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870B1 -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870B1
KR101411870B1 KR1020120083326A KR20120083326A KR101411870B1 KR 101411870 B1 KR101411870 B1 KR 101411870B1 KR 1020120083326 A KR1020120083326 A KR 1020120083326A KR 20120083326 A KR20120083326 A KR 20120083326A KR 101411870 B1 KR101411870 B1 KR 10141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fixed
support
sens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582A (ko
Inventor
양헌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8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Abstract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크레인에 고정되는 제1지지대와, 제1크레인과 이격된 제2크레인에 고정되며 제1지지대와 마주하며 설치되는 제2지지대와, 일측은 제1지지대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지지대를 향하여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제1가변부와, 일측은 제1가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타측은 제2지지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제1지지대에 고정되며 제2고정부에 밀려서 이동되는 제1가변부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두를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이 이웃한 크레인과 충돌됨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두에 설치된 하역 크레인은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연원료를 하역하기 위해 레일을 따라서 이동된다.
크레인의 하부에는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주행휠이 구비되며, 크레인의 상측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운송물을 이송하는 운반장치가 구비된다.
운반장치의 하부에는 후크부재가 구비되며, 후크부재에 걸린 와이어에 운송물이 연결되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7-0063394호(2007.06.19 공개, 발명의 명칭: 해안쪽 크레인과 적하장 크레인 사이에 있는 하부 프레임브릿지형의 캐리어 이송용 적재 및 하역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부두를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과, 이웃한 크레인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크레인에 고정되는 제1지지대와, 제1크레인과 이격된 제2크레인에 고정되며 제1지지대와 마주하며 설치되는 제2지지대와, 일측은 제1지지대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지지대를 향하여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제1가변부와, 일측은 제1가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타측은 제2지지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제1지지대에 고정되며 제2고정부에 밀려서 이동되는 제1가변부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은 제1지지대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지지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고정부와, 일측은 제1고정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타측은 제2지지대에 고정되며 제1고정부에 밀려서 길이가 가변되는 제2가변부 및 제2지지대에 고정되며 제1고정부에 밀려서 이동되는 제2가변부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가변부는, 제1지지대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의 내측에서 제2고정부를 향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로드부재 및 제1로드부재를 제1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센서부는, 제1지지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센서브라켓과, 제1센서브라켓에 고정되며 제1하우징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로드부재의 동작을 측정하는 제1측정센서 및 제1측정센서와 이격되어 제1센서브라켓에 고정되며 제1측정센서를 지나서 제1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로드부재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1비상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가변부는, 제2지지대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2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측에서 제1고정부를 향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로드부재 및 제2로드부재를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센서부는, 제2지지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2센서브라켓과, 제2센서브라켓에 고정되며 제2하우징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로드부재의 동작을 측정하는 제2측정센서 및 제2측정센서와 이격되어 제2센서브라켓에 고정되며 제2측정센서를 지나서 제2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로드부재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2비상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는, 제1크레인과 제2크레인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 내로 근접된 경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가 동작되어 제1크레인과 제2크레인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가 설치된 제1크레인과 제2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크레인과 제2크레인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 안에서 제1측정센서와 제2측정센서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변부와 제1센서부 및 제1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변부를 분해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철소용 부두에 설치된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가 설치된 제1크레인과 제2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크레인과 제2크레인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 안에서 제1측정센서와 제2측정센서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변부와 제1센서부 및 제1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변부를 분해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1)는,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는 제1크레인(10)에 고정되는 제1지지대(40)와, 제1크레인(10)과 이격된 제2크레인(20)에 고정되며 제1지지대(40)와 마주하며 설치되는 제2지지대(45)와, 일측은 제1지지대(40)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지지대(45)를 향하여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제1가변부(50)와, 일측은 제1가변부(50)를 향하여 연장되며 타측은 제2지지대(45)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60) 및 제1지지대(40)에 고정되며 제2고정부(60)에 밀려서 이동되는 제1가변부(50)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70)를 포함한다.
부두에 레일(30)이 설치되며, 이러한 레일(30)을 따라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이 이동된다.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는 크레인은 복수로 구비되며, 이러한 크레인 중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크레인(10)의 하측에는 제1주행부(11)가 구비되며, 제1주행부(11)의 내측에는 모터를 포함한 제1구동부(12)가 설치된다.
제1구동부(12)의 동작으로 제1주행부(11)의 하측에 위치한 제1주행휠(14)이 동작되어 레일(30)을 따라 회전된다.
제1주행부(11)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16)에는 제1운반장치(18)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제1운반장치(18)의 하측에는 제1후크부재(19)가 구비된다.
제1후크부재(19)에 운송물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운반장치(18)가 이동되어 운송물을 설정된 장소로 이동시킨다.
제1크레인(10)과 이격된 제2크레인(20)도 제1크레인(10)과 같은 레일(30)을 따라 이동된다.
제2크레인(20)의 하측에는 제2주행부(21)가 구비되며, 제2주행부(21)의 내측에는 모터를 포함한 제2구동부(22)가 설치된다.
제2구동부(22)의 동작으로 제2주행부(21)의 하측에 위치한 제2주행휠(24)이 동작되어 레일(30)을 따라 회전된다.
제2주행부(21)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2프레임(26)에는 제2운반장치(28)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제2운반장치(28)의 하측에는 제2후크부재(29)가 구비된다.
제2후크부재(29)에 운송물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2운반장치(28)가 이동되어 운송물을 설정된 장소로 이동시킨다.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는 제1크레인(10)에 제1지지대(40)가 고정되며, 제1크레인(10)과 이격된 제2크레인(20)에 고정된 제2지지대(45)는 제1지지대(40)와 마주하며 설치된다.
제1지지대(40)와 제2지지대(45)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지지대(40)는 제1크레인(10)과 함께 이동되며, 제2지지대(45)는 제2크레인(20)과 함께 이동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도 3 기준 좌측)은 제1지지대(40)에 고정되고 타측(도 3 기준 우측)은 제2지지대(45)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가변부(50)는 외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변부(50)는, 제1지지대(40)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51)과, 제1하우징(51)의 내측에서 제2고정부(60)를 향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로드부재(53) 및 제1로드부재(53)를 제1하우징(51)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56)를 포함한다.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1하우징(51)의 타측에는 제1걸림턱(52)이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므로, 제1하우징(51)의 내측에 위치한 제1가이드부재(57) 및 제1가이드부재(57)에 연결된 제1로드부재(53)가 제1하우징(51)의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한다.
제1하우징(5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로드부재(53)는, 제1하우징(51)의 내측에서 제1하우징(51)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1로드몸체(54)와, 제1로드몸체(54)의 타측에 고정된 제1캡부재(55)를 포함한다.
제1캡부재(55)는 제1로드몸체(54)의 외측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제1캡부재(55)는 맞은편에 설치된 제2고정부(60)에 접하여 이동된다.
제1하우징(51)의 내측에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제1탄성부재(56)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1탄성부재(56)의 양측에는 "ㅗ"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부재(57)가 설치되어 제1탄성부재(56)의 설치상태가 안정적이 되도록 안내한다.
제1가이드부재(57)는 한 쌍으로 설치되며, 일측의 제1가이드부재(57)는 제1하우징(51)의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의 제1가이드부재(57)는 제1로드몸체(54)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1가변부(50)와 마주하는 제2지지대(45)에는 제2고정부(60)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2고정부(60)에 밀려서 제1가변부(50)의 길이가 변경된다.
제2고정부(60)의 일측은 제1가변부(50)를 향하여 연장되며, 제2고정부(60)의 타측은 제2지지대(45)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60)는, 제2지지대(45)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고정몸체(62)와, 제2고정몸체(62)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1캡부재(55)와 마주하는 제2고정캡부(64)를 포함한다.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이 설정된 간격 내로 근접한 경우, 제1센서부(70)의 제1측정센서(74)에 의해 1차 측정이 이루어진다.
제1측정센서(74)에 의해 1차 측정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의 사이 간격이 더 좁아지는 경우, 제1비상센서(76)에 의해서 2차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센서부(70)는, 제1지지대(40)에 고정되며 제2고정부(60)에 밀려서 이동되는 제1가변부(50)의 이동을 측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센서부(70)는, 제1지지대(40)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센서브라켓(72)과, 제1센서브라켓(72)에 고정되며 제1하우징(51)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로드부재(53)의 동작을 측정하는 제1측정센서(74) 및 제1측정센서(74)와 이격되어 제1센서브라켓(72)에 고정되며 제1측정센서(74)를 지나서 제1하우징(51)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로드부재(53)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1비상센서(76)를 포함한다.
제1지지대(40)에는 제1고정부(80)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1고정부(80)에 밀려서 제2가변부(90)의 길이가 변경된다.
제1고정부(80)의 타측은 제2가변부(90)가 설치된 제2지지대(45)를 향하여 연장되며, 제1고정부(80)의 일측은 제1지지대(40)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80)는, 제1지지대(40)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고정몸체(82)와, 제1고정몸체(82)의 일측에 고정되어 제2가변부(90)의 제2캡부재(95)와 마주하는 제1고정캡부(84)를 포함한다.
타측(도 3 기준 우측)은 제2지지대(45)에 고정되고 일측(도 3 기준 좌측)은 제1지지대(4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가변부(90)는 외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가변부(90)는, 제2지지대(45)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2하우징(91)과, 제2하우징(91)의 내측에서 제1고정부(80)를 향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로드부재(93) 및 제2로드부재(93)를 제2하우징(91)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96)를 포함한다.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2하우징(91)의 타측에는 제2걸림턱(92)이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므로, 제2하우징(91)의 내측에 위치한 제2가이드부재(97) 및 제2가이드부재(97)에 연결된 제2로드부재(93)가 제2하우징(91)의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한다.
제2하우징(9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로드부재(93)는, 제2하우징(91)의 내측에서 제2하우징(91)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2로드몸체(94)와, 제2로드몸체(94)의 타측에 고정된 제2캡부재(95)를 포함한다.
제2캡부재(95)는 제2로드몸체(94)의 외측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제2캡부재(95)는 맞은편에 설치된 제1고정부(80)에 접하여 이동된다.
제2하우징(91)의 내측에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제2탄성부재(96)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2탄성부재(96)의 양측에는 "ㅗ"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부재(97)가 설치되어 제2탄성부재(96)의 설치상태가 안정적이 되도록 안내한다.
제2가이드부재(97)는 한 쌍으로 설치되며, 타측의 제2가이드부재(97)는 제2하우징(91)의 일측에 고정되며, 일측의 제2가이드부재(97)는 제2로드몸체(94)에 고정된다.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이 설정된 간격 안으로 근접한 경우, 제2센서부(100)의 제2측정센서(104)에 의해 1차 측정이 이루어진다.
제2측정센서(104)에 의해 1차 측정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의 사이 간격이 더 좁아지는 경우, 제2비상센서(106)에 의해서 2차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센서부(100)는, 제2지지대(45)에 고정되며, 제1고정부(80)에 밀려서 이동되는 제2가변부(90)의 이동을 측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센서부(100)는, 제2지지대(45)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2센서브라켓(102)과, 제2센서브라켓(102)에 고정되며 제2하우징(91)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로드부재(93)의 동작을 측정하는 제2측정센서(104) 및 제2측정센서(104)와 이격되어 제2센서브라켓(102)에 고정되며 제2측정센서(104)를 지나서 제2하우징(91)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로드부재(93)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2비상센서(106)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부(70)의 제1측정센서(74)와 제1비상센서(76)의 측정값, 그리고 제2센서부(100)의 제2측정센서(104)와 제2비상센서(106)의 측정값은 제어부(110)로 전달되며, 제어부(110)는 이러한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1구동부(12)와 제2구동부(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는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이 설정된 간격 이상으로 이격된 경우, 제1가변부(50)의 제1로드부재(53)와 제2가변부(90)의 제2로드부재(93)의 길이가 가변되지 아니하므로, 제1센서부(70)와 제2센서부(100)도 동작되지 않는다.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 미만인 경우, 제1가변부(50)의 제1로드부재(53)는 제2고정부(60)에 밀려서 제1지지대(4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로드부재(53)의 제1캡부재(55)가 이동하면서 제1센서부(70)의 제1측정센서(74)에 접촉되면, 제1측정센서(74)는 제어부(110)로 측정값을 전달하여 제1구동부(12)와 제2구동부(22)의 동작을 1차 정지시킨다.
만약, 제1측정센서(74)의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1측정센서(74)를 통과한 제1캡부재(55)는 제1비상센서(76)에 접촉된다.
제1비상센서(76)는 제어부(110)로 측정값을 전달하여 제1구동부(12)와 제2구동부(22)의 동작을 2차 정지시킨다.
제1가변부(50)가 제2고정부(60)에 접하여 제1가변부(50)의 길이가 감소되며, 이러한 제1가변부(50)와 함께 제2가변부(90)도 동작되어 길이가 감소됨을 제2센서부(100)에 의해 측정된다.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 미만인 경우, 제2가변부(90)의 제2로드부재(93)는 제1고정부(80)에 밀려서 제2지지대(45)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로드부재(93)의 제2캡부재(95)가 이동하면서 제2센서부(100)의 제2측정센서(104)에 접촉되면, 제2측정센서(104)는 제어부(110)로 측정값을 전달하여 제1구동부(12)와 제2구동부(22)의 동작을 1차 정지시킨다.
만약, 제2측정센서(104)의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2측정센서(104)를 통과한 제2캡부재(95)는 제2비상센서(106)에 접촉된다.
제2비상센서(106)는 제어부(110)로 측정값을 전달하여 제1구동부(12)와 제2구동부(22)의 동작을 2차 정지시킨다.
즉,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 내로 좁아진 경우, 제1측정센서(74)와 제2측정센서(104)에 의해 크레인의 이동이 감지되어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의 이동을 1차 구속한다.
이러한 제1측정센서(74)와 제2측정센서(104)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진 경우, 제1비상센서(76)와 제2비상센서(106)에 의해 크레인의 이동이 감지되어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의 이동을 2차 구속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1)는,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간격 내로 근접된 경우, 제1센서부(70)와 제2센서부(100)가 동작되어 제1크레인(10)과 제2크레인(20)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철소용 부두에 설치된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크레인이 설치된 다른 장소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10: 제1크레인 11: 제1주행부
12: 제1구동부 14: 제1주행휠
16: 제1프레임 18: 제1운반장치
19: 제1후크부재 20: 제2크레인
21: 제2주행부 22: 제2구동부
24: 제2주행휠 26: 제2프레임
28: 제2운반장치 29: 제2후크부재
30: 레일 40: 제1지지대
45: 제2지지대 50: 제1가변부
51: 제1하우징 52: 제1걸림턱
53: 제1로드부재 54: 제1로드몸체
55: 제1캡부재 56: 제1탄성부재
57: 제1가이드부재 60: 제2고정부
62: 제2고정몸체 64: 제2고정캡부
70: 제1센서부 72: 제1센서브라켓
74: 제1측정센서 76: 제1비상센서
80: 제1고정부 82: 제1고정몸체
84: 제1고정캡부 90: 제2가변부
91: 제2하우징 92: 제2걸림턱
93: 제2로드부재 94: 제2로드몸체
95: 제2캡부재 96: 제2탄성부재
97: 제2가이드부재 100: 제2센서부
102: 제2센서브라켓 104: 제2측정센서
106: 제2비상센서 110: 제어부

Claims (6)

  1.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크레인에 고정되는 제1지지대;
    상기 제1크레인과 이격된 제2크레인에 고정되며, 상기 제1지지대와 마주하며 설치되는 제2지지대;
    일측은 상기 제1지지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지지대를 향하여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제1가변부;
    일측은 상기 제1가변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제2지지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상기 제1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제2고정부에 밀려서 이동되는 상기 제1가변부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1센서부;
    일측은 상기 제1지지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지지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고정부;
    일측은 상기 제1고정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타측은 상기 제2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제1고정부에 밀려서 길이가 가변되는 제2가변부; 및
    상기 제2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제1고정부에 밀려서 이동되는 상기 제2가변부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2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변부는,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제2고정부를 향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로드부재; 및
    상기 제1로드부재를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부는,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센서브라켓;
    상기 제1센서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제1하우징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로드부재의 동작을 측정하는 제1측정센서; 및
    상기 제1측정센서와 이격되어 상기 제1센서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제1측정센서를 지나서 상기 제1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로드부재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1비상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부는, 상기 제2지지대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제1고정부를 향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로드부재; 및
    상기 제2로드부재를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부는, 상기 제2지지대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2센서브라켓;
    상기 제2센서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제2하우징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로드부재의 동작을 측정하는 제2측정센서; 및
    상기 제2측정센서와 이격되어 상기 제2센서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제2측정센서를 지나서 상기 제2하우징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로드부재의 이동을 측정하는 제2비상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KR1020120083326A 2012-07-30 2012-07-30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KR10141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326A KR101411870B1 (ko) 2012-07-30 2012-07-30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326A KR101411870B1 (ko) 2012-07-30 2012-07-30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82A KR20140016582A (ko) 2014-02-10
KR101411870B1 true KR101411870B1 (ko) 2014-06-25

Family

ID=5026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326A KR101411870B1 (ko) 2012-07-30 2012-07-30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92B1 (ko) 2014-11-04 2016-10-18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KR101745468B1 (ko) 2015-04-09 2017-06-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충돌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시스템
CN105329633A (zh) * 2015-12-02 2016-02-17 东莞市豪顺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改良的自动上料台车
CN105502169B (zh) * 2015-12-31 2017-09-26 天津昊荣自动化工程有限公司 起重机双葫芦小车联动限位防护系统的控制方法
CN106044572A (zh) * 2016-06-23 2016-10-26 合肥市神雕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起重机小车的限位报警装置
CN106006393B (zh) * 2016-06-24 2017-07-28 浙江交工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多功能龙门吊防撞装置
CN106516643B (zh) * 2016-11-15 2020-04-21 攀钢集团工程技术有限公司 工业行进设备的行程保护系统
CN107010538A (zh) * 2017-05-22 2017-08-04 上海正邻机电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起重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687A (ja) * 1993-02-24 1994-09-06 Kansei Corp クレーン用衝突防止装置
KR200338585Y1 (ko) 2003-10-21 2004-01-16 정재두 표적물에대한 충돌방지장치
KR20040059202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위치 자동 조정장치
KR100657573B1 (ko) * 2005-07-12 2006-12-1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하역기용 충돌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687A (ja) * 1993-02-24 1994-09-06 Kansei Corp クレーン用衝突防止装置
KR20040059202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위치 자동 조정장치
KR200338585Y1 (ko) 2003-10-21 2004-01-16 정재두 표적물에대한 충돌방지장치
KR100657573B1 (ko) * 2005-07-12 2006-12-1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하역기용 충돌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82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870B1 (ko)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US20170341514A1 (en) Vehicle alignment systems for loading docks
JP6171984B2 (ja) 物品支持装置
CN109850705B (zh) 电梯用控制装置
JP2008265984A (ja) クレーン制御システム装置
KR10135551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CN104163186A (zh) 一种应用于煤矿副斜井的无轨胶轮车防跑车装置
JP6350469B2 (ja) クレーン衝突防止装置
JP2006298536A (ja) 天井走行車
KR102141194B1 (ko) 센서 간섭 방지 장치
KR101887271B1 (ko)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CN200995013Y (zh) 举高类消防车车工作平台防碰装置
US20180118513A1 (en)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system to ensure predetermined elevator shaft clearance
US20180057310A1 (en) Safety device, eleva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system
KR20180136632A (ko) 트리퍼카용 케이블 손상 방지장치
KR20180131912A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KR101344310B1 (ko)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CN114650962A (zh) 起重机和起重机控制方法
KR101167221B1 (ko) 텐션대차용 파손방지장치
JP2004090126A5 (ko)
JP2009096571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外れ止め装置
CN102910517B (zh) 双层电梯及其控制方法
KR101745468B1 (ko) 크레인 충돌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시스템
KR20140042077A (ko) 리크레이머의 충돌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