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101B1 - 낙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낙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101B1
KR101477101B1 KR20130102412A KR20130102412A KR101477101B1 KR 101477101 B1 KR101477101 B1 KR 101477101B1 KR 20130102412 A KR20130102412 A KR 20130102412A KR 20130102412 A KR20130102412 A KR 20130102412A KR 101477101 B1 KR101477101 B1 KR 101477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movement
raw material
belt convey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6Chutes of straight form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2Chutes pivotable
    • B65G11/126Chutes pivotable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8Supports or mountings
    • B65G11/186Supports or mounting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7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ransferring materials in bulk from one conveyor to several conveyors,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낙광 방지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낙광 방지장치는, 벨트컨베이어 측으로 연원료를 안내하는 슈트부재와, 슈트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슈트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연원료가 벨트컨베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부재와, 슈트부재와 스커트부재를 연결하며,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는 연원료의 이동에 따라 스커트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광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ALLEN ORE}
본 발명은 낙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슈트부재에서 낙하되는 연원료가 벨트컨베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사용되는 연원료 등은 선박을 통하여 운송된 후, 연속식하역기를 이용하여 선박에서 하역된다.
선박에서 하역되는 연원료는 슈트부재를 통하여 벨트컨베이어에 낙하되고, 벨트컨베이어의 무한궤도 운동에 따라 설정된 장소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7726호(2001.05.15 공개, 발명의 명칭: 하역기내 슈트의 낙광 감소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연원료가 슈트부재에서 벨트컨베이어 측으로 낙하될 때, 낙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커트부재 및 벨트컨베이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낙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는: 벨트컨베이어 측으로 연원료를 안내하는 슈트부재; 상기 슈트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슈트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연원료가 상기 벨트컨베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부재; 및 상기 슈트부재와 상기 스커트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한 연원료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커트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커트부재는, 상기 슈트부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슈트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커트프레임부; 상기 스커트프레임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연원료가 상기 벨트컨베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부; 및 상기 스커트부를 상기 스커트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스커트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하여 안내되는 연원료의 이동을 감지하는 연원료이동감지부; 및 상기 연원료이동감지부에서 연원료의 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스커트부재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스커트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원료이동감지부는, 상기 슈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안내되는 연원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회전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커트이동부는, 상기 슈트부재에 고정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스커트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스커트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스커트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낙광 방지장치는, 상기 스커트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스커트부재가 설정위치 이상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커트부재와 접촉되는 이동제한판; 상기 이동제한판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제한봉; 상기 슈트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제한봉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둘러싸며 지지하는 이동제한봉안내부; 및 상기 이동제한봉이 이동 시 상기 이동제한봉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제한봉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는, 슈트부재로부터 벨트컨베이어 측으로 연원료가 안내될 때, 스커트부재를 이동시켜 낙광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커트부재와 벨트컨베이어의 간격을 조정하여 스커트부재와 벨트컨베이어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가 벨트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되기 시작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감지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커트부재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B'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제한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1)는 슈트부재(100), 스커트부재(200) 및 이동부재(300)를 포함한다.
슈트부재(100)는 연속식 하역기 등에서 전달되는 연원료(S)를 내측에 형성되는 통공 등을 통하여 하측(도 3 기준)에 있는 벨트컨베이어(10)로 안내한다.
스커트부재(200)는 슈트부재(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슈트부재(100)에 의하여 안내되는 연원료(S)가 벨트컨베이어(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커트부재(200)는 스커트프레임부(210), 스커트부(230) 및 스커트고정부(250)를 포함한다.
스커트프레임부(210)는 슈트부재(100)의 하측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슈트부재(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부재(30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커트프레임부(21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 의한 단면이 'ㄷ' 형상으로 슈트부재(100)의 하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커트부(230)는 스커트프레임부(210)에 결합되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연원료(S)가 벨트컨베이어(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커트부(230)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판 형상으로, 스커트고정부(250)에 의하여 스커트프레임부(210)측으로 가압되는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부재(300)는 슈트부재(100)와 스커트부재(200)를 연결하며, 벨트컨베이어(10)에 의해 이동되는 연원료(S)의 이동에 따라 스커트부재(200)를 이동시킨다.
즉 이동부재(300)는 연원료(S)의 이동이 없는 경우에는 스커트부재(20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벨트컨베이어(10)와의 마찰을 방지하고, 연원료(S)가 벨트컨베이어(10)를 통하여 이동되는 경우에는 스커트부재(200)를 벨트컨베이어(10)측으로 이동시켜 연원료(S)가 벨트컨베이어(10)에서 이탈되어 생기는 낙광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재(300)는 연원료이동감지부(310) 및 스커트이동부(35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원료가 벨트컨베이어 상에서 이동되기 시작할 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감지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원료이동감지부(310)는 벨트컨베이어(10)에 의해서 안내되는 연원료(S)의 이동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원료이동감지부(310)는 회전부(311) 및 회전감지부(315)를 포함한다.
회전부(311)는 슈트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벨트컨베이어(10)에 의해 안내되는 연원료(S)와 접촉되어 회전된다.
회전감지부(315)는 회전부(311)가 연원료(S)와의 접촉에 의하여 회전될 때, 회전부(311)에 접촉되어 회전부(311)의 회전을 감지한다. 회전감지부(315)는 회전부(311)의 회전을 감지한 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제어부(50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감지부(315)는 슈트부재(100)에 부착되며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커트이동부(350)는 연원료이동감지부(310)에서 연원료(S)의 이동을 감지하면 제어부(500) 등에 의하여 작동되어 스커트부재(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스커트이동부(350)는 구동부(351) 및 연결부(355)를 포함한다.
구동부(351)는 슈트부재(100)에 고정되며 동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351)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며, 연결부(355)를 통하여 연결되는 스커트부재(2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연결부(355)는 구동부(351)와 스커트부재(200)를 연결하며, 구동부(351)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스커트부재(200)에 전달하여 스커트부재(2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7은 도 1의 'B'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제한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낙광 방지장치(1)는 스커트부재(200)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제한부(400)를 더 포함한다. 이동제한부(400)는 스커트부재(200)의 하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스커트부재(200)와 벨트컨베이어(10)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부(400)는 이동제한판(410), 이동제한봉(430), 이동제한봉안내부(450) 및 이동감지부(470)를 포함한다.
이동제한판(410)은 스커트부재(200)가 설정위치 이상 하측으로 이동될 때, 스커트부재(200)와 접촉된다. 여기서 설정위치는 연원료(S)가 벨트컨베이어(10) 상에서 이동될 때, 스커트부재(200)와 벨트컨베이어(1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스커트부재(200)와 벨트컨베이어(10) 사이로 연원료(S)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때의 이동제한판(410)의 위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판(410)은 스커트프레임부(210)에서 돌출 형성되는 스커트돌출부(211)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스커트프레임부(210)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스커트돌출부(211)와 간섭되어 스커트돌출부(211)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동제한봉(430)은 이동제한판(410)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동제한판(410)과 함께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봉(430)은 봉 형상이며 하단부가 이동제한판(41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동제한봉안내부(450)는 슈트부재(100)에 고정되고 이동제한봉(430)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둘러싸며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봉안내부(450)는 일단부가 슈트부재(100)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고리형상의 내측에 삽입된 이동제한봉(43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이동감지부(470)는 이동제한봉(430)의 이동 시 이동제한봉(430)에 접촉되어 이동제한봉(430)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500)에 전달하여 이동부재(3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1)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슈트부재(100)를 통하여 연원료(S)가 벨트컨베이어(10) 측으로 안내되면, 벨트컨베이어(10) 상에서 이동되는 연원료(S)는 회전부(311)에 닿게 된다.
연원료(S)와 회전부(311)가 접촉하면 회전부(311)는 반 시계 방향(도 5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311)가 슈트부재(100)와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회전감지부(315)에 닿게 되고, 회전감지부(315)는 회전부(311)의 회전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제어부(500)에 전달한다.
제어부(500)는 회전감지부(315)에서의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351)를 동작시켜 스커트부재(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스커트부재(20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스커트부(230)와 벨트컨베이어(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연원료(S)가 벨트컨베이어(10)와 슈트부재(100) 사이의 공간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동부재(300)에 의한 스커트부재(200)의 하측 방향 이동은 이동제한부(400)에 의하여 제한된다.
스커트부재(200)가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되면 스커트돌출부(211)와 이동제한판(410)이 닿게 되고, 이동제한판(410)과 연결된 이동제한봉(430)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동제한봉(430)이 이동되면 이동제한봉(430)의 상단부가 이동감지부(470)와 접촉하게 된다. 이동감지부(470)가 이동제한부(430)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제어부(500)에 전달하면 제어부(500)가 이동부재(300)의 작동을 중단시켜 스커트부재(200)의 하측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1)는, 슈트부재(100)로부터 벨트컨베이어(10) 측으로 연원료(S)가 안내될 때, 스커트부재(200)를 이동시켜 낙광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낙광 방지장치(1)는 스커트부재(200)가 과도하게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스커트부재(200)와 벨트컨베이어(10) 사이의 마찰의 발생 및 파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낙광 방지장치 10: 벨트컨베이어
100: 슈트부재 200: 스커트부재
210: 스커트프레임부 211: 스커트돌출부
230: 스커트부 250: 스커트고정부
300: 이동부재 310: 연원료이동감지부
311: 회전부 315: 회전감지부
350: 스커트이동부 351: 구동부
355: 연결부 400: 이동제한부
410: 이동제한판 430: 이동제한봉
450: 이동제한봉안내부 470: 이동감지부
500: 제어부 S: 연원료

Claims (7)

  1. 벨트컨베이어 측으로 연원료를 안내하는 슈트부재;
    상기 슈트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슈트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연원료가 상기 벨트컨베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부재;
    상기 슈트부재와 상기 스커트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한 연원료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커트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스커트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스커트부재가 설정위치 이상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커트부재와 접촉되는 이동제한판;
    상기 이동제한판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동제한봉;
    상기 슈트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제한봉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둘러싸며 지지하는 이동제한봉안내부; 및
    상기 이동제한봉의 이동 시 상기 이동제한봉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제한봉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광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재는,
    상기 슈트부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슈트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커트프레임부;
    상기 스커트프레임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연원료가 상기 벨트컨베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커트부; 및
    상기 스커트부를 상기 스커트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스커트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광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하여 안내되는 연원료의 이동을 감지하는 연원료이동감지부; 및
    상기 연원료이동감지부에서 연원료의 이동을 감지하면 상기 스커트부재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스커트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광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원료이동감지부는,
    상기 슈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안내되는 연원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회전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광 방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이동부는,
    상기 슈트부재에 고정되며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스커트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스커트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스커트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광 방지장치.
  6. 삭제
  7. 삭제
KR20130102412A 2013-08-28 2013-08-28 낙광 방지장치 KR101477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412A KR101477101B1 (ko) 2013-08-28 2013-08-28 낙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2412A KR101477101B1 (ko) 2013-08-28 2013-08-28 낙광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101B1 true KR101477101B1 (ko) 2014-12-30

Family

ID=5268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412A KR101477101B1 (ko) 2013-08-28 2013-08-28 낙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176A (ko) * 2018-01-18 2019-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슈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036U (ja) * 1993-12-24 1995-07-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ベルトコンベア乗り継ぎ部におけるスカート取付構造
KR20040057208A (ko) *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 장치
KR100797962B1 (ko) * 2001-12-07 2008-01-28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스커트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언로더
KR20120121553A (ko) * 2011-04-27 2012-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용 스커트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036U (ja) * 1993-12-24 1995-07-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ベルトコンベア乗り継ぎ部におけるスカート取付構造
KR100797962B1 (ko) * 2001-12-07 2008-01-28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스커트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언로더
KR20040057208A (ko) * 2002-12-26 2004-07-0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 장치
KR20120121553A (ko) * 2011-04-27 2012-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용 스커트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176A (ko) * 2018-01-18 2019-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슈트장치
KR102032633B1 (ko) * 2018-01-18 2019-10-1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슈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29287A3 (en) Crushing machines
KR10196882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477101B1 (ko) 낙광 방지장치
KR101572359B1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10135551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KR101411851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손상감지장치
KR101344315B1 (ko)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18872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KR10141184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KR101257462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물 넘침 방지장치
KR101887271B1 (ko)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KR20160050451A (ko) 석탄 이송용 슈트의 플러깅 스위치
KR101543955B1 (ko) 이송물 중앙유도장치
KR20140042086A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478435B1 (ko) 음식물 포장기의 안전장치
KR102133100B1 (ko)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KR101435063B1 (ko) 전원공급부용 파손 방지장치
KR101368265B1 (ko) 연속하역기용 비상 정지장치
KR101647200B1 (ko) 에이프런 컨베이어의 버킷 탈락 방지 장치
KR20160001529A (ko) 컨베이어 벨트의 절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절손 감지 방법
KR1021778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감지장치
KR101477095B1 (ko) 철편제거기용 테스트장치
KR101640390B1 (ko) 벨트컨베이어용 벨트 턴오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