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292B1 -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292B1
KR101667292B1 KR1020140152298A KR20140152298A KR101667292B1 KR 101667292 B1 KR101667292 B1 KR 101667292B1 KR 1020140152298 A KR1020140152298 A KR 1020140152298A KR 20140152298 A KR20140152298 A KR 20140152298A KR 101667292 B1 KR101667292 B1 KR 101667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iction
rod
rail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244A (ko
Inventor
노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5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2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기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의 연장방향 쪽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이송기들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부와,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부들을 각각 관통하며 연결되어 레일의 측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마찰부, 각각의 지지부 외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해지로드 및 각각의 지지부 외측면에서 지지부 및 마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 배치되어, 해지로드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밀림면이 형성되는 이상 감지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같은 경로를 공유하는 이송기들이 서로 근접하여 충돌할 것을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이송기들의 충돌 전에 이송기를 제동할 수 있다.
이에, 이송기들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인명사고, 유지보수 시간 및 비용 증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Carrier-car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로 상을 활주하는 이송기들 간의 충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역 크레인(이하, 이송기)은 제철소 또는 발전소에서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원료(연료)를 원하는 위치에 하역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양한 종류의 원료(연료)를 단시간에 운반하여 조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복수대의 이송기 각각은 작업자에 의해 이동 위치가 제어됨으로써 동일 레일 상을 활주하며 원료(연료)를 운반한다.
이때, 작업자의 운전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되는 이송기들은 작업자의 졸음 운전 및 운전 중 주의 부족에 의하거나 작업자의 실수가 아니더라도 기상이변으로 인해 이송기들의 이동 거리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레일 상의 이송기들이 서로 충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운전자가 이송기들을 제어할 때에 이송기들의 후방을 살피지 못하여 같은 경로를 공유하는 이송기들 간의 근접된 상황을 예측하지 못할 경우, 작동중인 이송기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이송기와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외부의 요인으로 인해 레일 상의 이송기들의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이송기들이 레일을 이탈하여 지상으로 추락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송기의 추락에 의해 이송기에 탑승한 작업자도 함께 추락하여 인명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충돌한 이송기들은 충돌 충격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여 이를 수리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이송기를 통해 운반중이던 원료(연료)가 충격에 의해 정상적인 운반시의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최악의 경우 지상으로 추락하여 지상 작업자의 인명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발생에 의해 이송기들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할 경우 이송기들의 원료(연료) 운반에 의한 공정이 진행되는 조업 활동을 중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KR 2014-0016582 A1 KR 2013-0088970 A1 KR 2011-0040444 A1
본 발명은 경로를 공유하며 이동하는 이송기들이 서로 근접할 경우 이송기들의 충돌 위험을 사전에 알려주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송기들의 충돌을 방지하여 설비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정적인 조업 환경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기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는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 쪽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이송기들의 적어도 일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연장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들을 각각 관통하며 연결되어, 상기 레일의 측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마찰부, 상기 각각의 지지부 외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해지로드 및 상기 각각의 지지부 외측면에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마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 배치되어, 상기 해지로드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밀림면이 형성되는 이상 감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상기 이송기로부터 상기 레일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이송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이송기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삽입홈 또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영역과, 상기 레일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가 설치되는 배치영역 및 상기 이송기부터 상기 레일의 측면까지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영역 및 상기 배치영역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중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상기 각각의 이송기의 주행휠, 주행부 및 운반부 중 어느 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마찰부는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마찰부 연결로드와, 상기 레일과 마주보는 상기 마찰부재 연결로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의 측면쪽으로 이동 가능한 마찰부재 및 상기 마찰부재 연결로드의 일부 영역을 감싸며 배치되며, 상기 마찰부재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 감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접촉 배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레일의 측면에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마찰부에는 상기 마찰부재 연결로드가 관통하는 상기 지지부의 관통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마찰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로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마찰부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마찰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마찰부재 연결로드를 권취하며 배치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부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해지로드가 제1 해지로드 및 제2 해지로드로 구분될 때, 상기 제1 해지로드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지지로드의 배치영역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해지로드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지지로드의 배치영역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이상 감지부재는 상기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촉단과, 상기 레일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접촉단의 일단부로부터 수직하게 교차하여 연장 형성되는 수직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부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마찰부가 제1 마찰부 및 제2 마찰부로 구분되며, 상기 각각의 이상 감지부재가 제1 이상 감지부재 및 제2 이상 감지부재로 구분될 때, 상기 제1 이상 감지부재의 접촉단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지지로드의 배치영역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상측에서 상기 제1 마찰부의 마찰부 연결로드에 접촉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상 감지부재의 수직단은 상기 레일의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교차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이상 감지부재의 접촉단은 상기 제2 지지부의 지지로드의 배치영역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하측에서 상기 제2 마찰부의 마찰부 연결로드에 접촉 배치되고, 상기 제2 이상 감지부재의 수직단은 상기 레일의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교차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부에는 상기 레일 상면에 접촉 배치되는 보조 마찰부가 연결되며, 상기 보조 마찰부는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로드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 및 상기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레일의 폭을 100이라 할 때, 상기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보조 마찰부재의 폭은 100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이상 감지부재의 전류 흐름 발생에 의해 상기 이송기들의 충돌 발생 가능성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기들을 제공하기 위한 이송기 상태 판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이상 감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이상 감지부재 간의 전류 흐름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전류 흐름의 발생 유무 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기들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이송기들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판단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이송기들의 정지를 요청하는 경보를 발출하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해지로드가 제1 해지로드 및 제2 해지로드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이상 감지부재가 제1 이상 감지부재 및 제2 이상 감지부재로 구분되며, 상기 이송기들이 상호 근접할 때, 상기 제2 해지로드를 마주보는 상기 제1 해지로드의 일면은 상기 제2 이상 감지부재의 밀림면을 밀어내며, 상기 제1 해지로드를 마주보는 상기 제2 해지로드의 일면은 상기 제1 이상 감지부재의 밀림면을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에 의하면 같은 경로를 공유하는 이송기들이 서로 근접하여 충돌할 것을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이송기들의 충돌 전에 이송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이송기들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이송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찰부재가 레일에 비접촉하도록 배치하는 이상 감지부재가 서로 마주보는 이송기에 연결된 해지부재의 근접에 의해 밀려남으로써 마찰부재가 레일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에, 마찰부재와 레일 간의 마찰에 의해서 이송기의 이동이 제어됨으로써 이송기들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상 감지부재와 접촉하는 다른 구성 간의 전류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면서 이상 감지부재와 다른 구성 간의 전류 흐름이 끊어질 경우에 이를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작업자가 이송기의 비상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기의 동작을 제어를 확실하게 중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기들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인명사고, 유지보수 시간 및 비용 증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조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가 장착된 이송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 해지로드 및 이상 감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의 평면도 및 B 방향으로의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상/위(on)”에 또는“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상/위(on)”와“아래(under)”는“직접(directly)”또는“다른 구성을 개재하여(indirectly)”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는 레일이 형성하는 경로를 공유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기들의 상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레일(10)의 연장방향(D1) 쪽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이송기(50)들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부(100)와, 연장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D2)으로 지지부(100)들을 각각 관통하며 연결되어, 교차하는 방향(D2)으로의 레일(10)의 측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마찰부(200), 각각의 지지부(100) 외측면에서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해지로드(300) 및 각각의 지지부(100) 외측면에서 지지부(100) 및 마찰부(2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 배치되어 해지로드(300)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밀림면이 형성되는 이상 감지부재(4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레일(10)의 경로를 공유하는 이송기(50)들을 제1 이송기(50a) 및 제2 이송기(50b)로 구분하여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10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1000)가 제1 이송기(50a)와 제2 이송기(50b)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1000)가 2개 이상의 이송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지지부(100), 마찰부(200), 해지로드(300) 및 이상 감지부재(400)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1000)가 구비되는 이송기(5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기(50)는 천장에 설치된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며 원료(연료)를 운반한다.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이송기(50b) 각각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작업자가 이송기(50)를 운전하는 장소인 작동부(51)와, 작동부(51)의 하부에 배치되며 원료(연료)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부(53), 운반부(53)를 레일(10)에 이격 지지하기 위한 주행부(55) 및 주행부(55)에 연결되어 이송기(50)가 레일(10) 상에서 활주 가능하게 하는 주행휠(57)을 포함한다.
지지부(100)는 마찰부(200)와 해지로드(300) 및 이상 감지부재(400)를 레일(1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기(50)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서 연결되어 레일(10)의 연장방향(D1)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지지부(100)는 제1 이송기(50a)에 연결되어 제2 이송기(50b)를 바라보며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부(100a)와, 제2 이송기(50b)에서 제1 이송기(50a)를 바라보며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부(100b)로 구분되어 각각의 지지부(100a, 100b)는 서로 마주보면서 배치된다. 이에, 이하에서 지지부(100)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은 구성은 모두 제1 지지부(100a) 및 제2 지지부(100b)에 각각 구비됨을 의미한다. 이때, 지지부(100)는 이송기(50)들의 주행부(55), 주행휠(57) 및 운반부(5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100)를 이송기(50)의 주행휠(57)에 연결되어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나, 지지부(100)는 레일(10)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D2)으로의 이송기(50)의 측면에 연결되는 것이면 이송기(50)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모든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지지부(100)는 이송기(50)로부터 레일(10)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로드(110)와, 지지로드(110)와 이송기(5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지지축(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로드(110)는 주행휠(57)의 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주행휠(57)의 회전에 비연동되도록 구비되며, 주행휠(57)로부터 레일(10)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지지로드(110)는 주행휠(57)에 장착되는 지점으로부터 하부로 경사지도록(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플레이트 바(plate bar)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로드(110)는 이송기(50)의 주행휠(57)에 연결되며 지지축(150)이 삽입되는 삽입홈 또는 삽입홀(130)이 형성되는 연결영역(111)과, 레일(10)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마찰부(200)가 설치되는 배치영역(113) 및 연결영역(111) 및 배치영역(113)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중간영역(11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연결영역(111)은 연장방향(D1)으로의 지지로드(110)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일단측의 소정 영역으로서, 지지로드(110)의 전체 영역을 기준으로 지지축(150)이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연결영역(111)은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홀(130)이 형성되는 지지로드(110)의 소정 영역을 나타내며, 이는 지지로드(110)의 일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의 연장선(L1)과 지지로드(110)에서 삽입홀(130)이 형성된 위치에서 지지로드(110)의 타단쪽으로 이격된 위치로부터의 상하방향으로의 연장선(L2)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배치영역(113)은 연결영역(111)으로부터 연장방향(D1)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지지로드(110)의 전체 영역을 기준으로 레일(10)의 측면과 마주보는 영역일 수 있다. 즉, 배치영역(113)은 후술하는 마찰부(200)가 설치 및 배치되기 위한 영역으로서, 지지로드(110)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서의 상하방향으로의 연장선(L4)과 타단쪽에서 일단쪽으로 연장되는 상면이 평평한(즉, 직선으로 이루어진) 위치에서의 상하방향으로의 연장선(L3)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이때, 배치영역(113)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는 연장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D2)으로의 레일(10)의 측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레일(10)의 측면 높이를 100이라 할 때, 100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배치영역(113)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방향(D1)으로의 연장선(L5)은 레일(10)의 상단부와 나란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로드(110) 배치영역(113)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 및 상단부의 배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마찰부(200)가 안정적으로 설치 및 배치될 수 있는 높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중간영역(115)은 연결영역(111) 및 배치영역(113)을 연결하며 연장방향(D1)으로의 지지로드(110)의 총 길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일단 및 타단 쪽으로의 소정 범위를 갖는 영역으로서, 이송기(50)에 연결된 연결영역(111)과 레일(10)의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치영역(113)을 이어주기 위해 연결영역(111)에서 배치영역(113)으로 갈수록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중간영역(115)은 지지로드(110)의 타단방향으로의 연결영역(111)의 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의 연장선(L2)과 지지로드(110)의 일단방향으로의 배치영역(113)의 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의 연장선(L3)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지지로드(110)는 이송기(50)의 구성 중 레일(10)과의 이격거리가 가장 짧은 주행휠(57)의 양측에 연결되어 중간영역(115)의 폭이 L2 연장선과 L3 연장선 사이의 거리 값을 나타내나, 지지로드(110)가 주행휠(57)보다 레일(10)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운반부(53) 및 주행부(55)와 연결되는 경우 지지로드(110)의 중간영역(115)의 폭은 이보다 증가될 수 있다.
지지축(150)은 지지로드(110)를 이송기(50)에 연결하기 위한 구비되는 것으로서, 레일의 연장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D2)으로 지지로드(110)의 연결영역(111)에 형성된 삽입홀(13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이송기(50)의 주행휠(57)에 장착됨으로써 주행휠(57)의 측면에 지지로드(110)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축(150)은 지지로드(110)를 연결하며 지지로드(110)가 배치된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주행휠(57)의 회전에 연동되지 않는 방식으로 주행휠(57)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축(150)에 있어서 주행휠(57)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지지로드(110)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작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00)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도면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송기(50)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지지부(100)는 제1 이송기(50a)의 양측에 구비되고, 제2 이송기(50b)의 양측에 구비되어 총 4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지지부(100)가 하나의 이송기(50)에 2개씩 구비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마찰부(200) 또한 지지부(100)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어 마찰부(200)에 의한 이송기(50)들의 제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로드(110)와 지지축(150)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지지로드(110)와 지지축(150)이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송기(50)에 연결되는 지지부(100)의 하중에 의해 이송기(50)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로드(110)는 전체 영역이 모두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찰부(200)가 설치되는 배치영역(113)를 제외한 연결영역(111) 및 중간영역(115)이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마찰부(200)의 구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지지부(100)와 마찰부(200)의 총 하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이상 감지부재(400)를 안정적으로 지지로드(110)에 접촉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170)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70)는 레일(10)과 마주보지 않는 지지로드(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이상 감지부재(400)의 일부가 접촉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 영역이 접촉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 감지부재(400)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찰부(200)는 지지로드(110)의 배치영역(113)에 설치 및 배치되어 레일(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송기(50)들이 서로 근접할 때 이송기(50)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레일(10)에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마찰부(200)는 제1 지지부(100a)의 제1 지지로드(110a)와 제2 지지부(100b)의 제2 지지로드(110b) 내측면에 각각 한 개씩 연결되어 총 4개의 마찰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마찰부(200)는 레일(10)의 연장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지부(100)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마찰부 연결로드(210)와, 레일(10)과 마주보는 마찰부 연결로드(210)의 일단에 연결되어 레일(10)의 측면쪽으로 이동 가능한 마찰부재(230) 및 마찰부 연결로드(210)의 일부 영역을 감싸며 배치되며, 마찰부재(2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250)를 포함한다. 또한, 마찰부(200)는 지지부(100)에서 마찰부재(230) 연결로드가 관통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부(100)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고정로드(290) 및 지지부(100)와 마찰부재(230) 사이에 배치되는 마찰부 연결로드(210)를 권취하며 배치되는 탄성부재(27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마찰부(200)는 제1 지지부(100a)의 제1 지지로드(110a)에 제1 마찰부(200a)가 구비되고, 제2 지지부(100b)의 제2 지지로드(110b)에 제2 마찰부(200b)가 구비되나, 제1 마찰부(200a) 및 제2 마찰부(200b)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구성을 동일하게 구비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의 용어를 제외한 구성의 용어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마찰부 연결로드(210)는 마찰부재(230)를 교차하는 방향(D2)으로의 레일(10)의 측면과 마주보며 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로드(110)와 마찰부재(230)를 상호 연결하여 마찰부재(230)가 지지로드(110) 및 레일(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되기 위한 구성이다. 마찰부 연결로드(210)는 후술하는 해지로드(300) 및 이상 감지부재(400)에 의해 마찰부재(230)가 레일(10)의 측면에 접촉 또는 비접촉 되도록 마찰부재(230)를 일정간격씩 레일(10)의 측면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찰부 연결로드(210)는 연장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D2)으로 지지로드(110)를 관통하며 형성된 제1 관통홀(142)에 삽입되도록 교차하는 방향(D2)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원통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 연결로드(210)는 제1 관통홀(142)에 삽입 배치될 때, 지지로드(110)를 기준으로 레일(10) 측으로 돌출된 영역과 지지로드(110)를 기준으로 레일(10)의 측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지지로드(110)를 기준으로 레일(10)의 측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마찰부 연결로드(210)의 일 영역에는 후술하는 스토퍼(2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토퍼(250)의 설치 및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나사선(215)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재(230)는 교차하는 방향(D2)으로의 레일(10)의 측면에 이격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마찰부 연결로드(21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레일(10)의 측면에 접촉될 수도 있다. 즉, 마찰부재(230)는 레일(10)의 측면과 마주보는 마찰면(233)과 마찰면(233)과 마찰부 연결로드(2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면(231)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마찰부재(230)의 마찰면(233)은 마찰부 연결로드(210)의 동작에 의해 레일(10)의 측면에 접촉될 때, 레일(10)에 마찰력을 가하여 이송기(50)의 근접을 억제 및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마찰부재(230)의 마찰면(233) 및 연결면(231)은 일반적으로 브레이크로 사용되는 라이닝 및 라이닝 슈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찰력을 제공하여 이송기(50)의 레일 활주를 제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토퍼(250)는 마찰부 연결로드(210)에 장착되어 마찰부재(2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로드(110)를 기준으로 레일(10)의 측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마찰부 연결로드(210)에서 지지로드(1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마찰부 연결로드(2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250)가 마찰부 연결로드(210)에 장착되는 위치는 평면 상에서 후술하는 이상 감지부재(400)의 폭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마찰부 연결로드(21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스토퍼(250)와 지지로드(110) 사이에는 이상 감지부재(400)가 배치되어 있음으로, 마찰부재(230)가 레일(10)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태를 제공하며, 이송기(50)들의 근접에 의해 이상 감지부재(400)가 스토퍼(250)와 지지로드(110) 사이에 배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토퍼(250)는 지지로드(110)와 접촉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250)는 마찰부 연결로드(21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마찰부 연결로드(210)의 나사선(215)을 따라 장착 가능한 너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스토퍼(25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로드(110)에 형성된 제1 관통홀(142)보다는 큰 평균직경을 가져 스토퍼(250)가 제1 관통홀(142)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로드(290)는 마찰부 연결로드(210)가 배치영역(113)을 관통하는 위치인 지지로드(110)에서 제1 관통홀(142)이 형성된 위치에 이격된 위치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로드(110)에 제1 관통홀(142)이 형성된 위치에서 이격된 위치에 제2 관통홀(144)이 형성되어 제2 관통홀(144)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로드(290)는 마찰부 연결로드(210)에만 지지되는 마찰부재(230)의 지지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고정로드(290)는 하나만 구비되어 마찰부재(230)에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는 마찰부재(230)의 크기 및 배치영역(113)의 크기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복수개가 구비되어 마찰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고정로드(290)는 마찰부 연결로드(210)와 별개로 마찰부재(230)를 지지하기 위한 보조 역할임으로 마찰부 연결로드(210)의 평균직경보다 작은 값의 평균직경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270)는 지지로드(110)를 기준으로 레일(10) 측으로 돌출된 마찰부 연결로드(210)의 영역을 감싸며 배치되며, 스토퍼(250)와 지지로드(110)가 접촉되어 마찰부재(230)가 레일(10)의 측면에 접촉될 때, 마찰부재(230)가 레일(10)의 측면에 강한 힘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70)는 마찰부재(230)가 레일(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마찰부 연결로드(210)에 매우 압축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마찰부재(230)와 지지로드(110)에 각각 탄성 복원력(즉, 지지로드(110)를 레일(10)과 멀어지는 쪽으로 밀어내는 힘과 마찰부재(230)를 레일(10)과 가까워지는 쪽으로 밀어내는 힘)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270)의 복원력은 스토퍼(250)의 제한에 의해 마찰부재(230)가 레일(10)에 접촉하는 힘을 증가시키는 역할은 수행하지 못한 상태였으며, 마찰부재(230)가 레일(10)에 접촉할 때에는 이 복원력이 탄성부재(270)가 레일(10)의 측면에 가해지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마찰부재(230)가 보다 큰 힘으로 레일(10)에 마찰을 가해 이송기(50)를 용이하게 제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 감지부재(400)는 지지부(100) 및 마찰부(200)에 접촉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부(100) 및 마찰부재(230)에 접촉 배치되지 않을 때 이송기(50)들의 근접에 의한 충돌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연장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촉단(410)과, 레일(10)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접촉단(410)으로부터 수직하게 교차하여 연장형성되는 수직단(430)으로 구분되며, 수직단(430)에는 해지로드(300)가 접촉하게 되는 밀림면(435)이 형성된다. 즉, 이상 감지부재(400)는 이송기(50)의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마찰부(200)를 작동하기 위한 키(key)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지지부(100) 및 마찰부(200)로부터 해지됨으로써 마찰부(2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감지부재(400)는 마찰부 연결로드(210)의 원주면 중 일부 영역에 접촉 배치되어, 스토퍼(250)와 지지로드(110) 사이에 배치되는데, 이상 감지부재(400)의 이동에 의해서 전술한 마찰부(200)가 움직이며 이송기(50)가 제동될 수 있다. 접촉단(410)과 수직단(430)으로 구분되는 이상 감지부재(400)는 제1 지지부(100a) 및 제2 지지부(100b)에 구비되는 형상이 상이하게 구비된다. 즉, 후술하는 해지로드(300)가 제1 지지부(100a) 및 제2 지지부(100b)의 외측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연결되어 이상 감지부재(400)쪽으로 근접하기 때문에 이상 감지부재(400)는 해지로드(300)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밀림면(435)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100a) 및 제2 지지부(100b)에 상이한 형상으로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100a)에 구비되는 제1 이상 감지부재(400a)의 접촉단(410)은 제1 지지로드(110a)의 배치영역(113)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상측에서 제1 마찰부 연결로드에 접촉 배치되고, 제1 이상 감지부재(400a)의 수직단은 레일(10)의 하부방향으로 수직단의 일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교차하여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 이상 감지부재(400a)의 수직단이 연결되는 접촉단(410)의 일단은 제2 이송기(50b)와 마주보지 않는 접촉단(410)의 단부일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100b)에 구비되는 제2 이상 감지부재(400b)의 접촉단은 제2 지지로드(110b)의 배치영역(113)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하측에서 제2 마찰부 연결로드(210)에 접촉 배치되고, 제2 이상 감지부재(400b)의 수직단은 레일(10)의 상부방향으로 수직단의 일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수직하게 교차하여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이상 감지부재(400b)의 수직단이 연결되는 접촉단의 일단은 제1 이송기(50a)와 마주보지 않는 접촉단의 단부일 수 있다. 즉, 제1 이상 감지부재(400a)는 정면상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된‘ㄱ’자의 형상을 가지며, 제2 이상 감지부재(400b)는 정면상에서 상하방향으로의 축을 기준으로 대칭된‘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이상 감지부재(400a)와 제2 이상 감지부재(400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이상 감지부재(400a)가 대칭되지 않는‘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이상 감지부재(400b)가‘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해지로드(300)는 이송기(50)들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부(100)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다른 이송기(50)에 구비되는 이상 감지부재(400)를 해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해지로드(300)는 각각의 지지부(100)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이송기(50a)의 제1 지지부(100a)에 구비되는 제1 해지로드(300a)와, 제2 이송기(50b)의 제2 지지부(100b)에 구비되는 제2 해지로드(300b)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해지로드(300a)와 제2 해지로드(300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 지지부(100a) 및 제2 지지부(100b)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로드(110a) 배치영역의 상하방향으로의 폭을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상부에 제1 해지로드(300a)가 배치될 때, 제2 해지로드(300b)는 제2 지지로드(110b)의 배치영역의 상하방향으로의 폭을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해지로드(300)는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바로 형성되어, 이송기(50)들의 근접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면서, 장착된 이송기(50)에 대향하는 이송기(50)에 설치된 이상 감지부재(400)의 밀림면(435)을 밀어낼 수 있다. 즉, 제1 이송기(50a)에 구비되는 제1 해지로드(300a)는 제2 이송기(50b)의 제2 이상 감지부재(400b)의 밀림면을 밀어내며, 제2 이송기(50b)에 구비되는 제2 해지로드(300b)는 제1 이송기의 제1 이상 감지부재(400a)의 밀림면을 밀어내어 이상 감지부재(400)를 지지부(100) 및 마찰부(200)로부터 비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해지로드(300)가 형성되는 길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지만 이송기(50)가 근접하게 되어 마찰부재로 이송기(50)를 제동하기에 안정적인 안정거리를 제공하는 범위 내에서 이송기(50)들 각각에 구비된 해지로드(300)가 이상 감지부재(400)들을 밀어낼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1000)에는 지지부(100) 및 이상 감지부재(400) 간의 전류 흐름 발생에 의해 이송기(50)들의 충돌 발생 가능성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이송기(50)들을 제공하기 위한 이송기 상태 판단유닛(500)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송기 상태 판단유닛(500)은 마찰부(200)에 의해 제동되는 이송기(50)들을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제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지부(100) 및 이상 감지부재(400)에 연결되어, 지지부(100)와 이상 감지부재(400) 간의 전류 흐름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510)와, 전류 감지부(510)로부터 전달된 전류 흐름의 발생 유무 결과에 따라 이송기(50)들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 및 판단 결과를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발생부(530) 및 신호 발생부(530)로부터 전류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이송기(50)들의 정지를 요청하는 경보를 발출하는 알람부(550)를 포함한다.
전류 감지부(510)는 이송기(50)들의 근접에 의해 각각의 이송기(50)에 설치된 이상 감지부재(400)의 탈락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부(100)의 지지로드(110)와 이상 감지부재(400)에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는지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제1 이송기(50a)와 제2 이송기(50b)가 근접하지 않고 운행중일 때에는 지지로드(110)와 이상 감지부재(400)는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를 수 있어 전류 감지부(510)에 전류 측정값이 표시되게 된다. 반면, 지지로드(110)와 이상 감지부재(400) 간의 의 근접에 의해 제1 및 제2 해지로드(300b)가 제2 및 제1 이상 감지부재(400a)를 각각 밀어내어 스토퍼(250)와 지지로드(110) 사이에서 탈락시킨 경우에는 지지로드(110)와 이상 감지부재(400)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지지로드(110)와 이상 감지부재(400)간에 전류가 흐를 수 없어 전류 감지부(510)에 전류 측정값이 표시되지 않는다. 이에, 전류 감지부(510)는 이송기(50)가 운행중일 때 지속적으로 지지부(100)와 이상 감지부재(400) 간의 전류 흐름을 측정하며, 전류 측정값을 신호 발생부(530)로 전달한다.
신호 발생부(530)는 전류 감지부(51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전류 측정값에 따라서 제1 이송기(50a)와 제2 이송기(50b)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판단된 신호를 알람부(55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신호 발생부(530)는 전류 감지부(51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전류 측정값이 0의 값(제로 값)을 나타낼 때, 해지로드(300)가 이상 감지부재(400)를 지지로드(110)로부터 비접촉되도록 탈락시킨 것을 인지하여 제1 이송기(50a)와 제2 이송기(50b) 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즉, 이송기들이 서로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신호 발생부(530)는 이송기(50)를 운행중인 작업자에게 이송기(50)들의 충돌 발생 가능성을 알리기 위한 알람부(550)로 이송기(50)들의 충돌 가능 판단신호를 전달한다.
알람부(550)는 신호 발생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이송기(50)들의 충돌 발생 가능 판단 신호에 따라 이송기(50)들의 정지를 요청하는 경보를 발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송기(50)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어, 신호 발생부(530)로부터 전달된 이송기(50)들의 충돌 발생 가능성 신호를 경보로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알람부(550)로부터 이송기(50)들이 충돌할 수 있다는 경보를 발출하는 것으로부터, 작업자가 이송기를 완전히 제동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이송기(50)에 구비된 메인 브레이크(미도시)를 작동시킴으로써 이송기(50)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이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1000)에는 마찰부(200)와 별개로 레일(10)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보조 마찰부(6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보조 마찰부(600)는 지지부(100)에 연결되어 레일(10) 상면에 접촉 배치되며, 레일(10)의 상부에서 지지로드(110)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610) 및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의 측면에 연결되어 연장 형성되는 보조 마찰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마찰부(600)는 이송기(50)들이 정상적으로 운행중일 경우에는 이송기(50)들을 따라서 레일(10) 상을 활주하다가, 이송기(50)들이 상호 근접하여 마찰부재(230)가 레일(10)의 측면에 마찰을 가하며 이송기(50)를 제동하려 할 경우에는 레일(10)의 상면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이송기(50)들이 보다 용이하게 멈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610)는 레일(10) 상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로드(110)의 내측면에 체결될 수 있으며,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610)를 체결하기 위해 한 쌍의 지지로드(11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61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610)가 레일(10) 상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지만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610)보다 증가된 높이를 갖는 보조 마찰부재(630)를 레일(10) 상에 안착시키며 연결할 수 있을 정도의 위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마찰부재(630)는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610)에 연결되어 레일(10)에 접촉 배치되며, 보조 마찰부재(630)는 전술한 마찰부재(230)와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보조 마찰부재(630)는 이송기(50)들을 따라서 레일(10) 상을 활주할 때는, 지지부(10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마찰부재(230)가 레일(10) 측면에 접촉 배치될 때는 마찰부재(230)가 접촉하는 레일(10)의 측면들을 잇는 상면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송기(50)가 정지될 때에 레일(10)의 상면 및 측면을 보조 마찰부재(630) 및 마찰부재(230)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는 레일 상에서의 복수의 이송기들이 다양한 변수에 의해 서로 충돌이 발생하도록 근접하게 되는 경우, 하나의 이송기로부터 이웃한 다른 이송기로 연장 형성되는 해지로드가 다른 이송기의 마찰부의 작동을 제한하고 있던 이상 감지부재를 밀어내어 마찰부가 레일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마찰부에 의해 레일 상의 이송기들이 정지할 수 있어 이송기들 간의 충돌을 용이하게 방지하여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상 감지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구성 간의 전류 흐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구성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이상 감지부재가 마찰부의 작동을 제한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으로부터 이송기들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근접 상황인 것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마찰부의 이송기 제동과는 별개로 이송기에 구비된 제동장치의 작동에 의해 이송기의 충돌이 완전하게 방지될 수 있어 조업 환경의 안전성을 증가시켜 생산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10 : 레일 50 : 이송기
50a : 제1 이송기 50b : 제2 이송기
51 : 작동부 53 : 운반부
55 : 주행부 57 : 주행휠
1000 :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100 : 지지부
110 : 지지로드 111 : 연결영역
113 : 배치영역 115 : 중간영역
130 : 삽입홀 150 : 지지축
142 : 제1 관통홀 144 : 제2 관통홀
146 : 체결홈 200 : 마찰부
210 : 마찰부 연결로드 215 : 나사선
230 : 마찰부재 231 : 연결면
233 : 마찰면 250 : 스토퍼
270 : 탄성부재 290 : 고정로드
300 : 해지로드 400 : 이상 감지부재
410 : 수평단 430 : 수직단
435 : 밀림면 500 : 이송기 상태 판단유닛
510 : 전류감지부 530 : 신호발생부
550 : 알람부

Claims (15)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기들 간의 충돌의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 쪽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이송기들의 적어도 일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연장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들을 각각 관통하며 연결되어, 상기 레일의 측면과 마주보며 배치되는 마찰부;
    상기 각각의 지지부 외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해지로드; 및
    상기 각각의 지지부 외측면에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마찰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 배치되어, 상기 해지로드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밀림면이 형성되는 이상 감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이상 감지부재의 전류 흐름 발생에 의해 상기 이송기들의 충돌 발생 가능성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기들을 제동하기 위한 이송기 상태 판단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기 상태 판단유닛은 상기 이송기에서 상기 이상감지부재가 탈락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이상 감지부재 간의 전류 측정값이 0의 값을 나타낼 때, 상기 이송기들 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이송기에서의 상기 이상 감지부재의 탈락으로 상기 이상감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접촉 배치되지 않으면, 상기 마찰부는 상기 레일의 측면에 접촉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상기 이송기로부터 상기 레일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와 상기 이송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지지축;을 포함하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이송기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삽입홈 또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영역과;
    상기 레일의 측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가 설치되는 배치영역; 및
    상기 이송기부터 상기 레일의 측면까지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영역 및 상기 배치영역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중간영역;을 포함하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는 상기 각각의 이송기의 주행휠, 주행부 및 운반부 중 어느 한 위치에 장착되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마찰부는,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는 마찰부 연결로드와;
    상기 마찰부 연결로드의 일부 영역을 감싸며 배치되며, 상기 마찰부재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레일과 마주보는 상기 마찰부 연결로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의 측면쪽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6. 삭제
  7.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마찰부에는,
    상기 마찰부 연결로드가 관통하는 상기 지지부의 관통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며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마찰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로드;가 구비되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8.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마찰부에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마찰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마찰부 연결로드를 권취하며 배치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9.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해지로드가 제1 해지로드 및 제2 해지로드로 구분될 때,
    상기 제1 해지로드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지지로드의 배치영역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해지로드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지지로드의 배치영역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하측에 연결되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10.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상 감지부재는,
    상기 연장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촉단과;
    상기 레일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접촉단의 일단부로부터 수직하게 교차하여 연장 형성되는 수직단;으로 형성되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마찰부가 제1 마찰부 및 제2 마찰부로 구분되며, 상기 각각의 이상 감지부재가 제1 이상 감지부재 및 제2 이상 감지부재로 구분될 때,
    상기 제1 이상 감지부재의 접촉단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지지로드의 배치영역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상측에서 상기 제1 마찰부의 마찰부 연결로드에 접촉 배치되고, 상기 제1 이상 감지부재의 수직단은 상기 레일의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교차하여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이상 감지부재의 접촉단은 상기 제2 지지부의 지지로드의 배치영역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심으로부터 하측에서 상기 제2 마찰부의 마찰부 연결로드에 접촉 배치되고, 상기 제2 이상 감지부재의 수직단은 상기 레일의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교차하여 연장 형성되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12.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에는 상기 레일 상면에 접촉 배치되는 보조 마찰부;가 연결되며,
    상기 보조 마찰부는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로드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 및
    상기 보조 마찰부 연결로드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조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레일의 폭을 100이라 할 때, 상기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보조 마찰부재의 폭은 100 이하의 값을 갖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13. 삭제
  1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 상태 판단유닛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이상 감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이상 감지부재 간의 전류 흐름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전류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전류 흐름의 발생 유무 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기들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로부터 상기 이송기들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판단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이송기들의 정지를 요청하는 경보를 발출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1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해지로드가 제1 해지로드 및 제2 해지로드로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이상 감지부재가 제1 이상 감지부재 및 제2 이상 감지부재로 구분되며, 상기 이송기들이 상호 근접할 때,
    상기 제2 해지로드를 마주보는 상기 제1 해지로드의 일면은 상기 제2 이상 감지부재의 밀림면을 밀어내며, 상기 제1 해지로드를 마주보는 상기 제2 해지로드의 일면은 상기 제1 이상 감지부재의 밀림면을 밀어내는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KR1020140152298A 2014-11-04 2014-11-04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KR101667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298A KR101667292B1 (ko) 2014-11-04 2014-11-04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298A KR101667292B1 (ko) 2014-11-04 2014-11-04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44A KR20160052244A (ko) 2016-05-12
KR101667292B1 true KR101667292B1 (ko) 2016-10-18

Family

ID=5602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298A KR101667292B1 (ko) 2014-11-04 2014-11-04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2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121Y1 (ko) 1999-06-30 2004-05-31 주식회사 포스코 주행간 충돌 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079B1 (ko) 2009-10-14 2016-09-23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
KR20130088970A (ko) 2012-02-01 2013-08-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크레인의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411870B1 (ko) 2012-07-30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KR101528022B1 (ko) * 2013-02-07 2015-06-10 주식회사 포스코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121Y1 (ko) 1999-06-30 2004-05-31 주식회사 포스코 주행간 충돌 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44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7995B2 (en) Guide strip for a guide rail of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US20150090557A1 (en) Passenger conveyor
KR101411870B1 (ko)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US9580275B2 (en) Elevator system having a safety device
KR101641137B1 (ko) 고로 장입용 벨트 컨베이어의 와이어 로프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JP6779020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異常検出装置
SG11201810538PA (en) Passenger transport system with monitoring and marking device for characterizing defective step units
KR101667292B1 (ko) 이송기 충돌 방지 장치
KR20200036436A (ko) 작업자 안전장치
EP2794450B1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car stop for maintaining overhead clearance
CN104428236B (zh) 乘客输送设备的安全装置及保护乘客输送设备的运行的方法
CN107531451B (zh) 用来确保预定电梯竖井间隙的用于电梯系统的监测系统
US20180057310A1 (en) Safety device, eleva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system
CN209439422U (zh) 运输小车安全防护系统
EP3655114B1 (en) Safety system
KR20130050434A (ko) 릴 케이블의 이상 검출장치
CN106098426B (zh) 接近开关的安装装置
JP5758848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位置ずれ測定方法
CN108217407B (zh) 载人运输工具
KR101889188B1 (ko) 휠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설비의 휠 장치
KR102485098B1 (ko) 수직 컨베이어 또는 추가 컨베이어뿐만 아니라, 수직 컨베이어와 추가 컨베이어의 어셈블리
KR100829686B1 (ko)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
JP4754799B2 (ja) 索道設備における索条位置異常検出装置
KR0138259Y1 (ko) 철탑용 승강기의 안전장치
KR101581691B1 (ko) 갠트리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