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432B1 -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432B1
KR102312432B1 KR1020200046596A KR20200046596A KR102312432B1 KR 102312432 B1 KR102312432 B1 KR 102312432B1 KR 1020200046596 A KR1020200046596 A KR 1020200046596A KR 20200046596 A KR20200046596 A KR 20200046596A KR 102312432 B1 KR102312432 B1 KR 10231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pair
guide
link memb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02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 B61H7/04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attached to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레일프레임과, 레일프레임에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와, 레일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고, 배출구와 연통되어 연원료를 이송하는 슈트부와, 휠부재를 구비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셔틀프레임과, 셔틀프레임에 설치되어 연원료를 배출구를 통해 슈트부로 낙하시키는 벨트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셔틀부와, 셔틀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셔틀부와 함께 이동되며, 셔틀부로부터 낙하되는 연원료를 배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에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마련되고,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시 휠부재를 고정하여 셔틀부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SHUTTLE APPARATUS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식 하역기의 셔틀부에서 슈트부로 연원료 이송시 셔틀부의 밀림을 방지하여 연원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의 고로조업 시 연원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이러한 벨트컨베이어 설비에서 연원료의 이송 경로를 변경할 경우, 슈트 및 셔틀장치를 통해 연원료의 연계수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4446호(2014.07.23. 등록, 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속식 하역기의 셔틀부에서 슈트부로의 연원료 이송시 셔틀부의 밀림을 방지함으로써, 연원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는: 연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레일프레임과, 레일프레임에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와, 레일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고, 배출구와 연통되어 연원료를 이송하는 슈트부와, 휠부재를 구비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셔틀프레임과, 셔틀프레임에 설치되어 연원료를 배출구를 통해 슈트부로 낙하시키는 벨트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셔틀부와, 셔틀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셔틀부와 함께 이동되며, 셔틀부로부터 낙하되는 연원료를 배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에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마련되고,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시 휠부재를 고정하여 셔틀부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림 방지부는 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롤러에 연결되어, 롤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와, 회전력 전달 부재에 설치되어 롤러의 회전 방향으로 회동 작동하는 제1 링크부재와, 제1 링크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링크부재의 회동 작동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작동을 하는 'V자' 형상의 제2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의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제2 링크부재와 연동되도록 설치되고, 제2 링크부재의 슬라이딩 작동에 연동되어 수평 방향의 슬라이딩 작동을 하여, 휠부재의 양 방향에서 휠부재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고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부재는 제2 링크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 블록과, 한 쌍의 가이드 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과, 일측이 한 쌍의 가이드 블록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고임부재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연결 링크부재에는 제1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 블록에는 제1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제1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에는 한 쌍의 가이드 블록의 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시 상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링크부재에는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제2 링크부재에는 제2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는, 연속식 하역기의 셔틀부에서 슈트부로 연원료 이송시 셔틀부의 밀림을 방지하여 연원료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연원료의 낙하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연원료의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를 다른 방향에서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의 밀림 방지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의 밀림 방지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의 밀림 방지 작동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화물 이송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를 다른 방향에서 확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의 밀림 방지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의 밀림 방지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의 밀림 방지 작동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는 연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레일프레임(110)과, 레일프레임에 설치되는 레일(120)을 포함하는 레일부(100)와, 레일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배출구와 연통되어 연원료를 이송하는 슈트부(200)와, 휠부재(311)를 구비하여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셔틀프레임(310)과, 셔틀프레임(310)에 설치되어 연원료를 배출구를 통해 슈트부(200)로 낙하시키는 벨트컨베이어(320)를 포함하는 셔틀부(300)와, 셔틀부(300)의 일측에 결합되고, 셔틀부(300)와 함께 이동되며, 셔틀부(300)로부터 낙하되는 연원료를 배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부(400)와, 벨트컨베이어(320)의 작동에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마련되고, 벨트컨베이어(320)의 작동시 휠부재(311)를 고정하여 셔틀부(300)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부(500)를 포함한다.
레일프레임(110)은 레일(120)을 지지한다. 레일프레임(110)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슈트부(200)가 설치되며, 레일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셔틀부(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20)이 설치된다. 이때, 레일프레임(110)에는 셔틀부(300)로부터 낙하되는 연원료(10)가 슈트부(200)로 유입되도록 복수개의 배출구가 슈트부(200)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슈트부(200)의 하측에는 지상벨트컨베이어(250)가 배치되며, 지상벨트컨베이어(250)는 슈트부(200)를 통해 낙하된 연원료(10)를 후공정으로 이송한다. 슈트부(200)는 셔틀부(300)에서 낙하된 연원료(10)를 지상벨트컨베이어(250)로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슈트부(200)는 레일프레임(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셔틀부(300)는 레일(120)을 따라 이동되며, 슈트부(200)로 연원료(10)를 운반한다. 셔틀부(300)는 복수개의 휠부재(311)를 구비하여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셔틀프레임(310)과, 셔틀프레임(310)에 설치되어 연원료(10)를 슈트부(200)로 낙하시키는 벨트컨베이어(32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휠부재(3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모터(312)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벨트컨베이어(320)는 컨베이어 프레임(321)과, 컨베이어 프레임(321)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부재(323)와, 한 쌍의 풀리부재(323)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벨트부재(322)와, 벨트부재(322)의 원활한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컨베이어 프레임(321)에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324)를 포함한다. 벨트부재(322)는 내측에 접촉되는 한 쌍의 풀리부재(322)의 회전에 의하여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밀림 방지부(300)는 벨트컨베이어(320) 구비되는 롤러(32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롤러(324)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510)와, 회전력 전달 부재(51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력 전달 부재(510)에 설치되어, 롤러(324)의 회전 방향으로 회동 작동하는 제1 링크부재(520)와, 제1 링크부재(5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링크부재(520)의 회동 작동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작동을 하는 'V자' 형상의 제2 링크부재(530)와, 제2 링크부재(530)의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40)와, 제2 링크부재(530)와 연동되도록 설치되고, 제2 링크부재(530)의 슬라이딩 작동에 연동되어 수평 방향의 슬라이딩 작동을 함으로써, 휠부재(311)의 양 방향에서 휠부재(311)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고임부재(544)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540)는 제2 링크부재(53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 블록(541)과, 한 쌍의 가이드 블록(541)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542)과, 일측이 한 쌍의 가이드 블록(541)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고임부재(544)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링크부재(54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연결 링크부재(543)에는 제1 가이드 홀(543a)이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 블록(541)에는 제1 가이드 홀(543a)에 삽입되어 제1 가이드 홀(543a)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가이드 돌기(541a)가 형성된다.
제1 링크부재(520)에는 제2 가이드 홀(521)이 형성되고, 제2 링크부재(530)에는 제2 가이드 홀(521)에 삽입되어 제2 가이드 홀(521)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가이드 돌기(531)가 형성된다.
한 쌍의 고임부재(544)에는 제3 가이드 홀(544a)이 형성되고, 한 쌍의 연결 링크부재(543)에는 제3 가이드 홀(544a)에 삽입되어 제3 가이드 홀(544a)을 따라 이동하는 제3 가이드 돌기(543b)가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542)에는 한 쌍의 가이드 블록(541)의 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시 상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545)가 각각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의 셔틀부(300)는 벨트컨베이어(320)에 연원료(10)를 적재한 상태에서 레일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며, 연원료(10)를 배출하고자 하는 슈트부(200)에 가이드부(400)가 위치시킨 후, 레일프레임(110) 상에 멈추게 되며, 이후, 벨트컨베이어(320)를 작동시켜 연원료(10)를 슈트부(200)에 낙하시킨다.
벨트컨베이어(320)의 벨트부재(322)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함에 따라, 벨트부재(322)의 하측에 접촉되는 롤러(324)도 회전하게 된다. 롤러(324)의 회전에 따라, 롤러(324)에 연결된 회전력 전달부재(510)와 제1 링크부재(52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1 링크부재(520)가 회동함에 따라, 제1 링크부재(52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홀(521)을 따라 제2 링크부재(530)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돌기(531)가 이동하면서, 제1 링크부재(520)에 연결된 제2 링크부재(530)는 화살표(C)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제2 링크부재(530)가 화살표(C)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2 링크부재(53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가이드 블록(541)은 화살표(D)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 블록(541)은 화살표(D)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연결 링크부재(543)를 매개로 한 쌍의 가이드 블록(541)에 연결된 한 쌍의 고임부재(544)는 화살표(E)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휠부재(311)의 양 방향에서 휠부재(311)에 접촉되며, 이를 통해, 휠부재(311)는 고임부재(544)에 의해 걸림되어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따라서 벨트컨베이어(320)를 작동시켜 연원료(10)를 슈트부(200)에 낙하시키는 동안 셔틀부(30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연원료(10)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연원료(10)의 낙하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연원료의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슈트부(200)로의 연원료(10) 낙하가 완료되면, 벨트컨베이어(320)의 작동이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롤러(324)의 회전도 멈추게 되며, 롤러(324)에 연결된 회전력 전달부재(510) 및 제1 링크부재(520)에 가해진 회전력도 소멸하게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 부재(545)의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블록(541)은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하고, 한 쌍의 고임부재(544)도 화살표(I)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휠부재(311)에 대한 접촉이 해제된다.
또한, 제2 링크부재(530)는 화살표(G)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제2 링크부재(530)에 연결된 제1 링크부재(520)는 화살표(H) 방향으로 회동하여 원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식 하역기의 셔틀부에서 슈트부로 연원료 이송시 셔틀부의 밀림을 방지하여 연원료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연원료의 낙하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연원료의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레일부 110: 레일프레임
120: 레일 200: 슈트부
300: 셔틀부 310: 셔틀프레임
311: 휠부재 312: 모터
320: 벨트컨베이어 321: 컨베이어 프레임
322: 벨트부재 323: 풀리부재
400: 가이드부 500: 밀림 방지부
510: 회전력 전달부재 520: 제1 링크부재
530: 제2 링크부재 540: 가이드부재
541: 가이드 블록 542: 가이드 프레임
543: 연결 링크부재 544: 고임부재

Claims (6)

  1. 연원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레일프레임과, 상기 레일프레임에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연원료를 이송하는 슈트부;
    휠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셔틀프레임과, 상기 셔틀프레임에 설치되어 연원료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슈트부로 낙하시키는 벨트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셔틀부;
    상기 셔틀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셔틀부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셔틀부로부터 낙하되는 연원료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에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시 상기 휠부재를 고정하여 상기 셔틀부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림 방지부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
    상기 회전력 전달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 방향으로 회동 작동하는 제1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회동 작동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작동을 하는 'V자' 형상의 제2 링크부재;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와 연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링크부재의 슬라이딩 작동에 연동되어 수평 방향의 슬라이딩 작동을 하여, 상기 휠부재의 양 방향에서 상기 휠부재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한 쌍의 고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 링크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한 쌍의 가이드 블록;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및
    일측이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블록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고임부재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연결 링크부재에는 제1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블록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블록의 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시 상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에는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부재에는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KR1020200046596A 2020-04-17 2020-04-17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KR10231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596A KR102312432B1 (ko) 2020-04-17 2020-04-17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596A KR102312432B1 (ko) 2020-04-17 2020-04-17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432B1 true KR102312432B1 (ko) 2021-10-12

Family

ID=7807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596A KR102312432B1 (ko) 2020-04-17 2020-04-17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4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590B1 (ko) * 2017-06-19 2019-02-2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 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방지장치
KR102043554B1 (ko) * 2018-04-24 2019-1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낙광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590B1 (ko) * 2017-06-19 2019-02-2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 하역기의 풀리부 역회전방지장치
KR102043554B1 (ko) * 2018-04-24 2019-1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기용 낙광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750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2312432B1 (ko) 연속 하역기용 셔틀장치
KR101121563B1 (ko) 트리퍼카 밀림 방지 장치
KR20150101272A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20130046564A (ko) 트리퍼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064724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장치
KR10156214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오탁수처리장치
KR102372474B1 (ko) 벨트컨베이어 역회전 방지장치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175788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16812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지퍼형 커버장치
KR102133117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KR101357540B1 (ko) 트리퍼용 슈트장치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KR101298757B1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JP4984833B2 (ja) 搬送設備
KR102133098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213311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100758456B1 (ko) 양방향 조정이 가능한 컨베이어설비의 사행조정장치
KR102190505B1 (ko) 시료 채취장치
KR101572371B1 (ko) 연속식 하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