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271B1 -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7271B1 KR101887271B1 KR1020160119769A KR20160119769A KR101887271B1 KR 101887271 B1 KR101887271 B1 KR 101887271B1 KR 1020160119769 A KR1020160119769 A KR 1020160119769A KR 20160119769 A KR20160119769 A KR 20160119769A KR 101887271 B1 KR101887271 B1 KR 1018872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unit
- continuous
- sensor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a braking member or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the wheel rim, a drum,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는: 연속하역장비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역장비의 주행휠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받침부와, 연속하역장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 및 받침부와 회전부를 연결하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받침부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하역장비의 하역 작업시, 순간 돌풍이나 강풍에 의해 연속하역장비가 밀려서 대형 설비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은 대부분 선박으로 이송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는 연속하역장비에 의해 선박의 연료와 원료가 지상의 컨베이어 벨트로 하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0058550호(2003.07.07 공개, 발명의 명칭: 로우 헤드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속하역장비의 하역 작업시, 순간 돌풍이나 강풍에 의해 연속하역장비가 밀려서 대형 설비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는: 연속하역장비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역장비의 주행휠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받침부와, 연속하역장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 및 받침부와 회전부를 연결하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받침부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는, 연속하역장비의 휠케이스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측에는 장공 형상의 안내홀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안내홀부로 삽입된 받침부를 주행휠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는, 주행휠의 전방에 위치하며 회전부의 동작에 연동하여 주행휠에 접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받침몸체 및 받침몸체에서 돌출되어 안내홀부로 삽입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는, 연속하역장비에 고정되는 회전케이스와, 회전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와, 회전몸체에 연결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및 회전판과 함께 회전몸체에 연결되며 연결부재가 외측에 권선되는 풀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하역장비 또는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주행휠을 향하여 이동되는 받침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부는,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센서몸체와, 센서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센서암 및 센서암의 일단에 설치되는 센서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는, 순간 돌풍이나 강풍에 의해 동작되는 회전부가 받침부를 주행휠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연속하역장비가 밀려서 대형 설비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이동되어 주행휠에 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이동되어 주행휠에 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이동되어 주행휠에 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1)는, 연속하역장비(10)에 고정되는 지지부(20)와, 지지부(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역장비(10)의 주행휠(16)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받침부(30)와, 연속하역장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40)와, 받침부(30)와 회전부(40)를 연결하며 회전부(40)의 회전에 연동하여 받침부(30)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50) 및 연속하역장비(10) 또는 지지프레임(22)에 고정되며 주행휠(16)을 향하여 이동되는 받침부(3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에 실려 있는 이송물을 부두로 하역하는 연속하역장비(10)는, 선박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굴삭부를 구비하며, 연속하역장비(10)의 하부를 형성하는 본체부(12)의 하측에는 휠케이스(14)가 구비된다. 휠케이스(14)의 내측에 주행휠(1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주행휠(16)은 지면에 설치된 레일(18)을 따라 이동된다.
작업자의 조작신호와 센서부(60)의 측정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되며, 제어부는 주행휠(16)의 회전을 구속하는 브레이크부를 동작시켜 주행휠(16)의 회전을 구속한다.
연속하역장비(10)의 본체부(12)에서 주행휠(16)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부(20)는, 주행휠(16)이 설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받침부(30)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지지프레임(22)과 연결프레임(23)과 탄성부재(26)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2)은 연속하역장비(10)의 휠케이스(14)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측에는 장공 형상의 안내홀부(24)가 구비된다. 지지프레임(22)은 2개가 한쌍을 이루며 평행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지지프레임(22) 내측에는 받침부(30)가 위치한다. 지지프레임(22)의 내측에 구비되는 안내홀부(24)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안내홀부(24)의 내측에 탄성부재(26)와 받침부(30)의 가이드돌기(34)가 위치한다.
탄성부재(26)는 지지프레임(22)의 내측에 설치되며 안내홀부(24)로 삽입된 받침부(30)를 주행휠(16)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6)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지지프레임(22)의 내측에 설치되어 받침부(30)의 가이드돌기(34)를 탄성 지지한다.
연결프레임(23)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22)과 지지프레임(22)의 상측에 위치한 본체부(12)를 연결시키므로 지지프레임(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받침부(30)는 지지부(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속하역장비(10)의 주행휠(16)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0)는, 주행휠(16)의 전방에 위치하며 회전부(40)의 동작에 연동하여 주행휠(16)에 접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받침몸체(32)와, 받침몸체(32)에서 돌출되어 안내홀부(24)로 삽입되며 탄성부재(26)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가이드돌기(34) 및 받침몸체(3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연결부재(50)에 연결되는 연결돌기(36)를 포함한다.
주행휠(16)과 마주하는 받침몸체(32)의 측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주행휠(16)과 받침몸체(32)가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제동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돌기(34)는 받침몸체(32)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지지프레임(22)의 안내홀부(24) 내측으로 삽입된다. 가이드돌기(34)가 받침몸체(32)의 양측에 설치되므로 받침몸체(32)의 수평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돌기(36)는 받침몸체(32)에서 돌출되어 연결부재(50)에 연결되는 돌기 형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결돌기(36)와 받침몸체(32)는 일체로 이동된다.
회전부(40)는 연속하역장비(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되면서 연결부재(5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40)는 회전케이스(42)와 회전몸체(44)와 회전판(46)과 풀리부재(48)를 포함한다.
회전케이스(42)는 연속하역장비(10)에 고정되어 회전몸체(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회전케이스(42)는 본체부(12) 또는 휠케이스(14)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몸체(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몸체(44)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이며, 회전케이스(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몸체(44)의 상측에는 회전판(46)이 연결되며 회전몸체(44)의 하측에는 풀리부재(48)가 연결된다.
회전판(46)은 회전몸체(44)에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46)은 회전몸체(44)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설치된 판 형상이며,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몸체(44)를 회전시킨다.
풀리부재(48)는 회전판(46)과 함께 회전몸체(44)에 연결되며, 연결부재(50)가 외측에 권선되는 풀리 형상이다.
연결부재(50)는 받침부(30)와 회전부(40)를 연결하며, 회전부(40)의 회전에 연동하여 받침부(3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연결부재(50)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50)는 와이어를 사용하며, 연결부재(50)의 일측은 풀리부재(48)에 연결되며 연결부재(50)의 타단은 받침부(30)의 연결돌기(36)에 연결된다.
센서부(60)는 연속하역장비(10) 또는 지지프레임(22)에 고정되며, 주행휠(16)을 향하여 이동되는 받침부(30)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60)는, 지지프레임(22)에 고정되는 센서몸체(62)와, 센서몸체(6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센서암(64)과, 센서암(64)의 일단에 설치되는 센서롤러(66)를 포함한다. 센서롤러(66)가 받침부(30)에 걸려서 이동되는 경우, 센서몸체(62)는 센서암(64)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하역장비(10)의 주행휠(16)이 멈춰있는 상태에서 작업 중, 강풍이나 돌풍 등에 의해 연속하역장비(10)가 밀리는 주행밀림 현상이 발생한다.
설정된 풍속 이하의 바람이 불면, 바람을 받는 회전판(46)이 자중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으므로 회전몸체(44)의 이동이 구속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풍속 이상의 바람이 불면, 회전판(46)이 회전되면서 회전몸체(44)를 회전시킨다. 회전몸체(44)에 고정된 풀리부재(48)도 회전하면서 풀리부재(48)의 외측에 연결부재(50)가 권선된다.
따라서 연결부재(50)에 연결된 받침부(30)의 연결돌기(36)가 주행휠(16)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주행휠(16)이 받침부(30)의 받침몸체(32)에 접하므로 주행휠(16)의 이동을 구속한다.
설정된 풍속 이상의 바람이 그치면, 탄성부재(26)는 받침부(30)의 가이드돌기(34)를 초기 위치로 가압하므로 받침몸체(32)는 주행휠(16)과 이격되어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받침몸체(32)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프레임(22)과 마주하는 가이드돌기(34)의 상하측에 각각 롤러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순간 돌풍이나 강풍에 의해 동작되는 회전부(40)가 받침부(30)를 주행휠(16)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연속하역장비(10)가 밀려서 대형 설비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10: 연속하역장비 12: 본체부
14: 휠케이스 16: 주행휠
18: 레일 20: 지지부
22: 지지프레임 23: 연결프레임
24: 안내홀부 26: 탄성부재
30: 받침부 32: 받침몸체
34: 가이드돌기 36: 연결돌기
40: 회전부 42: 회전케이스
44: 회전몸체 46: 회전판
48: 풀리부재 50: 연결부재
60: 센서부 62: 센서몸체
64: 센서암 66: 센서롤러
70: 제어부 80: 브레이크부
10: 연속하역장비 12: 본체부
14: 휠케이스 16: 주행휠
18: 레일 20: 지지부
22: 지지프레임 23: 연결프레임
24: 안내홀부 26: 탄성부재
30: 받침부 32: 받침몸체
34: 가이드돌기 36: 연결돌기
40: 회전부 42: 회전케이스
44: 회전몸체 46: 회전판
48: 풀리부재 50: 연결부재
60: 센서부 62: 센서몸체
64: 센서암 66: 센서롤러
70: 제어부 80: 브레이크부
Claims (6)
- 연속하역장비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속하역장비의 주행휠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받침부;
상기 연속하역장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회전부를 연결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받침부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연속하역장비에 고정되는 회전케이스;
상기 회전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에 연결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과 함께 상기 회전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외측에 권선되는 풀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속하역장비의 휠케이스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측에는 장공 형상의 안내홀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홀부로 삽입된 상기 받침부를 상기 주행휠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주행휠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주행휠에 접하면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받침몸체; 및
상기 받침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안내홀부로 삽입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역장비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휠을 향하여 이동되는 상기 받침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센서몸체;
상기 센서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센서암; 및
상기 센서암의 일단에 설치되는 센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9769A KR101887271B1 (ko) | 2016-09-20 | 2016-09-20 |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9769A KR101887271B1 (ko) | 2016-09-20 | 2016-09-20 |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1318A KR20180031318A (ko) | 2018-03-28 |
KR101887271B1 true KR101887271B1 (ko) | 2018-08-09 |
Family
ID=6190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9769A KR101887271B1 (ko) | 2016-09-20 | 2016-09-20 |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727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7925B1 (ko) * | 2018-07-17 | 2020-02-14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연속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
KR102418037B1 (ko) * | 2020-06-16 | 2022-07-06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연속식하역장비용 주행밀림 방지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4315B1 (ko) * | 2012-08-30 | 2013-12-23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JP2015142907A (ja) * | 2013-12-25 | 2015-08-06 | 水ing株式会社 | 沈殿物掻き寄せ機、および沈殿物掻き寄せ方法 |
-
2016
- 2016-09-20 KR KR1020160119769A patent/KR1018872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4315B1 (ko) * | 2012-08-30 | 2013-12-23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JP2015142907A (ja) * | 2013-12-25 | 2015-08-06 | 水ing株式会社 | 沈殿物掻き寄せ機、および沈殿物掻き寄せ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1318A (ko) | 2018-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24548A (en) | Festoon brake system | |
KR102463268B1 (ko) | 물품 반송 설비, 및 물품 반송차 | |
KR101411870B1 (ko) |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 |
KR101887271B1 (ko) |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
KR101159585B1 (ko) |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 |
KR101344315B1 (ko) |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
KR100500728B1 (ko) |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 |
KR101320657B1 (ko) |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 |
KR102077926B1 (ko) | 연속식 하역기의 케이블 손상 감지장치 | |
KR101887269B1 (ko) |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 |
KR101504932B1 (ko) |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 |
KR101344317B1 (ko) | 연속식 하역장치 | |
KR101411858B1 (ko) |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 |
KR20200012146A (ko) | 연속식 하역기의 밀림방지장치 | |
KR101576116B1 (ko) | 이송효율을 향상한 부자재 이송장비 | |
KR101344310B1 (ko) |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 |
CN213978624U (zh) | 一种桥梁建设设备架桥机的可调节行程限位装置 | |
KR101368265B1 (ko) | 연속하역기용 비상 정지장치 | |
KR101320658B1 (ko) | 트리퍼카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 |
KR101442807B1 (ko) | 활강 시설용 트롤리 회수 시스템 | |
KR101968841B1 (ko) | 연속식 하역기용 밀림 방지장치 | |
KR102065269B1 (ko) | 연속식 하역기의 밀림방지장치 | |
KR102032639B1 (ko) |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 |
KR20100004733U (ko) | 고소작업용 자동이동형 안전윈치장치 | |
CN204508012U (zh) | 加料斗卷扬上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