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734B1 -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734B1
KR100211734B1 KR1019960078732A KR19960078732A KR100211734B1 KR 100211734 B1 KR100211734 B1 KR 100211734B1 KR 1019960078732 A KR1019960078732 A KR 1019960078732A KR 19960078732 A KR19960078732 A KR 19960078732A KR 100211734 B1 KR100211734 B1 KR 10021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uffer device
buffer
senso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392A (ko
Inventor
조성종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6007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7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종래 기술의 가장 큰 문제점인 분리된 컨베이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버퍼링 장치를 연속된 컨베이어 상에서도 버퍼링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에 비해 버퍼 장치의 구성을 매우 간단히 하고, 부품의 단순화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함과 아울러 라인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컨베이어를 통해 버퍼 장치를 통과하여 이송된 소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용 센서 1과, 상기 검지용 센서 1에 의해 동작되어 소재를 컨베이어 상에서 일시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컨베이어에서 버퍼 장치를 통과하기 전의 소재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용 센서 2와,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양 방향으로 컨베이어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상기 검지용 센서 1의 소재 검지 유무에 의해 동작되어 컨베이어상의 소재를 버퍼링시키고, 또한 소재를 컨베이어 상으로 취출시키는 버퍼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 장치
본 발명은 연속되는 가공라인에서 가공 소재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 기능을 갖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공 소재를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장치로 가공 소재를 클램프하여 다른 곳으로 옮기지 않고 컨베이어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보관 취출할 수 있는 버퍼 장치를 설치,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에 비해 버퍼의 구조를 간단히 하고, 저 가격이면서 라인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조립 가공기 등의 작업생산라인에 전자부품, 가공품(기계가공, 또는 프레스물 등)(이하 소재라고 칭함)을 연속 공급시 생산라인의 전, 후 공정의 언밸런스가 발생하게 되는 바, 전, 후 공정간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생산라인에서는 소재를 임시로 저장하고 취출하는 버퍼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의 버퍼링(buffering) 장치는 분리된 두 개의 컨베이어의 사이에 별도로 마련된 버퍼 장치를 두어 양쪽의 컨베이어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사용하여 왔다.
도 1은 종래 분리된 컨베이어의 사이에 버퍼장치를 두고 양쪽의 컨베이어를 연결한 형태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검지용 센서 2(50)가 컨베이어 2(56)에 놓여진 소재를 검지하면 스토퍼 2(54)가 상승하여 다음 소재가 컨베이어 2(56)로 이송되지 못하도록 하고, 스토퍼 1(55)은 하강함에 따라 컨베이어 1(52) 측에 위치된 소재는 푸셔 실린더 1(58)이 전진하여 버퍼 매거진(60)에 소재를 적재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62)와 연결된 벨트(64)가 볼 스크루(66)를 회전시켜 상기 버퍼 매거진(60)은 리니어 슬라이드 유닛(68)에 안내되면서 상승하여 다음 소재를 수납할 위치로 이동한다. 이후 컨베이어 2(56)에 소재가 없는 것을 검지용 센서 2(50)가 센싱하게 되면 버퍼 매거진(60)은 상기 모터(62)의 역동작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푸셔 실린더 2(70)가 업/다운 실린더(72)에 의해 상승하여 버퍼 매거진(60)에 적재된 소재를 밀어내어 컨베이어 2(56)로 소재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버퍼 장치는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컨베이어 1(52)과 컨베이어 2(56) 사이에서 양쪽의 소재 흐름을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퍼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1, 2(52)(56)가 두 개로 분리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는 버퍼 장치가 들어가야 될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연속되는 컨베이어 상에는 버퍼링이 불가능한 것이다.
둘째, 구조가 복잡하다. 이는 버퍼 매거진(60)에 소재를 수납하기 위한 두 종류의 푸셔 실린더 1, 2(58)(70) 및 업/다운 실린더(72) 등이 소요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들며, 장비의 유지, 보전 등이 어렵다.
셋째, 라인이 길어진다. 이는 별도의 버퍼 장치와 소재를 간섭으로부터 정지시키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체 라인이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넷째, 버퍼링에 걸리는 시간이 길다. 이는 푸셔 실린더 1, 2(58)(70)의 상승시간 및 푸싱시간, 스토퍼의 업/다운 시간 등이 소요되어 전체 라인 공정 상에서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종래 기술의 가장 큰 문제점인 분리된 컨베이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버퍼링 장치를 연속된 컨베이어 상에 버퍼링을 가능하게 하여 종래에 비해 버퍼 장치의 구성을 매우 간단히 하고, 부품의 단순화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함과 아울러 라인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통해 버퍼 장치를 통과하여 이송된 소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용 센서 1과, 상기 검지용 센서 1에 의해 동작되어 소재를 컨베이어 상에 일시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컨베이어에서 버퍼 장치를 통과하기 전의 소재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용 센서 2와,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양 방향으로 컨베이어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상기 검지용 센서 1의 소재 검지 유무에 의해 동작되어 컨베이어상의 소재를 버퍼링시키고, 또한 소재를 컨베이어 상으로 취출시키는 버퍼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퍼 장치는 검지용 센서 1의 소재 검지 유무에 따라 세팅된 시간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와, 이 모터와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버퍼 매거진을 승강시키는 볼 스크루와, 상기 버퍼 매거진의 승강시 수직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버퍼 매거진에 소재의 버퍼링 상태를 체크하는 상한 검지 센서와 하한 검지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분리된 컨베이어의 사이에 버퍼장치를 두고 양쪽의 컨베이어를 연결한 형태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되는 컨베이어 상에 버퍼장치를 설치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버퍼장치를 예시한 도 2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베이어 12 : 검지용 센서 1
14 : 스토퍼 16 : 검지용 센서 2
20 : 버퍼 장치 22 : 모터
24 : 벨트 26 : 버퍼 매거진
28 : 볼 스크루 30 : 리니어 슬라이드 유닛
32 : 상한 검지 센서 34 : 하한 검지 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되는 컨베이어 상에 버퍼장치를 설치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버퍼 장치를 예시한 도 2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를 통해 버퍼 장치(20)를 통과하여 이송된 소재(100)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용 센서 1(12)이 설치되고, 상기 검지용 센서 1(12)에 의해 동작되어 소재(100)를 컨베이어(10)상에서 일시 정지시키는 스토퍼(14)가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10)에서 버퍼 장치(20)를 통과하기 전의 소재(100)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용 센서 2(16)가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10)의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양 방향으로 컨베이어(10)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상기 검지용 센서 1(12)의 소재 검지 유무에 의해 동작되어 컨베이어(10)상의 소재(100)를 버퍼링시키고, 또한 소재(100)를 컨베이어(10)상으로 취출시키는 버퍼 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 버퍼 장치(20)는 검지용 센서 1(12)의 소재(100) 검지 유무에 따라 세팅된 시간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22)와, 이 모터(22)와 벨트(24)를 매개로 연결되어 버퍼 매거진(26)을 승강시키는 볼 스크루(28)와, 상기 버퍼 매거진(26)의 승강시 수직운동을 안내하는 리니어 슬라이드 유닛(30)과, 상기 버퍼 매거진(26)에 소재(100)의 버퍼링 상태를 체크하는 상한 검지 센서(32)와 하한 검지 센서(34)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구동되는 컨베이어(10)를 통해 이송되는 소재(100)가 버퍼 장치(20)를 지나 계속해서 정상적으로 이송을 하게 되면 버퍼 장치(20)는 검지용 센서 1(12)에 의해 작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검지용 센서 1(12)이 버퍼 장치(20)를 지나 컨베이어(10)상에 정체되어 있는 소재(100)를 검지하게 되면, 이 신호에 의해 스토퍼(14)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10)는 계속해서 구동되는 상태이다.
계속해서 컨베이어(10)를 통해 진입되는 소재(100)가 검지용 센서 2(16)에 의해 검지가 되어 버퍼 장치(20)의 버퍼 매거진(26)으로 진입하면 진입된 소재(100)는 상기 스토퍼(14)에 의해 일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검지용 센서 1(12)의 신호에 따라 시간 세팅된 모터(22)가 구동하여 벨트(24)를 매개로 연결된 볼 스크루(28)를 회전시켜 버퍼 매거진(26)을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스토퍼(14)에 의해 스톱된 소재(1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매거진(26)이 소재 받침대(26a)를 통해 버퍼링이 된다.
다음에 검지용 센서 1(12)이 컨베이어(10)상의 소재(100)를 미감지하게 되면 스토퍼(14)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모터(22)의 역회전에 의해 벨트(24)를 매개로 연결된 볼 스크루(28)의 회전에 의해 버퍼 매거진(26)이 하강하여 버퍼링된 소재(100)를 컨베이어(10)상에 내려놓게 되어 컨베이어(10)를 통해 흘러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버퍼 매거진(26)은 상한 검지 센서(32)와 하한 검지 센서(34) 사이를 검지용 센서 1(12)의 소재(100) 검지 여부에 따라 상기 버퍼 장치(20)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소재(100)를 컨베이어(10)에서 버퍼링하고, 컨베이어(10)로 취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버퍼 매거진(26)은 소재(100)에 따라 30-60개 정도를 보관할 수 있으며, 상한 검지 센서(32)가 검지되면 풀 사인(full sign)을 보내게 된다.
한편 상기 리니어 슬라이드 유닛(30)은 버퍼 매거진(26)의 승강시 수직운동을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재의 공급시 이송 컨베이어와 별도의 버퍼 장치를 갖는 종래와는 달리 이송 컨베이어 상에 소재의 버퍼링을 함으로서 버퍼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게 되고, 비용이 적게 들게 되며, 또한 보수, 유지가 간단하게 된다. 그리고 라인 구성시 별도의 추가공간이 필요 없어 라인 구성에 용이하며, 소재가 컨베이어에 이송되는 과정에서 버퍼 장치가 구동되어 소재를 버퍼링 함으로서 종래에 비해 버퍼링 및 취출시간이 적게 소요되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컨베이어를 통해 버퍼장치를 통과한 소재의 유무를 검지하는 센서 1과, 소재를 컨베이어 상에서 일시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버퍼장치를 통과 하기 전의 소재 유무를 검지하는 센서 2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버퍼장치(20)는 검지용 센서 1(12)의 소재 검지 유무에 따라 세팅된 시간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모터(22)와, 이 모터(22)와 벨트(24)를 매개로 연결되어 버퍼 매거진(26)을 승강시키는 볼스크루(28)와, 상기 버퍼 매거진(26)의 승강시 수직운동을 안ㄴ내하는 리니어 슬라이드 유닛(30)과, 상기 버퍼 매거진(26)에 소재(100)의 버퍼링 상태를 체크하는 상한 검지 센서(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 장치.
KR1019960078732A 1996-12-31 1996-12-31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장치 KR100211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732A KR100211734B1 (ko) 1996-12-31 1996-12-31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732A KR100211734B1 (ko) 1996-12-31 1996-12-31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392A KR19980059392A (ko) 1998-10-07
KR100211734B1 true KR100211734B1 (ko) 1999-10-01

Family

ID=1949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732A KR100211734B1 (ko) 1996-12-31 1996-12-31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9055A (zh) * 2017-11-30 2018-04-06 浦林成山(山东)轮胎有限公司 一种胶块喂料输送机
CN110314998B (zh) * 2019-05-28 2024-04-05 苏州康克莱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衬套用自动搬运设备及冲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392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9933A (ko) 이송장치
US5824185A (en) Wafer ring supply and return device
KR100211734B1 (ko)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장치
CN108792557B (zh) 一种采用双排6+5方式的aoi检测运输装置
US3866740A (en) Method of feeding discrete articles from a storage location and a machine therefor
CN209455621U (zh) 托盘输送设备
CN112758657A (zh) 一种轴承架上下料工作站
KR950014682B1 (ko) 리드 프레임 반송장치
JPS63139811A (ja) 枚葉製造装置
US6016903A (en) Conveyor track for pallets
KR19990026150U (ko) 랙컨베이어의 팰릿 이송장치
JPH1053332A (ja) 板状部材搬送装置
KR0123049B1 (ko) 부품보관 및 이송장치
KR0153868B1 (ko)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및 방법
JP2532680Y2 (ja) 物品移載装置
CN216154993U (zh) 上料装置
CN219541000U (zh) 产品外观尺寸检测及分类系统
KR0165258B1 (ko) 다종 부품 조립장치
CN220563049U (zh) 一种物品拾取系统及物品包装线
CN214213061U (zh) 一种待加工零件运输设备
CN220113287U (zh) 一种面板暂存装置
CN212664246U (zh) 一种具有多功能智能化的物流运输装置
CN213974606U (zh) 一种自动包装系统
KR200159719Y1 (ko) 무정렬 반도체튜브 공급장치
KR910009503Y1 (ko) 소재 연속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