)는 한 쌍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슈트부(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벨트부재(11)로 공급된 이송물(20)은 벨트부재(11)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후, 벨트부재(11)의 일측(도 1 기준 좌측)으로 낙하한다. 벨트컨베이어(10)의 일측에는 이송물(20)의 낙하를 안내하는 슈트부(20)가 설치된다.
벨트부재(11)는 이송물을 운반하는 이송벨트(11a)와, 이송물(20)을 배출하고 복귀하는 리턴벨트(11b)로 구분된다. 롤러부(12)는 벨트부재(11)를 지지한다. 이때, 이송벨트(11a)는 롤러부(12)의 이송롤러부(12a)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말하며, 리턴벨트(11b)는 롤러부(12)의 리턴롤러부(12b)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말한다. 프레임부(13)는 벨트부재(11)의 이송방향을 따라 즉, X축방향으로(도 1 기준) 배치되고, 롤러부(12)와 리턴롤러부(13)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설치부(100)는 프레임부(1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즉, Y축방향으로(도 1 기준) 장착된다. 설치부(100)는 판 형상으로 리턴벨트(11b)의 상측에 배치된다.
프레임부(13)는 제1프레임(13a)과 제2프레임(13b)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13a)은 벨트부재(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설치부(100)와 연결된다. 제1프레임(13a)은 벨트부재(11)의 좌측에(도 1, 도 2 기준)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롤러부(12)가 장착된다. 제1프레임(13a)은 상측면(도 1, 도 2 기준)에 이송롤러부(12a)가 장착되며, 하측면(도 1, 도 2 기준)에 리턴롤러부(12b)가 장착된다.
제2프레임(13b)은 벨트부재(11)의 타측에 배치되고, 설치부(100)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롤러부(200)를 지지한다. 제2프레임(13b)은 벨트부재(11)의 우측에(도 1, 도 2 기준)에 배치되되, 제1프레임(13a)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롤러부(12)가 장착된다. 제2프레임(13b)은 상측면(도 1, 도 2 기준)에 이송롤러부(12a)가 장착되며, 하측면(도 1, 도 2 기준)에 리턴롤러부(12b)가 장착된다.
슈트부(20)는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부재(11)로부터 낙하되는 이송물(10)을 안내한다. 벨트부재(11)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은 슈트부(20)를 통해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벨트컨베이어부(미도시)로 낙하될 수 있다.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는 설치부(100)에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고, 벨트부재(11)의 양측면에 접촉된다.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는 설치부(100)에 X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며, 리턴벨트(11b)의 상측에 배치된다.
결합부(300)는 설치부(100)에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결합부(300)는 핀 형상으로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를 관통하여 설치부(100)에 결합되어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기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감지부(400)는 한 쌍의 감지센서(410)를 구비한다. 한 쌍의 감지센서(410)는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와 각각 접촉되고,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비접촉시에 벨트부재(11)의 손상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벨트부재(11)가 손상되기 전에는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가 각각 한 쌍의 감지센서(410)에 접촉된다. 이후, 벨트부재(11)가 손상되는 경우,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한 쌍의 감지센서(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이격된다.
탄성부재(500)는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사이에 설치되고, 벨트부재(11)의 손상시 탄성복원력으로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중 적어도 하나와, 한 쌍의 감지센서(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격시킨다. 탄성부재(500)는 압축스프링으로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사이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2, 도 3과 같이,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는 결합부(300)를 교차지점으로 X자 형상으로 배치되며, 일단부가 벨트부재(11)의 너비만큼 서로 벌어지고, 타단부 역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벨트부재(11)의 너비만큼 벌어진다. 이때, 탄성부재(500)는 인장된 상태로, 즉, 늘어난 상태로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사이에 설치된다. 즉, 벨트부재(11)가 손상되기 전, 탄성부재(500)는 탄성변형되어 인장된 상태이다.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벨트부재(11)가 손상되면, 벨트부재(11)와 접촉되는 부분에 손상면(11c), 절단면(11d)이 발생됨에 따라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벨트부재(11)의 가압력이 설정이하로 떨어지게 되고,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인장된 상태로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50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한 쌍의 감지센서(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이격되고, 감지센서(410)는 손상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제어부(600)는 벨트컨베이어(10)를 멈춰 벨트부재(11)의 손상으로 인한 벨트컨베이어(10)의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벨트부재(11)의 우측에(도 4, 도 5 기준) 손상면(11c)이 발생되면, 감지프레임부(200)의 제1감지프레임부(210)는 감지센서(410)의 제1감지센서(411)와 이격되고, 제1감지센서(411)는 손상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한다(도 4, 도 5 참조).
다른 예로, 벨트부재(11)의 좌측에(도 6 기준) 손상면(11c)이 발생되면, 감지프레임부(200)의 제2감지프레임부(220)는 감지센서(410)의 제2감지센서(412)와 이격되고, 제2감지센서(412)는 손상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한다(도 6 참조).
또 다른 예로, 벨트부재(11)의 절단면(11d)이 발생되면, 감지프레임부(200)의 제1감지프레임부(210)는 감지센서(410)의 제1감지센서(411)와 이격된다. 동시에, 감지프레임부(200)의 제2감지프레임부(220)는 감지센서(410)의 제2감지센서(412)와 이격된다. 제1감지센서(411)와 제2감지센서(412)는 손상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전달한다(도 7 참조).
제어부(600)는 한 쌍의 감지센서(4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로부터 전달받은 손상감지신호를 토대로 벨트컨베이어(10)의 풀리부(14)의 회전을 멈춘다. 구체적으로, 감지프레임부(200)와 감지센서(410)가 이격되면, 감지센서(410)는 손상감지신호를 제어부(600)에 전달한다. 제어부(600)는 감지센서(410)로부터 전달받은 손상감지신호를 토대로 풀리부(14)의 회전을 멈춘다. 즉, 벨트컨베이어(10)의 작동이 멈춘다. 더불어, 제어부(600)는 벨트부재(11)의 손상을 알리는 알림부(미도시)를 작동시키거나 표시부(미도시)에 벨트부재(11)의 손상상태를 나타내 작업자가 벨트부재(11)의 손상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벨트부재(11)의 손상으로 인한 벨트컨베이어(10)의 2차적인 피해를 막을 수 있다.
감지부(400)는 감지설치프레임부(410)를 더 구비한다. 감지설치프레임부(410)는 프레임부(13)에 설치되고, 벨트부재(11)의 상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감지센서(410)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장착된다. 감지설치프레임부(410)는 제1프레임(13a)과 제2프레임(13b) 사이에 설치된다.
감지센서(410)는 제1감지센서(411)와 제2감지센서(412)를 포함한다. 제1감지센서(411)는 감지설치프레임부(420)에 설치되고,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된다. 제2감지센서(412)는 감지설치프레임부(420)에 제1감지센서(411)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 중 다른 하나와 접촉된다.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는 결합부(300)에 의해 설치부(100)에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는 제1감지프레임부(210)와 제2감지프레임부(220)를 포함한다. 제1감지프레임부(210)는 제1감지프레임바(211), 제1롤러부(212) 및 제1스토퍼부(213)를 구비한다. 제1감지프레임바(211)는 벨트부재(11)의 일측에서 벨트부재(11)의 타측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제1감지센서(411)와 접촉되며, 탄성부재(500)와 연결된다. 제1감지프레임바(211)는 결합부(300)에 의해 설치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감지프레임바(211)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부를 감싸는 제1충돌방지캡(211a)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제1감지프레임바(211)가 제1감지센서(411)와의 접촉시 제1감지프레임바(211) 및 제1감지센서(411)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롤러부(212)는 제1감지프레임바(21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벨트부재(11)의 일측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1롤러부(212)가 제1감지프레임바(21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제1롤러부(212)가 벨트부재(11)와 접촉시 벨트부재(1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스토퍼부(213)는 제1감지프레임바(211)의 일측면에서 벨트컨베이어(10)의 제1프레임(13a) 측으로 돌출되며, 제2감지프레임바(221)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 제1프레임(13a)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제1감지프레임바(211)가 제2감지프레임부(22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설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써, 탄성부재(500)가 과도하게 인장되어 소성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스토퍼부(213)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단부를 감싸는 제1완충캡(213a)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제1스토퍼부(213)가 제1프레임(13a)과의 접촉시 제1스토퍼부(213) 및 제1프레임(13a)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감지프레임부(220)는 제2감지프레임바(221), 제2롤러부(222) 및 제2스토퍼부(223)를 구비한다. 제2감지프레임바(221)는 벨트부재(11)의 타측에서 벨트부재(11)의 일측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제2감지센서(412)와 접촉되며, 탄성부재(500)와 연결된다. 제2감지프레임바(221)는 결합부(300)에 의해 설치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감지프레임바(221)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부를 감싸는 제2충돌방지캡(221a)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제2감지프레임바(221)가 제2감지센서(412)와의 접촉시 제2감지프레임바(221) 및 제2감지센서(412)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롤러부(222)는 제2감지프레임바(22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벨트부재(11)의 타측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2롤러부(222)가 제2감지프레임바(22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제2롤러부(222)가 벨트부재(11)와 접촉시 벨트부재(1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스토퍼부(223)는 제2감지프레임바(221)의 일측면에서 벨트컨베이어(10)의 제2프레임(13b) 측으로 돌출되며, 제1감지프레임바(211)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 제2프레임(13b)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제2감지프레임바(221)가 제1감지프레임부(21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설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써, 탄성부재(500)가 과도하게 인장되어 소성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스토퍼부(223)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단부를 감싸는 제2완충캡(223a)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제2스토퍼부(223)가 제2프레임(13b)과의 접촉시 제2스토퍼부(223) 및 제2프레임(13b)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1)는 결합부(300)에 의해 설치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와,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200)의 접촉여부에 따라 벨트부재(11)의 손상을 감지하는 감지부(400)를 통해 벨트부재(11)의 손상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10 : 벨트컨베이어
11 : 벨트부재 11a : 이송벨트
11b : 리턴벨트 11c : 손상면
12 : 롤러부 12a : 이송롤러부
12b : 리턴롤러부 13 : 프레임부
13a : 제1프레임 13b : 제2프레임
14 : 풀리부 20 : 슈트부
100 : 설치부 200 : 감지프레임부
210 : 제1감지프레임부 211 : 제1감지프레임바
211a : 제1충돌방지캡 212 : 제1롤러부
213 : 제1스토퍼부 213a : 제1완충캡
220 : 제2감지프레임부 221 : 제2감지프레임바
221a : 제2충돌방지캡 222 : 제2롤러부
223 : 제2스토퍼부 223a : 제2완충캡
300 : 결합부 400 : 감지부
410 : 감지센서 420 : 감지설치프레임
420 : 제1감지센서 430 : 제2감지센서
500 : 탄성부재 600 : 제어부

Claims (8)

  1. 벨트컨베이어의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를 가로지르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에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
    상기 설치부에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와 각각 접촉되고,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비접촉시에 상기 벨트부재의 손상을 감지하는 한 쌍의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 및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손상시 탄성복원력으로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 중 적어도 하나와, 한 쌍의 상기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감지센서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장착되는 감지설치프레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감지설치프레임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제1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설치프레임부에 상기 제1감지센서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감지프레임부 중 다른 하나와 접촉되는 제2감지센서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설치부에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는 제1감지프레임부와 제2감지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프레임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벨트부재의 타측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감지센서와 접촉되며,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제1감지프레임바와, 상기 제1감지프레임바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벨트부재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롤러부와, 상기 제1감지프레임바의 일측면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제1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감지프레임부의 제2감지프레임바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1프레임에 접촉되는 제1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스토퍼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부를 감싸는 제1완충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프레임바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부를 감싸는 제1충돌방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프레임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타측에서 상기 벨트부재의 일측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감지센서와 접촉되며,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제2감지프레임바와, 상기 제2감지프레임바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벨트부재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롤러부와, 상기 제2감지프레임바의 일측면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제2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감지프레임바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2프레임에 접촉되는 제2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감지프레임바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부를 감싸는 제2충돌방지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단부를 감싸는 제2완충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한 쌍의 상기 감지프레임부 사이에 인장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받은 손상감지신호를 토대로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풀리부의 회전을 멈추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70773A 2019-12-19 2019-12-19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102336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773A KR102336753B1 (ko) 2019-12-19 2019-12-19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773A KR102336753B1 (ko) 2019-12-19 2019-12-19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867A KR20210078867A (ko) 2021-06-29
KR102336753B1 true KR102336753B1 (ko) 2021-12-07

Family

ID=7662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773A KR102336753B1 (ko) 2019-12-19 2019-12-19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7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154Y1 (ko) * 2003-07-25 2003-11-05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콘베어의 벨트겹침 방지장치
KR101399880B1 (ko) * 2011-10-28 2014-05-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938065B1 (ko) * 2017-05-19 2019-0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154Y1 (ko) * 2003-07-25 2003-11-05 주식회사 포스코 파이프콘베어의 벨트겹침 방지장치
KR101399880B1 (ko) * 2011-10-28 2014-05-3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938065B1 (ko) * 2017-05-19 2019-0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867A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16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KR102336753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10135551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KR1018872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KR102133100B1 (ko)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201300465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41185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581545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12955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 감지장치
KR20090049213A (ko) 벨트 컨베이어장치용 벨트 쏠림 교정장치
KR101237062B1 (ko) 슈트 감지장치
KR102383802B1 (ko) 벨트컨베이어용 텐션 웨이트장치
KR1021778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감지장치
KR102213979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101277575B1 (ko) 컨베이어벨트 손상감지장치
KR10195058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KR101633982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절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손 감지 방법
KR101421830B1 (ko) 컨베이어 벨트용 낙광방지 장치
KR102394792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2551512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20150125081A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1357537B1 (ko)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