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117B1 -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117B1
KR102133117B1 KR1020190021064A KR20190021064A KR102133117B1 KR 102133117 B1 KR102133117 B1 KR 102133117B1 KR 1020190021064 A KR1020190021064 A KR 1020190021064A KR 20190021064 A KR20190021064 A KR 20190021064A KR 102133117 B1 KR102133117 B1 KR 10213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contact
belt conveyor
chu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 B65G28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는: 이송물이 통과하는 슈트부와, 슈트부를 통과한 이송물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부와, 슈트부에 설치되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설치부와,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슈트부와 벨트컨베이어부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스커트부와, 벨트컨베이어부의 지지롤러와 연결되며, 지지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스커트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스커트부를 상승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SKIRT DEVICE OF BELT CONVEYOR CHUTE}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물이 스커트부의 주변에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물과 스커트부의 충돌 및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 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은 대부분 선박으로 이송되어 인접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제철공장으로 운반된다. 선박에 적재된 원료와 연료 등의 운송물을 지상의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하여 연속식 하역기를 사용하며, 벨트 컨베이어에 이송되는 과정에서 슈트 등의 장치를 적용하고, 슈트 장치에 원연료의 낙광 또는 분진 발생 방지를 위하여 스커트 장치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9199호(발명의 명칭: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등록일: 2015.06.10.)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물이 스커트부의 주변에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물과 스커트부의 충돌 및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는: 이송물이 통과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를 통과한 이송물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부;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설치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슈트부와 상기 벨트컨베이어부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스커트부;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부의 지지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스커트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스커트부를 상승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한 쌍으로 상기 슈트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는 설치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설치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부에 접촉되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설치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스커트본체; 및 상기 스커트본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의 접촉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승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스커트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접촉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접촉부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승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작동부가 접촉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프레임; 및 상기 스커트본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프레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접촉프레임에 접촉되면 상승되는 접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프레임은, 상기 접촉바와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접촉프레임; 및 상기 제1접촉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작동부가 접촉되는 제2접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제2접촉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는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밀려 상승하는 스커트부를 통해 이송물이 스커트부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스커트부의 주변에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물과 스커트부의 충돌 및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작동부가 지지롤러에 연결되어 지지롤러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스커트부에 접촉됨에 따라 스커트부가 작동되므로,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어 부품수와 부품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에너지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접촉프레임이 벨트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작동부의 접촉캠부가 제2접촉프레임에 접촉되면, 스커트부가 용이하게 밀려 상승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스커트부에 의해 이송물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스커트부의 작동에 의해 슈트부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이송물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요부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스커트부에 의해 이송물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스커트부의 작동에 의해 슈트부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이송물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스커트부에 의해 이송물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스커트부의 작동에 의해 슈트부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이송물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요부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스커트부에 의해 이송물의 이동이 차단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의 스커트부의 작동에 의해 슈트부의 개구부가 개방되고, 이송물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1)는 슈트부(100), 벨트컨베이어부(200), 설치부(300), 스커트부(400) 및 작동부(500)를 포함한다.
슈트부(100)는 이송물(10)이 통과한다. 이송물(10)이 낙하되는 내측통로를 구비하며, 길이방향(L)으로 설치된다.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연료나 원료와 같은 이송물(10)은 슈트부(100)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된다. 구체적으로, 슈트부(100)는 광석, 석탄 등의 이송물(10)을 벨트컨베이어부(200)로 안내한다.
벨트컨베이어부(200)는 슈트부(100)를 통과한 이송물(10)을 이송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벨트컨베이어부(200)는 이송물(10)을 길이방향(L)으로 이송시킨다.
벨트컨베이어부(200)는 풀리부재(220)에 걸쳐져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벨트부재(210)를 구비한다. 슈트부(100)에서 벨트부재(210)로 낙하된 이송물(10)은 벨트부재(210)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벨트부재(210)에 이송물(10)이 부착되거나, 벨트부재(210)에 잔존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벨트부재(210)는 복수의 지지롤러(230)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이동이 안내되며, 이러한 지지롤러(230)는 벨트컨베이어부(200)의 프레임부(2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설치부(300)는 슈트부(100)와 연결되며, 가이드부(311,321)가 형성된다. 설치부(300)에는 스커트부(400)가 가이드부(311,321)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커트부(400)는 가이드부(311,321)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슈트부(100)와 벨트컨베이어부(20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120)를 개폐한다. 스커트부(400)는 벨트컨베이어부(200)의 폭방향(W)으로 배치되되, 가이드부(311,321)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벨트컨베이어부(200)의 폭방향(W)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컨베이어부(200)의 길이방향(L)과 교차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작동부(500)는 벨트컨베이어부(200)의 지지롤러(230)와 연결되며, 지지롤러(23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스커트부(40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개구부(120)가 개방되도록 스커트부(400)를 상승시킨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슈트부(100)에서 벨트컨베이어부(200)로 낙하된 이송물(10)은 벨트컨베이어부(200)의 벨트부재(210)를 따라 슈트부(100)와 벨트컨베이어부(200)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110)를 통과하여 화살표 방향으로(A 방향) 이동된다. 이송물(10)은 점결성이 강하며, 슈트부(100)에서 벨트컨베이어부(200) 측으로 낙하되었을 때, 벨트컨베이어부(200)의 벨트부재(210)에 부착되거나 벨트컨베이어부(200)의 벨트부재(210)에 잔존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이송물(10)은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벨트부재(210)를 따라 슈트부(100) 측으로 다시 이송된다. 이때, 지지롤러(230)와 연결된 작동부(500)가 지지롤러(23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스커트부(400)를 밀어 스커트부(400)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작동부(500)에 의해 스커트부(400)를 밀어 스커트부(400)가 상승되면, 개구부(120)를 개방되면서 이송물(10)은 슈트부(100)의 내측을 통과하여 개방부(110)로 인출될 수 있다(도 5 내지 도 7 참조). 그 결과, 이송물(10)이 스커트부(400)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스커트부(400)의 주변에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물(10)과 스커트부(400)의 충돌 및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벨트컨베이어부(200)가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이송물(10)의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치부(300)는 한 쌍으로 슈트부(100)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가이드부(311,321)가 각각 형성되는 설치프레임(310,320)을 구비한다. 도 2,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커트부(400)는 설치프레임(310,320) 사이에 배치되며, 작동부(500)에 접촉되면 가이드부(311,321)를 따라 상승된다.
스커트부(400)는 스커트본체(410)와 접촉부(420)를 포함한다. 스커트본체(410)는 반달형 스커트 형상으로 설치프레임(310,320) 사이에 배치된다. 접촉부(420)는 스커트본체(410)의 양측에 설치되고, 작동부(500)의 접촉시 가이드부(311,321)를 따라 상승된다.
스커트부(400)는 돌기부(430)를 더 포함한다. 스커트본체(410)의 양측에 설치되되, 접촉부(420)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접촉부(420)가 상승됨에 따라 가이드부(311,321)를 따라 상승된다.
접촉부(420)는 접촉프레임(421)과 접촉바(422)를 포함한다. 접촉프레임(421)에는 작동부(500)가 접촉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접촉바(422)는 스커트본체(410)의 양측에 설치되고, 접촉프레임(421)이 각각 연결되며, 작동부(500)가 접촉프레임(421)에 접촉되면 상승된다.
접촉프레임(421)은 제1접촉프레임(421a)과 제2접촉프레임(421b)을 포함한다. 제1접촉프레임(421a)은 접촉바(422)와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접촉프레임(421b)은 제1접촉프레임(421a)과 연결되고, 벨트컨베이어부(200)의 이송방향으로 배치되며, 작동부(500)가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2접촉프레임(421b)이 벨트컨베이어부(200)의 이송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작동부(500)의 접촉캠부(520)가 제2접촉프레임(421b)에 접촉되면, 스커트부(400)가 용이하게 밀려 상승될 수 있다.
작동부(500)는 연결부(510)와 접촉캠부(520)를 포함한다. 연결부(510)는 지지롤러(230)와 연결되며, 지지롤러(230)와 함께 회전된다. 접촉캠부(520)는 연결부(5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연결부(510)와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제2접촉프레임(421b)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지지롤러(230)는 한 쌍의 사이드롤러(231), 중앙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한 쌍의 사이드롤러(231)는 벨트컨베이어부(200)의 벨트부재(210)를 지지하고, 연결부(510)가 각각 연결된다. 사이드롤러(231)의 회전축부(미도시)에 연결부(510)가 연결된다. 중앙롤러는 사이드롤러(231) 사이에 배치되고, 사이드롤러(231)와 연결되며 벨트부재(12)를 지지한다. 사이드롤러(231)와 중앙롤러는 프레임부(2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1)는 사이드스커트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3 참조). 사이드스커트부(600)는 슈트부(100)에 벨트컨베이어부(200)의 길이방향(L)으로 설치된다. 사이드스커트부(600)는 플레이트부(610)와 차단부(62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610)는 슈트부(100)의 하부에 벨트컨베이어부(200)에 설치된다. 차단부(620)는 벨트컨베이어부(200)와 접하도록 플레이트부(610)에 장착되어 슈트부(100)로부터 이송물(10)이 낙하될 때, 이송물(10)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부(620)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슈트부(100)에서 통과한 이송물(10)은 벨트컨베이어부(200)로 낙하되고, 벨트컨베이어부(200)의 길이방향(L)으로 이송된다. 도 1과 같이, 이송물(10)은 벨트컨베이어부(200)의 벨트부재(210)를 따라 개방부(110)를 통과하여 화살표 방향으로(A 방향)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송물(10)이 벨트컨베이어부(200)의 벨트부재(210)를 따라 이동되면서 벨트부재(210)에 부착되거나 벨트부재(210)에 잔존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벨트부재(210)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므로, 이송물(10)은 벨트부재(210)를 따라 슈트부(100) 측으로 다시 이송된다. 구체적으로, 이송물(10)은 벨트부재(210)를 따라 슈트부(100)에 설치된 설치부(3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스커트부(400) 측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지지롤러(230)의 사이드롤러(231)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작동부(500)가 스커트부(400)를 밀어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슈트부(100)의 개구부(120)를 개방되고, 이송물(10)이 슈트부(100)의 내측을 통과하여 개방부(110)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1)는 지지롤러(230)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작동부(500)에 의해 밀려 상승하는 스커트부(400)를 통해 이송물(10)이 스커트부(400)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스커트부(400)의 주변에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물(10)과 스커트부(400)의 충돌 및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벨트컨베이어부(200)가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이송물(10)의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10 : 이송물
100 : 슈트부 110 : 개방부
120 : 개구부 200 : 벨트컨베이어부
210 : 벨트부재 220 : 폴리부재
230 : 지지롤러부 231 : 사이드롤러
240 : 프레임부 300 : 설치부
310, 320 : 설치프레임 311, 321 : 가이드부
400 : 스커트부 410 : 스커트본체
420 : 접촉부 421 : 접촉프레임
421a : 제1접촉프레임 421b : 제2접촉프레임
422 : 접촉바 430 : 돌기부
500 : 작동부 510 : 연결부
520 : 접촉캠부 600 : 사이드스커트
610 : 플레이트부 620 : 차단부

Claims (7)

  1. 이송물이 통과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를 통과한 이송물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부;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설치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슈트부와 상기 벨트컨베이어부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스커트부;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부의 지지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스커트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스커트부를 상승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한 쌍으로 상기 슈트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는 설치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설치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부에 접촉되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승되고,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설치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스커트본체; 및
    상기 스커트본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부의 접촉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승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스커트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접촉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접촉부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승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작동부가 접촉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프레임; 및
    상기 스커트본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프레임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접촉프레임에 접촉되면 상승되는 접촉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프레임은,
    상기 접촉바와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접촉프레임; 및
    상기 제1접촉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작동부가 접촉되는 제2접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지지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지지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제2접촉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20190021064A 2019-02-22 2019-02-22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213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64A KR102133117B1 (ko) 2019-02-22 2019-02-22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64A KR102133117B1 (ko) 2019-02-22 2019-02-22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117B1 true KR102133117B1 (ko) 2020-07-10

Family

ID=7160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64A KR102133117B1 (ko) 2019-02-22 2019-02-22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1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550Y1 (ko) * 2003-06-09 2004-01-24 주식회사 포스코 언로더 양방향 벨트의 스커트 자동 개폐장치
KR101087130B1 (ko) * 2009-04-27 2011-11-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550Y1 (ko) * 2003-06-09 2004-01-24 주식회사 포스코 언로더 양방향 벨트의 스커트 자동 개폐장치
KR101087130B1 (ko) * 2009-04-27 2011-11-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0008A (ko) 연속식언로더
KR102133117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20120047091A (ko) 벨트 컨베이어 상부 커버링 장치
KR20150101272A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1605242B1 (ko)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KR102133098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20180136335A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75788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2987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989231B1 (ko) 스커트 장치
KR102133103B1 (ko) 트리퍼용 개폐장치
KR10213311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424469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2312432B1 (ko)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KR100516463B1 (ko) 원료불출설비의 트리퍼부 더블컨베이어
KR20160036429A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22995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2250329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장치
KR102166611B1 (ko) 슈트 마모 방지 장치
KR102372474B1 (ko) 벨트컨베이어 역회전 방지장치
KR102408098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2065260B1 (ko) 연속하역장비용 고착광 제거장치
KR20120064479A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